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연부조직 육종에서 면역조직화학적 예후인자

        최경운,김정일,문남훈,Choi, Kyung-Un,Kim, Jeung-Il,Moon, Nam-Hoo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8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4 No.2

        목적: 세포주기의 조절곤란은 종양의 발생과 진행에 영향을 미친다. 몇가지 알려진 연부조직 육종에 대한 면역 조직화학적 예후인자 들이 있지만 상반된 연구도 있고 G1/S phase관계되는 인자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저자는 연부조직 육종의 재발 및 전이와 관계된 G1/S phase 세포조절주기 단백의 면역화학적 예후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연부조직 육종으로 진단된 환자 중 최소한 1년이상 추시관찰이 가능하고 파라핀 블록의 보존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43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지방육종 15예, 악성 섬유성조직구증 13예, 횡문근육종 5예, 활막육종 5예, 평활근육종 3예, 섬유육종이 2예였다. 모든 환자의 조직은 전 절제술로 제거된 조직을 대상으로 Cyclin D1, Cyclin E, CDK4, CDK, p16, p27, Rb, E2F-1, p53, Ki-67 등의 면역 조직화학적 발현을 조직 microarray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환자의 국소 재발 및 전이에 따른 예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국소 재발은 8예(19%)에서 일어났으며 이것은 Cyclin E(p=0.024), E2F-1(p=0.046)의 발현과 연관이 있었다. 전이는 16예(37%)에서 일어났으며 CDK4의 증가와 연관이 있었다(p=0.031). 결론: Cyclin E와 E2F-1이 연부조직 육종의 국소 재발과 관련있는 예후를 제공해주었고, CDK4가 전이를 예측할 수 있는 독립적인 예후를 제공해주었다. 따라서 조직 검사시 이들 표식자들의 적절한 사용이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고 치료의 범위를 결정 짖는데 중요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Disturbed cell cycle regulatory proteins are key events underlying the development and/or progression of human malignanci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rotein expression status involved in G1/S cell cycle in human soft tissue sarcoma. Materials and Methods: We simultaneously evaluated the expression of Cyclin D1, Cyclin E, CDK4, CDK2, p16, p27, Rb, E2F1, p53 and Ki-67 by immunohistochemistry in 43 cases of soft tissue sarcoma Results: The Cyclin D1, Cyclin E, CDK4, CDK2, E2F1, and p53 were expressed in 25 (58.1%), 18 (41.9%), 13 (30.2%), 33 (76.7%), 20 (46.5%), and 18 cases (41.9%). The p16, p27, and Rb expressions were decreased in 26 (60.5%), 22 (51.2%) and 19 cases (44.2%). All of the cases showed alterations of more than one out of the above proteins. The increased Cyclin E expression and Ki-67 labeling index (LI)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stologic grade. The Cyclin E and E2F-1 expressions were increased in relapsed cases and the CDK4 expression was increased in cases of metastasis. Conclusion: Alterations of G1/S cell cycle regulatory protein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tumoriogensis of soft tissue sarcomas. Our results suggest that increased expressions of Cyclin E, E2F1, and CDK4 were associated with tumor relapse or metastasis and could be considered as parameters of prognosis of soft tissue sarcoma.

      • 골연부조직 종양 전공자가 아닌 일반 정형외과 전문의에 의해 치료된 연부조직육종

        이순혁,박종훈,박상원,채인정,한승범,이석하,김호중,Lee, Soon-Hyuck,Park, Jong-Hoon,Park, Sang-Won,Choi, In-Chung,Han, Seung-Beom,Lee, Suk-Ha,Kim, Ho-Joong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7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3 No.2

