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의 매개효과

        문정희,송승민,한정이 한국아동권리학회 2022 아동과 권리 Vol.26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을 통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만 0∼5세 영유아를 담임하고 있는 보육교사 2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은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을 통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보육교사가 전문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 수준이 높았고,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질이 높아졌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이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이 어떻게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을 매개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지 기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해 교사의 전문성인식 수준과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대한 교사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영유아 교사의 영유아 권리침해 인식 차이와 그 근거에 관한 연구

        김호현 ( Kim Ho-hyun ),장희선 ( Chang Hee-su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7 아동교육 Vol.26 No.3

        이 연구는 양적 연구를 통해 밝혀진 영유아 교사들의 영유아권리침해 인식 차이의 근거를 질적 연구를 통해 살펴본 혼합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우선 영유아 교사들을 대상으로 영유아 권리침해 정도를 묻는 설문을 실시하여 변량분석과 LSD 사후분석을 통해 교사의 기관설립유형과 연령에 따른 영유아 교사들의 권리침해 정도에 대한 인식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런 뒤 특정 상황의 권리침해 정도에 대해 상반된 응답이 나온 근거를 이해하기 위하여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근무기관에 따라 `부재성` 범주유형에서 유치원 교사가 어린이집 교사보다 권리침해로 인식하였고, `타율성`, `집단성` 범주유형에서는 반대로 나타났다. 면담에서 교사들은 권리침해에 대한 인식보다 자율성과 발달적 고려를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 연령에 따른 차이는 `부재성`, `구속성` 범주유형에서는 45세 미만까지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집단성` 범주유형에서는 교사 연령이 낮을수록 더 권리침해라고 인식하였다. 면담에서도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났는데 아동권리존중에 대한 인식이 향상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셋째, 면담에서 교사들의 영유아권리 인식의 근거는 서로 다른 기준과 인식의 제한에 기인하였다. 이 결과는 영유아 교사들의 영유아권리와 권리침해에 대한 인식교육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할 것이며, 교수-학습방법과 내용구성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 This study is a mixed method study exploring differen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ights violation perception and the reasons of the perception. Survey asking degree of young children`s rights violation were implemented. To find the differences by institution types and age of the teachers, Anova and LSD was implemented. Then to find the reason of the differences focus group interview was carried. Study results are that in `absent features` Kindergarten teacher perceived more violated than preschool teachers, in `heteronomous features` and `collective features` opposite results came out. In interview, teachers perceived autonomy and developmental features more important than rights violation. Second, related to age differences in `absent features` the younger the teachers are more perceived rights violation, same result as the interview analysis. This can be interpreted as raised respect for right perception. Third, as the interview results shows, the differences on rights perception was based on different standards and limitation of perception of teachers. These results can be utilized as the basic resource for rights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영유아권리침해 정도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인식 개념도 분석

        장희선 ( Chang Hee-sun ),김호현 ( Kim Ho-hyu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7 아동교육 Vol.2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권리침해 영역의 분류 방식과 권리침해 정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 경기도와 대구 경상권 소재 어린이집교사와 유치원교사들이며 자유기술에 35명, 진술문 분류에 10년 이상 경력의 영유아교사 11명, 진술문을 토대로 구성된 설문에 278명이 참여하였다. 영유아교사의 영유아권리침해에 대한 인식을 개념도(concept mapping)로 파악하기 위해 다차원분석과 군집분석을 하였고, 어린이집교사와 유치원교사가 인식하는 권리침해정도의 차이를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유아교사들의 영유아권리침해 인식은 `부재성`, `구속성`, `방임성`, `제약성`, `상황성`, `타율성`, `집단성`의 7개 범주유형으로 구성되었다. 개념도의 x축은 교사의 내적-외적 기인에 따른 침해로 설명되었고, y축은 교사에 의한 영유아권리의 적극적-소극적인 제약으로 설명되었다. 둘째, 영유아교사는 `부재성` 범주를 가장 높은 권리침해로 인식하였다. 또한, 기관유형에 따라 영유아권리침해에 대한 인식은 `부재성`, `타율성`, `집단성`의 범주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부재성` 범주에서는 유치원교사가 어린이집교사보다 영유아권리침해라고 인식하는 반면, `타율성`, `집단성` 범주에서는 어린이집교사가 유치원교사보다 더 심각한 영유아권리침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유아교사의 영유아권리침해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기관유형별 맞춤형 권리교육자료 개발이나 교수-학습방법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eachers` way of categorizing right violations and awareness on the degree of right violation. Participants were Kindergarten and nursery school teachers from Seoul, Kyungki and Daegu, Kyungsang area. 35 teachers participated in free-listing, 11 experienced teachers with more than 10 years of the careers, in categorizing statements of right violations and 278 teachers, in survey.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ere used to draw concept mapp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n right violation. The degree difference of right violation awareness between Kindergarten and nursery school teachers was figured out using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st,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7 concepts of right violations, which are absent features, binding features, negligent features, constraint features, circumstantial features, heteronomous features, and collective features. X-axis of concept map is explained as teacher-internal and teacher-external cause, y-axis as positive and negative constraints of rights by teachers. Second, awareness on right violation, in the categories such as absent features, heteronomous features, collective features, came out differently according to types of institute. In absent features,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more violated but in heteronomous features and collective features, nursery school teachers perceived more viol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 basis for developing right education material tailored to the type of early childhood institutes and providing implication for teaching-learning methods.

