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년기 온라인 운동프로그램 교육방법에 따른 효과

        이명임,고광욱,김혜숙 알코올과 건강행동학회 2022 한국알코올과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11

        [연구배경] 코로나-19의 범유행으로 WHO는 2020년 3월 11일 사상 세 번째로 세계적 대유행(Pandemic)을 선포했 다.1) 국내에서도 수도권을 필두로 다중시설과 밀폐된 시설들에서 전염의 가속화로 인해, 2021.09.29. 10 시 국내 기준 확진자수가 308,725명에 이르렀으며 코로나 감염 사망자는 2,474명이 되었으며, 격리해제 수는 272,724명으로 발표되어졌다.2) 이러한 사회적 영향으로 일상에서 사람들과 가까이 앉아 이야기를 나 누거나, 실내에서 호흡하며 운동하는 모습, 마스크 없이 거리를 다니던 일상은 사라지고 거리두기, 마스크 착용 등 접촉을 최소화 하며 개인위생을 중시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변화한 사회적 분위기는 자연스 레 집안 혹은 실내에서만 생활하도록 사회적 생활 환경을 제한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체육시설은 코로나19로 인해 발생한 사회적 거리두기의 확대 등 정부의 방역지침이 강화되어 헬스장, 탁구장, 풋살장 등의 다양한 체육시설들이 강제 폐쇄 또는 영업시간, 공간에 따른 인원제한의 명령을 받게 되었다. 이로 인해 생활체육 참여자들은 스포츠 관람과 생활체육에 참여할 공간을 잃어가고 있다.3) 실제로 권오정의 노 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코로나19로 인해 노인의 운동행동 변화 사례 연구를 살펴보면 코로나로 인해 강화 된 운동제약, 증가된 운동 불안감으로 인해 운동을 포기하거나, 운동의 패턴이 변화되었다고 보고하고 있 으며,4) 이처럼 코로나 19가 지속됨에 따라 사회적 생활 반경의 제한은 좌식생활의 증가를 불러왔고 다양 한 요인들로 인해 신체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이 증가되어 일상적인 신체활동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신체 활동 회복을 위해 점진적이고 짧은 신체 활동을 권유하고 있으며,5) 코로나 상황에서의 신체활동은 실내에 서의 신체활동을 권하고 있다. 최근 교육부에서는 다양한 홈트레이닝 방법을 제작하여 학교에 전달하고 온라인 수업에 적극적으로 활용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6) 온라인개학을 통해 코로나의 확산을 예방하고자 하였다. 온라인 개학은 모든 교 과목에서 기존 오프라인 개학의 수업 상황에서 달성하는 교육과정 목표 달성 수준에 비해 뒤떨어지는 실 정이며, 특히 체육교과는 시간, 공간, 지도자와 피교육자의 관계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는 만큼 온라 인이라는 통제된 환경에서 온라인 수업으로 교육과정 목표를 달성하기에는 현실적 어려움이 따른다.7) 또 한 대부분의 체육 수업이 비대면 형식을 통한 수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지 않으며8),9) 온라인 환경을 활용 한 홈트레이닝은 동영상, 실시간 화상 프로그램등을 통해 많이 보급되고 있지만 온라인이라는 한계로 인해 정확한 운동 자세를 전달해주고 습득하기가 어렵다.10) 이러한 참여자의 운동 지식 습득의 어려움과 이로 인한 잘못된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 운동의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11) 또한 충분한 인프라가 구축되지 못한 상태에서의 급작스러운 비대면 온라인 체육 수업 전환으로 인해 수업 방식의 채택, 통일되지 못한 다양한 온라인 수업 플랫폼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학교 체육교사들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12) 이러한 현장에서의 온라인 스포츠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스포츠 교육에서도 온라인 스포츠 활동의 연구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13) 이러한 상황에서 온라인 환경에서의 체육프로그램을 적용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실시간 화상 프로그램 은 무릎골관절염 환자의 무릎근력, 근 긴장도 및 경직도, 균형능력, 보행속도, 무릎의 기능과 건강관련 삶 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으며,14) 젊은 여성을 대상으로 한 실시간 화상 홈트레이닝은 운동군에서 체격을 긍정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체력 또한 긍정적 영향을 미친것으로 나타났다.15) SNS프로 그램을 활용한 당뇨교육은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생리적지표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자가간호행위가 향 상되는 결과를 나타냈다.16) 또한 SNS를 활용한 운동정보제공은 대학생의 신체활동 변화단계를 향상시키는 데 효율적이었으며, 자기효능감, 확인규제 등의 심리적 요인들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17) 이처럼 온라인을 활용한 체육 프로그램 대부분의 연구는 주로 당뇨나, 비만환자 등 질병을 가진 질 환자들에게 맞추어 진행되어져 왔으며, 질환자를 대상으로 하지 않더라도 실시간 화상프로그램을 활용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환경에서의 운동프로그램의 제공방법을 달리하여 각 제공방법의 효과성을 비교하고 앞으로 진행될 비대면 체육프로그램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목적] 본 연구는 8주간의 온라인 운동프로그램의 제공방법을 달리함으로써 성인의 건강체력 및 기능체력에 미치 는 영향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온라인 운동 프로그램 지도 방법을 제시하고, 다양한 온라인 운동프로그램 을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 사용된 체력측정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국민체육진흥공단 국민체력100의 기준안으로 진행되었으며, 측정으로 인한 코로나 19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사전, 사후측정은 30분당 1∼2명만 측정 하였으며, 측정 시 측정자는 측정 장소에 출입하기 전 발열검사와 손 소독을 실시하고 측정을 시작하고. 또한 측정 종료 후에는 소독제를 이용하여 장비 소독을 실시하였다. 측정 순서로는 가장 먼저 혈압 측정을 통해 기준치 이상의 혈압을 나타내는 측정자는 제외하여 체력측정 간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최소화 하고 키, 체성분측정을 통한 체중, BMI(신체질량지수), 근육량, 체지방률 등을 측정하고, 건강체력(근력, 근 지구력, 유연성, 심폐지구력)과 기능체력(민첩성, 순발력) 총 6가지 종목을 측정하게 된다. 건강체력 중 근 력은 악력, 유연성은 좌전굴 근지구력은 윗몸일으키기, 유연심폐지구력은 YMCA 스텝테스트로 테스트하 며, 기능체력 중 민첩성은 전신반응테스트, 순발력은 제자리 멀리뛰기로 테스트하게 되며 해당 체력인증센 터에 근무 중인 체력측정사의 사전교육을 받고 측정 간 체력측정사의 감독 하에 체력측정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의 입력, 자료의 오류교정 및 자료분석을 위해 SPSS WIN 18.0을 사용하였다. 자료분 석방법에는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실험 처치 전 집단 간 동질성 검정을 위해 t-test를 진행하였다. 또한 온라인 증진교실 교육방법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 고 집단 간 건강체력, 기능체력을 비교하기 위해 독립t-test를 실시하였으며, 각 집단별 사전·사후 결과 비 교를 위해 paired t-test를 하였다. 