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른 과학수업능력, 과학교수법 성취도 및 과학수업 평가요소에 대한 연구

        김순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0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예비교사의 남・여 성별에 따 른 과학수업능력과 과학교수법 성취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와 과학교수법 성취도와 과학수업능력사이에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초 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라서 과학 수업을 평 가할 때 적용하는 평가요소가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것 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소재 P교 육대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초등예비교사 88명에 대 하여 2019년 9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수행되었다. 연 구대상 88명의 학생들은 3개 학과에 재학 중이며, 남 학생 32명, 여학생 56으로 구성되어있다. 이 88명의 학 생들은 ‘초등과학교수법’을 수강한 학생들로 강의 초 기에 학생들에게 배포된 강의계획서에서 예고된 과학 수업실기 평가를 받았다. 과학 수업실기 평가는 동료 들에 의한 다면평가의 형식으로 수행되어 평가점수가 부여되었으며, 과학학업능력은 ‘초등과학교수법’의 정 기고사에서 학생들이 획득한 점수로 부여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른 과학수업능력을 분석한 결과 여자 초등예비교사들이 남자 초등예비교사들에 비하여 과 학수업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 다. 둘째, 초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른 초등과 학교수법 성취도를 분석한 결과 여자 초등예비교사들 이 남자 초등예비교사들에 비해서 ‘초등과학교수법’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초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른 과학수업능력과 초등 과학교수법 성취도 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분석한 결과 남・여 모두 과학수업능력과 과학교수법 성취도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 이것은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수업능력을 결정하는 요인에는 초등과학교수법과 관련된 이론적 인 영역뿐만 아니라 초등예비교사들의 실천적 지식도 함께 작동한다는 사실을 시사해 주고 있기 때문에 추 후 이러한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 다고 생각된다. 넷째,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수업에 대한 평가준거로 활용된 요소를 분석한 결과 남・여 초 등예비교사 모두 수업자의 목소리 톤, 말투 등의 언어 적 요소가 가장 높은 빈도수를 차지하였다. 이것은 남・여 초등예비교사들의 수업평가에 있어서 수업자의 언어적 요소가 가장 중요한 평가 요소라는 사실을 말 해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science class ability, science pedagogy achievement and class evaluation factors according to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gender.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science pedagogy achievement and science instructional ability was examined. Finally, the evaluation factors applied to the evaluation of science instruction according to male and female gender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ere examined.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19 to december 2019 for 88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ttending P University of Education in Pusan metropolitan city. Among these 88 students, 32 elementary pre-service students were male, 56 were femal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cience instructional ability according to gender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femal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s in science class ability compared to mal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chievement of elementary science pedagogy according to gender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femal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s for elementary science pedagogy than that of male.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science instructional ability and elementary science pedagogy achievemen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s result can be applied both side of male and female. Fourth, both male and female pre-service teachers had various instructional evaluation factors, among which the linguistic factors of the instruction were used most frequently as criteria for instructional evaluation.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갈등 고찰 - 장애유아통합교육 교과목을 수강한 예비교사를 중심으로 -