        목적: 저자들은 골연부조직 종양 전공자가 아닌 타 분야의 경험 있는 수련병원의 정형외과 전문의에 의해 치료된 연부조직육종 환자의 치료과정을 분석하여 치료의 적절성 여부를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7월부터 2006년 9월까지 본원을 방문하여 연부조직육종으로 진단받은 2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은 초진 방법과 수술적 치료와 보조적 치료 그리고 추시 관찰의 적절성 유무를 종양 치료의 원칙에 따라 조사하였다. 결과: 남자는 16례 여자는 9례였으며 최종 수술 전 생검을 시행한 경우는 9례(36%)였다. 광범위 절제술이 시행된 경우는 13(52%)례 였으며, 조직검사 결과를 근거로 악성도를 판명할 수 있었던 12례 중 수술과 술 후 보조적 치료가 동시에 적절했던 경우는 총 4(33.3%)례에 불과했다. 한편 적절한 검사 방법에 의해 이루어진 추시는 4례 (16%)였다. 결론: 예상외로 많은 수의 연부조직육종 환자들이 임상 경험이 풍부한 수련병원의 전문의들에게 조차 부적절한 치료를 받고 있다. 경험 많은 전문의를 포함한 모든 정형외과 전공자들에게 연부조직육종의 치료에 대한 전반적이고 강화된 교육이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training hospital based treatment, we evaluated the soft tissue sarcoma treatments afforded by general orthopedic surgeon rather than orthopedic oncologist.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the details of 25 patients with pathologically confirmed soft tissue sarcoma who registered in our hospital between July 1997 and 2006 September. We evaluated initial diagnoses, the surgical treatment (including adjuvant therapy) and the follow up method used and related these to the principles of soft tissue sarcoma treatment. Results: The study cohort comprised 16 men and 9 women of mean age of 50.2 years. A diagnostic biopsy was performed in 9(36%) cases before definitive surgical treatment. Wide excision was performed in 13(52%) cases. For the 12 cases in which the grade of sarcoma was estimated, adequate surgical treatment with adjuvant therapy was performed only in 4(33.3%) cases. In addition, an adequate follow up schedule was adopted in only 4(16%) of the 25 study subjects. Conclusion: Unexpectedly, many cases of soft tissue sarcoma were treated inadequately even in a training hospital. An intensive education program on the treatment of soft tissue sarcoma is necessary for all orthopedic surgeons.

      • KCI등재

        연부 조직 육종에서 18-FDG PET CT의 유용성

        김정일(Jeung Il Kim),오종석(Jong Seok Oh),서근택(Kuen Tak Suh),문태용(Tae Yong Moon),이인숙(In Sook Lee),최경운(Kyung Un Choi),김성장(Seong Jang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5 No.3

        목적: 최근 연부 조직 종양의 전이에 대한 진단 및 양성종양과 악성종양을 PET CT를 이용하여 감별하려는 시도가 많아지고 있다. 저자들은 본 연구를 통하여 연부 조직 종양에서 18-FDG PET CT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악성연부 조직 종양이 의심되어 PET CT를 촬영한 64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15예는 양성, 34예는 악성, 15예는 염증성병변이었다. 모든 환자들은 18-FDG CT촬영 후 수술적 치료가 이루어졌으며, 제거된 모든 조직은 수술 후 조직검사로 확진되었다. 반정량적 분석을 위하여 Maximal standard uptake value (SUVmax)를 구하였으며, SUVmax를 ROC 분석, Mann-Whitney test를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결과: 연부조직종양에서 SUVmax 값을 이용하여 양성종양과 악성종양의 구분이 가능하였나, 종양의 등급간 SUVmax 값은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그리고 악성종양과 감염을 동반한 연부조직병변의 SUVmax값 역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 PET CT는 연부 조직 육종의 국소 재발 및 전이를 진단하는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양성종영과 악성종양을 감별하는데 유용한 핵의학영상 장치로 사료된다. 그러나 염증을 동반하는 경우나 염증성 병변이 의심될 경우 진단에 유의를 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to use PET-CT for the diagnosis of metastasis of soft tissue tumors and for differentiating benign tumors from malignant tumors. In this study, we want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18-FDG PET CT in soft tissue tumors.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n=64) with suspected malignant soft tissue tumor had 18-FDG PET CT scans This included 15 cases of benign soft tissue tumor, 34 cases of malignant soft tissue tumor and 15 cases of inflammatory lesions. All patients went through surgical treatment after PET-CT imaging was done, and all dissected tissues were biopsied. For semiquantitive analysis, SUVmax(Maximal standard uptake value) was measured, and SUVmax was determined using ROC analysis, the Kruskal-Wallis test and the Mann-Whitney test. Results: Using 18-FDG PET CT it was possible to differentiate benign from malignant tumor using SUVmax values. But. discrimination between different grades of tumor was not possible. Also discrimination between malignant tumors and inflammatory lesions was not possible. Conclusion: PET-CT can be considered as a useful nuclear imaging method that can detect local recurrence and distant metastasis of soft tissue sarcoma and can differentiate benign from malignant tumors. But PET-CT results must be interpreted carefully in diagnoses when there is inflammatory disease or a suspected lesion present.

