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션선언문을 통해서 본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의 추구가치에 대한 탐색적 연구

        문희원,장웅조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2021 사회적기업연구 Vol.14 No.3

        Since Noridan, the first certified social enterprise in Korea, was launched in 2007, the arts & culture social enterprises have grown to 294 in numbers as of July, 2021, accounting for the greatest share of 9.9% out of the total of 2,983 certified social enterprises. Despite the fact, however, research on arts & culture social enterprises still stay at an insufficient level.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look into mission statements of social enterprises in the of arts & cultural sector and explore the values they pursue. To that end, pursuing values of those social enterprises were thoroughly looked into using an analytical framework which comprises ‘economic value’, ‘social value’, and ‘artistic value’ that was develop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Findings include: Overall, social enterprises in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were found to set their mission based upon the understanding of instrumental benefits of arts & culture. Among detailed components of the mission, ‘job opportunity and improved job environment’ appeared most prominently, followed by ‘cultural welfare and appreciation of arts’, and ‘promotion of local culture’. It was also found that though social enterprises which focus on intrinsic benefits of arts & culture are limited to only a few, however, more efforts are being made to concentrate mainly on pursuing artistic values while delivering intrinsic benefits to individuals and the community as a whole. In conclusion, social enterprises in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influential power of the instrumental benefits, utilize arts & culture as a means to achieve their intended purposes and make a positive impact to the society. This tendency is positive in that the social value inherent in the arts can be easily delivered, but it is also true that such a tendency may cause scepticism that it may undermine the sustainability of social enterprises by their possibly sticking to short-term or superficial achievements. Therefore, further study efforts must be made to secure the validity for pursuing intrinsic benefits of arts & culture while developing evaluation standards thereof. 2007년 국내 최초 인증사회적기업인 ‘노리단’을 시작으로,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은 2021년 7월 현재 전체 2,983개 사회적기업 중에서 294개(9.9%)로 여전히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문화예술분야 사 회적기업의 미션선언문(mission statement)을 살펴보고 그들이 추구하고 있는 가치들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 문헌분석을 통하여, ‘경제적 가치’, ‘사회적 가치’, 그리고 ‘예술적 가치’를 분석틀로 삼아 이들이 추구하는 가치를 톺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반적으로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들은 문 화예술의 도구적 가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미션을 설정하고 있었다. 특히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이 추구하는 미션의 세부항목으로는 ‘일자리제공 및 고용환경개선’이 가장 많았으며, ‘문화복지 및 예술향유’와 ‘지역문화활성화’가 뒤를 이었다. 아쉽게도 문화예술의 본원적 가치에 집중하는 사회적기업들은 상대적으로 소수에 그쳤지만, 점차 예술적 가치를 중점적으로 추구하며 개인과 사회에 본원적 가치를 전달하려는 노력 들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은 그 도구적 파급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특정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문화예술을 활용하여 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데 주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경향성은 예술의 사회적 가치를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드러낼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나, 자칫 단기적이며 형식적인 성과에 치중하게 함으로써 해당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문화예술의 본원적 가치 추구에 대한 타당성 확보와 이를 측정 할 수 있는 평가지표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LDA 토픽모델링 분석을 통한 문화예술 사회적 가치 유형화 연구