종합적 효과검정을 위해 공분산분석(ANCOVA)을 하였다. [연구결과] 실시간 화상프로그램과 녹화된 영상프로그램 모두 30명으로 구성하였으며 평균연령은 각각 48.07±10.16 세, 47.233±7.69세로 나타났다. 또한 평균 신장은 실시간그룹 158.85±5.41cm, SNS그룹 160.38±7.09cm로 나타났으며, 실시간그룹의 체중은 57.31±8.6kg, SNS 그룹의 체중은 57.88±10.25kg 으로 나타났다. 1. 근력의 변화 중년기 온라인 운동프로그램 교육방법 프로그램을 통한 근력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시간 화상운동 프로그 램 집단의 결과는 사전 M=24.0, 사후 M=25.3로 비슷한 수치이며, 녹화된 영상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 또 한 사전 M=24.7, 사후 M=25.6로 나타나,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공변량 검증을 사용하여 검 증한 결과 F=0.066, p=0.798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따라서, 중년기 온라인 운동프로그램 교육방법 프로그램을 통한 신체적 변화에서 근력의 경우 실시간 화상운동 프로그램과 녹화된 영상프로그 램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2. 근지구력의 변화 중년기 온라인 운동프로그램 교육방법 프로그램을 통한 근지구력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시간 화상운동 프로그램 집단의 결과는 사전 M=20.2, 사후 M=23.2로 사후가 더 높은 수치이며, 녹화된 영상프로그램을 실 시한 화상으로그램 집단 또한 사전 M=16.6, 사후 M=16.8로 나타나, 사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 과를 공변량 검증을 사용하여 검증한 결과 F=4.661, p=.035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중년기 온라인 운동프로그램 교육방법 프로그램을 통한 신체적 변화에서 근지구력의 경우 실시간 화상운동 프로 그램과 녹화된 영상운동 프로그램에 따른 변화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p<.05). 3. 유연성의 변화 중년기 온라인 운동프로그램 교육방법 프로그램을 통한 유연성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시간 화상운동 프로 그램 집단의 결과는 사전 M=16.2, 사후 M=17.0로 비슷한 수치이며, 녹화된 영상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 또한 사전 M=12.5, 사후 M=14.6로 나타나,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공변량 검증을 사용 하여 검증한 결과 F=0.161, p=0.690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따라서, 중년기 온라인 운동프 로그램 교육방법 프로그램을 통한 신체적 변화에서 유연성의 경우 실시간 화상운동 프로그램과 녹화된 영 상운동 프로그램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4. 심폐지구력의 변화 중년기 온라인 운동프로그램 교육방법 프로그램을 통한 심폐지구력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시간 화상운동 프로그램 집단의 결과는 사전 M=32.7, 사후 M=32.4로 비슷한 수치이며, 녹화된 영상운동 프로그램을 실 시한 집단 또한 사전 M=33.4, 사후 M=33.7로 나타나,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공변량 검증을 사용하여 검증한 결과 F=1.063, p=0.307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따라서, 중년기 온라인 운 동프로그램 교육방법 프로그램을 통한 신체적 변화에서 심폐지구력의 경우 실시간 화상운동 프로그램과 녹화된 영상운동 프로그램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5. 민첩성의 변화 중년기 온라인 운동프로그램 교육방법 프로그램을 통한 민첩성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시간 화상운동 프로 그램 집단의 결과는 사전 M=0.37, 사후 M=0.38로 비슷한 수치이며, 녹화된 영상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 또한 사전 M=0.40, 사후 M=0.40로 나타나,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공변량 검증을 사용 하여 검증한 결과 F=0.181, p=0.672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따라서, 중년기 온라인 운동프 로그램 교육방법 프로그램을 통한 신체적 변화에서 민첩성의 경우 실시간 화상운동 프로그램과 녹화된 영 상운동 프로그램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6. 순발력의 변화 중년기 온라인 운동프로그램 교육방법 프로그램을 통한 순발력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시간 화상운동 프로 그램 집단의 결과는 사전 M=146.9, 사후 M=144.1로 사후가 낮은 수치이며, 녹화된 영상프로그램을 실시 한 집단 또한 사전 M=137.4, 사후 M=137.3로 나타나,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공변량 검증을 사용하여 검증한 결과 F=0.009, p=0.925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따라서, 중년기 온라인 운 동프로그램 교육방법 프로그램을 통한 신체적 변화에서 순발력의 경우 실시간 화상운동프로그램과 녹화된 영상프로그램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구결론] 본 연구는 비대면 온라인 홈트레이닝의 제공 방법이 체력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성인 60명(실시간 화상프로그램 30명, 녹화된 영상프로그램 30명)을 대상으로 8주간의 운동프로그램을 처치하 였으며, 사전·사후 검사에서 측정한 건강체력, 기술체력 변인을 비교 비교·분석한 후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을 대상으로 한 8주간의 실시간 화상운동프로그램은 악력과 윗몸일으키기를 제외한 나머 지 건강체력(유연성, 심폐지구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성인을 대상으로 한 8주간의 녹화된 영상 운동프로그램은 모든 건강체력(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심폐지구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셋째, 성인을 대상으로 한 8주간의 실시간 화상운동프로그램은 기능체력(민첩성, 순발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민첩성과 순발력 모두 체력수준의 유의한 개선이 없었다. 넷째, 성인 을 대상으로 한 8주간의 녹화된 영상 운동프로그램은 기능체력(민첩성, 순발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순발력의 체력수준이 하락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실시간 화상프로그램을 활용한 운동프로그램과 녹화된 영상을 활용한 운동 프로그램은 성인의 일부 건강체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능체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온라인 한국어 역사·문화 수업 개발 사례 연구 - 재일동포를 위한 한국어 연수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서효원(Seo, Hyo-won)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2 아시아문화연구 Vol.60 No.-