      • 혈종을 동반한 연부 조직 육종

        정양국,강용구,박원종,이승구,이안희,박정미,조현민,Chung, Yang-Guk,Kang, Yong-Koo,Bahk, Won-Jong,Rhee, Seung-Koo,Lee, An-Hi,Park, Jeong-Mi,Cho, Hyun-Mi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8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4 No.2

        목적: 단순 혈종으로 오인되어, 진단과 치료가 지연되었던 혈종을 동반한 연부조직 육종 환자들의 증례를 분석하여 그 특성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2월 이후 저자들이 경험하였던 혈종을 동반한 연부조직 육종 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출혈성 경향이나 항응고제 치료를 받은 자는 없었으며, 7예 중 2예에서 경미한 외상력이 있었다. 남자 2예, 여자 5예 이었고 환자들의 평균나이는 39세였다. 추시기간은 평균 58개월 이었다. 자기공명영상 소견과 시행된 치료 및 종양학적 결과를 알아보고 관련 문헌을 고찰하였다. 결과: 최초의 자기공명영상 사진의 후향적 분석에서 근육내 낭종성 종괴의 변연부에 조영제주입 후 조영 증가되는 고형의 결절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혈종 제거시에 조직검사를 시행하지 않은 2예를 포함 3예에서 진단이 1개월 이상 지연되었다. 연부조직 육종 진단 후 4예는 광범위 절제술을, 다른 1예는 대퇴부 절단술을 시행하였으며, 나머지 2예는 광범위 절제술 후 추시 중 국소 재발되어 근위 관절부에서 절단술을 시행하였다. 최종 추시시 지속적 무병생존(CDF)과 무병생존(NED)이 각각 2예씩 이었고, 3예는 질병생존(AWD) 상태였다. 결론: 혈종을 동반한 연부조직 육종 환자에서 진단과 치료의 지연에 따른 불량한 결과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악성 종양일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자기공명영상 소견 등을 주의 깊게 관찰하며 조기에 조직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Purpose: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oft tissue sarcomas presented with hematoma, which were misdiagnosed as simple hematoma initially and the proper management were delayed. Materials and Methods: The 7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proven soft tissue sarcoma with hematoma presented since February 1997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Neither patient had a medical history of bleeding tendency nor anticoagulant therapy. Two of them had minor traumas. There were 2 men and 5 women.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58 months. MRI findings, provided treatments and oncologic outcome were reviewed with the reference of related articles. Results: Retrospective review of initial MR images revealed deep seated intramuscular masses with focal solid enhanced nodules at the peripheral margin. The diagnoses were delayed at least 1 month in 3 of them which included 2 cases of simple hematoma evacuation without biopsy initially. After histologic diagnosis of soft tissue sarcoma, wide resections were performed in 4 cases. one patient underwent above knee amputation and the remained 2 patients were managed with wide resection followed by amputation due to local recurrence. At last follow up there were CDF and NED in 2 cases, respectively and AWD in 3 cases. Conclusion: To avoid the delay of diagnosis and treatment of soft tissue sarcomas presented with hematoma, high degree of clinical suspicion, careful analysis of MR images and early biopsy were important.

