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알도로시 건축의 '창발의 새로움'에 관한 연구

        안지혜,이동언,Ahn, Ji-Hye,Lee, Dong-Eon 한국건축역사학회 2013 건축역사연구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ldo Rossi's work as representation or non-representation, for some hold that the works of Aldo Rossi are representative and others say that they are non-representative. According to the three kinds of novelties appearing after Stephen Pepper's concept, "the breaking of reference" happens, and Aldo Rossi's concept, "the sense of deposition" Rossi's work is uncovered as non-representation. In order to clarify Rossi's work as non-representation, we are going to borrow Pepper's terms, intrusive novelty, emergent novelty, and naive novelty. The breaking of reference accompanies intrusive novelty to bring a sense of representation, emergent novelty to intuit a sense of non-representation, and naive novelty to a sense of newness of disorder. We hope to verify a hypothesis that Aldo Rossi's architectural thought and the architecture come from 'emergent novelty' on the basis of his two books, A Scientific Autobiography and Architecture of the City. Also this paper discusses qualitative aspects rather than visual aspects. The main concepts of emergent novelty are applied to Aldo Rossi's works and his thought. Finally this paper verifies 'the hypothesis' through revealing what Aldo Rossi means by the quality of suspension, the sense of deposition, and idea of the unfinished(repetition). Rossi's work is not textural reference of representation appearing after blocking, but qualitative reference of non-representation.

      • KCI등재

        논문 : 생계형 폐자원 수거노인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개발

        안지혜 ( Ji Hae Ahn ),김민정 ( Min Jung Kim ),김원택 ( Won Taik Kim ),안지혜 ( Ji Hae Ahn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4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3 No.2

        고령화사회에 따른 노인빈곤 문제는 ‘복지사회 구현’이라는 공통된 이해를 바탕으로 전 세계 각국의 다양한 기관에 의해 연구되어 온 이슈이다. 한국은 고령화사회에 접어들며, 초고령사회에 역사상 가장 빠른 속도로 진입할것이라 전망되는데 반면 ‘노인빈곤율’은 OECD 국가 중 가장 높아 이에 대한 대비책 마련이 시급하다. 디자인의 역할이 ‘사회적 공익활동’과 ‘공유가치 창출’까지 확대된 현재, 본논문은 한국 사회의 노인빈곤 문제 중 자생적인 노동시장, 생계형 폐자원수거노인들의 다양한 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서비스디자인 개발을 연구하였다. 연구는 서비스디자인의 대표적인 방법론인 더블 다이아몬드의 4단계와각 단계별 다양한 도구들을 활용하여 진행하였고, 문헌조사, 유저리서치에서 거듭 제기된 니즈인 폐자원 공급망 네트워크 구축에 집중하였다. 생계형 폐자원 수거노인을 1인 가구 등의 개인 집단과 연계하며 두 집단에게 상호 이익이 되는 새로운 서비스를 구축해줌으로써, 폐자원 수거노인들의 안정적인 폐자원 확보량과 소득증가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폐자원의 활용도를 높여 자원소모량을 감소하고 나아가 미래에 예측되는 자원고갈 문제예방을 통한 경제적 부담 절감까지 기대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안한다. The Aging of the world`s population has derived an issue of elderly poverty. Various organizations have conducted studies to accomplish the universal mission for a better social welfare. The Aging of the Korean Population is forecasted to increase at the fastest rate ever recorded. Moreover, Korean elderly poverty`s rate marked the highest among the OECD nations and making provisions is exigent. Design has expanded its role to contribute social benefits and to create shared value. This study aims to solve the problems, needs, and wants of senior waste resource collectors by using a Double Diamond Process, which is the most representative service design framework. Desk Research and User Research were proceeded systematically with the aid of various other service design tools. Continuous manifestation of the need of the sustainable waste supply chain system is focused throughout this study. This study developed a service design for a waste supply chain system by connecting individuals with senior junk collectors. This service offers mutual benefits for the two groups; stable income to senior junk collectors and convenient recycling for individuals. Hence, we expect this service to ease financial burdens of society by reducing resource consumption and preventing future exhaustion of resources.