        연수현(Suhyun Yeon) 한국예술경영학회 2023 예술경영연구 Vol.- No.66

        문화예술 사회적기업은 문화예술 활동과 비즈니스를 융합하여,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동시에 생태계 구조적 취약성을 극복하기 위한 조직적 노력을 수행한다. 본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회적기업이 어떠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지에 대한 다양한 유형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화예술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미션(사명)과 주요 사업을 중심으로 창출하는 사회적 가치 유형을 LDA토픽모델링 분석을 통해 도출하고 정성적 접근법을 통해 생태계적 가치사슬 활동 영역과 기업 활동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가치는 문화예술 생태계 강화, 개인적 성찰과 만족, 개인과 공동체적 건강, 지역문제 및 갈등 해결, 소외계층 문화접근성 제고, 지역경제 활성화, 전통문화 계승 및 발전 등 총 7개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둘째, 문화예술 사회적기업의 가치사슬 영역에서는 전시·수용·전달, 소비·참여, 생산·창작, 보급의 순으로 활동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많은 문화예술 사회적기업이 사회적 미션(사명)은 문화예술 생태계 강화를 지향하고 있으나, 가치사슬 영역에서는 전시·수용·전달에 집중되어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문화예술 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 다양하고 균형적인 활동이 전제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문화예술 사회적기업의 사회성과 인정 기준 확장과 정부의유인 정책 등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문화예술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가치와 역할을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더욱 지속가능한 문화예술 생태계의 발전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Cultural and artistic social enterprises strive to combine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with business to promote social value creation and address ecological structural vulner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various types of social value generated by social enterprises in the cultural and artistic fields. To achieve this goal, we conducted LDA topic modeling analysis to identify the types of social value created by cultural and artistic social enterprises based on their social mission and main business, and used a qualitative approach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cosystem value chain activities and enterprise activities.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social values of cultural and artistic social enterprises can be categorized into seven types, including enhancing the art ecosystem, promoting personal reflection and satisfaction, improving personal and community health, resolving local issues and conflicts, enhancing cultural accessibility for marginalized groups, promoting the local economy, and inheriting and developing traditional culture. Secondly, it was found that in the value chain area of cultural and arts social enterprises, they are engaging in activities in the order of exhibition·reception· transmission, consumption·participation, production·creation, and dissemination. Lastly, it was discovered that although many cultural and artistic social enterprises aim to strengthen the artistic ecosystem as their mission statement, the study discovered that their focus in the value chain is on exhibition· reception·transmission.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a diverse and balanced range of activities is essential for the sustainability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cosystem. Therefore, the study suggests the need for expanding the social recognition criteria and incentives policy by the government to promote the social nature of cultural and artistic social enterpris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understanding the social value and role of the social enterprises in culture and the arts and providing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more sustainable cultural and artistic ecosystem.