      • 연부조직육종 환자에서 $O^6$-MGMT 와 촉진자 과메틸화의 예후적 중요성

        서정탁,김정일,오종석,최경운,Suh, Jeung-Tak,Kim, Jeung-Il,Oh, Jong-Seok,Choi, Kyung-U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9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5 No.1

        서론: $O^6$-methylguanine-DNA methyltransferase (MGMT)는 DNA 염기 손상에 의해 형성된 $O^6$-methylguanine에서 알킬기를 제거하여 DNA 염기 손상을 복구하는 역할을 한다. MGMT의 후생유전적 불활성화가 인체 종양에서 보고되고 있으며, 항암 치료에 대한 저항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부조직육종에서 이러한 MGMT 불활성화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총 62예의 연부조직육종조직에서 메틸화 특이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MGMT 유전자의 촉진자 부위 메틸화 정도를 알아보고,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하여 MGMT 단백 발현의 소실 양상을 살펴보았다. 결과: MGMT 단백 발현 소실은 진행성 병기(p=0.000), 조직학적 고등급(p=0.005), 종양의 재발 또는 전이(p=0.011), 그리고, 낮은 생존률(p=0.017)과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였다. MGMT 유전자 촉진자 부위 메틸화는 조직학적 고등급, 종양의 재발 또는 전이, 그리고, 낮은 생존률과 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MGMT 단백 발현의 소실은 MGMT 유전자 촉진자 부위 과메틸화와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p=0.000). 결론: 본 연구는 MGMT 단백 발현의 소실과 MGMT 유전자 촉진자 부위 과메틸화가 연부조직 육종에서 흔히 발생하며 종양의 공격적인 양상 및 나쁜 예후와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MGMT 단백 발현의 소실은 대개 MGMT 유전자 촉진자 부위 과메틸화로 인해 발생한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Purpose: The DNA repair protein, $O^6$-methylguanine-DNA methyltransferase (MGMT), removes alkyl adducts from the $O^6$ position of guanine. Epigenetic inactivation of MGMT has been found in human neoplasia and considered one of the implicated factors in chemoresistance. Materials and Methods: Sixty-two patiensts with soft tissue sarcomas (STS) were analyzed for the status of MGMT protein expression by immunohistochemistry and the promoter hypermethylation of the MGMT gene using methylation-specific PCR. Result: The loss of MGMT expression was found in 20 cases (32.3%) of total 62 STS. MGMT promoter hypermethylation rate was 25.0% (11/44 cases). The loss of MGMT expression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high AJCC stage, high FNCLCC grade, and aggressive behavior. However,when the group who received chemotherapy was analyzed (n=27), loss of MGMT expression was correlated with worse survival in multivariate analysis (p=0.024). MGMT promoter hypermethylation is associated with high FNCLCC grade. MGMT promoter hypermethylation status had a strong correlation with loss of MGMT expression (p=0.000).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MGMT promoter hypermethylation and loss of MGMT expression had a tendency to be associated with poor prognosis and that loss of MGMT protein expression is frequently occurs via MGMT promoter hypermethylation.