      • KCI등재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이 영유아권리존중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문정희(Moon, Jung-He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2 한국영유아보육학 Vol.- No.132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과 영유아권리존중 및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이 영유아권리존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만 0∼5세 영유아를 담임하고 있는 보육교사 299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그리고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 교사효능감과 영유아권리존중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전문성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영유아권리존중 수준도 높았고, 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영유아권리존중도 높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과 영유아권리존중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이 영유아권리존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영유아권리존중에 긍정적으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이 연구는 보육교사들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바람직한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돕는 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더불어 영유아 보육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childcare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respect for infant rights and teacher efficacy, and to reveal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professionalism on the respect for infant right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self-report survey of 299 childcare teachers in charge of infant aged 0 to 5 at day care centers located in Gyeonggi-do. The collected data were verifi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Baron and Kenny(1986) using SPSS 23.0. Firs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professionalism, teacher efficacy, and respect for infant rights, and the higher the level of professionalism perception, the higher the level of respect for infant rights.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had a significant impa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childcare teachers’ expertise and respect for infant rights. In other words, the perception of childcare teachers directly affects the respect of infant rights and positively indirectly affects the respect of infant rights through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the study will be used to help childcare teachers to improve their expertise and perform appropriate roles and will als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s for infants.

      • KCI등재

        영유아교사의 영유아 권리침해 인식의 모호성과 그 근거에 관한 혼합연구

        김호현,장희선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학논집 Vol.21 No.2

        This study adopted mixed methods to investigate the reasons why early childhood teachers responded 'ambiguous' in survey asking if suggested items were related with rights violation of young children. In the quantitative phase, 278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in survey to derive 7 types of rights violation. During this process,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could not determine some items as violating rights or not. 10 items that the participants responded to as ’ambiguous’ with highest frequency were selected for interview topics to figure out why. In the qualitative phase, 7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responded the survey participated in a focus group interview and discussed the ambiguity of the selected ite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erceived 'group features' the most ambiguous, and 'heteronomous features' and 'negligent features' the next. Second, the reasons early childhood teachers thought ambiguous on the survey items selected are thematized as 'considering both sides', 'conflict between regulation and exception', 'assumption of situations', 'no way out', and 'misunderstanding the items.' The results imply that rights education for teachers should include standards for rights selection, democracy education, dilemma discussion based on practical situations, and ways for teacher to judge situations. 영유아들의 권리 보장을 위해 교사들의 윤리적 판단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권리침해인지 아닌지 판단하기 어려운 상황이 있다. 따라서 영유아 교사들의 권리인식을 살펴보는 일뿐만 아니라 판단이 어려운 이유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영유아 교사가 인식하는 영유아 권리침해 정도를 양적 연구를 통해 알아보았고 이 과정에서 드러난 교사들이 특정상황에 대해 권리침해 여부가 모호하다고 평정한 이유를 질적 면담을 통해 밝힌 혼합연구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양적 연구단계에서 278명의 영유아 교사를 대상으로 권리침해정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한 뒤 7개의 권리침해 범주유형 80개 문항별로 모호하게 인식한 빈도와백분율을 분석하였다. 이 중 가장 모호하게 인식하는 문항을 선별하여 질적 연구 단계에서설문에 참여한 영유아 교사 7인과의 포커스그룹 면담(FGI)을 통해 그 이유를 밝혔다. 연구결과 첫째, 양적 연구 결과 영유아 교사는 '집단성' 범주유형의 영유아 권리침해를 가장 모호하게 인식하였고, 다음으로 ‘타율성’ 및 ‘방임성’ 범주유형을 모호하게 인식하였다. 둘째, 질적 연구 영유아 교사가 영유아 권리침해 여부를 모호하다고 인식한 근거는 ‘양단의 입장 고려’, ‘규칙과 예외 사이의 갈등’, ‘상황의 가정’, ‘사면초가’, ‘문항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나타났다. 이연구는 영유아교실에서 일어날 수 있는 구체적인 권리 상황을 제시함으로써 권리침해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어려운 상황이 있음을 보여주었고, 판단이 어려운 이유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권리 실제는 딜레마적 측면을 포함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 결과는 교사권리교육에함의를 줄 수 있다.