      • KCI등재

        공공예술정책의 사회적경제 가치지표 연구

        김선영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3

        (연구 배경 및 목적) 최근 국내외 도시의 공공예술에 관심과 이해도가 높아지면서 사회적 가치와 책임의 의제에 대해 공공기관뿐 아니라 민간기업에서도 사회적 역할과 경제적 창출의 임무를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이러한 기업의 가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기능적 도시계획에 반대한 동시대에서 사회 문화와 연결고리를 찾는 공공예술정책을 사회적경제 관점으로 접근하여 탐색하므로써 관련 산업의 미래 생태계를 예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 주제는 공공예술 정책에 관한 사회적경제 가치지표의 씨앗 탐구로서 국제사회의 최대 공동목표인 UN이 2015년 발표한 SDGs(Sustainable Development Goals)를 바탕으로 총 17개의 주요 목표에서 예술을 논의한 내용을 기초로 각각 사례 조사 및 분석한다. 또한 예술 산업의 생태계를 비롯해 공공예술의 사회적 외부효과와 측정체계의 기초 자료를 고찰한다. 특히 도시에서 공공예술은 무료로 제공하는 재화와 서비스가 주를 이루므로 시장가치를 정확히 매기는 게 어려우므로 공공예술의 가치를 정책 수혜자들에게 실제 관찰하는 방법인 FGI(Focus Group Interview) 및 개별 심층 면접을 병행하는 조건부 가치측정법(CVM)을 병행하여 공공예술의 사회적경제 가치지표를 분석한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 분석 결과 P(개인, 7문항), S(사회, 5문항), C(문화, 5문항), E(경제, 3문항)를 항목별로 조사하는 방법을 선택한다. (결과)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로 살펴보면 S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고, 여성은 공공예술의 자본과 형평성에 차별을 느꼈다. 연령별로 분석된 내용을 살펴보면, 20대 이하는 모든 항목에서 중간 정도의 분포도를 나타냈고, 20대는 S와 E에서 큰 분포를 나타낸반면 P는 하위권이었다. 30대의 경우 P가 가장 높고 C가 가장 낮아 여가활동과 예술참여에 노출이 다른 연령층과 비교하면 낮은 수준을 보였다. 40대는 C가 가장 높았고, 50대 이상은 모든 항목에서 골고루 가장 낮은 분포도를 보였다. 거주지로 살펴보면 ,수도권은 E, 충청권은 P가 가장 높았고 경상권은 모든 항목에서 낮은 분포도였으며 S는 최하위권이었고, 강원권은 S와 C가 가장 높은 분포도를 보였으며 P는 가장 낮았다. 직업군으로 살펴보면, 기타는 C를 제외하면 가장 높았고, 반면 직장인은 C가 가장 높았고, 학생은 P와 E가 최하위였다. (결론) 사실 기업회계기준을 정립하는 데에도 1세기가 넘는 시간과 노력이 필요했다. 그러므로 막 태동한 사회적 가치를 화폐적 측정지표로 개발 탐구는 초기 단계이다. 따라서 공공예술 분야에서 사회성과 가치를 측정하여 화폐가치로 환산하는 사회적경제의 회계기준 마련도 긴 호흡으로 접근해야 한다. 또한 측정 도구와 방법을 정교화하기 위해 학계와 관련 연구자들의 통합적 노력과 함께 사회경제적 측정 체계 개발과 표준화 작업 및 객관적, 과학적 지표 개발을 위해 전문인력과 해당 조직의 육성이 우선되어야 한다.

      • KCI등재

        “생활예술 오케스트라”를 통해 보는 예술의 사회적 가치

        강윤주(Kang, Yunju),지혜원(Chie, Hye Won) 한국문화사회학회 2016 문화와 사회 Vol.22 No.-

        예술의 사회적 가치는 시대에 따라 변화한다. 예술에 대한 관점은 예술은 소수의 예술가에 의해서만 만들어질 수 있는 작품이라는 ‘예술지상주의적 관점’에서 모든 사람이 예술 활동을 할 수 있다는 ‘생활예술적 관점’으로 점차 전환되어 왔다. 따라서 예술의 가치 또한 수월성 또는 사적 효과라는 전통적인 관점을 넘어서 지역성, 시민성, 새로운 예술성의 성격으로 변모하였다. 본 연구는 전통적으로 구분되는 전문예술의 관점을 넘어서 공동체성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국내 생활예술 오케스트라의 사례를 통해 예술의 사회적 가치 재구성을 시도하였다. 총 6팀, 12명의 생활예술 오케스트라 참여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이들은 음악적 기량을 최우선으로 추구하는 비생활예술 오케스트라와 달리 정서적 관계성의 의미를 내포한 단체 내 화합, 커뮤니티의 기반으로서의 기능, 자기충족적 예술성의 실현 등의 가치를 추구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예술이 지니는 사회적 기능과도 맞닿는다. 생활예술의 관점에서 예술의 사회적 가치가 재구성되는 구체적인 양상을 분석한 본 연구가 향후 변화하는 예술생태계를 이해하는 데 있어 주요한 논의의 토대가 되기를 기대한다. This research attempts to investigate how the social value of arts has been reconstructed in community arts, through mainly researching the community orchestras in South Korea. Beyond excellency or personal benefits which are usually considered as traditional value of professional arts, the key value of community based arts activities would be explained through three distinct concepts; citizenship, locality and artistic value. With in-depth interviews of twelve members from six different community orchestras, the researchers discovered the harmony based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each organization is one of the critical values regarding to operating the group. Moreover, it is found out that community solidarity with the local audiences as well as between the members makes each organization a cohesive group. In addition, the self-fulfilling artistic value is strongly connected to th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their activities. In terms of the social value of arts,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be more developed in further researches of community based arts activities.

