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자 전통 한복과 현대 한복에 표현된 조형 요소의 기호학적 분석-조선시대와 현대의 한복을 중심으로-

        배리듬 한국동양예술학회 2023 동양예술 Vol.61 No.-

        한복(韓服)은 서양에서 들어온 복식을 의미하는 양복(洋服)과 구분되는 단어로 사용되기 시작하여 현재까지 우리 민족의 전통복식을 의미하는 단어로 쓰이고 있다. 한국 전통복식은 본래의 의미 이외에 한복의 형태에 변화를 주어 기능적인 측면을 강조한 생활한복, 서양복식의 조형적 요소와 혼합된 형태의 퓨전한복 등 다양한 형태와 의미가 추가되면서 지속적으로 변화와 발전을 겪어왔다. 그리고 최근에는 한국 전통복식이 가진 본래의 의미에 현대인들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가치관이 반영된 새로운 형태의 신(新)한복이 등장하였다. 신한복은 정부의 제도적인 변화와 일반인들의 자체적인 인식 변화를 포함한 수많은 노력에 의해 정의될 수 있었고, 많은 이들에게 긍정적인 이미지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전통적인 형태의 한복에서 많은 부분이 변화한 현대 한복에 대해 부정적인 시선을 갖는 이들이 생겨나기도 하였다. 한편, 인간이 의식을 갖고 의사소통을 시작하면서 ‘기호’는 가장 필수적인 표현 및 전달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오늘날 기호학이라는 학문이 유행하고 있다. 우리 주변 모든 것은 기호로 구성되어 있으며, 복식 또한 수많은 기호들의 조합을 통해 현 세대의 다양한 의사를 전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조형적, 상징적 측면에서 많은 논란이 되고 있는 현대 한복을 기호학적 접근 방법을 기준으로 적용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 현대 한복의 조형적 요소 분석에 기호학을 적용시키는 것은 디자인 분석 시 직관과 체험, 선입견 등의 주관적인 기준에 의해 분석의 한계에 부딪히거나 편견과 오류에 치우칠 수 있다는 우려에 의한 것으로, 이를 의도적으로 검토하고 인공적으로 조작하는 과정을 통해 기호의 의미작용과 의미의 창출과정을 객관적으로 고찰할 수 있게 해줄 기준이 될 것이라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사례분석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기호학의 의미와 개념, 한국 전통복식에 표현된 상징성에 대한 내용을 고찰하였으며, 사례분석을 통해 여자 전통 한복과 현대 한복에 표현된 기호화 사례를 분석하였다. 한국 전통 한복과 현대 한복에 나타난 기호의 비교분석은 기호학의 직접적인 기원을 이루고 있는 소쉬르(F.Saussure)의 기호학 이론 개념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전통 한복과 현대 한복에 표현된 조형 요소에 기호학을 적용하여 비교 분석 함으로서 현대 한복의 조형과 상징 분석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전통복식의 색상은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을 기본으로 한 개념이다. 한국 전통복식의 문양은 조선시대의 기본 사상인 유교사상을 토대로 한 것이다. 한국 전통복식의 형태는 복식 착용자의 사상, 철학, 인생관, 우주관 등을 복식에 표현한 것이다. 둘째, 여자 전통 한복에 표현된 형태의 기호화 사례에는 단속곳, 허리 치마, 당코깃 당의, 쓰개용 장옷이 있다. 소재의 기호화 사례에는 십장색문, 도류불수문, 석류문, 봉황문 등의 무늬가 있다. 색채의 기호화 사례에는 색동 저고리, 원삼이 있다. 셋째, 여자 현대 한복에 표현된 형태의 기호화 사례에는 남녀공용복식 형태 혼합, 철릭 원피스, 복식 착용 방법과 위치의 다양화 등이 있다. 소재의 기호화 사례에는 신소재 활용디자인, 레이스 활용 디자인, 단청문, 쌍학문 등을 활용한 디자인 등이...

