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의를 통한 경제교육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 및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곽현주,이예숙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학논집 Vol.17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economic education through discussion activities on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and mathematical ability.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was composed of fifty-six 5-year-old children. The experimental group was involved in 13 times of economic activity through discussion activity for 8 weeks. In the experimental group, discussion activities connected to large and small group activities or free choice activities were appl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arly childhood economic education through discussion activities positively influenced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Second, the early childhood economic education through discussion activities positively influenced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Therefore, the activities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an effective approach for economic education for children. 본 연구는 토의를 통한 경제교육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 및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으로 만 5세 유아 56명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 유아들에게는 토의활동을 한 후 대소집단활동이나 자유선택활동으로 확장한 경제교육활동을 8주간 13개를 실시하였다.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창의적 인성 검사와 수학능력 검사를 사전, 사후로 실시하여 점수의 차를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결과, 토의를 통한 경제교육 활동은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수학능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경제교육활동의 접근 방법을 의미 있게 제안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자기공명 척수강조영술

        곽현주 대한영상의학회 1995 대한영상의학회지 Vol.33 No.4

        Purpose : We performed this study to describe the findings of MR Myelography(MRM) of herniated disc disease,spinal stenosis and spinal tumor and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the MRM in comparison to MRI. Materials andMethods : MRI and MRM were performed in 31 patients with herniated disc disease(12 patients), spinal stenosis(11patients) and spinal tumor(8 patients). MRI and MRM were done with 1.5-T Signa MR, using fat suppressed heavilyT2-weighted fast spin echo technique. We retrospectively analyzed MRM images about the thecal sac indentation,compression or displacement of the nerve root, extent and degree of narrowing of spinal canal, relationshipbetween spinal tumor and spinal cord. MRM findings were compared with MRI in all cases. Results : In 18 herniateddisc cases of 12 patients, focal filling defect with cutoff or displacement of the nerve root in eight cases ofparacentral herniated disc was seen. Cutoff and displacement of the nerve root were more clearly delineated on MRMthan MRI. In the patients of spinal stenosis(11 cases), hourglass deformity of the thecal sac or complete spinalblock of the subarachnoid space was clearly demonstrated. The extent and severity of spinal stenosis were moreaccurately evaluated on MRM than MRI. MRM finding of intramedullary tumor(3 cases) was enlargement of spinal cord.Five cases of intradural extramedullary tumor showed intradural filling defect, which caused contralateraldisplacement of the spinal cord with meniscus sign on inferior margin of the mass. Conclusion : MRM showscharacteristic findings of herniated disc disease, spinal stenosis and spinal tumor. MRM yields excellentdefinition of the thecal sac, nerve roots and nerve root sleeves in relation to herniated disc and may be moreaccurate in evaluation of the degree and extent of spinal stenosis than MRI.

      • KCI등재

        DBT 음악치료가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과 자아탄력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곽현주,김영희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2 예술심리치료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DBT 음악치료(Dialectical Behavior Therapy Music Therapy)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음악치료 프로그램에 자발적인 참여 의사를 밝힌 대학생들 가운데서 기질 및 성격검사(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TCI)의 사회적민감성(RD), 자율성(SD), 연대감(C)의 점수가 각각 60점 이하인 9명을 실험집단으로, 9명을 통제집단으로 무선할당하였다. DBT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진행은 10주 동안 주 1회에 걸쳐 120분씩 총 10회기를 실시하였다. 집단 모두 사전‧사후에 심리적 안녕감과 자아탄력성 검사를 실시한 후 검사 결과를 SPSS WIN 18.0 통계 프로그램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DBT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실시 결과, 첫째, DBT 음악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하위요인인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환경에 대한 통제,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 영역에서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둘째, DBT 음악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이 향상되었으며 하위요인인 자신감, 대인관계 효율성, 낙관적 태도, 분노조절 영역에서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볼 때, 본 연구에서 진행된 DBT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과 자아탄력성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Music Therapy(DBTMT) on enhanc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go-resilience of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 college student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and scored under 60 points of RD, SD, C scales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TCI) test. Nine of them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9 were assigned to a control group respectively. Participants in an experimental group received 2 hours DBTMT session every week for 10 weeks. We analyzed the differences of TCI test scores before and after sessions using SPSS WIN 18.0. We found two meaningful results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DBTMT. Firs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ts sub-components such as self-acceptance,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utonomy, environmental controls, purpose of life and personal growth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an experimental group after receiving 10 sessions of DBTMT. The second, the ego-resilience and its sub-components such as confidence, interpersonal effectiveness, optimistic attitude and anger management were also significantly improved. Therefore, we concluded that DBTMT was very effective in improv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go-resilience of college student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갈등 고찰 - 장애유아통합교육 교과목을 수강한 예비교사를 중심으로 -