      • KCI등재후보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 연구동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문희원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2020 문화예술경영학연구 Vol.13 No.1

        사회적기업에 대한 개념은 국가나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나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면서 ‘경제적 활동’을 수 행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문화예술에 적용해 본다면,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은 공연, 음악, 미술, 종합 예술, 전통문화 등과 같은 문화예술 활동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전달하면서 영리를 추구하는 조직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에 대한 기존 연구들의 분석을 통해, 향후 연구방향 및 정책적 시사점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0-2019년까지 국내 등재학술지에 게재된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과 관련된 논문들 61편을 중심으로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을 독립된 영역으로 본 첫 연구는 2007년 사회적기업육성법이 시작된 이후 다양한 학문영역으로 확대되는 시점인 2010년이었으며, 2016년에 가장 많이 발표되었다. 둘째, 연구방법으로는 질적 연구, 그 중에서도 사례연구가 많았으며, 시간이 증가할수록 실증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셋째, 영역별로는 미술, 디자인, 공예 등과 같은 시각예술과 관광학에서 가장 많이 발표되었다. 넷째, 초반에는 사회적기업에 대한 개념이나 유형, 특징 등에 집중되어 있었다면 점차 사회적.경제적 가 치나 일자리 창출, 비즈니스 모델, 성공요인, 지속가능성 등으로 주제와 관심사가 다양해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는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 동향에 대한 선행연구가 없는 시점에서,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과 관련된 학술논문이 시작된 시점에서부터 현재까지 전체적으로, 그리고 처음으로 살펴보았다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자원봉사동기의 잠재프로파일 유형 및 역할정체성, 사회적 신뢰의 차이

        권현수(Hyunsoo Gweon)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22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8 No.3

        본 연구는 국내 자원봉사센터 소속 자원봉사자의 자원봉사참여동기의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잠재프로파일 유형별 역할 정체성과 사회적 신뢰와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동시에 기존 선행연구에서 대부분 인용되고있는 기능주의적 자원봉사동기 개념을 극복하기 위해 자원봉사활동의 사회서비스 성격에 사회변화를 지향하는 성격을 결합한 변혁적 자원봉사(Transformative Volunteerism) 개념을 적용하여 자원봉사동기를 재구성하였다. 전국 245개 자원봉사센터 소속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852부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자원봉사 동기 수준에 따라 잠재프로파일이 4개로 분류되었고, 이를각각‘저동기, 지식이해 유형’(6.5%), ‘고동기, 혼합형’(20.2%), ‘중간수준, 평균형’(39.5%), ‘고동기, 균형형’(33.8%)으로 명명하였다. 그리고, 자원봉사동기유형별 특성 및 자원봉사동기 프로파일과 역할 정체성, 사회적 신뢰와의 차이에 대해 검증한 결과, 자원봉사동기 프로파일별로 연령, 학력, 종교, 자원봉사 참여 기간에 대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역할 정체성, 사회적 신뢰간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변혁적 자원봉사의 개념을 적용하여 자원봉사자의 사회 혁신적가치, 협력 지향, 조직헌신 의지와 같은 동기가 포함된 자원봉사동기를 더욱포괄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고,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적용하여 자원봉사동기를 사람 중심적 관점에서 분류하고 그 유형에 해당하는 자원봉사자들의 특성을 확인해봄으로써, 자원봉사자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자원봉사동기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이해할 수 있었다는 부분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latent profiles depending on the volunteer motivation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rofiles. In addition, this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ng the differences in the role identity of volunteer and social trust according to each latent class. At the same time, This study introduced the concept of transformative volunteerism that aims to change social change by overcoming the concept of functionalist volunteer motivation, which is mostly cited in existing previous studies, and combining social services and social change.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line surveys for volunteers from 245 volunteer centers nationwide, and the final 852 copies were used as an analysis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re were four latent profiles amongst volunteers, distinguished by their volunteer motivation levels; a low motivation, knowledge understanding type group(6.5%), a high motivation, mixed type group(20.2%), an middle-level motivation level, average type group(39.5%) and a high motivation, balanced type group(33.8%). In addition, it was verified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volunteer motivation profile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n volunteer’s role identity and social trust according to the pattern of volunteer’s motiv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practical implications that can promote the motivation of volunteers in Korea.