        본 연구는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한국어 단기 연수 과정에서, 재일동포를 위한 역사・문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실제 사례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온라인 역사・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목표는 재일동포의 문화적 정체성 함양이며, 성인 재일동포라는 학습자의 특수성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설계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연수생을 대상으로 요구 조사와 요구 조사 내용 분석이 진행되었다. 그리고 요구 조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 온라인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다. 이후 모형에 알맞은 교육 과정을 설계하고 VOD 콘텐츠 개발 및 제작, 교육자료 개발, 평가 자료 개발의 과정을 거쳐 실행에 옮겼다. 실행의 사례인 해당 프로그램은 3주 동안 운영되었다. 연구 결과, 역사・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과 프로그램 운영 방식에 대한 연수생들의 만족도는 96%였다. 특히, 연수생들은 해당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평가를 통해 역사・문화 교육 프로그램이 연수생들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직・간접적으로 응답하였다. 사후 진행된 평가 워크숍에서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교수자 간 평가도 무척 긍정적이었다. 이와 같은 의의와 함께 해당 연구는 세 가지 큰 과제를 남겼다. 첫째, 온라인 단기과정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수료를 위해서는 연수가 진행되는 온라인 환경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역사・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경우 학습자의 요구분석 결과에 대한 실제성이 요구된다. 셋째, 역사・문화 교육 프로그램이 추구해야 할 목표와 목적을 명확하게 설정하고 해당 목표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더욱 촘촘한 세부 항목의 설정이 요구된다. 위의 세 항목에 대한 고려는 후속 연구에서 주요하게 작용하길 바라며 이상의 연구 결과 역시 해외 거주자를 대상으로 하는 단기과정 한국어교육 및 역사・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데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design an online history and culture education program in the online short-term Korean language course for adult Korean residents in Japan learners. The goal of the online history and culture education program is the cultivation of cultural identity in Korean residents in Japan, and it is a customized education program design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the learners, adult Korean residents in Japan. For this purpose, first, with trainees, a survey on needs and an analysis of the content of the survey on needs were conducted. In addition, an online class model was design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urvey on needs. Then, a curriculum suitable for the model was designed and executed through the processes, such as the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VOD content,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and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materials. The program was operated for three week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rainees’ satisfaction with the content and form of the history and culture education program was 96%. Especially, the trainees responded that the history and culture education program helped them establish an identity. In the evaluation workshop conducted after that, the inter-instructor evaluation of the program was also very positive.

