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기에서의 역할의 인식과 정서 반응 - 인지주의 정서론의 응용을 중심으로 -

        임유영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7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3 No.3

        본 논문은 연기에서의 역할의 인식과정에 대한 중요성을 환기하고 이에 대한 합리적 근거의 틀을 마련하고자 인지주의적 정서론의 입장에서 허구에서의 정서 인식과 반응을 고찰하고 이를 역할의 인식 과정에 활용하는 것을 연구한 것이다. 연기에 있어서 역할에 대한 인식은 역할 창조의 출발점이 된다. 배우는 역할을 인식함으로써 역할의 실재와 마주하여 역할의 삶에 참여하고 비로소 창조의 자극을 얻는다. 즉 배우는 역할을 인식하는 과정을 통해 역할의 삶과 정서를 포착하고 역할의 행위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동기를 제공받는 것이다. 그런데 배우가 역할을 인식하는 과정은 매우 복잡하고 미묘한 것이 사실이다. 왜냐하면 허구의 극 세계에서만 존재하는 인물에 가깝게 다가가 그를 느끼고 상호작용을 통해 역할 창조에 요구되는 적절한 정서와 행위를 이끌어내야 하는 과정은 단순하거나 명료하지만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배우는 역할 창조에 있어 늘 배우 자신과 역할이라는 모호한 경계에서 혼란을 겪는다. 이는 배우가 역할이면서 동시에 자기 자신이기도 한 이중적 정체성을 가지는 연기의 속성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역할을 정확하게 인식하여 역할의 마음과 행동을 불러일으키는 정서의 본질을 파악하는 것은 연기 행위의 전제로써 배우가 자신에서 역할로 전환 되어가는 경로에서의 혼란과 갈등을 해소하고 역할 창조의 체계를 마련하는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인지주의 정서론을 도입 응용하여 배우가 역할의 정서를 이해하고 인식하는 데 대한 적절한 이해와 합리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허구의 인식과 정서 반응의 과정에 대한 적절성과 타당성을 고찰하고 있는 인지주의 정서론은 정서와 허구의 문제를 아울러 다룸으로써 배우가 해소해야 할 문제, 즉 어떻게 허구의 역할을 인식하고 정서 반응을 일으킬 것인가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또한 배우가 ‘역할을 연기하는 자’로서의 자신을 자각하여 역할과의 거리를 효과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오히려 역할의 개별적 특징을 종합적으로 인식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그에 대한 결과로서 역할에 대한 인식 과정을 체계화하여 명확한 역할 인식이 창조의 출발점이며 연기의 기능적 수단으로서도 필수 불가결한 과정임을 논증 하고자 하는 것이다. This thesis is a study based on the theory of perception of emotion and reaction in fiction which adopted the cognitive theory of emotion with respect to how actors perceive fiction in order to create a role, and can capture and embody the life of the role within the fiction. A role is a fictional character which only exists in a play and an actor completes creating a role through acting behaviors such as enacting a character in a play or transforming into a character in a play. In order to embody a role realistically, an actor approaches the role by using various methods such as analysis, intuition, imagination and belief and such perception of a role becomes the beginning point of creating a role. An actor faces the reality of a role through perceiving the role and is engaged in the life of the role and finally derives the stimulus for creation. Perceiving a role correctly and understanding the essence of emotion affecting the role’s mind and action is a very important process which resolves confusion and conflict and builds the system of creating a role in the path of an actor switching from him/herself to the role as the premise of acting behavior.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the perception of a role in acting by providing the frame of rational basis for the process of an actor perceiving a role and forming emotional reaction. This is for making an actor face a role actively and receiving the stimulus for creation within a frame of rational theory. In addition, it intends to demonstrate that clear perception of a role is a beginning point of creating a role and also an essential process as a functional means of acting.