        곽현주,한남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학논집 Vol.14 No.3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upportive program for pre-child educators by analyzing conflicts and the needs of pre-childhood educators to solve conflicts in inclu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programs. For this study, I interviewed twice, analyzed drawings of pre-childhood educators representing the special need children and reflective journals of 70 pre-childhood educators in the inclu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classes. The results showed pre-childhood educators had positive attitudes but were afraid of educati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hen they become childhood educators. Successful actual training in the inclu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pre-childhood educators, but unsuccessful actual training in the inclu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pre-child educators. They felt anxiety from conflicts originating from which they didn’t have enough knowledge and skills to teach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felt burdened with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s well as ordinary children. They had positive attitudes toward inclu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though they worried about not giving enough love for ordinary children. The pre-childhood educators needed more subjects to obtain knowledge about inclusiv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early childhood settings, wanted to have more practice to acquire skills to educate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classes using video which show teachi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ey thought it was important to have self-confidences to develop good attitudes though they didn’t have special needs related with attitudes. 본 연구는 장애유아통합교육 관련 교과목을 수강한 예비유아교사가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해 갖고 있는 갈등과 갈등해결을 위해 예비유아교사가 원하는 요구를 분석하여 예비유아교사 양성기관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유아통합교육 지원을 위한 기초 마련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장애유아통합교육 관련 교과목을 수강한 70여명의 유아교육과 예비유아교사가 작성한 반성적 저널과 장애유아 표상그림을 분석하고, 2회의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예비유아교사는 대체적으로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었으나 실제로 자신이 교사가 되어 장애유아를 지도하게 될 것에는 두려움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예비유아교사가 장애유아통합교육 지식과 관련하여 갖고 있는 갈등은 장애유아를 지도하기에 충분한 지식을 갖지 못한 것에 대한 불안으로 분석되었고, 기술과 관련된 갈등은 장애유아를 실제로 지도해보지 못한 것에서 오는 불안감, 일반유아와 장애유아를 한 반에서 지도해야 하는데서 오는 부담으로 분석되었다. 태도와 관련된 갈등으로 장애유아와 일반유아를 동일하게 사랑해주지 못할 수도 있다는 불안감이 존재하였으나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는 갖고 있었다. 예비유아교사들은 지식․기술과 관련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장애유아통합교육과 관련된 더 많은 교과목 구성, 장애유아를 지도해 볼 수 있는 실습 기회제공, 장애유아를 지도하는 장면이 포함된 동영상 활용수업을 요구하였다. 태도와 관련된 예비유아교사의 특별한 요구는 존재하지 않았지만 예비교사 스스로 노력하여 자신감을 획득하는 것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있었다.

      • KCI등재

        탐구지도능력 향상을 위한 '탐구 멘토링' 프로그램에 대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인식

        이봉우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과학교사들의 탐구지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된 ‘탐구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인식을 통해 ‘탐구 멘토링’ 프로그램의 긍정적인 측면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예비교사 양성과정의 일부로 예비 과학교사들이 고등학생들의 탐구를 지도하는 ‘탐구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탐구 멘토링’ 프로그램은 2011년 9월부터 11월까지 약 2.5개월 동안 적용되었는데, 45명의 예비 과학교사가 참여하여 고등학생 44명의 탐구를 지도하였다. ‘탐구 멘토링’ 과정 동안 예비 과학교사들은 멘토 일지를 작성하였고, ‘탐구 멘토링’이 끝난 이후에 멘토링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또한 멘토링 과정 중과 멘토링이 모두 끝난 이후에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구 멘토링’을 통하여 예비 과학교사들은 과학교사로서의 교육학적내용지식(PCK)이 향상되었다고 인식하였다. 특히, 예비 과학교사들은 지도능력의 향상에 대하여 많이 언급하였다. 둘째, 예비 과학교사들은 학생들과 같이 탐구하고, 학생들을 지도하는 경험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예비 과학교사들은 ‘탐구 멘토링’ 프로그램을 통하여 고등학생들을 이해하고 교사로서의 자신의 역량을 이해하게 되었다. 넷째, 예비과학교사들은 과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갖추게 되었고, 멘토링에 대한 책임감과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이는 예비 과학교사들의 교사로서의 진로 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This study investigate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an ‘inquiry mentoring’ program and analyzed the positive aspects of this program. An ‘inquiry mentoring’ program was developed in which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aught high school students. From August to November 2011, the participating 45 pre-service science teachers used an ‘inquiry mentoring’ program in the teaching of 44 high school students. The participants in the ‘inquiry mentoring’ program kept ‘mentor diaries’; and, at the end of program, wrote ‘mentoring reports’. They were also interview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lated that their 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s science teachers increased. In particular, many of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described an increase in their teaching ability. Second,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ived positively their experiences of inquiry with students and their teaching. Third,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ere better able to understand the cognitive and emotional levels of the high school students and were better able to understand their own capabilities as teachers. Fourth,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developed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science. In addition, their sense of responsibility and self-confidence toward mentoring increased.