      • KCI등재

        재외동포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온라인 연수 프로그램 사례 연구

        김재욱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2 외국어교육연구 Vol.3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재외동포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온라인 연수 프로그램의 사례를 분석하여 추후 온라인 연수 프로그램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이 되는 연수 프로그램은 ‘성인 재일동포 온라인 한국어 연수’와 ‘CIS 지역 한국어교사 온라인 연수’이다. 분석 결과, 비율의 차이는 있었지만 두 연수 모두 한국어 교육, 문화 체험, 참여자 간 교류 활성화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연수 프로그램마다 참가자 맞춤 프로그램도 구성되어 있었는데, 재일동포 연수의 경우 역사 및 문화 교육 프로그램이나 프로젝트, 특강 등의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CIS 한국어교사 연수의 경우 한국어 교수법 특강이나 모의 수업 등의 프로그램이 배치되어 있었다.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온라인 연수 프로그램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부분으로 충분한 연수 프로그램 준비 시간, 참가자들의 연수 적응 기간 설정, 프로그램 구성원 간의 활발한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다양한 창구 마련, 현지어 지원이다. 더 나아가 종래의 초청 연수와 온라인 연수의 장점을 모두 살린 새로운 연수 프로그램 모델도 제안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추후 해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온라인 연수 프로그램이 더욱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온라인 대화 예절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온라인 언어사용에 미치는 효과