      • KCI등재

        상담역할에 대한 학교사회복지사의 인식과 과제:부산지역 교육복지사를 중심으로

        주석진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8 학교사회복지 Vol.0 No.43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that investigates to the awareness of school social worker for counseling role. For this purpose, I was reviewed for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for the roles and duties of school social workers. and I used the secondary data I collected from the Study on School Social Worker's Job Analysis and roles in 2016,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of counseling role as a role to be performed by school social worker was low, but it was recognized as important. However, it appears that they have difficulty in counseling rol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erception of counseling and counseling roles, counseling was most as recognized as a basic interview for establishing a problem solving support plan for students. And School social workers with this awareness generally positive recognized the role of counseling as a role to be performed. next, they were often perceived as supportive or educational counseling o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ing of students. finally, counseling was the least viewed as psychotherapy to prevent and solve student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s. The school social worker with this awareness negatively recognized the role of counseling as a role to be performed.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only in career experience in the perception of counseling rol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se results show that practitioners with low educational welfare career have a positive perception the role of counseling as a role to be performed as compared with those with high educational welfare career. Based on these results, I suggested the necessity of reconsidering the role of counseling on school social worker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상담역할에 대한 학교사회복지사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직무에 관한 국내․외 문헌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자가 2016년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전담인력 직무분석 및 역할연구에서 수집한 2차 자료를 활용하여 상담역할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사회복지사가 수행해야하는 역할로서 상담역할의 수행빈도는 낮았으나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상담역할에 대해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담과 상담역할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에서는 상담을 학생의 문제해결 지원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면담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이러한 인식을 가진 학교사회복지사는 수행해야하는 역할로서 상담역할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다음으로 학생의 심리․정서적 지원을 위한 지지적 상담 내지 교육적 상담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다. 상담을 학생의 심리․정서적 문제를 예방 및 해결하는 심리치료로 보는 경우가 가장 적었으나 이러한 인식을 가진 학교사회복지사는 수행해야하는 역할로서 상담역할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상담역할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에서는 경력에서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교육복지 경력이 낮은 실무자가 높은 교육복지 경력을 가진 실무자에 비해 수행해야하는 역할로서 상담역할에 대해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학교사회복지사의 상담역할에 대한 재조명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예비초등교사들이 인식한 가정에서의 성역할에 대한 연구: 남녀 인식의 차이검증

        전세경,어성연 한국실과교육학회 2015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der role preception of the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practical arts subject. To meet the goal, a data set drawn from the 810 self-administered survey instrument developed by the authors was collected and analyzed with SPSS 21 in terms of the descriptive and varianc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learly evidenced the gender divide in marital gender role definitions. Male students inclined more toward traditional gender role definition while female students did toward egalitarian gender role definitions. In terms of parenting role definitions, both gender agreed the importance of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and female students showed stronger agreement with the father's involvement than male students. Being a parent valued by both gender. But child birth as a personal choice was strongly hold by female students whereas child birth as the virtue of family reproduction was still remained among the male students. In conclusions, author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is very urgent to enlighten and educate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flexible gender role definition and work-family balanced transi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 초등교사들이 인식한 가정에서의 성역할을 부부 성역할, 부모 성역할 그리고 자녀관으로 세분하여 살펴보고 성별에 의한 인식수준의 차이여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국 8개 교육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810부의 자료가 수집되었고,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부 성역할에서 남녀 교육대학생들의 인식의 괴리가 극명하게 나타났는데, 고정적 성역할태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은 반면에 양성평등적 성역할인식은 여학생집단이 유의하게 높았다. 부모 성역할에 관하여는 남학생들의 인식이 부부간 성역할에 대한 인식보다 훨씬 더 유연해지고 있음을 보여주었으나 여전히 육아에 있어 남성참여에 대한 인식수준은 여학생집단이 남학생보다 유의한 수준에서 높았다. 부모 됨에 관하여 남녀학생 모두 가치 있는 일이라고 응답하고 있었고 사회존속이라는 공적가치관에서는 남녀 유사한 수준의 인식을 보이고 있었으나 사적수준에서의 가계계승에 대한 인식은 여학생집단에서 유의한 수준에서 낮게 나타났다. 자녀의 필요성 역시 여학생보다 남학생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미혼의 교육대학생들 집단에서 남학생과 여학생의 성역할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극명하게 존재함을 보여주었고, 연구자들은 그 괴리를 메울 수 있는 교육적 중재방안으로 유연한 성역할에 대한 인식전환과 의식개혁과 더불어 균형적 일-가정전이를 위한 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의과대학 임상교원의 교육자로서의 역할인식이 직무열의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이영환(Young Hwan Lee),박영순(Young Soon Park),천경희(Kyunghee Chun) 한국교원교육학회 202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8 No.1