      • KCI등재

        국내 문화예술의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생태계 현황 및 사례 비교 분석 연구

        조남규 ( Namgyu Cho ),최자인 ( Jain Choi ) 한국무용과학회 2020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7 No.4

        본 연구는 자본주의 시장경제에 따른 문화예술분야의 사회경제적 문제에 대응하는 방안으로 사회적경제를 통한 각 나라별 해외 기업들의 정책 및 유형 사례를 분석함으로서 국내 사회적경제 기업들의 발전 및 개선을 도모할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시장원리주의 정책기조는 경쟁 원리의 과도한 적용으로 인해 우리 사회의 구성원들 간의 신뢰, 지역사회와 커뮤니티가 가지고 있던 공동체성을 점차 무기력화 시키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현 사회는 지금껏 우리가 접한 적이 없는 수준의 심각한 격자 사회, 즉 양극화 사회가 되었고, 실업, 고용불안, 환경파괴 및 저출산 등의 심각한 사회 문제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문제들은 공유가치 창조를 실현해 나가기 위한 발전된 기업형태의 육성과 함께 새로운 예술 가치를 모색하는 사회적경제의 의미를 생각하게 하였다. 사회적경제는 양극화 해소와 일자리 창출 등 공동 이익과 사회적 가치의 실현을 위한 상호협력과 사회연대를 바탕으로 사업체를 통해 공동의 수익을 창출하여 자본주의 시장경제에서 드러나는 문제를 해결하고, 육아, 교육 등 인간생애와 관련된 영역에서 경쟁과 이윤을 넘어 상생과 나눔의 삶의 방식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문화예술 분야에서도 출산과 육아, 예술 청년들의 일자리 부족, 국고지원사업에만 의존하는 경제적 어려움, 최근 COVID 19 사태까지 생계에 어려움을 겪는 현실구조에 의한 경력단절과 같은 여러 사회적 문제들에 부딪히면서 예술가들의 정서는 점점 피폐해지고 다른 방향성을 찾게 되며 협력을 통한 사회적경제를 추구하게 되었고, 사회적경제 기업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문화예술사회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협동조합, 각종 시민단체의 연대와 협력 정책 및 유형 사례를 중심으로 운영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사회적 경제기업의 양적, 질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promote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domestic social economy companies by analyzing the policies and case studies of foreign companies in each country through social economy as a way to cope with the socioeconomic problems in the culture and arts field caused by the capitalist market economy. The current market principle policy stance is gradually weakening the trust among members of our society and the community of communities and community due to excessiv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competition, and as a result, the present society is at a stage which we have never encountered. It became a seriously grid society, that is, a polarized society, and caused se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unemployment, employment insecurity,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low birthrate. These problems led us to think about the meaning of the social economy seeking new artistic values along with fostering a developed enterprise form to realize the creation of shared values. The social economy can solve problems exposed in the capitalist market economy by creating common profits through businesses based on mutual cooperation and social solidarity for the realization of common interests and social values such as resolving polarization and creation of jobs. In life-related areas, it is possible to realize a way of life of win-win and sharing beyond competition and profit. In addition,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artists faced a number of social problems such as childbirth and childrearing, shortage of jobs for artistic youth, economic difficulties relying solely on government support projects, and career breaks caused by the reality structure that suffers from the recent COVID-19 crisis. They have become increasingly impoverished, and found a different direction, and have pursued a social economy through cooperation, and social economy enterprises are in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operations of overseas social economy enterprises, cooperatives, and various civic groups, focusing on solidarity and cooperation policies and types of cases in order to suggest a qualitative improve plan for the domestic culture, art and social problems.