      • KCI등재

        2000~2015년 한복 구성요소 변화연구 - 인터넷신문에 나타난 여자한복 이미지 중심으로 -

        이춘희 ( Lee Choon-hee ),한정민 ( Han Jung-min ),강혜승 ( Kang Hae-seu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0 No.-

        2000년 이후 정부의 한복진흥정책과 맞물려 여자한복은 발전 및 변화하였다. 본 연구는 한복산업 활성화, 세계화 도약을 위해 2000년부터 2015년까지 여자 저고리와 치마 중심으로 구성요소 변화를 연구하고자 16년간 인터넷 신문에 나타난 한복 이미지를 파악하여 분석대상 이미지 660점을 추출하였다. 전통한복 중 저고리를 구성하는 길, 깃, 동정, 소매 등과 치마를 구성하는 말기, 폭, 끈 등의 구성요소가 제거되거나 축소 또는 확대되어 변화된 한복을 모던한복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모던한복 구성요소를 분석하여 한복 유형을 구분하고, 구성요소의 변화와 유형 경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위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질적 조사를 하였으며, 유형을 보수적 모던형과 진보적 모던형 두 가지로 구분하였고, 시기를 3기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미지 분석결과 구성요소 크기변화와 제거는 다른 요소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요소를 대체하는 경우와 전통한복을 재해석한 사례가 나타났다. 저고리의 세부적 변화는 길이와 깃, 소매길이와 치마는 주름이 보수적 구성요소의 활용이 강화되었고, 저고리의 패턴 및 암홀과 치마의 길이 및 폭은 진보적 구성요소 활용이 강화되었다. 유형 경향 분석결과 저고리와 치마의 유형은 진보형와 보수형이 서로 교차되어 변화 되었고, 상호 연관성이 있게 조화를 이루며 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모던한복 저고리와 치마 구성요소 세부항목별 빈도를 분석하고, 구성요소 변화 특징을 밝혔다. 저고리와 치마의 유형 경향을 시기별로 분석하여 상호연관성을 조명하였다. 2000년 이후 연구 자료가 부족한 시기를 선택하여 시기별 유형 경향을 분석하여 저고리와 치마 유형의 상호 연관성을 조명 한 것에 의의를 둔다. Along with Korean government`s Han-bok Promotion Policy, women`s han-bok developed and changed after year 2000. For han-bok industry`s vitalization and leap to global industry, this study analyzed and extracted 660 images of han-bok to study the changes of components of women`s jeogori and skirt from 2000 to 2015 of Internet newspapers For han-bok industry`s vitalization and leap to global industry, this study analyzed and extracted 660 images of han-bok to study the changes of components of women`s jeogori and skirt from 2000 to 2015 of Internet newspapers. The han-bok which has changes in length of jeogori, collar of jeogori, dongjeong, sleeves that comprise jeogori and malgi that comprise skits was classified as modern han-bo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the types of han-bok and discover the changes and trend of component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above, the qualitative survey was conducted by a group of experts. The survey was classified into two types, conservative modern type and progressive modern type. The research was divided into three phases. The result of image analysis shows that the component size variation of han-bok influences on other components, and substitution and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han-bok was shown. The changes of jeogori are length and collar, length of the sleeves and the crease of the skirts showed increase in conservative use of the component. And, pattern of jeogori, armhole, and the length of the skirt showed increase in progressive use of the components. As the result of the trend analysis, it was shown that the changes of conservative type and progressive type of jeogori and skirts intersect with each other. This study analyzed frequency of modern han-bok`s jeogori and skirt components and This study analyzed trends of jeogori and skirt and traced the correlation between trends of them. This study gives significance in showing correlation of jeogori and skirt after 2000, which is the period that lacks data.