        본 연구는 의과대학 임상교원이 지각하는 역할인식과 업무과부하, 직무열의, 직무소진을 알아보고, 교육자로서의 역할인식이 임상의로서의 역할인식과 직무열의 및 직무소진 간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총 143명의 임상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내과계 78명, 외과계 42명, 기타임상의학계 23명의 교원이 참여하였다. 임상교원은 임상의 50.84%, 교육자 29.43%, 연구자 23.26%의 순으로 역할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자의 역할을 연구자 역할보다 높게 지각하는 교원이 53.80%였으며, 연구자 역할을 교육자보다 높게 지각하는 교원이 24.50%, 그리고 동일하다고 보고한 교원은 21.70%였다. 근무연한이 17년 미만인 집단들에 비하여 17년 이상인 집단의 업무과부하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직무소진의 하위요인인 고갈 요인도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교육자로서의 역할인식에 따라 직무과부하에 차이가 있었으며, 고갈도 유의하게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의로서의 역할인식과 직무열의, 직무소진과의 관계에서 교육자로서의 역할인식이 완전매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육자로서의 역할인식이 추가되었을 때 임상교원의 역할인식과 직무소진에 대한 설명력이 6.0에서 14.5%로 증가하고 직무열의에 대한 설명력이 9.2%에서 18.8%로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의과대학 임상교원의 교육자로서의 역할인식을 제고하고 임상교원이 경험하는 직무소진과 직무열의를 보다 적극적으로 탐색하는 지속적 노력이 필요하며, 임상교원을 위한 심리사회적 지원 등을 제공할 수 있는 조직적 지원과 중재 노력 또한 제안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ole awareness and work overload, work engagement, and burnout perceived by clinical faculty, and to find out how role awareness as a medical teacher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awareness as a clinician, work engagement, and burnout A total of 143 clinical faculty members were surveyed, and 78 internal medicine faculty, 42 surgical faculty members, and 23 other clinical faculty members participated. Clinical faculty were found to recognize roles in the order of 50.84% of clinicians, 29.43% of medical teachers, and 23.26% of researchers. 53.80% of faculties perceived the role of medical teacher higher than that of a researcher, 24.50% of faculties perceived the role of researcher higher than that of medical teacher, and 21.70% reported the same. Compared to the group with less than 17 years of the working period, the group with more than 17 years was significantly lower in work overload and exhaustion.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job overload according to role awareness as a medical teacher, and it was found that exhaustion was perceived significantly low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awareness as a clinician, work engagement, and burnout, role awareness as a medical teacher was a completely mediating factor. In particular, when role awareness as a medical teacher was added, the explanatory power increased from 6.0% to 14.5%, and from 9.2% to 18.8%. In conclusion, there is a need for continuous efforts to raise role awareness as clinical teachers and explore job exhaustion and work engagement experienced by clinical teachers. It also proposed systematic support and intervention efforts that can provide psycho-social support for clinical teachers.