        위재옥,이철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8 實科敎育硏究 Vol.14 No.1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온라인 언어 사용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초등학생에게 적용할 온라인 대화 예절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온라인 언어 사용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실험연구이며, 온라인 대화, 온라인 언어사용, 온라인 대화 예절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문헌을 탐색하였고, 이를 토대로 온라인 대화 예절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김포시 지역의 Y초등학교 6학년 2개 반을 선정하여 실험반과 연구반 두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두 집단 간 동질성 검증을 위한 사전검사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실험집단에는 2007년 4월부터 5월까지 약 2개월 동안 10차시에 걸쳐 온라인 대화 예절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비교집단에는 정규 교과의 온라인 대화예절과 관련한 내용의 학습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온라인 대화 예절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온라인 언어 사용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influence of the online conversation courtesy program on the language usage of the primary school student through developing the device which can measure the primary school students' language usage. We had adapted the experimental study. We had searched the online conversation, usage of online language, and tried to search some literatures on the online conversation courtesy program after setting up our purpose in this study. We had also developed the online conversation courtesy program and verified the effect of that program.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2 class members of Y primary school student in Gimpo, and We divided them into two group: one was for experiment, and the other was for comparison. Of course, We'd made the pretest for checking out their identities, which resulted in no meaningful difference. We'd applied the online conversation courtesy program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10 class hours from April to May in 2007. This program hadn't applied to the comparison group. Instead, The comparison group had studied the online conversation courtesy in the regular class. The gathered data had been analyzed using the SPSSWIN. As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 at 5% level statistically, so we could know that the online conversation courtesy program have had a positive effect on online language usage of prim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온라인 구전정보특성과 구전정보수용의 관계: 구전정보신뢰성과 구전정보유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현영섭 한국평생교육학회 2023 평생교육학연구 Vol.29 No.1

        The increase of Electronic (online) Word of Mouth (eWOM) about programs in lifelong education raises such questions as ‘How useful eWOM is to learners or latent learners?’ and ‘How is eWOM processed and accepted by learners or latent learners?’ To answer the questions this study analyzes the process of eWOM by learners or latent learner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about theories and models and explains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eWOM’s information characteristics and accept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ositively the influences of eWOM’s information characteristics (consensus, vividness, and timeliness) on eWOM’s information acceptance mediated by eWOM’s information credibility and usefulness. For this purpose, data are collected from 386 learners or latent learners who experienced eWOM about programs in lifelong education through S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model fit with the survey data. Therefore eWOM’s information may be useful to lifelong leaners or latent learners. Second, eWOM’s information credibility and usefulness positively influenced eWOM’s information acceptance and the influence of eWOM’s information credibility is stronger than other variables. Third, eWOM’s information characteristics influence eWOM’s information acceptance mediated by eWOM’s information credibility and usefulness. According to the results, discussions were suggested.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온라인 구전이 증가하면서, ‘온라인 구전이 성인학습자에게 유용한가?’ 그리고 ‘어떻게 구전정보가 수용되는가?’에 대한 근본적 질문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관련 선행연구를 탐색하여 온라인 구전정보특성과 온라인 구전정보수용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온라인 구전정보가 성인학습자에게 어떻게 인식되어 처리되는지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온라인 구전정보특성(구전정보동의성, 구전정보생생함, 구전정보적시성)이 온라인 구전정보신뢰성과 온라인 구전정보유용성을 매개하여 온라인 구전정보수용에 주는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탐색하는 것이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온라인 구전정보를 접한 경험이 있는 성인학습자 386명으로부터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자료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온라인 구전정보특성, 온라인 구전정보신뢰성, 온라인 구전정보유용성, 온라인 구전정보수용으로 구성된 연구모형이 지지되었다. 따라서 온라인 구전정보가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성인학습자의 프로그램 인식에 유의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둘째, 온라인 구전정보신뢰성과 온라인 구전정보유용성은 온라인 구전정도수용에 정적 영향을 주었고, 온라인 구전정보신뢰성의 영향이 가장 강했다. 셋째, 온라인 구전정보특성은 온라인 구전정보신뢰성, 온라인 구전정보유용성에 정적 영향을 주고, 이 영향이 매개되어 온라인 구전정보수용에도 정적 영향을 주었다. 이상의 양적 결과를 토대로 논의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

        아동양육시설 아동을 위한 온라인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구성원들의 경험과 인식