      • KCI등재

        여자한복 변화에 따른 현대 수의디자인 개발-여자 수의 저고리, 치마, 속옷 연구를 중심으로-

        이춘희,강혜승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6

        한복은 한반도의 역사와 문화, 민족성, 한 민족 고유의 얼이 담긴 전통 의복이다. 한복은 평면적인 재단으로 구성되었고, 저고리에는 섶, 깃, 고름을 달고, 치마에는 주름을 잡고, 속옷을 받쳐 입음으로 입체적인 옷이 된다. 이러한 한복에 기초하여 전통적인 수의가 만들어 졌다. 현대인들은 수의를 선택할 때 전통적인 옛것을 고수하고, 수의 재질도 삼베를 선호 한다. 그러나 국내에서 재배되는 삼베는 드물고 고가이며, 제작되어 판매되고 있는 수의도 전통 수의형태가 변형된 실정이다. 대부분 사람들이 이러한 수의를 선택하는 이유는 수의 디자인의 개발의 부족과 수의에 대한 바른 인식의 부재에 있음으로, 연구자는 여자 옷을 중심으로 한복의 변화에 따른 수의 디자인 개발을 주제로 연구 목적을 설정했다. 첫째, 조선시대부터 현대까지 여자 한복의 변화를 분석하여 현대 한복의 착용이 간소화 된 것과 같이 수의 품목을 간소화하는 것이다. 둘째, 생활한복 디자인을 분석하여 기존 수의보다 제작 방법이 용이하고 입히기 쉬운 수의디자인을 개발하고 실제 완성된 수의 작품을 제시하는 것이다. 수의는 염과 습에 사용되는 물품을 포함하나 본 연구는 저고리와 치마, 속옷으로 한정시켜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수의 재질은 거친 삼베가 아닌 구하기 쉬운 천연소재의 원단을 사용하였고, 여자 현대수의를 상의, 하의, 속옷으로 구분하여 개발하였으며, 작게는 25벌에서 많게는 100벌까지 착장을 제안하여, 현대 수의가 장례의식에서 고인을 보다 편안하고, 고인의 모습이 가족들에게 아름답게 기억될 수 있도록 다양하고 체계적인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향후 연구의 과제는 본 연구에서 검토하지 못한 여자수의겉옷 디자인의 개발이다. 소재, 색상 등 보다 현실적인 패턴으로 다양화한 디자인의 후속 연구를 기대한다. Korean traditional dress, Han-Bok, contains history of Korea along with national characteristics and soul of Korean people. The composition of Han-Bok is two-dimensional with its straight cuts but as a gusset and a collar are added to Jeogori (the upper garment of Korean traditional dress) and by wearing underclothes to plaited skirt, Han-Bok becomes three-dimensional.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of Han-Bok, traditional shrouds are made. Nowadays, when people are choosing shrouds, they try to maintain traditional shrouds and they prefer hemp cloth for shrouds. However, hemp cloths are rare and expensive, and the shrouds that are manufactured and sold are modified from the traditional designs. The reason most of the people choose those shrouds is in lack of effort to disseminate shroud designs and lack of correct understanding of shrouds. Therefore, researcher set the purpose of the study to develop shroud designs that is appropriate and that suits for modern days. First, by analyzing the changes of the design of women’s Han-Bok from Joseon Dynasty to modern days, simplify the items of shrouds as reformed Han-Bok were simplified. Second, by analyzing designs of reformed Han-Bok, develop simple shroud designs and actually present complete form of those shrouds. Shrouds include all the items that are needed for cleaning and shrouding corpses, but this study puts its boundaries to Jeogori, skirt, and underskirt in development the shroud designs. This study suggests that instead of using hemp cloth, which is ruff to wear, use cloths that are made of natural materials, simplify the items for shrouds so it would be easier to make and wear the shrouds. This study develops women’s modern shrouds by developing Jeogori’s, skirts, underskirts, and underpants separately, which makes 25 to 100 possible designs of shrouds. In suggesting various and systematic modern shroud designs, the ones who are departed would be comfortable and beautifully remembered by their families