        곽현주,한남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학논집 Vol.14 No.3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upportive program for pre-child educators by analyzing conflicts and the needs of pre-childhood educators to solve conflicts in inclu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programs. For this study, I interviewed twice, analyzed drawings of pre-childhood educators representing the special need children and reflective journals of 70 pre-childhood educators in the inclu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classes. The results showed pre-childhood educators had positive attitudes but were afraid of educati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hen they become childhood educators. Successful actual training in the inclu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pre-childhood educators, but unsuccessful actual training in the inclu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pre-child educators. They felt anxiety from conflicts originating from which they didn’t have enough knowledge and skills to teach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felt burdened with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s well as ordinary children. They had positive attitudes toward inclu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though they worried about not giving enough love for ordinary children. The pre-childhood educators needed more subjects to obtain knowledge about inclusiv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early childhood settings, wanted to have more practice to acquire skills to educate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classes using video which show teachi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ey thought it was important to have self-confidences to develop good attitudes though they didn’t have special needs related with attitudes. 본 연구는 장애유아통합교육 관련 교과목을 수강한 예비유아교사가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해 갖고 있는 갈등과 갈등해결을 위해 예비유아교사가 원하는 요구를 분석하여 예비유아교사 양성기관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유아통합교육 지원을 위한 기초 마련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장애유아통합교육 관련 교과목을 수강한 70여명의 유아교육과 예비유아교사가 작성한 반성적 저널과 장애유아 표상그림을 분석하고, 2회의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예비유아교사는 대체적으로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었으나 실제로 자신이 교사가 되어 장애유아를 지도하게 될 것에는 두려움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예비유아교사가 장애유아통합교육 지식과 관련하여 갖고 있는 갈등은 장애유아를 지도하기에 충분한 지식을 갖지 못한 것에 대한 불안으로 분석되었고, 기술과 관련된 갈등은 장애유아를 실제로 지도해보지 못한 것에서 오는 불안감, 일반유아와 장애유아를 한 반에서 지도해야 하는데서 오는 부담으로 분석되었다. 태도와 관련된 갈등으로 장애유아와 일반유아를 동일하게 사랑해주지 못할 수도 있다는 불안감이 존재하였으나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는 갖고 있었다. 예비유아교사들은 지식․기술과 관련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장애유아통합교육과 관련된 더 많은 교과목 구성, 장애유아를 지도해 볼 수 있는 실습 기회제공, 장애유아를 지도하는 장면이 포함된 동영상 활용수업을 요구하였다. 태도와 관련된 예비유아교사의 특별한 요구는 존재하지 않았지만 예비교사 스스로 노력하여 자신감을 획득하는 것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있었다.

      • KCI등재

        코로나19로 인한 지도교수의 비대면 상담 사례 연구- 포토보이스 기법을 활용한 SNS 상담을 중심으로-

        곽현주,고은현 중소기업융합학회 2020 융합정보논문지 Vol.10 No.11

        Due to Corona 19, non-face-to-face education was conducted at general universities, so it was necessary to conduct non-face-to-face faculty advisor counseling. SNS counseling using photovoices was conducted in the 6th session and FGI for 10, 3rd grader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f a college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of the study analyzing students' perceptions of the counseling and content of the counseling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participants positively recognized the SNS counseling that applied the photovoice technique. Second, they gradually adapted to non-face-to-face daily life and learning and evaluated the positive aspects, but they complained of fear in career and employment. A non-face-to-face counseling strategy and follow-up studies were proposed through this case study. 코로나19로 인해 일반대학에서 비대면 교육이 진행되어 상담도 비대면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었다. 이 연구는 학생들이 생각과 경험을 잘 표현하는 사진과 찍고, 자신의 생각을 글로 정리하는 포토보이스 방법과 SNS 소통 방법을 혼합한 상담을 시행한 사례 분석으로 비대면 교육상황에서 지도교수의 상담 방향을 제시하는 데 의미가 있다.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SNS상담을 수도권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3학년 10명을 대상으로 6회기 상담 및 FGI를 실시하였다. 학생의 상담에 대한 인식과 상담내용을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포토보이스 기법을 적용한 SNS 상담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비대면 일상과 학업에 대해 점차 적응하고 긍정적 측면을 평가하였으나, 진로 및 취업에서는 두려움을 호소하였다. 본 사례 연구를 통한 비대면 상담 전략과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학교폭력 관련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 분석