      • KCI등재

        중등예비음악교사의 교직에 대한 염려 조사

        신지혜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18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15 No.1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focus on the concerns pre-service teachers have as they move through different stages of their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service secondary music teachers’ concerns about music teaching and learning.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a) What concerns are most common among participants? (b) What are differences in the concerns of pre-service secondary music teachers based on their stage of teacher preparation? (c) What are differences in the concerns of pre-service secondary music teachers based on their previous teaching experiences? A survey was distributed to pre-service secondary music teachers in a university in Seoul, and responses from a total of 93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Data analysis indicated that pre-service music teachers experienced more concerns related to teaching tasks and student impact than themselves. Also, as participants progressed through their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self concerns decreased while task concerns and student impact concerns increased. Pre-service secondary music teachers who had previously taught in a school had fewer concerns than participants with no teaching experience. Suggestions for how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can address the concerns of pre-service secondary music teachers are offered. 최근 들어 교사 성장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염려에 많은 관심이 집중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교직에 대한 염려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의 전반적인 교직에 대한 염려는 어떠한가? (2)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단계에 따른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의 교직에 대한 염려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이전 음악교수 경험에 따른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의 교직에 대한 염려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를 위해 서울 소재 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93명의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고 수집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예비음악교사들은 전반적으로 음악교수와 학생에 대한 영향에 대해 가장 높은 염려를 나타냈다. 둘째, 교사교육 단계가 높아질수록 예비음악교사들의 자신에 대한 염려는 줄어들고 음악교수와 학생에 대한 영향과 관련된 염려는 더 많이 나타났다. 셋째, 방과후 수업이나 돌봄 교실을 경험한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은 이를 경험하지 않은 참여자들보다 낮은 염려의 수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이 교직에 대한 세부적인 염려를 해소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교사교육기관의 교과과정 개선의 필요성과 학교 현장과의 협력을 통해 교사교육기간 동안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이 다양한 교수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교육적 경험의 형상화와 예비교사의 자기이해에 관한 연구 : 예비 미술교사의 프로젝트 수업에 기반하여

        이지연,강주희 한국미술교육학회 2014 美術敎育論叢 Vol.28 No.2

        학생과 교사의 경계에서 치열하게 준비하는 예비 미술교사를 양성하는 사범대학에서 예비교사들은 무엇을 경험하고 어떻게 변화해야하는가? 는 중요한 논의의 대상이다. 사범대학에서 예비 미술교사는 스스로를 이해하고, 신념을 재확인하며,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세워나가도록 장려되어야한다. 예비 미술교사들은 다양한 실기강의를 통해 시각언어(혹은 공감각적 언어)를 활용하여 자신을 표현하고, 공유하고 소통하는 경험을 할 수 있다. 예비 미술교사의 표현의 과정은 교육적인 체험이며 자기이해의 과정일 수 있다. 생각과 내면을 시각적으로 의미화 하는 과정을 통해 예비 미술교사들은 스스로를 이해하고 성찰하며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해 나갈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창조적인 표현행위, 창조적인 교육행위의 기반은 교사의 자기이해에 있음을 재확인하며 교육적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더 나아가, 예비 미술교사들이 자기성찰적인 과정을 통해, 자신의 내면과 체험을 형상화할 수 있는 세 가지 프로젝트의 사례를 통해 교육적 경험의 중요성을 재확인한다.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training provided to student teachers before they have undertaken teaching art in the secondary schools. Realizing that pre-service teachers may not have the opportunity to closely look into their inner self.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ies between educational experiences in three art projects at the pre-service level and how that their knowledge and self-understandings plays out in practice. Constructing his/her individual educational experience is a persuasive, substantial, and comprehensive process. Reflecting on a framework for educational experience implemented by Pinar, Kim and Yoon, this study describes the projects, discusses individual outcome, and our reflections of the process. Pre-service art teachers' educational experiences throughout the three projects are dynamic and changeable, and evolved. We try to identify the significance of true self-understanding in a teacher preparation program.