      • KCI등재

        종양 비전문의사를 위한 연부조직 종양의 진단 및 접근 방법

        강현귀(Hyun Guy K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0 No.4

        연부조직 종양은 환자의 나이, 병력청취, 이학적 검사 및 영상의학적 검사를 종합하여 양성과 악성으로 나눌 수 있다. 종양 비전문의사라 하더라도 적어도 악성을 양성으로 잘못 진단하여 치료시기를 놓치는 일이 없도록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지방종, 신경종, 혈관종, 결절종, 낭종들은 흔한 양성종양이며 대체로 크기가 작고 표층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표층에도 발생되는 육종이 있어 양성종양을 영상의학 검사 없이 확신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으므로 가급적 초음파 검사 외에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가장 흔한 악성 연부조직 종양은 지방육종과 미분화 다형육종으로 중년 이후에 주로 발생하며, 소아 연령대에는 횡문근육종, 청년층의 젊은 연령층에는 활막육종이 흔하게 발생한다. 지방종의 자기공명 신호강도는 피하지방층과 균일함을 명심하여 지방억제가 안되는 부분이나 조영증강 부분이 있다면 육종을 의심해 보아야 한다. 결절종이나 낭종은 관절액이나 방광의 소변과 같은 균질한 신호강도인 반면 활막육종이나 액체가 함유된 육종에서는 비균질성 신호강도이며 조영증강 부분이 있다. 수술하게 되면 팔다리 길이 방향으로 절개를 가하고 반드시 병리검사를 보내야 한다. 수술 중 종양의 육안적 소견이 예상진단과 다른 소견이라면 조직검사만 하며, 작고 표층에 위치된 종양은 아예 광범위 절제술을 할 수 있다. 소아연령과 손과 발에 발생하는 연부조직 종양은 확실한 양성 소견이 아니라면 전원하는 것이 좋다. 조직검사상 악성으로 진단되었거나 비계획적 수술이 시행된 경우 상급 의료기관으로 전원할 때 근골격계 종양을 치료하는 전문의사가 있는지 확인하여 환자가 올바른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충분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Soft tissue tumors are classified into benign and malignant on the basis of the patient’s age, medical history, physical examination, pathological and radiologic examination. We have to caution against misdiagnosis of malignant tumor which can delay the treatment time. Lipoma, schwannoma, hemangioma, and ganglion cysts are common benign tumors, usually of small size and are often located in the superficial layer. Although it may be suspected as a benign tumor, performing contrast-enhanced magnetic resonance maging is preferably advantageous. Liposarcoma and undifferentiated pleomorphic sarcoma, the most common malignant soft tissue tumors, usually occur after middle age; rhabdomyosarcoma is usually presented in children and synovial sarcoma often occurs at a younger age. The magnetic resonance (MR) signal intensity of lipoma shows uniformity with subcutaneous fat, sarcoma should be suspected if it has a contrastenhanced and non-fat-suppressed part. The MR signals of ganglion cysts show homogeneous and same signal intensity with joint fluid and urine, while the liquid containing sarcoma, like synovial sarcoma, is characterized by heterogeneous signal intensity and contrast enhancement. If surgery is performed, an incision should be ma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mb and the excised tumor should be sent for pathology analysis. When the macroscopic finding of the tumor during surgery is different from the expected diagnosis, the operation should cease with biopsy only or the small superficial tumor can be excised widely if possible. The transfer should be considered unless you can be sure of a benign tumor in hands and feet of children. When diagnosed as malignant tumors, patients should be provided with sufficient information that can lead them to a musculoskeletal tumor specialist.

      • KCI등재

        초음파 유도하 침 생검을 이용한 연부조직 종양의 진단에 있어 양전자방출 컴퓨터 단층촬영술의 유용성

        전세빈(Se Bin Jun),김정일(Jeung Il Kim),이인숙(In Sook Lee),송유선(You Seon Song),최경운(Kyung Un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2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6 No.5