      • KCI등재

        근대 가정학 교육자 손정규(孫貞圭)와 1925년에발간된 『신편재봉참고서(新編裁縫參考書)』 연구

        이경미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24 한국 복식 Vol.0 No.51

        본 연구는 근대 이후 한복의 연구와 교육이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1925년에 발간된 신편재봉참고서(新編裁縫參考書) 와 저자 손정규에 주목하였다. 손정규는 1896년에 출생하여 우리나라 최초의 관립 여자교육기관인 한성고등여학교에 입학, 1회로 졸업한 다음 일본 동경여자고등사범학교 가정과에 유학했으며 이후 평생 가정학 분야의 연구 및 교육에 종사한 인물이다. 일제강점기에는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에서 교원으로 일했고, 해방 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과 교수를 역임하였다. 1925년 신편재봉참고서 를 발간한 이래 1950년 납북 전까지 여러 권의 재봉교과서를 저술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첫째, 손정규의 생애와 재봉교과서 발간에 대한 고찰, 둘째, 1925년에 발간된 신편재봉참고서 의 목차소개, 셋째, 1935년에 재판된 조선재봉참고서 와 1948년에 한글로 번역 발간된 조선재봉 과의 간단한 비교이다. 신편재봉참고서 는 일본어로 저술되어 조선총독부에서 허가한 교과서였다. 1권의 내용은 조선의 보통 의복, 2권의 내용은 서양의 보통 의복을 주로 다루었는데 일부 복식의 고유명사는 한글로 표기하여 이해를 도왔다. 이 책은 한국인이 쓴 최초의 재봉교과서로 한복 구성 교육을 체계화하고 근대화하는데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근대 한복 구성의 연구사 및 교육사를 정리하는데 기여할 것으로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hanbok research and education sincemodern times,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publication of the “New Compilation Sewing ReferenceBook” in 1925 and its author, Son Jeong-gyu. Son, born in 1896, was a key figure who dedicated hislife to the study and education of home economics. After graduating from Hansung Girls' middle School,the first government-run female educational institution in the Daehan Empire, she pursued furtherstudies in home economics at Tokyo Women's Higher College of Education in Japan. During theJapanese occupation, she worked as a teacher at Gyeongseong Girls' middle School, and afterliberation, she served as a professor at College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pecializingin home economics. Since the publication of the first sewing textbook in Korea, the “New CompilationSewing Reference Book” in 1925, Son authored several sewing textbooks until 1950. The contents of this study include an examination of Son Jeong-gyu’s life and his contributions tosewing textbook publications, an introduction to the table of contents of the “New Compilation SewingReference Book” published in 1925, and a brief comparison with other editions such as the “JoseonSewing Reference Book” published in 1935 and the “Joseon Sewing” translated and published inKorean in 1948. The “New Compilation Sewing Reference Book” was written in Japanese and approvedby the colonial government as a textbook. While the first volume mainly covered traditional Koreanclothing, and the second volume focused on Western clothing, some specific terms were translated intoKorean to help comprehension. This book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systematizing and modernizinghanbok education as the first sewing textbook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contribute to organizing the history of modern hanbok research and education.

      • KCI등재

        한ㆍ일 복식의 비교 연구 (1)

        소황옥(Soh Whang-oak) 비교민속학회 2004 비교민속학 Vol.0 No.26

        A desirable understanding of a costume could be gotten through studying the history in parallel with mutual relation with neighboring nations. On the contrary, a comparative study of costumes could throw light on the history. Our culture of stone and bronze age as well as shamanism had been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northern nomadic tribes and iron civilization was introduced from China, And yet, our ancestors had remade the foreign things into peculiar to be suitable for their feeling and circumstances. Around the 3rd century of B.C. collective immigrants from Korea had given birth to the Yayoi culture in Japan, since then Japanese began farming and weaving for the first times. The former of Yayoi, Jyomong era is characterized as the age of primitive gathering economy. There are too wide gab between two civilizations to say that Jyomong had been developed into Yayoi for Japanese themselves. And remains of the Yayoi era were very similar to ours. We can draw a conclusion that our advanced civilization should be transmitted to Japan. Moreover, Buddhism, ancient tomb building technique and an etc. in the age of the Three Kingdoms had been brought to Japan in the Tumults era. That is evidenced by several relies excavated from the ancient tombs. Haniwa (an earthen doll) and mural paintings among the remains, especially, say that our ancient costume had great influence on the Japanese. Their jacket, trousers, belt, skirt and shoes as well were similar to ours. Original Japanese dress style was a tunic style, which had been altered into Hobok style-jacket and trousers-through the influence of our costume since Yayoi era. But after Japanese had made their own costume, based on the T'ang and Korean costume. I hope this study be made very actively. So we have to take a pride in our tradition, while we should admit Japanese culture has had its own peculiality and good points. Such a sound cultural view will be a base of a fine culture.

      • KCI등재

        한복바지와 트왈드주이 기법을 활용한 신한복 여자 바지 디자인 개발(Ⅱ)