      • 교육봉사 시행기관의 관점으로 본 예비교사 교육봉사활동에 대한 인식 연구

        김용현, 최리, 장영윤 국립공주대학교 교직부 2021 공주대학교 예비교사 교육연구 Vol.1 No.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의 교육봉사활동이 주로 이뤄지는 교육봉사 시행기관의 담당자는 예비교사의 교육봉사활동에서 어떤 점을 긍정적 측면 또는 개선이 필요한 점으로 인식하고 있는지를 반 구조화된 면담 형식을 통해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현행 예비교사의 교육봉사활동은 예비교사들의 교사로서의 인성 함양과 현장직무능력 강화에 도움이 되며 학습 부진아 및 사회취약계층 등 현직 교사가 담당하기 어려운 부분에서 교육지원이 이뤄질 수 있다는 긍정적 측면이 있었다. 그러나 교육봉사활동을 하는 예비교사의 태도·복장 등의 문제가 종종 발견되었으며, 교육봉사자가 안전사고를 당했을 때 이에 대한 구제 대책이 미비하다는 개선점 또한 존재했다. 그리고 연구 참여자별로 의견이 나뉘는 점 또한 존재했다. 교육봉사가 불연속적으로 이뤄지는 현행 방식은 교육봉사활동의 유형에 따라 다르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학교 급에 맞지 않게 교육봉사활동을 하는 경우, 예비교사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한다는 장점을 언급한 연구 참여자가 있는 반면, 예비교사의 전문성이 떨어져 학생들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 60시간의 의무 교육봉사활동 시간에 대해서는 예비교사의 입장에서 보면 많을 것이라는 의견과 기관의 입장에서는 시간이 부족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는 의견으로 나뉘었다. 그리고 현행 교육봉사활동 체제는 봉사에 대한 좋지 않은 가치관을 심어줄 수 있다는 인식을 가진 연구 참여자도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면 첫째, 예비교사의 교육봉사활동이 이뤄지기 전에 교육봉사활동 중 지켜야 할 예의·태도 등에 대한 사전 교육을 시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봉사활동 현장에서 우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교육봉사자의 안전사고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히 도입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예비교사의 교육봉사활동 제도에서 교육봉사활동이 주로 시행되는 기관의 입장을 반영하여 진행하는 숙의 과정을 거칠 필요가 있다. 넷째, 예비교사의 교육봉사활동이 주기적으로 이뤄지는 기관에 대하여 설문이나 면담 등을 통한 의견 수렴이 시행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사 정체성 형성 -생명과학 탐구 수업 시연 및 반성 과정을 중심으로-

        안지은 ( Jieun An ),김희백 ( Heui-baik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1 No.6

        본 연구에서는 중등 예비과학교사들이 수업 시연 강좌에 참여하면서 어떠한 정체성을 드러내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 사범대학의 ‘탐구학습과 생명과학실험 지도’ 강좌를 수강하는 예비과학교사 22명이다. 연구를 위하여 예비교사들의 탐구 수업설계 및 시연 과정에서 만들어진 모든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업 시연 및 반성 장면을 녹화 및 전사하였다. 또한, 수업 후에 9명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고 녹음 및 전사하였다. 연구결과, 강좌 초반에는 과학 교사 정체성이 잘 드러나지 않았다. 예비교사들의 초기 구두 반성에서는 권위적 담화가 나타났으며, 이는 예비교사들이 구두 반성 활동을 ‘시연된 수업에 대한 평가 활동’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인식은 예비교사들이 대학교에 재학하는 학생으로서 과제를 수행하고 교수자에게 평가를 받는 입장으로 수업 시연 강좌에 참여함을 보여준다. 강좌 중반부 이후, 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사 정체성을 보여주는 담화가 관찰되었다. 중반부 이후 구두 반성에서는 종종 대화적 담화가 이루어졌으며, 이는 예비교사들이 구두 반성 활동을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배움 활동’으로 인식함을 보여준다. 또한 후반부에는 자신의 경험을 교사의 활동과 연결 짓고 해석하는 담화가 나타났다. 이는 예비교사들이 이 순간 자기 자신을 교사로서 인식함을 보여준다. 또한 강좌를 통해 실험 수업에 대한 인식이 확장되었다. 강좌 내에서 참여자들의 권위를 평등화하고, 반성의 역할 모델을 제공하였으며, 수업을 둘러싼 다양한 입장을 경험해보는 연습이 이루어졌던 것이 예비교사의 과학 교사 정체성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과학 교사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사 양성 과정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cience teacher identity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STs) in the context of a teaching practice course. Twenty-two PSTs who took the ‘Biological Science Lab. for Inquiry Learning’ course at the College of Educati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rtifacts created during the course were collected, and the teaching practices and reflection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In addition,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PSTs, recorded, and transcribed. We found the science teacher identity was not well revealed at the beginning of the course. Authoritative discourse appeared in the early oral reflections of PSTs, indicating that the PSTs perceived oral reflection activities as ‘evaluation activities for teaching practice’. This perception shows that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 in teaching practice courses as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performing tasks and receiving evaluations from instructors. After the middle of the course, discourses showing the science teacher identity of the PSTs were observed. In the oral reflection after the middle part, dialogic discourses often arose, showing that the PSTs perceive the oral reflection activities as a ‘learning activity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addition, in the second half, discourse appeared to connect and interpret one’s experience with the teacher’s activity, indicating that the PSTs perceive themselves as teachers at this stage. In addition, the perception of experimental classes was expanded through the course. During the course, the practice of equalizing the authority of the participants, providing a role model for reflection, and experiencing various positions from multiple viewpoints in the clas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formation and continuation of the teacher identity.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on the teacher education process for teacher identity formation in PSTs.