      • KCI등재

        영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영유아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 : 성격강점의 매개효과

        박수진(Park, Soo Jin),채승희(Chae, Seung hee) 한국교원교육학회 202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7 No.4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 성격강점 간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영유아보육기관에서 영유아교사가 영유아들을 위한 바람직한 보육실행을 위한 지원방안 모색 및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경기·충청·강원지역 어린이집의 영유아교사 473을 대상으로 설문지 배부 및 수집을 했고, SPSS 25.0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했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영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영유아귄리존중 보육실행, 성격강점 간의 관계에 대한 상관관계는 전문성 인식,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 성격강점은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회귀분석을 통해 영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성격강점을 매개분석 연구결과는 영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직접적으로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직접적으로 31%의 설명력을 나타냈지만, 성격강점을 매개로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은 71%로 높아졌다. 또한 성격강점에 따른 부분매개 효과에 대한 검증을 위한 총 효과는 52%로 나타나 성격강점은 영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매개 하고 있음을 증명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가 전문성을 갖고 영유아들을 지도하는데 자신의 성격강점을 이해하고 타인과 더불어 살아가는데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영유아교사가 영유아들의 권리를 존중하며 보육을 지원할 수 있도록 돕는 지원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uggestions for teachers to carry out desirable childcare for infants and to seek support directions for infant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ism awareness, Implementing childcare in respect of infant rights, and personality strength In order to prepare basic data for promoting Implementing childcare in respect of infant righ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tools were selected according to in day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Chungcheong and Gangwon areas., Finally, 473 copies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survey data were analyzed by reliabilit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5.0.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Pearson correlation about the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ism awareness, Implementing respect of Infant rights, and personality strength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rofessionalism awareness, Implementing childcare in respect of infant rights, and personality strength.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rough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ism awareness on the Implementing childcare in respect of infant rights through the mediation of personality strength showed that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awareness directly explained 31% of the Implementing childcare in respect of infant rights, but the effect of personality strength on the Implementing childcare in respect of infant rights increased to 71%. And the total effect for verifying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strength was 52%, which proved that the personality strength was partially mediated in the effect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s professionalism awareness on the Implementing childcare in respect of infant righ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higher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awareness, the more positive the effect on the Implementing childcare in respect of infant rights and If the teacher’s personality strength is mediated, Implementing childcare in respect of infant rights can be increased.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supporting measures to help teachers respect the rights of infants and support childcare by helping them understand their personality strength and recognize them positively in living with others in guiding infants with professionalism.

      • KCI등재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행 간 차이 분석

        이유미(Lee, You Me),안지혜(Ahn, Jee Hye)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8 No.4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과 실행 간 차이가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영유아 권리존중의 관점에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선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재 수도권 지역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18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를 활용한 중요도-실행도분석(IPA)을 주요 연구방법으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실행정도는 중요성의 인식정도에 비해 전체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둘째, 교직경력이 높을수록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의 인식이 높고, 근무시간이 길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의 실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 로,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에 대한 중요도-실행도(IPA) 분석 결과, 영유아의 하루 일과와 관련된 활동은 유아교사의 인식도와 실행도가 높아 현행 수준을 유지해도 좋은 반면, 영유아의 낮잠은 실행도에 비해 인식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영유아의 특별활동 그리고 자율성 및 정보 제공은 인식도와 실행도가 모두 낮아 이들 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개선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사들의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 실행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cognition and the perform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 of respect for infants and children's right,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is study. For this purpose, we have conducted a questionnaire investigation with 183 teachers who are currently enrolled in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s of the metropolitan area , and SPSS with (IPA) analysis was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formance level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was significantly lower overall compared to the recognition level on respect for infants and children's right. Second, the higher the teaching career, high recognition of respect for infants and children's right, longer working hours, the lower the educational background, was found to be less run of the respect for infants and children's right. Finally, the results of IPA analysis, activities related to day infants, high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is also good to maintain the current level, But 'nap' for infants was found to be less recognized than the performance level. On the other hand, special activities and autonomy and providing information of infants, all recognize that run low degree, it was found that the recognition improv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 for these activities is urgent most. We have proposed a direction of improvemen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run the respect for infants and children's right

      • KCI등재

        보육교사의 영유아 권리인식과 임파워먼트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김부경,정희정 한국코칭학회 2019 코칭연구 Vol.12 No.4