      • KCI등재

        사람과 도시 자생동물의 공존을 위한 디자인 -서울시 길고양이 문제를 중심으로

        안지혜(주저자) ( Ji Hae Ahn ),김원택(공동저자) ( Won Taik Kim ),김승인(공동저자) ( Seung In Kim ),안지혜(교신저자) ( Ji Hae Ahn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1

        도시 내 사람과 자생동물의 공존이라는 궁극적인 목적 아래, 서울시의 다양한 도시 자생동물 중 가장 이슈화되고 있는 길고양이 문제에 집중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전국 100만, 서울시 25만 마리로 추정되는 길고양이로 인한 갈등을 해결하기위해 서울시와 동물보호단체들은 협업하여 TNR(Trap-Neuter-Return) 사업, 강동구 길고양이 급식소 사업, 서울시와 다음 카카오의 길고양이 지도 사업 등의 서비스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사업들은 이해관계자들에 대한 불충분한 이해와 관리시스템의 부재로 인해 큰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서비스디자인과 브랜딩 방법론을 활용하여 현재 이루어지는 사업의 구조와 이해관계자들을 이해하고, 관련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제안하였다. 모델은 구현가능성(feasibility), 지속성(viability), 그리고 매력성(desirability)을 위해 크게 세 가지 단계(Support-Report-Monitor)로 나누어 제안되었다. 제안된 모델은 현재 길고양이와 사람의 공존 방안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도시 브랜딩 그리고 국가 브랜딩의 일환으로 확장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The ultimate goal of this thesis is to create a coexistence of humans and urban wildlife. Specifically, the thesis focuses on the issues of feral cats which have been the most exigent among all the issues caused by urban wildlife in Seoul city. To resolve the conflicts caused by feral cats(estimated to be 1 million in Korea, 250 thousand in Seoul), the city hall of Seoul, local governments, and animal protection groups have cooperated and implemented TNR, Feeding Center, and Feral Cat Map. Service Design and branding methodology were used to understand the stakeholders and the system of each service. New business model was then designed to resolve the derived issues. For feasibility, viability, and desirability, a business model, divided into 3 phases; Support, Report, Monitor, is proposed. The proposed model will not only provide a solution to the current challenges of feral cat and human coexistence in an urban setting but als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city and national branding.

      • KCI등재

        예비보육교사가 구성한 좋은 교사의 의미

        안지혜(Ahn, Jee Hye)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가 구성한 좋은 교사의 의미는 어떠한지, 좋은 교사가 되는데 걸림돌이 되는 교사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는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보육교사들의 의해 작성되어진 반성적 저널을 분석하였다. 예비보육교사가 구성한 좋은 교사는 건강한 교사, 따뜻한 교사, 자신의 존재가치를 잊지 않는 교사, 존중하는 교사, 성장하기 위해 노력하는 교사이다. 이는 사랑을 바탕으로 한 마음씀, 자기이해와 자기배려, 지속적인 성장의 의미를 품는 것이다. 이러한 좋은 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요구되는 인내심, 만능보육교사가 되어야 한다는 부담감, 잠재적 범죄자로 보는 시선, 극성스러운 부모에 대한 어려움과 부정적인 이미지를 해결해야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교사의 역할을 수행하게 될 예비보육교사의 관점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교사양성교육을 구성하는데 기초자료로서 활용되어 질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The current study discussed the meaning of good teacher defined by pre-service teachers and the difficulties that must resolve in order to be good teachers. For this purpose, the reflective journals prepared by pre-service teacher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good teacher defined by pre-service teachers should be healthy, warm, and respectful teachers who make efforts to grow and never forget the value of their existence. They should be self-understanding and self-considerate based on love and grow sustainably. It was found that they must resolve the difficulties and negative images related to ceaselessly demanded perseverance, all-mighty teachers with no inability, image of potential criminals, and overeager parents. These findings will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perspectives of pre-service teachers who will serve as teachers in the future and used as fundamental resources for pre-service training.