        목적: 연부조직 종양의 진단을 위해서는 생검이 필요하지만, 육종 등 이질성을 가진 종양들의 특징상 정확한 부위의 채취가 어려워 수술적 개방 생검으로도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초음파 유도하 침생검이 진단율을 올릴 수 있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자기공명 관류영상(magnetic resonance perfusion)에서 발견된 연부조직 종양을 진단하는 데 있어 초음파 유도하 침 생검의 정확도를 평가하고, 양전자방출 컴퓨터 단층촬영술(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PET–CT)의 유용성에 대해 알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4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자기공명 관류영상에서 발견된 연부조직의 종양에 대해 초음파 유도하 침 생검을 시행한 총 152예의 환자들 중 최종 진단을 얻어 초음파 유도하 침 생검의 결과와 비교할 수 있었던 86예에 대해 그 정확도를 후향적으로 평가하였다. 총 86예의 환자를 자기공명 관류영상만을 시행한 50예와 자기공명 관류영상과 PET–CT를 함께 시행한 36예로 나누어 그 정확도를 비교, 분석하여 PET–CT가 초음파 유도하 침 생검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 알고자 하였다. 결과: 총 86예의 환자들 중 자기공명 관류영상만을 시행한 50예 중에서는 34예에서 최종 진단과 초음파 유도하 침 생검의 결과가 일치하였으며, 자기공명 관류영상과 PET–CT를 함께 시행한 36예 중에서는 32예에서 최종 진단과 초음파 유도하 침 생검의 결과가 일치하여 초음파 유도하 침 생검의 정확도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 중 연부 조직 육종만 따로 분류한다면 자기공명 관류영상만을 시행한 12예 중에서 6예에서 최종 진단과 초음파 유도하 침 생검의 결과가 일치하였고 자기공명 관류영상과 PET–CT를 함께 시행한 18예 중에서는 17예에서 최종 진단과 초음파 유도하 침 생검의 결과가 일치하여 마찬가지로 초음파 유도하 침 생검의 정확도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연부조직 종양을 진단함에 있어 초음파 유도하 침 생검은 정확도가 높은 유용한 검사로 알려져 있지만 육종의 경우 이질성이 있어 자기공명 관류영상만으로는 정확한 생검 부위를 설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PET–CT 영상은 이러한 연부조직 종양에서 침 생검 부위를 특정하고 정확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A biopsy is needed to diagnose soft tissue tumors. However,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pinpoint the site of a tumor due to the heterogeneity of sarcomas. Thus, even when an open biopsy is conducted, it is difficult to diagnose a soft tissue tumor. In such cases, an ultrasound (US)-guided biopsy is used to improve the diagnostic accuracy. This study evaluated the accuracy of US-guided biopsy for a diagnosis of soft tissue tumors found initially in a magnetic resonance (MR) perfusion and assessed the availability of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PET–CT) for a diagnosis of soft tissue tumor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14 to December 2018, the US-guided biopsy was performed on 152 patients with a suspected soft tissue tumor found in an MR perfusion and 86 cases were definitively diagnosed with a soft tissue tumor. The accuracy of the US-guided biopsy was assessed retrospectively. Among the 86 cases, only MR perfusion was used before the biopsy in 50 cases, while both MR perfusion and PET–CT was conducted on 36 cases. The accuracy was analyzed to determine if the PET–CT could improve the precision of a biopsy. Results: From 86 cases, 34 out of 50 cases, in which only MR perfusion had been conducted, matched the result of the definitive diagnosis and the US-guided biopsy. 32 out of 36 cases, in which both PET–CT and MR perfusion were conducted, matched the definitive diagnosis and the US-guided biopsy. These result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curacy of US-guided biopsy. In the case of soft tissue sarcomas, 6 out of 12 cases, in which only MR perfusion had been conducted, matched the result of the definitive diagnosis and the US-guided biopsy. 17 out of 18 cases, in which both PET–CT and MR perfusion were conducted, matched the definitive diagnosis. Moreover US-guided biopsy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curacy of US-guided biopsy. Conclusion: In diagnosing soft tissue tumors, a US-guided biopsy is a well-known tool for its high accuracy. However, the heterogeneity of sarcoma makes it difficult to locate the exact site for a biopsy using only MR perfusion. Thus, the use of PET–CT will meaningfully improve the accuracy of a diagnosis by precisely targeting the site for the US-guided biopsy.

      • KCI등재

        사지 연부조직 육종 치료의 최신 지견

        한일규(Ilkyu Han) 대한정형외과학회 202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8 No.6

        사지의 연부조직 육종(soft tissue sarcoma)은 드물지만 100개의 다른 아형이 포함되며 각 아형은 다양한 임상 행동을 보인다. 최근 들어 모든 아형을 동일하게 치료하는 방식에서 조직학적 특성에 따른 치료(histology-specific treatment) 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사지 연부조직 육종의 최신 치료 지견을 세 가지 주요 치료 방법인 수술, 방사선 치료(radiation therapy) 및 화학요법(chemotherapy)에 대해 각각 검토하고, 연부조직 육종에 대해 전문 지식을 가진 여러 과 전문의로 구성된 다학제적 진료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고자 한다. 특히 연부조직 육종의 희귀성과 이질성(heterogeneity)으로 인해 육종 전문 센터에서의 진료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논하고자 한다. An extremity soft tissue sarcoma (STS) is rare and encompasses more than 100 heterogeneous histologic subtypes. Despite the rarity and heterogeneity of STS which complicates the advances in research, attempts are being made to shift from a universal treatment to a more subtype-specific treatment. This review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multidisciplinary management by focusing on the advances of three primary treatment modalities: surgery, radiation, and chemotherapy.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referral to a specialized sarcoma center is discussed.