        The study was conducted by surveying 230 childcare teachers in Gyeonggi-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using SPSS 24.0. Scheffe's post hoc 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among group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ollowing three factors respective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social conditions: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in the rights of infants and toddlers, empowerment, and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s and infants and toddlers.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wareness of the rights in infants and toddlers and the interaction, the empowerment and interaction, and the awareness of the rights of infants and toddlers and empowerment. Third,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the rights and empower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raction. In conclusion, growing teachers’ awareness of the rights of infants and toddlers in order to have high quality interaction is essential. Also, raising teachers’ empowerment with the management of an organization related to the education of infants and toddlers is needed.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영유아 권리인식과 임파워먼트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소재 국공립, 민간, 가정어린이집에재직 중인 보육교사 230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 일원변량분석 Scheffe의 사후검정,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인식은 연령, 교사경력, 학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임파워먼트는 연령, 교사경력, 학력, 직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교사경력, 학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영유아 권리인식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에 정적 상관관계, 임파워먼트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에 정적 상관관계, 영유아 권리인식과 임파워먼트 간에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영유아 권리인식, 임파워먼트는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질 높은 교사- 영유아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기 위해 보육교사의 영유아에 대한 권리인식 수준을 높이는 것과동시에 영유아교육기관의 조직 관리를 통해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아동기에 경험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영유아권리인식과의 관계: K대학 학생들을 중심으로

        이서연,홍순옥 한국아동권리학회 2019 아동과 권리 Vol.23 No.3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s of college students in childhood on current awareness of infant and child rights. Methods: The data were analyzed by selecting 244 university students at K university located in B city with the significance sampling method. Results: As a result of the t-test and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college students showed the highest distribution in order of warmth / love, aggression / hostility, rejection, and neglect / indifference among the lower factors of parenting attitude experienced in childhood. In order to avoid hipping of respondents, each subfactor of parenting attitude was divided into the upper and lower 25%. As a result, the top 25% of warmth / affection perceived infant and child right more than the lower 25%. The bottom 25% of hostility and rejection were more aware of infant and child rights than the top 25%. However, the disregard / indifference area had a higher recognition of infant and child rights than the lower 25% of the top 25% who experienced a lot of disregard / indifference. Conclusions: Parental attitude is related to current awareness of infant and child rights, and positive parental attitude is more closely related to current awareness of infant and child rights.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이 아동기에 경험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현재의 영유아권리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자료는 B시에 위치한 K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244명을 유의표집방법으로 선별하여 조사한 후 분석하였다. 결과: t-검정법과 상관계수법으로 분석한 결과, 대학생들은 아동기 경험했던 양육태도의 하위요인 중 온정/애정, 공격성/적대감, 거부, 무시/무관심의 요인 순으로 높은 분포도를 나타냈다. 또한, 응답자의 히핑현상을 피하기 위해 양육태도의 각 하위요인을 상·하위 25%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온정/애정의 상위 25%가 하위 25%보다 영유아권리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공격성/적대감, 거부의 하위 25%가 상위 25%보다 영유아권리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무시/무관심 영역은 무시/무관심을 많이 경험했던 상위 25%가 하위 25%보다 영유아권리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 부모의 양육태도는 현재의 영유아권리인식과 관련이 있으며, 그 중에서도 부모의 수용적 양육태도가 현재 영유아권리인식에 더욱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전문성인식이 영유아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 원장의 감성리더십의 매개효과

        김정주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5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s, also it examined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 recognition on practice of respect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s rights on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care center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The subjects were 233 early childhood teachers in G city and J province. The quantitativ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with SPSS 21.0 program. It was implemented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Baron & Kenny’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this analysis, first,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 recognition, practice of respect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s rights and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were positively related. Second,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had an indirect effect on practice of respect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s rights by way of mediating early childhood the teacher’s professional recognition. Therefore, the findings wa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the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which can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the teacher’s professional perception and practice of respect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s rights. In addition, we discussed ways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and support ways to maintain a smooth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 preschool teachers.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전문성인식과 영유아권리존중 실행 및 원장의 감성리더십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유아교사의 전문성인식이 영유아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원장의 감성리더십의 매개효과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최종 선정된 연구대상은 G시와 J도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의 교사 233명이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Baron &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전문성인식, 원장의 감성리더십 및 영유아권리존중 실행간에 정적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장의 감성리더십은 유아교사의 전문성인식이 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사의 전문성인식과 영유아권리존중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원장의 감성리더십의 중요성이 부각되었고, 유아교사와 원만하고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근무환경 개선 및 지원방안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