      • KCI등재후보

        예비보육교사가 보육실습의 하루일과를 통해 본 영유아참여권

        안지혜(Ahn, Jee Hye)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2020 영유아교육지원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가 하루일과를 통해 본 영유아참여권은 어떠한지 그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담아내고 탐색해보고자 보육실습을 경험한 예비보육교사들의 저널을 수집, 분석하였다. 하루일과를 통해 본 영유아참여권의 모습은 몇몇 유아, 일부의 참여로도 진행되는 대·소집단활동, 영유아가 주도적으로 놀이해야 진정한 자유선택놀이, 놀이할 공간 선택에 참여하고픈 바깥놀이, 유아가 선택하지 않아 집중이 어려운 특별활동, 즐거움을 나누고 싶은 식사시간, 휴식을 명분으로 강요가 될 수 있는 낮잠시간, 배변의사보다는 실수하지 않는 것이 더 중요해질 수 있는 배변시간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보육현장에서의 영유아참여권 존중에 대한 실제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고, 교사양성과정의 내용구성에 있어 영유아의 삶과 연결된 권리존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초자료로서 활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the vivid witnesses and journals of the prospective childcare teachers, who had experienced the practicum in child care center, about children’s right of participation during their daily routines were obtained and investigated. Daily routines in which the children’s rights of participation should have been guaranteed were as follows: large- or small-group activities, which can be progressed with a couple of or some children; free playtime, which would be truly free when children select what to play; outdoor playtime, where children might always want to play; special activities, during which children might not concentrate because they did not choose to do those activities; mealtime, during which children would not enjoy if they are forced to eat; nap time during which children might be forced to sleep; and toilet training time, during which making no mistakes might be more important than willing to pee or poop.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ould be beneficial to understand actuality of respect for children’s right of participation in the field of child care, and to use as basic data for making teacher training courses to respect children’s rights that are connected to their life.

      • KCI등재

        예비보육교사의 관점에서 본 놀이의 의미

        안지혜(Ahn, Jee Hye)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2019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가 보육실습에서 경험한 놀이상황에서의 딜레마는 어떠한지 알아보고 그 경험에서 드러난 놀이의 의미를 추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보육실습을 경험한 예비보육교사들이 작성한 반성적 저널을 분석의 자료로 활용하였다 예비보육교사가 놀이상황에서 경험한 딜레마는 교사가 뭔가를 해주어야 하는 것인지 놀이를 위해 매력적인 교구가 필요한 것인지 놀이가 수업으로 진행되어져야 하는 것인지 안전에 집착해야 하는 것인지에 대한 것이었다 예비보육교사의 관점에서 본 놀이의 의미는 영유아를 드러내는 놀이 삶과 마음을 공유하는 놀이 같은 듯 다른 놀이 즐거운 놀이 일상이 놀이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앞으로 교사의 역할을 수행하게 될 예비보육교사의 관점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직전교육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iscuss the dilemma of play situations experienced by pre-service early teachers during the practicum in child care centers and extract the meaning of play. For that purpose, pre-service early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practicum in child care center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and their reflective journal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dilemma which pre-service early teachers experienced during play situations was whether they should help with something, whether they needed attractive tools for play, whether play should take place as a class, or whether they should be obsessed with safety. From the perspective of pre-service early teachers, the meaning of play included play for expressing young children, play for sharing lives and hearts, different plays with similarities, fun play, and everyday pla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ould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perspective of pre-service early teachers who will serve as teachers in the future and used as the basic resources for pre-service training.