        곽현주,김명하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학논집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to provide a basis for school violence-related research by analyzing school violence experience, recognition of teachers on school viol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chool education by violence. The participants were 192 teachers being serv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Seoul.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19.0 statistical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as follows: First, more than half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Kindergarten teachers experienced more violence than nursery teachers. The peer rejection phenomenon and verbal violence were the predominant types of school violence regardless of their position as victim, subject, or bystander. Second, 68.7% ofearly childhood teachers think that school violence in an early childhood setting is serious. The severity showed that nursery teachers recognize more seriously than a kindergarten teacher. They considered the teachers as the subjects of the school violence, with a high frequency of verbal violence. The pre-service teachers also think that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a teacher had in his or her student days may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role as a teacher. The third finding is t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responded positively to gender needs and effects on school violence-related training. And they think that preventive measures against school violence should be taken by introducing them into the curriculum as activities such as workshop and role playing, by spending 2 hours per session. Fourth, they seek information which can be utilized in classrooms such as continuing care of the victims and the subjects and giving the person who had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medical treatment. And they want to emotion aspects such as self-reflection, communication, consultation followed tha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and operation of school violence-related job training for kindergarten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학창시절 학교폭력 경험, 유아교육기관의 학교폭력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학교폭력 관련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요구를 분석하여 학교폭력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192명(유치원교사 93명, 어린이집교사 99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폭력을 경험한 교사는 전체의 63.0%로, 유치원교사가 피해, 가해, 방관 경험에서 어린이집교사에 비해 폭력경험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에서 발생하는 폭력에 대해 68.7%의 교사가 심각한 것으로 인식하였으며, 어린이집교사가 유치원교사보다 더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폭력 관련 교육은 2시간, 역할극 및 워크숍을 통한 교수학습방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폭력 관련 교육내용에 있어서는 ‘가해 및 피해 학생의 조치 및 사후관리’ 등 실제적 방법론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교사를 위한 학교폭력 관련 직무교육의 내용 및 운영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정신지체아동의 과잉행동 개선을 위한 자유즉흥 음악치료 사례연구

        곽현주,김군자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06 예술심리치료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자유즉흥 음악치료가 정신지체 아동의 과잉행동 및 의사소통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음악치료 활동을 통해 일반적으로 이러한 아동들이 보이는 과잉행동을 감소시키고 더불어 이들의 마음속의 감정이나 개념의 비언어적인 표출을 유도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음악치료는 과잉행동과 지적표현의 결핍으로 초래되는 정신지체아들의 여러 문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사회성의 향상, 학교 교육과 사회적 적응, 심적 충족에 효과적인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즉흥연주기법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는데, 이를 통하여 내담자는 언어의 사용을 대신하여 평소에 표현하기 힘들었던 충동과 감정을 안전하고 편안한 방법으로 표출하게 되었다. 또한 자유즉흥 음악치료의 접근법인 치료적 접근, 교육적 접근, 오락적 접근의 3가지 접근법을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연구자는 교육적 효과가 크며 재활이 가능한 수준의 경도정신지체 아동(13세, 여)을 대상으로 18회(주 1회, 1시간)의 세션을 진행하였으며 질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세션마다 사용한 즉흥곡들을 악보화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자유즉흥 음악치료가 정신지체 아동의 과잉행동 개선에 긍정적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다양한 음악치료 기법 가운데서 즉흥연주에 중점을 둔 음악치료에 대한 연구를 함으로써 특수교육의 영역에서 음악치료만이 가질 수 있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 본 연구의 중요한 의의라고 할 수 있겠다. In this thesis, the effect of free improvisation therapy on mentally retarded children is studied to improve their hyperactivity and communication skill. This study aims to reduce the hyperactivity commonly found from those children and lead them to express their feelings or ideas non-verbally by music therapy activity. The music therapy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 mentally retarded children with hyperactivity and limited intellectual expression, to help them improve sociality, adapt themselves to school and satisfy their mental demand. The study focuses on the improvisation technique so that it enables a counselee to express his emotions and feelings in a safe and easy manner, which he used to find hard verbally. Besides, therapeutic, educational and entertaining approaches of the free improvisation therapy are employed for the study. A mildly retarded chid(13, female) is taken who has a lot of potential for the effective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18 sessions(once per week, 1 hour) are done and analyzed qualitatively. And the musical note is made from improvisations for each sess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free improvisation therapy plays a positive part for the improvement of hyperactivity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Especially among a variety of music therapy, the therapy focused on improvisation makes clear the therapeutic effect in special education, which makes this study valuable.