      • KCI등재후보

        들뢰즈의 예술 개념에 토대한 예술영재교육의 방향성 탐색

        박아미,백지현,강지인,최진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2023 예술영재교육 Vol.9 No.-

        이 글은 예술영재교육의 외연이 다차원적으로 확장되어왔음에도 불구하고, ‘예술’의 의미에 대한 분명한 인식이 부재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특히 예술영재교육에 공적 자본이 투자됨으로써 기본적으로 사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인정되는 데 반해, 예술가가 어떠한 역할을 할 때 사회적으로 기여한다고 볼 수 있을지에 대한 명료화가 필요하다는 점에 착안한다. 그리하여 이 글에서는 들뢰즈의 예술 개념에 주목하여, 그의 예술에 대한 논의가 세계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의문시하고 새로운 이해를 구성하게 한다는 점을 들어 예술이 사회에 끼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이를 예술영재교육의 방향성과 관련짓는다. 특히 이러한 이해가 ‘본질’을 새롭게 이해하고 ‘감각’과 연계된다는 점을 들어 예술가의 사회적 역할을 특징화하고, 이를 통해 예술영재교육이 염두에 두어야 할 필수적 요소를 시론적 수준에서나마 제안한다.

      • KCI등재

        위드 코로나 시대, 기업과 문화예술계의 협력 방향 모색

        손예령(Son Yeryeong),고민지(Ko Minji)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9

        코로나19로 인해 문화예술 분야는 그 어떠한 분야보다도 큰 피해를 입었다. OECD에서는 문화예술 분야가 가진 장소 기반 특성으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피해가 그 어느 분야보다 크다고 밝혔다. 또한, 코로나19가언제 종식될지 알 수 없으며, 만약 종식된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위기는 언제 어디서 찾아올지 모른다. 코로나19와함께 살아가야 하는 ‘위드 코로나’ 시대에 문화예술계가 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까? 본 연구에서는 위드 코로나 시대에 문화예술계가 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최근 기업들이 사회적 가치의 실현에 자발적인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확대되면서, 많은 기업들이 지역사회와 국제사회를 위해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기업은 문화예술 지원 및 협업을 통해 문화예술발전 및 지역사회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21세기는 소프트파워가 주도하는 문화의 세기로, 문화예술 분야에 대한 지원과 협업은 이제 기업에 필수적인 경영 의제로 정착되었다. 그러나 그동안 기업의 문화예술계에 대한 지원과 협력 방식이 문화예술인들의 의견을 반영하지 못하였고, 지원 및 협력 대상에 사각지대가 존재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공연예술 및 전시예술분야 예술인을 중심으로의견조사 및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위드 코로나 시대에 기업과 문화예술계의 협력 방향으로, 상호 공감과 존중의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기업의 업(業)과 연계된 문화콘텐츠 개발은 물론, 모두의 힐링을 위한 문화예술백신 활용을 통해 기업과 문화예술계가 지속가능한 협력을 추진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위드 코로나 시대에 문화예술계와 기업 간의 파트너십 구축을 위한 협력방향을 모색하는데 기여할 수 있길 기대한다. The field of arts & culture has suffered more damage than any other fields due to COVID-19. OECD indicated that the damage caused by social distancing is greater than any other fields due to the placebased characteristics of the arts & culture field. Also, it is unknown when COVID-19 will end, and even if it does, it is unknown when and where this crisis will reoccur. What should arts & culture community do to overcome this crisis in the era of with-corona where we have to live with COVID-19? In this study, it is believed that arts & culture community in the with-corona era needs to be cooperative with companies to overcome this crisis. Recently, as the argument that companies should be direct agents of realizing social values, has expanded, many companies are carrying out various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for local communities and international communities. In addition, companies hav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arts & culture and the expansion of opportunities for cultural enjoyment in local communities through support for and cooperation of arts & culture. Since the 21st century is a cultural century led by Soft Power, support for and collaboration with the field of arts & culture have now become an essential management agenda for companies. However, the companies’ support and cooperation methods for arts & culture community have not reflected the opinions of artists in the field, and blind spots have existed in the support and cooperation targets.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 opinion survey and an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focusing on artists who are active in the fields of performing arts and exhibition arts in various regions. As a result, it is suggested that building a partnership of empathy and respect; utilization of culture and art vaccines for everyone’s healing; companies and arts & culture community are cooperative through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linked to work.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basic information to explore the direction of cooper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partnerships between arts & culture community and companies in this with-corona era.