      • KCI등재

        여성경찰관의 근무특성에 따른 역할인식차이에 관한 ANOVA분석

        김태곤(Tae-Go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10

        이 연구는 여성경찰관을 대상으로 근무특성에 따른 여성경찰관의 역할인식 차이를 분석하여 수사분야 등 경찰목표달성과 관련된 역할정립을 새로이 하고자 시도하였다. 근무특성은 실무적 차원에서 분석적 의미가 있는 계급과 근무지역, 근무기간 등으로 하였으며, 역할인식은 과업역할과 집단유지역할 그리고 개인역할로 세분하였다. 그 결과 계급별, 근무지역별 집단간 차이는 과업역할과 집단유지역할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계급이 높고 사건 발생율이 많은 지역에서 근무하는 여성경찰관은 과업역할인식과 집단유지역할인식에서 높은 평균값을 나타냈다. 근무기간의 경우에는 근무경력이 장기간인 여성경찰관이 과업역할과 집단유지역할인식에서 높은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분석은 그들이 경찰목표 달성을 위한 범인검거 및 예방등에 대한 강한 과업역할 인식과 조직화합에 대한 높은 집단유지역할 인식을 갖고 있다는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has aimed at establishing of the new administration scheme related to the goal of police like the investigation division through analyses of differences on the role perception of female police officers. In a related matter, work characteristics include ranks, working areas, working priods and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e role perception of female police officers are composed of 3 items like task role, group maintenance role and individual role. As a result, the differences by ranks, working areas, working priods that were analyzed by using one-way ANOV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ach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emale police officers whose ranks were higher, who had been employed longer, and whose working areas were places where the cases occurred a lot more showed great point in mean value not only on task role but also on group maintenance role.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s a direction to achieve the best efficacy of police duties such as a criminal investigation, the prevention of crime and presents an useful indication to redefine the role.

      • KCI등재

        보육교사의 역할수행 관련 정의적 특성에 관한 연구

        박성애,박수진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public childcare center and the private childcare center teacher group on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job engagement, creative job performance, perceived in-role behavior, organizational perceived teacher support) related to the job performance of childcare teache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228 childcare teachers of public and private childcare centers working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The frequency of personal 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s was analyzed and the chi-square tes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among background variables of each childcare center.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and research variables was analyzed and t-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f teachers in terms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such as self-efficacy, job engagement, perceived in-role behavior, creative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perceived teacher support. As a result, the self-efficacy, perceived in-role behavior, creative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perceived teacher support related to the role job performance of child care teachers were found to be correlated with the public center and the private center. Especially,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job performance was the highest in the public center, and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creative job performance was the highest in private center. Also, in the difference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role performance of the child care teacher, the job performance,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perceived teacher support of the private center teachers are higher than those of the national center teachers. With responsibility and enthusiasm they recognized that they were doing better. Therefore, this study helps to understand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child care teacher's job performance, recognizes the contribution and effort of childcare teachers, and suggests that improvement and effort are needed for the welfare and stable life of the staff.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역할수행과 관련된 정의적 특성(자기효능감, 직무열의, 창의적 역할수행, 역할수행 인식, 조직 지원 인식)에 관하여 국공립 어린이집과 민간어린이집 교사 집단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을위하여 서울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22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보육교사의 개인 변인의 특성은 빈도분석을 하였고, 어린이집별 배경 변인들 간의 연관성을알아보기 위하여 카이제곱 검증을 실시하였다. 개인 변인과 연구 변인간의 관계는 상관분석을 하였으며, 자기효능감, 직무열의, 창의적 역할수행, 역할수행 인식, 조직 지원 인식 등 정의적 특성에 대하여 두 교사 집단의 차이를 알아보기위하여 t-test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보육교사의 역할수행 관련 정의적 특성인 자기효능감, 창의적 역할수행, 역할수행인식, 조직 지원 인식은 국공립어린이집과 민간어린이집 모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공립어린이집에서는 자기효능감과 역할수행 인식 간의 상관이 가장 높았으며, 민간어린이집에서는 자기효능감과 창의적 역할수행간의 상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보육교사의 역할수행 관련 정의적 특성의 차이에서는 민간어린이집교사의 직무열의, 역할수행 인식, 조직 지원 인식이 국공립어린이집 교사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즉 민간어린이집교사가 자신의 업무와 자신에게 기대하는 중요한 역할에 있어 국공립어린이집 교사보다 책임감과 열의를 가지고수행한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역할수행 관련 정의적 특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주며, 보육교사들의 공헌과 노력을 인정해 주고, 교직원들의 복지와 안정적인 생활을 위해 개선과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영아교사와 유아교사 역할수행에 관한 보육교사의 인식 차이