      • KCI등재후보

        수업반성과정과 유치원 교사의 교수행동

        곽현주,박찬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4 유아교육학논집 Vol.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effective ways of reflection on teaching by investigating how a teacher’s teaching behaviors have changed through reflections on teaching and how the effective model of reflection on teaching during the processes could be emergent. A first-year teacher and a teacher with three years experie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First, through reflection on teaching, the teachers could plan teaching objectives precisely, make detailed preparations for teaching and manage teaching time effectively in planning and practicing teaching. Second, the teachers tried to examine and have more subject-related knowledge in dealing with the subjects of teaching. Third, the teachers’ ability to encourage and appraise each child improved. That is, the processes of reflection on teaching led to changes in teaching behaviors. Fourth, the first reflection on teaching was developed from the first appliance of reflection on teaching based on the relevant literature in this field, and then modified from the second appliance. Through discussions with the teachers about the second reflection on teaching, it was examined. The third model of reflection on teaching was emergent. The third model of the reflection on teaching shows the relation between teaching behaviors and the strategies of reflection of teaching behaviors more systematically. 본 연구는 수업반성과정을 거치면서 유치원 교사의 교수행동은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지, 효과적인 수업반성모형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탐구해봄으로써 현장교사에게 효과적인 수업반성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수행된 것이다. 서울에 소재한 3년차 경력교사와 대학을 갓 졸업한 초임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하여, 8주간의 교사교육과 15주간 이야기나누기에 대한 수업반성과정을 적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수업반성과정은 이야기나누기에서 요구되는 효율적인 교수행동 변화를 이끌었고, 3차에 이르러 수업반성과정 모형이 발현되었다.

      • KCI등재

        임금근로자의 일자리 특성이 직무만족에미치는 영향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곽현주,최은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8 여성연구 Vol.97 No.2

        외환위기 이후 신자유주의 전략이 지속적으로 추진되면서 한국 임금근로자들의 근로조건은 전반적으로 악화되었다. 열악한 일자리는 근로의욕 저하를 비롯하여 직무에 대한 불만을 높여 기업의생산성 감소를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상황은 근로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상세한 일자리 특성을 파악하여 이에 대한 정책적・조직적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함을 시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용관계특성, 시간특성, 조직・사회적 특성의 하위개념을 이용하여 일자리 특성이근로자들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되, 성별에 따른 차이에 주목함으로써 남녀 임금근로자의 이질적 특성을 확인하고 이에 적합한 차별화된 일자리 정책의 대안 수립에 유용한 기초자료를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고진로 사회권 실태조사 2차 자료를 이용하여 20∼65세 미만의임금근로자 986명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라 일자리 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성별에 따라 일자리 특성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여성이속해 있는 일자리가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라 일자리 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영향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근로자의 직무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조직・ 사회적 특성인 것으로 나타났고, 여성근로자의 직무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시간특성인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임금근로자를 위한 전반적인 정책 대안을 제시하였고 노동시장에서 상대적으로 취약한 여성 근로자를 위한 맞춤형 노동자 복지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일자리의 특성을 고용관계특성, 시간특성, 조직・사회적 특성으로 세분하여 분석을 진행함으로써 일자리 특성의 시대적・상황적 주요 변화를 반영하였으며, 대표성 있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성별차이를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취약집단에 대한 차별적 지원 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