      • 영유아 보육.교육 관련 기관에서의 학습공동체 연구동향 분석: 2010∼ 2021년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안지혜(Ahn, Jee Hye),안소영(An, So Young) 한국아동중심실천학회 2021 아동중심실천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영유아 보육‧교육 관련 기관에서의 학습공동체 연구동향 분석을 목적으로 2010년부터 2021년 현재(2021년 9월)까지의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총 50편을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시기별 연구동향은 2010년 이후 지속적으로 진행된 연구가 2019년을 기점으로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둘째, 연구내용의 동향은 학습공동체 경험탐색 연구가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대상의 동향은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 대상 연구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예비교사 대상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자료수집방법은 면담법과 관찰법이 가장 많이 이루어졌고,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가 대부분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의 시사점은 학습공동체의 효과와 학습공동체 활성화 방안이 개인 측면, 관계 측면, 전체 측면으로 제시되었다.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은 인식 및 요구 조사, 변인에 따른 운영 양상, 다양한 대상에 대한 연구, 효과 검증, 활성화 관련 변인 탐색. 경험에 대한 질적 탐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연계 체계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습공동체 실행에 따른 영유아의 변화에 대한 연구, 영유아를 둘러싼 다양한 대상들의 학습공동체 실행 및 경험에 대한 탐구의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것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50 paper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from 2010 to the present of 2021 (September 2021)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research trends on the learning communities in institutions related to infant car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First, yearly research trends indicated that studies, which had been conducted continuously since 2010, have increased drastically from 2019. Second, studies that explored the experience of the learning community occupied the most in the trends of research subjects. Third, studies with the subjects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day-care center teachers occupied the most in the trends of research subject, followed by studies with the subject of pre-service teachers. The methods of data collection largely consisted of interviewing and observing, and research methods were found to be mostly qualitative research. Fourth, the implications of the studies presented the effect of the learning community and the measures of activating the learning community from the individual, relational, and overall aspects. Suggestions on subsequent research were shown as investigation of perception and demand, operational aspects per variable, research on various subjects, verification of effect, exploration of variables related to activation, qualitative exploration of experience,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and linkage system. Based on the study results, we proposed that subsequent studies carry out the research on changes of infants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and the research on the implementation and experience of the learning community by various subjects surrounding infants.

      • KCI등재

        아랍에미리트의 영유아교육센터 교사로서의 삶

        안지혜 ( Ahn Jee Hye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3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에 거주하며 영유아교사로서 살아가는 교사들의 삶을 들여다보고 그 속에 담겨진 의미를 보다 심층적으로 기술하고 이해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아랍에미리트에 거주하며 영유아교사로서 경험이 있는 한국인 교사 3인을 심층 면담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분석함에 있어 질적연구방법 중 하나인 내러티브 탐구를 근거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드러난 경험의 주요 의미는 ‘부모와 교사로서의 삶 얽힘’, ‘한국인의 정체성 찾아가기’, ‘한국문화를 알리는 가교역할’, ‘다양성 공존’으로 드러났다. 부모로서의 어려움이 직접 교사가 되게 하였고,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가르치려는 한국 부모와의 만남이 이루어졌으며, 한국문화를 배우려는 현지인들과 함께 하게 되었고, 다른 문화와의 조화로운 공존을 경험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아랍에미리트에서 살아가는 영유아교육센터 교사의 삶과 생성된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구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다국적, 다문화의 아랍에미리트에서 살아가고 있는 한국인 교사들의 삶을 구체적으로 탐색해봄으로써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한국사회에 다양성의 이해와 존중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lives of teachers living overseas as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describe and understand the meaning contained therein in more depth.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ree Korean teachers who live in the United Arab Emirates and have experience as teachers. To analyze this, narrative inquiry was used as the basis.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revealed through this study was ‘entangled lives as parents and teachers’, ‘searching for Korean identity’, ‘role as a bridge to promote Korean culture’, and ‘coexistence of diversity’. The hardships of being a parent led me to become a teacher myself, and I met with Korean parents who wanted to teach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nd I got to work with locals who wanted to learn about Korean culture, and I was experiencing the differences firsthan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xplored in depth what the liv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 teachers living in the United Arab Emirates are like and the meaning they create. In addition, by specifically exploring the lives of Korean teachers living in the multinational and multicultural United Arab Emirates, we expect to be able to provide implications for Korean society, which has quickly entered a multicultural society.