        심영회 ( Young Hee Sim ),성소영 ( So Young Su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3 아동교육 Vol.22 No.2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영아교사와 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보육교사의 개인변인(학력, 영아반/유아반 교육 경력)에 따라 영아교사와 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관한 인식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D시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375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영아교사와 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관한 보육교사의 인식에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을 하였고 보육교사의 개인변인(학력과 영아반 경력과 유아반 경력)에 따라 영아교사와 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으로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영아교사와 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보육교사의 학력에 따라 교사 역할수행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전문대졸 이하 학력의 보육교사에 비해 대졸 이상의 보육교사가 영아교사와 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영아반 경력에 따라 영아교사와 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관한 인식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보육교사의 유아반 경력에 따라 영아교사와 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관한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영아교사와 유아교사간의 인식의 차이를 근거로 영유아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여 교사로서의 역할수행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 모색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eachers` perceptions about infant and preschool teachers` role-performance according to individual variables (level of education, teaching care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75 child care teachers form public, private, and home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D city.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a paired t-test of the differences of teachers` perceptions about infant teachers` and preschool teachers` role-performance and a repeated measures ANOVA was used to obtain the differences of teachers` perceptions about infant and preschool teachers` role-performance according to the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between the role-performance of infant and preschooler teachers existed.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of role-performance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 Perceptions of child care teachers who were university graduates were higher than those who were college graduates or who had lower levels of education. Thir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in terms of infant and preschool teachers` role-performance. Fourth, in terms of role-performa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of the preschool teacher. To conclude, results form this study indicate that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should try to seek ways to increase perceptions of teacher`s role-performance as one consider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 KCI등재

        학교 과학실험활동의 역할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김자현 ( Kim Ja-hyeun ),김효남 ( Kim Hyo-nam ),양일호 ( Yang Il-ho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0 교사교육연구 Vol.5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문헌연구를 통해 도출한 학교 과학실험활동의 역할에 대해 초등학교 교사가 가지고 있는 실제 인식을 분석하여 교사의 인식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면담지를 개발하고,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면담 자료를 수집한 후 분석하였다. 면담은 부산광역시 소재 공립 초등학교에서 2018년도에 과학 교과를 지도하는 교사 9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과학실험활동의 역할 전반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보편적 인식을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 교사들은 주로 학교 과학실험활동의 역할 중 ‘과학에 대한 태도 증진,’ ‘과학적 탐구 방법 학습’ 역할을 중요하다고 인식하였고, 이에 비해 ‘과학의 본성 이해’ 역할은 이해도가 낮아 중요하지 않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실제 실험활동 사례에서의 과학실험활동의 역할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실천적 인식을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 교사들은 주로 실험활동에 따라 적절한 학교 과학실험활동의 역할을 선택해야 하며, 자신이 선택한 역할을 학생들에게 안내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사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특정 실험수업 상황에 따라 어떤 역할을 중점으로 두는 것이 의미가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인식하였다. 그리고 학교 과학실험활동의 역할을 잘 고려하여 지도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소양이 중요함을 인식하였다. 직전과 직후 교사교육을 할 때 과학실험활동의 역할과 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같은 새로운 연구결과를 반영하여야 한다. 시대가 변함에 따라 중점적으로 추구하여야 할 과학교육의 목표도 변하고, 이에 따라 교사교육내용과 방법도 달라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ctual cogni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the rank of role of science practical work at school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view. For this purpose, an interview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teachers who taught science in 2018 at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Pusa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well aware of two roles, enhancing of attitude toward science and learning of scientific inquiry methods, but were not fully aware of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Seco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ually recognized that they had to choose the appropriate role of science practical work at school in accordance with science practical work, and that they need to guide students to know the chosen role. Specifically, they recognized which role is meaningful according to science practical work situations. In addition, they recognized that teacher's understanding the role of science practical work is important. Teacher education should consider teacher’s recognition about the role of science practical work. According to passing the time science education objectives are changed. Therefore the contents and the methods of teacher education should be refreshed and changed.