        정평강,정가희,김가영,김중훈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아시아교육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에 아동양육시설 아동을 대상으로 온라인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 참여자들의 경험과 인식을 탐구하였다. 온라인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 13명과 기관 담당자 6명을 대상으로 표적집단면담(FGI)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의 시작, 내가 경험한 프로그램의 특징, 프로그램의 긍정적 영향, 프로그램의 보완점, 새로운 발견과 인식의 전환이라는 5개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14개 주제모음과 36개 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초기에는 온라인 기초문해교육에 대해 의심과 기대가 공존하였으나 프로그램을 경험하면서 점차 효과성에 만족하고, 아동과 온라인 기초문해교육에 대한 관점이 변하는 등의 인식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 아동들에게 실행된 온라인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자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온라인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의 발전 방향성을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리고 온라인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교육적인 제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participants who provided an online basic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in residential child care Institutions during the COVID-19.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FGI) with 13 teachers and 6 institutional staff who participated in the online basic literacy program.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ve categories were derived: program start, features of the program I experienced, positive impacts of the program, program improvements, and new discoveries and changes in perception. 14 theme groups and 36 themes were also derived. The study participants initially had doubts and expectations about the online basic literacy education, but as they experienced it, they gradually became satisfied with its effectiveness, and their views on children and online basic literacy education were chang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lored the development directions of online basic literacy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experiences of participants in the program implemented for children in residential child care institutions. In addition, we provided educational suggestions to improve the online basic literacy education program in the future.

      • KCI등재

        한지를 활용한 한국화 교육 사례연구 - 온라인 교육을 중심으로 -

        김주령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21 미술교육연구논총 Vol.64 No.-

        Korean painting is an important academic realm that allows one to understand contemporary painting based on Korean traditional materials and methods but is not dealt sufficiently in elementary schools; researches on its status and case studies are also insufficient. Thu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Korean painting programs using traditional paper Hanji starting with preceding researche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s by empirically applying them to students, and to secondarily examine the future direction and possibility of online class by systematizing and analyzing the developed Korean painting programs to respond to online class. To verify the benefits of the developed programs, the four-hour program was conducted once a week (total eight hours in two weeks) targeting total 15 artistically-gifted 5 th graders of the Gifted Science Education Center, SNUE. The educational program was produced for helping their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al material Hanji and its techniques, and the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outcomes drawn by students and their survey before/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In the conclusion of the empirical experiment, firstly, most of the students knew about Hanji and Korean painting in the survey before starting the educational program while they were lacking in experiences of them. Secondly,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an ink smear experiment to let them know the production method of Hanji and the differences of papers for explaining the materials of Korean painting, the students understood the differences of papers. Thirdly,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Korean painting educational program in each session, in the stage of introduction, the passive attitude was observed due to the online class which was relatively unfamiliar. However, as the session was more proceeded, their attitude was changed to be active, and the interest was also increased. Fourthly, in the survey after completing the educational program, the overall understanding was improved compared to the moment when starting the program. And they also showed highly-increased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Korean painting online class. Fifthly, despite some strengths and weaknesse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face-to-face class, this study verified the benefits of online art class. In the results of a survey targeting 20 teachers of online class in the same period, it could be developed into a new genre of education if there are lesson plan and preparation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class. In the results, the case study on Korean painting class using Hanji had positive effects. Moreo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Korean painting education systematized to respond to online class would have a possibility of development in the upcoming new paradigm art education in the future. 한국화는 전통적인 재료와 기법을 바탕으로 현대회화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학문이지만 초등 교육현장에서는 낮은 비중으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그 실태와 사례연구도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시작으로 한지를 이용하여 한국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에게 실증 적용하여 어떤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고, 부차적으로 개발 한국화 프로그램이 온라인 교육에 대응될 수 있도록 체계화하여 온라인 교육의 방향성과 가능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개발 프로그램의 효용성을 점검하기 위해 S 교대 영재교육원 미술영재 초등 5학년 15명을 대상으로 일주일에 1회, 4시간 프로그램을 2주에 걸쳐 8시간 진행하였다. 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한국의 전통적 재료 한지와 기법을 이해하도록 제작되었고, 학생들이 그린 결과물과 프로그램 참여 전ㆍ후 학생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실증실험을 통하여 첫째, 교육 프로그램 시작 전 설문조사에서 대부분 학생들은 한지 및 한국화에 대해 알고 있었으나 경험이 부족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둘째, 한국화 재료 설명을 위한 한지 제작법과 종이의 차이점을 알려주기 위한 먹 번짐 실험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학생들은 종이의 차이점을 이해했다. 셋째, 한국화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회기별 분석 결과, 도입단계에서 상대적으로 생소한 온라인 교육으로 소극적 태도가 관찰되었고 회기가 진행될수록 적극적 태도로 변화되었으며 흥미도 증가했다. 넷째, 교육 프로그램 종료 후, 설문조사는 프로그램 시작에 비해 전반적으로 이해도 향상을 볼 수 있었으며, 한국화 온라인 교육에 대한 높은 관심과 이해도 증가를 보였다. 다섯째, 온라인 미술교육은 전통적 대면 수업 대비 장단점이 공존하나 그 효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동시기 온라인 교육 진행 교사 20명 설문 결과 온라인 특성에 맞는 수업계획과 준비가 된다면 새로운 교육 장르로 발전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한지를 이용한 한국화 교육 사례연구는 긍정적 효과를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온라인 수업에 대응되도록 체계화시킨 한국화 교육은 앞으로 다가올 새로운 패러다임 미술교육에서 발전 가능성도 확인시켜주었다.