        임린 한복문화학회 2023 韓服文化 Vol.26 No.3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designs of new Hanbok women's pants by applying traditional Korean pants and the toile de Jouy expression. In terms of study method, theoretical research was conducted on Korean traditional Hanbok pants and toile de Jouy. New Hanbok women's pants reflecting the Korean image were designed, and virtual clothing was implemented. As a result, five designs of new hanbok women's pants were developed, details of which are as follows. First, the literature review derived the following design motifs for men's pants with traditional hanbok's hemline decoration, Sapok-baji, women's Sokbaji, Dan-sokgot, Salchang-gojaeng-yi, Neo-reun-baji, Malgun, and Pungcha-baji. Second, two patterns of toile de Jouy were developed with the Joseon Dynasty and Korean women's themes by the harmony of characters and surroundings, delicate drawings, story development, simple arrangement of colors, and motif arrangement. Third, six new hanbok women's pants designs were implemented through CLO 3D program-based virtual clothing. Design 1 used Neo-reun-baji as a motif and chambray fabric. It comprises a waistband, waist gathers, a side opening, and a belt. Design 2 brought up the image of women's Sokbaji, and broadcloth was used to make it look casual. Design 3 used Pungcha-baji as a motif and is a jumpsuit with short pants. The ankle bands, which used to tie the bottom of the hemline of men's pants, wer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short pants to make the design look cute. Design 4 contained the components of Dan-sokgot and Salchang-gojaeng-yi and shoulder straps looking like suspenders, used denim fabric, and decorated with a wave pattern. Design 5 used Malgun as a motif with sateen fabric, showing a fullness silhouette. It features belt-tightening, crotch, and pintuck. The patterns of toile de Jouy were applied to all five designs of new Hanbok women's pants.

      • KCI등재

        현대 여자 한복에 나타난 전통 색상의 변화에 관한 연구

        박은주 복식문화학회 2022 服飾文化硏究 Vol.30 No.5

        Modern Hanbok tends to use new colors based on traditional colors and their symbolic meanings.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colors, various expressions have been increase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lor and color trend used in modern clothing. This study focused on the period 2011–2020 and analyzed the main color and coloring method of top and skirt by year with 450 data from a total of 81 wedding magazines.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olors during the target period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color of the Jeogori showed a distribution of various colors in the first half, but the main color of the skirt concentrated on black, white and light pink in the second half. Second, while the use of blue and green systems decreased, Dang-ui color changed to warm yellow, green, and red systems. The Baeja used plain dark white in the first half; however in the latter half, they changed to white or accented colors. The one-piece used various colors in the first half, but only black and white appeared in the second half. Third, in the upper and lower colors of Hanbok, the blue-red color, the traditional contrast color of the first half,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second half. The appearance rate of proximity for the complementary color harmony of white-red color and the adjacent color harmony of white-blue increased.

      • KCI등재

        여성 생활한복을 위한 디자인 개발

        전정희,조오순 한국의류학회 2001 한국의류학회지 Vol.25 No.8

        Textil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design for activation of women s hanbok focused on functionality and convenience as well as on keeping the traditional beauty, and then to produce them. As a result of these explorations, I have reached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the transformation of jackets and skirts are mainly limited to partial change in elements of the dress design-width and length of a jacket string and the upper strip on the outside of a jacket, change in width, and granting of symbolic meaning. Second, aesthetic features and' formative beauty of traditional hanbok that the harmonization of mainstream colors and highlighting colors and curved silhouettes evoke were mental by-products created as our people wished to become friendly to and to harmonize with nature. Third, grounded upon study of lines form and survey on brands, I have developed designs that maintain hanbok' superiority and at the same time incorporate functionality and convenience to fit modem life. I believe that the outcome of these explorations will contribute greatly to carrying the traditional beauty of Korean dresses to the maximun, and to developing and popularizing functional and practical living-fitted Korean dresses.

      • KCI등재
      • KCI등재

        근대 유물을 통하여 본 여자한복의 전통색

        조우현(Woo Hyun Cho),이호정(Ho Jung Lee) 한국복식학회 2012 服飾 Vol.62 No.8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women`s Hanbok fashion in the modern Korea by investigating the features of colors and color arrangements of remaining relics. The summary of findings from the researches and analysis from over 1840 pieces of Hanbok relics in modern Korea are as follows: First, since western-style cloth were introduced and utilized for Hanbok from 1960, the number of colors have drastically increased. However, the most commonly used colors and parts throughout all the periods remained the same. These are Y, R and white colors for Jeogori and Y, R and PB colors for Chima. And, as for the representative color of each of the six periods, significant changes of color were found Jeogori in the 1960~1970s. While no clear color changes were found in the period prior to the 1960s and after the 1980s. Secondly, as for the color tones, although the high luminosity-low chroma were generally used over the periods, it was observed that various colors of low luminosity-high chroma began to be used from 1960 and so Jeogori became more colorful. And lastly, Y and white color were taking up the highest percentage in the solid color arrangement. When composing 2 colors, the Y tone color dominants with R tone as sub-color was the most prevalent, and when 3 and 4 colors were combined, the extra color were increasingly seen in the upper garment cuff and collar so that the arrangement of different colors increased the aesthetic symbols when combined with the colors of the Chi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