      • KCI등재

        영유아 어머니의 부모역할 인식과 부모교육 필요성이 부모교육 요구도에 미치는 영향

        조원주(Wonju Jo),정수진(Sujin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6

        목적 본 연구는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교육 실태와 부모역할 인식, 부모교육 필요성 및 부모교육 요구도에 대한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보고, 이들 변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부모역할 인식과 부모교육 필요성 인식이 부모교육 요구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경남지역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조사연구로 2023년 4월 3일부터 4월 21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여 설문지 239부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피어슨의 적률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어머니의 부모역할 인식, 부모교육 필요성 인식, 부모교육 요구도는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역할 인식, 부모교육 필요성 인식, 부모교육 요구도는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교육 요구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부모교육 필요성 인식이었으며, 다음으로는 부모역할 인식의 하위요인 중 부모역할과 다른 역할 간의 균형감으로 나타났다. 결론 부모교육 요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부모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부모역할과 다른 역할 간의 균형감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부모교육 확대가 필요하며, 부모교육 필요성 인식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접근의 연구가 요구된다.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e of parental education for mothers of young children. It examines the general tendency of the parental role perception, the necessity of parental education, and the demand for parent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analyze the effect of parental role perception and the perceived necessity of parental education on the demand for parental education. Methods This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on mothers with young children in Gyeongnam, and data was collected from April 3 and April 21, 2023, and 239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7.0 program,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Results First, mothers' parental role perception, necessity of parental education, and demand for parental education were found to be at a high level overall.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role perception, the necessity of parental education, and demand for parental education. Third, the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demand for parental education was the necessity of parental education, followed by a sense of balance between the parental role and other roles among the sub-factors of the parental role perception. Conclusions In order to increase the demand for parental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parental education and the balance the parental role and other roles. To this end,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parental education program, and to conduct parental education. Research is required on various approaches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parental education.

      • KCI등재

        복지국가 젠더격차와 성역할 인식 차이의 관계에 대한 비교연구

        류연규 ( Yun Kyu Ryu ),김영미 ( Young Mi Kim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2 사회복지정책 Vol.39 No.4

        이 연구는 신제도주의 이론에서 제시하는 행위자의 선호와 제도의 관계에 관한 논의를 따라 복지국가의 젠더격차, 정책 특성과 성역할 인식 차이의 관계를 규명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복지국가의 젠더 관련 ‘구조’와 ‘행위자 인식’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정책 변수 중 현금급여 지출은 성역할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데 반해, 서비스 지출은 성역할 인식 변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젠더격차 지수 들은 각각 전통적 성역할 인식을 완화하는데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전통적 성역할 인식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대표성을 높이고, 여성에게 권력 배분이 더 많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정책을 실시해야 한다는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는 신제도주의 이론에서 논의되었던 개인의 선호와 인식을 형성 제약 변화시키는 제도의 영향이 성역할 인식에서도 나타난다는 것을 가족정책, 젠더격차와 성역할 인식의 관계를 통해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그리고 보다 평등한 성역할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서비스 중심의 돌봄을 사회화하는 정책과 전반적인 젠더격차를 해소하는 정책, 특히 여성의 대표성을 강화하는 제도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전통적성역할 인식의 완화, 그 중에서도 성별 분업 해소는 여성경제활동참여율이 다른 OECD 국가들에 비해 현저히 낮은 우리나라 현실에서 그 동안 도입, 추진되었던 일가족양립정책들의 실효성을 높이는 데 반드시 필요한 조건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mechanism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policies(institutions) and gender role attitudes(behavior or preference) in view of institutionalism. T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elated structure and perceptions is empirically analyzed. As for the social polici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f cash expenditure on the gender role attitudes, however, service expenditure affected gender role attitudes. Indexes of the gender differenc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gender role attitudes. It is necessary to make and implement the policies to increase the representativeness of women and to empower women in order to progress the gender role attitudes. And the policies to socialize the care by services is needed to liberalize the gender role attitude. The theoretical implication is that it is empirically investigated that the effects of institutions to construct, constrain and change individual perception (in Institutionalism) were discovered in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 policies, gender difference and gender role attitud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