      • KCI등재

        초등학생을 위한 비대면 쌍방향 온라인 판소리 프로그램 효과 검증 연구

        강여주(Kang, Yoe-Joo),신정택(Shin, Jung-Taek) 국립국악원 2021 국악원논문집 Vol.44 No.-

        본 연구의 목적은 비대면 쌍방향 온라인 판소리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인성,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학교 적응 및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참여자는 비대면 쌍방향 온라인 판소리 프로그램(판소리)에 참여한 초등학생 21명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인성 검사지, 자아존중감 검사지, 스트레스 검사지, 학교 적응 검사지, 행복 검사지, 재참여 의도 및 만족도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비대면 쌍방향 온라인 판소리 프로그램으로는 초등학생 3-4학년은 <흥보가> 중 ‘박타는 대목’, 5-6학년은 <수궁가> 중 ‘범 내려오는 대목’이다. 연구 참여자는 10차시(1차시당 30분)의 판소리 프로그램을 제공받았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쌍방향 온라인 판소리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인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대면 쌍방향 온라인 판소리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대면 쌍방향 온라인 판소리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비대면 쌍방향 온라인 판소리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학교 적응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비대면 쌍방향 온라인 판소리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online Gugak program on character, self-esteem, stress level, adoptability to school, an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consisted of 21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played a part in the online pansori Gugak program. The measurement used in this survey was character scale, self-esteem inventory, stress scale, adaptation ability to school, happiness scale, and re-participation intention to the program, and satisfaction questionnaire of the device for each analysis. As for the assessment, grades 3 and 4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exposed to the baktaneun (cutting a gourd in two) part in Heungbuga (Song of Heungbu) , and grades 5 to 6 students were tested with the ‘Beom naereo onda (a tiger is coming down) song from Sugungga (Song of Underwater palace) . Participants were provided with 10 sessions (30 minutes each time) of pansori listening. The result of this investigation is as follows. First, the online Gugak program was effective to improve the characte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ly, the program contributes to improve the self-esteem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irdly, the program was efficient to reduce the stress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urthly, the object of the course was achieved as the curriculum influenced to improve the ability to adapt to schoo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nally, it has proven that the online Gugak program added the feeling of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Various methods of analysis were carried out for this research, and all of above studies were met with considerable satisfactory results.

      • KCI등재

        시간 관리를 활용한 대학의 온라인 학습지원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 A대학 학사경고자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최경민(Choi Kyeong-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2