      • 과학기술정책에서 삶의 질 정책 범위의 식별과 변화 추이에 대한 연구

        안지혜(Jihye Ahn),장윤진(Yunjin Jang),이윤빈(Yoon Been Lee) 한국기술혁신학회 2019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9 No.11

        문재인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서 현 정부 시대정신은 국민의 참여다. 과학기술 영역에서도 국민과 사회에 대한 고려를 전통적인 관심사로 다뤄왔다. 과학기술 최상위 법률인 과학기술 기본법 제1조에도 과학기술의 목적 중 하나를 과학기술을 통한 국민 삶의 질 제고로 규정한다. 사회혁신과 과학기술을 매개하는 핵심어로 ‘국민 삶의 질 향상’ 개념은 빈번하게 활용되며, 국민을 고려한 과학기술정책의 의사 결정은 삶의 질 관련사업 예산 증대 등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본 연구는 과학과 사회를 연계하는 용어로 활용된 ‘삶의 질’ 에 대한 정책 기조 변화를 분석하여 과학기술정책에서 삶의 질 정책 범위를 식별한다. 특히 삶의 질과 연계한 언어의 트렌드를 분석하여, 삶의 질이라는 가치가 어떤 세부 정책과 매개되어 있는지를 짚어본다. 이를 위해 과학기술기본계획, 정부연구개발 투자방향(안) 등 과학기술 정책문건에 삶의 질과 함께 등장하는 키워드를 데이터화 하여 시기별로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기 과학기술전략에서 주로 연구개발 개념과 함께 빈번하게 등장 하던 삶의 질 개념은 후기로 갈수록 환경, 안전, ICT 및 통신 등 다양한 분야 및 사회이슈와 함께 등장하는 빈도가 높아지는 등 유의미한 시사점을 나타냈다. In the five-year plan of current governments, the participation of the people is the priority. It is written by the law of science and technology to improve people"s quality of life as a dominant purpose of science and technologies. As a keyword for mediating social innovation and science and technologies, the concept of ‘improvement of people"s quality of life’ is frequently used, and decision-making o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by considering the people has led to an increase in the budget for business related to a quality of life. In this study, keywords that appear along with the quality of life i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documents, such as the science and technology basic plan and the government"s R&D investment direction,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the concept of quality of life, which appeared frequently in the early stages of science and technology strategy together with the concept of R&D, caused a change in research trends, such as increase of the frequent social issues, environment, safety, and ICT.

      • KCI등재

        ‘공통감’을 바탕으로 한 도시이미지 브랜드화 방안을 위한 연구

        안지혜(Ahn, Ji-Hye),이동언(Lee, Dong-Eon) 대한건축학회 2012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8 No.6

        Whereas the aim of urban developments in the past was the physical expansion, the goal of modern cities are being changed into marketing their image to make a lot of money. The recent issue of story-telling is a marketing for consumption based on various stories. This concept of story-telling appears to be a way to sell the brand name of cities like doing commodities. Cities are dressed up in clothes of stories by various ways, such as tending old paths, making-creative villages, etc. In spite of the effort, the city-marketing based on story-telling is not a successful example. Because it emphasize the aspect of restricting citizens’ lives as limited stories in restricted places. There is a need for a paradigm shift that is not an access based on restricted sources and places and can change potential energy of cities into various contents.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discussed on turning point of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Kantian aesthetic common se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frame that can use images of cities based on sympathy(aesthetic common sense) with the citizens as powerful brand of c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