      • KCI등재

        비디오 클립을 활용한 교육적 추론 활동이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수업 계획에 미치는 영향

        송나윤,윤혜경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4 초등과학교육 Vol.43 No.1

        교사의 과학 수업 계획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실제적 연구가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이 연구에서는 오개념이 드러나는 비디오 클립을 활용한 교육적 추론 활동이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수업 계획에 미치는영향을 조사하였다. 교육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8명이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하였다. 용해와 용액단원에 대한 1차시의 수업 계획을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반구조화된 1차 면담을 하였다. 이후 예비교사들에게 비디오 클립을 제공하고 이를 활용한 교육적 추론 활동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활동 결과를 바탕으로 계획한 수업을 수정하도록 하였으며, 이후 반구조화된 2차 면담을 진행하였다. 예비교사가 작성한수업 지도안과 면담 전사본을 주 자료로 지속적 비교 방법으로 분석하여 수업 계획의 변화양상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비디오 클립을 활용한 교육적 추론 활동 이후, 예비교사들은 학생의 사고를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반영하기 위해 활동을 구체화하거나 소재를 변경하였다. 또한 일부 예비교사는 학생의 다양한 사고를 고려하여 목표나 평가 기준을 보완하는 모습을 보였다. 학생의 흥미나 동기, 오개념을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동기유발 전략을 구체화한 예비교사도 있었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예비교사가 학생의 오개념에 대한 고려는 미흡한 상태로 학습 목표를 설정하였다. 또한 예비교사들은 학생의 사고보다는 정해진 학습 목표만 고려하여 평가를 구성하는 경우가 많았다. 단순한 흥미 외에 오개념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동기유발 전략을 구성한 예비교사도 많지 않았다. 예비교사들은 오개념을 수업내용에연결하는 데 어려움을 겪거나 오개념에 대한 예측 한계로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바탕으로 초등 예비교사가 수업을 계획할 때 학생의 오개념을 효과적으로 고려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practical research needed to improve elementary school science lesson plans. Specifically, a video clip-based pedagogical reasoning activity that included elementary student misconceptions was presented and the influences of this activity on preservice teachers’ science lesson planning were assessed. First, the eight preservice teacher participants were asked to write a lesson plan for a dissolution and solution unit, after which a first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conducted. Then, the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a video clip-based pedagogical reasoning activity. Based on the activity results, the participants revised their previously planned lessons, and seco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data from the preservice teachers’ lesson plans and interview transcripts were analyzed using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o investigate the lesson plan changes. It was found that after the video clip-based pedagogical reasoning activity, the preservice teacher tightened the activity or changed the material to understand the students’ thinking processes. In addition, they supplemented their goals and assessment criteria to accommodate the diverse students’ thinking. Some also specified motivational strategies that considered student interests, motivation, and possible misconceptions. However, some preservice teachers still set goals that did not sufficiently account for student misconceptions and some planned the student assessments based only on the learning goals rather than the students’ thinking. The few preservice teachers were able to develop motivational strategies that considered interest, motivation, and misconceptions. The preservice teachers claimed that they had difficulty predicting the misconceptions and connecting these to the lesson content. Discussions were then held to assist the preservice teachers to consider possible student misconceptions when planning their lessons