      • 연부 조직에 발생한 악성 횡문근양 종양 - 증례 보고 -

        이상훈,김한수,오주한,서성욱,이한구,Lee, Sang-Hoon,Kim, Han-Soo,Oh, Joo-Han,Suh, Sung-Wook,Lee, Han-Ko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0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6 No.4

        횡문근양 종양은 주로 소아기의 신장에서 발생하는 신생물로, 침습적인 양상을 보이는 비교적 드문 종양이다. 최근에 신장 외의 다양한 부위에서 발생한 예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연부 조직에 발생한 경우에는 미분화된 횡문근 육종으로 오진되기 쉽다. 횡문근양 종양은 횡문근 육종보다 침습적이고 나쁜 예후를 보이는 종양으로, 횡문근 육종과의 조직학적인 정확한 감별이 필요하며, 면역조직화학 검사가 그 감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저자들은 치골 부위와 하복벽 부위에서 발생한 횡문근양 종양을 경험하여 문헌의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Malignant rhabdoid tumor is a highly aggressive tumor of children, that often arises in the kidney. Some rhabdoid tumors have been reported in various extra-renal location including the central nervous system, liver, skin, and soft tissues. In case of arising in soft tissues, it may be misdiagnosed as rhabdomyosarcoma. It is important to distinguish malignant rabdoid tumor from rhadomyosarcoma, because malignant rhabdoid tumor has more aggressive behavior and poorer survival rate. And this differential diagnosis can be performed by several immunohistochemistry. Here we report a case of malignant rhabdoid tumor that arose in lower abdominal wall with related articles.

      • KCI등재

        체성 연부 조직에 생긴 평활근육종: 1예 보고

        이경지 ( Kyung Ji Lee ),이안희 ( An Hi Lee1 ),김진아 ( Jea Na Kim ),김형민 ( Hyoung Min Kim ),이교영 ( Kyo Young Lee ) 대한임상종양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5 No.2

        체성 연부 조직에 생기는 평활근육종은 매우 드물다. 66세 남자 환자가 방사선 소견상 경계가 좋은 양성 종양이 의심되어 절제술을 시행 받았다. 육안조직소견상 경계가 좋은 둥근 종괴이나, 현미경 소견에서 세포충실도가 증가되고 부분적으로 중증도의 핵이형성을 보였다. 또한 면역조직화학염색상 Smooth muscle actin과 Desmin에 동시에 양성이어 평활근세포 기원으로 생각되었다. 저자들은 괴사가 없고 유사분열은 단 한 개만이 관찰되었으나 중증도의 핵이형성을 보였기에 평활근육종으로 진단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Leiomyosarcoma of somatic soft tissue is a rare tumor compared with retroperitoneal lesion. We report a case of a leiomyosarcoma of the somatic soft tissue in a 66-year-old man. He presented as an enlarging mass in the left thigh for eight months. Radiologic examinations revealed a well defined round mass, suspicious of benign tumor, such as hemangioma or leiomyoma. He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The mass was 3.0 cm in diameter, and it was confined within adductor longus muscle without any connection to adjacent neurovascular bundles. Histologic examination showed moderately cellularity and focal marked atypia with a fascicular growth pattern of spindle cells showing blunt ended nuclei. In addition, the proliferation index was 2~3% by immunohistochemistry using monoclonal antibody MIB-1. But only one definite microscopic mitotic feature was found. Although it showed low mitotic activity without necrosis, this case was diagnosed leiomyosarcoma according to marked cellular atyp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