      • KCI등재

        서울어젠다 기반 문화다양성 미술관교육 프로그램 분석 및 방향 : - 국립현대미술관 사례를 중심으로 -

        황지영(Jiyoung Hwang),홍해지(Haeji Hong) 한국예술경영학회 2020 예술경영연구 Vol.0 No.53

        본 연구는 2010년 발표된 <서울어젠다: 예술교육 발전목표>를 기반으로 한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가치 확산의 흐름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문화예술교육 맥락에서 문화다양성은 중요한 의제로서, 국립현대 미술관 문화다양성 프로그램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논의를 이어가고자 한다. 선행연구 조사를 통해 문화다양성 교육의 핵심가치 관점에서 국립현대 미술관 문화다양성 미술관교육프로그램의 내용 분석 후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017년부터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운영된 문화 다양성 교육프로그램 <어떤 시선>은 주제 중심 접근을 통한 문화다양성의 이해와 증진, 협동학습을 통한 공동체 의식 함양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영천(2012)의 연구결과에 따른 문화다양성 교육 핵심가치를 토대로 2017-2019년까지 총 80회 운영된 교육프로그램 <어떤 시선>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포용, 대화, 시민성, 공존, 인권, 차이, 평등, 협력, 연대 9가지 문화다양성 교육 핵심가치를 중심으로 운영되었음이 분석되었다. 문화적 포용력을 증진시키는 공간으로서 미술관은 문화다양성에 대한 가치가 실현되는 곳이므로 문화다양성과 문화예술교육을 아우르는 공간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포용, 대화, 시민성, 공존, 인권, 차이, 평등, 협력, 연대의 방향성을 미술관교육에 담고 있었으며 우리 사회 내 다양한 집단, 공동체의 관점으로 문화다양성과 문화예술교육의 논의가 확장됨을 파악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Seoul Agenda: Art Education Development Goal> announced in 2010 was used to identify the flow of social value expansion on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to provide the future direction. In the context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cultural diversity is an important agenda, and thus the case of cultural diversity program by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was analyzed to discuss the social rol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To summarize the findings, it is a program of promoting understanding on the diversity of art in the same period and various identifies of the members of our society through the exhibition of «Artist of the Year», and it is a program on cultural diversity of understanding the diversity and identity of various members in our society through the contemporary artwork. Through theme-based approach, education on cultural diversity and cooperative learning were applied to develop the sense of community. Based on the core values of education on cultural diversity,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program on <Some Perspectives> performed total of 80 times on 14 programs in 2017-2019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analysis showed 9 core values, and the core values of education on cultural diversity derived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of the education program on <A Perspective> were ① Engagement, ② Conversation, ③ Citizenship, ④ Coexistence, ⑤ Human Rights, ⑥ Difference, ⑦ Equality, ⑧ Cooperation, ⑨ Solidarity. As the space enhancing the cultural engagement, the art museum is a place for realizing the value on cultural diversity, so it has significance as the space that embraces both cultural diversity and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this sense, it was identified that the discussion on the cultural diversity and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being expanded into the perspective of various groups and communities in our society through the core values of engagement, conversation, citizenship, coexistence, human rights, difference, equality, cooperation, solidarity and direction, which were provided by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n the art museum education program on cultural diversity in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