      • 학교현장실습을 통해 나타나는 기독 예비교사의 인식 및 만족도 탐색

        정한호 總神大學校 2006 總神大論叢 Vol.38 No.-

        본 연구에서는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예비 기독교사의 인식을 탐색하고 기독교 대학에서의 효과적인 예비교사 양성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4년제 기독교 대학 사범학부의 기독교교육, 영어교육, 역사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5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대학에서의 교원양성교육이 학교현장실습에 도움을 주는 방향으로 실행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지도교사의 자질과 예비교사 지도에 대한 예비 기독교사의 인식이 부정적이지 않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학교현장실습이 예비 기독교사의 교사로서의 역량 강화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학교현장실습을 통해 나타나는 예비교사의 영적, 지적, 인격적, 신체적인 요소를 탐색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기독교 대학에서의 효과적인 예비교사 양성방안을 제언하면, 첫째,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기독 교사로서의 정체성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학과 학교현장 간의 학교현장실습협의체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현장실습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수업내용 추출과 지도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계기로 예비 기독교사의 양성 및 학교현장실습에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의미있는 연구가 지속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KCI등재

        예비교사의 양성평등의식과 결혼가치관에 대한 연구

        이은희 ( Lee Eun-hee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9 교사교육연구 Vol.58 No.2

        현재 우리 사회에서 해결해야하는 가장 시급한 문제 중의 하나인 저출산 문제를 보다 실천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필요성에 의해서 본 연구는 2017년 12월과 2018년 1월중에 전라북도 지역 교원양성기관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총 285명을 대상으로 양성평등의식과 결혼가치관을 설문지법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먼저 예비교사의 양성평등의식과 결혼가치관의 차원을 분석한 결과, 각각 3개요인 즉, 양성평등의식은 가정생활, 사회생활, 학교생활로, 결혼가치관은 소극-배타적 결혼가치관, 안정-낭만적 결혼가치관, 보수-도구적 결혼가치관으로 나타났다. 예비교사의 양성평등의식은 평균값이 3.89로 나타났으며, 가정생활, 사회생활, 학교생활 순으로 나타났다. 예비교사의 결혼가치관은 안정-낭만적 결혼가치관이 가장 높았으며, 소극-배타적 결혼가치관, 보수-도구적 결혼가치관 순으로 나타났다. 예비교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양성평등의식과 결혼가치관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교육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가, 여학생이, 4학년이, ‘결혼은 반드시 하지 않아도 된다.’고 인식한 예비교사의 양성평등의식이 높았으며, 소극-배타적 결혼가치관은 교육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가, ‘결혼은 반드시 하지 않아도 된다’고 인식한 예비교사 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보수-도구적 결혼가치관은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가, 남학생이, 3학년이, ‘결혼은 해야 한다’고 인식한 예비교사일수록 높았다. 조사대상 예비교사의 양성평등의식은 소극-배타적 결혼가치관을 제외하고 안정-낭만적 결혼가치관은 정적관계를, 보수- 도구적 결혼가치관은 부적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조사대상 예비교사의 경우 양성평등의식과 경제적으로 독립하여 결혼보다는 일과 자아계발 및 자유로운 생활을 위해 독립하는 것을 선호하는 결혼가치관이 교육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들이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 초등교사 양성에서부터 양성평등의식과 바람직한 결혼가치관 형성될 수 있도록 관련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개설되기를 기대한다. 교원양성기관에서의 양성평등의식과 결혼에 대한 가치관 형성 교육은 우리사회의 주요 이슈가 되는 저출산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re-service teachers’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marriage values as influenced by the quality of dating relationships. This study attempts to address low fertility rates and marriage rate problems as standard issues. In this study, 285 pre-service teachers in the Jeollabuk - do provincial teacher education institute were surveyed in December 2017 and January 2018.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using SPSS 22.0 program. Cronbach's alpha, t-test,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comparison 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dimension of marriage value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ree factor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family life, social life, school life, and passive-exclusive marriage value, stable-romantic marriage value, conservative-instrumental marriage values. There was a difference in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of the pre-service teachers. The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of pre-service teachers who recognized that they are attending education college, female, fourth grade, and marital is not necessary is high. passive-exclusive marriage values are higher in pre-service teachers who are aware of that marriage is not necessarily required. Also, the conservative-instrumental marriage values of pre-service teachers, male students, third graders, and pre-service teachers who recognized that they should marry were high. Also, as a result of analysis of Pearson's correlation with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f pre-service teachers,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f pre-service teachers except for passive-exclusive marriage values, stable-romantic marriage values, conservative-instrumental marriage values showed negative relat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pre-service teacher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was found to affect marriage values. This suggests a clue as to how it affects the low birth rate era,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and marriage value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hat pre-service teachers who will be in charge of future education should strengthen their parents' education in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recognize their role as future parents, and form positive marriage val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