        목적 본 연구는 학사경고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간 관리를 활용한 온라인 학습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 관리를 활용한 온라인 학습지원 프로그램이 학사경고 대학생의 학업 성취도와 학업적 지연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방법 국내 소재 A대학의 2021년 1학기 교수학습개발센터의 프로그램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학사경고 대학생 25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여 2021년 4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학사경고자 학습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프로그램 실행 전후로 직전 학기 평점과 학업적 지연행동 사전-사후검사를 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SPSS를 사용하였다. 척도의 내적 일관성 검증을 위한 신뢰도 분석과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한 t-검증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과 총 5회기의 프로그램 중 30분 내외로 구성된 시간 관리를 위한 온라인 학습법 특강 3회와 학습전략 증진을 위한 2회의 전화 상담 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 첫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사경고 대학생들의 학점은 직전 학기 학사경고를 받았을 당시의 학점과 비교해 상승하였다. 둘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사경고 대학생들의 학업적 지연행동은 프로그램 운영 전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낮아진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시간 관리를 활용한 온라인 학습지원 프로그램이 학사경고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와 학업적 지연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추론할 수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by supporting online learning programs using time management for undergraduate warning college studen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online learning strategy programs using time management on academic performance and academic delay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with academic warning,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designing and operating related programs. Methods Twenty-five university student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of the Professor Learning Development Center of A University in Korea conducted the Bachelor s Warning Learning Support Program from April 1 to June 30, 2021. Prior to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the previous semester s ratings and pre-post-examination of delayed academic behavior were conducted. The analysis of the data used SPSS, and the relia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intrinsic inertia of the scale, and t-validation was perform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resulting in the following results. Results The results of the online study method special lecture for managing time in three sessions and a telephone counseling program for promoting learning strategies in the second session showed that the grades of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previous semester s academic warning. This study can suggest that online learning strategy programs using time management can play a positive role in preventing academic delay and improving academic performance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academic warning who have difficulties in online learning. Conclusions From these studies, it can be concluded that online learning strategy programs using time management have a positive impact on academic performance and academic delay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with academic warnings.

      • KCI등재

        포스트 팬데믹 시대, 교양체육 댄스스포츠 수업의 온라인 교수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조미혜(Cho, Mihye),양민아(Yang, Mi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4

        목적 본 연구에서는 포스트 팬데믹 시대를 맞아 대학 교양체육 댄스스포츠 수업에서 온라인 교수 프로그램을 실제로 운영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온라인 동영상 강의와 Zoom을 활용한 실시간 강의를 병행하며 진행한 온라인 교수 프로그램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온라인 교수 프로그램에 대한 수강생들의 평가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와 보완점을 진단하여 교양체육 댄스스포츠 온라인 교수 프로그램 운영의 경험을 공유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수도권에 소재한 I 대학교의 2020년도 2학기에 진행된 댄스스포츠 온라인 교수 프로그램의 사례에서 수강생들의 강의 평가, 퀴즈와 과제 그리고 교수자의 강의 녹화기록과 수업일지 등의 자료들을 수집하고 이를 텍스트 분석과 내용 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4회의 연구회를 진행하여 구성원간 검토와 동료간 협의, 다각도 검증을 통해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결과 수강생들은 온라인 댄스스포츠 교수 프로그램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보았다. 첫째, 일상의 스트레스 해소와 생활의 활력 증대; 둘째, 춤을 통한 사회적 연대감 유지; 셋째, 신체건강 증진; 넷째, 춤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 형성이다. 결론 교양체육 댄스스포츠 수업은 대면수업에서 적극적인 수강생들의 상호교류가 시너지를 일으켜 보다 높은 교육성과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수업이다. 그러나 비대면 수업을 진행해야 하는 포스트 팬데믹 시대에 댄스스포츠 온라인 교수 프로그램은 하나의 대안으로써 의미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operate and analyze the case of the online teaching program for dance sports as liberal arts and sports in the post-pandemic era. Through this, we identify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online teaching program concurrently conducting online video lectures and real-time lectures at Zoom and diagnose the effectiveness and complementary points of the program base on the student’s evaluation of the online teaching program. The authors would like to share the experience of this case of the dance sports online teaching program held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at A University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Methods The methodologies were used text and content analysis for analyzing students’ feedback, answers to their quizzes and assignments and instructor’s self-records of lectures and class journals. In addition, four research meetings were held to secure reliability and validity through member check, peer debriefing and triangulation.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students experienced the following effects. First, relieving daily stress and increasing the vitality of life; second, maintaining social solidarity through dancing; third, promoting physical health; and last, forming a positive image for dancing. Conclusions In conclusion, as liberal arts and sports dance sports is a class that can lead to higher educational outcomes by creating synergy between active students in offline class. However in the post-pandemic era where online classes are required. the dance sports online teaching program is meant as an alterna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