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정서표현성,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준아(Han, Jun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3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정서표현성,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의 관계가 어떠한지,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정서표현성,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여,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긍정적으로 증진할 수 있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하는 3∼5세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 114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정서표현성, 양육스트레스, 양육행 동에 대한 평정은 어머니 보고로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내적 합치도, 각 변인에 대한 기술적 통계치,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자아존중 감, 정서표현성, 양육스트레스 각각은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상관을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정서표현성,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 인은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성,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부정적 정서표현성 순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행동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성, 양육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순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과보호 양육행동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이며 어머니의 일관적 양육행동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성, 긍정적 정서표현성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은 애정적, 일관적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은 애정적, 거부적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어머니가 지각하는 양육스트레스는 거부적, 과보호적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of parenting behavior of preschooler s mother with mother s self-esteem,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ther s self-esteem,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o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The participants were 114 mothers of preschoolers from four day care center and one kindergarten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Mothers completed rating scales to measure their parenting behavior, self-esteem,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arenting stres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mother s self-esteem,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2)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maternal expressiveness, mother s self-esteem explaine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of warmth. Maternal negative expressiveness, maternal parenting stress, mother s low self-esteem explaine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of rejection. Maternal parenting stress explaine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of overprotection. Maternal expressiveness explaine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of consistency.

      • KCI등재

        아버지 양육참여와 부모-교사 협력이 어머니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지원,안선희,이슬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aternal involvement in parenting and parent-teacher partnership o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of a 5-year-old. Methods This study consisted of a total of 132 mothers of 5-year-old attending early child care center or kindergarten. Paternal involvement in parenting, parent-teacher partnership,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were measur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6.0. Results First, maternal parenting behavior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aternal involvement in parenting and parent-teacher partnership. Mother's intervention and coercive parenting behavior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only with the paternal involvement in parenting. Second, it was found that paternal involvement in parenting and parent-teacher partnership had an effect o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paternal involvement in parenting had more influence o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than partnership with teachers.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provided basic data for a study to help maternal positive parenting behavior by examining the effects of teacher-mother partnership and paternal involvement in parenting o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목적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를 둔 어머니 양육행동에 아버지 양육참여와 부모-교사 협력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만 5세 유아의 어머니 총 1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아버지 양육참여, 부모-교사 협력, 어머니 양육행동을 측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6.0으로 분석하였다. 어머니 양육행동과 아버지 양육참여, 부모-교사 협력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아버지 양육참여와 부모-교사 협력이 어머니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어머니 양육행동은 아버지 양육참여와 부모-교사 협력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개입, 강압 양육행동은 아버지 양육참여에서만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 양육참여와 부모-교사 협력이 어머니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사와의 협력보다 아버지 양육참여가 어머니 양육행동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부모-교사 협력과 아버지 양육참여가 어머니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며 어머니의 긍정적인 양육행동에 도움을 주려는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어머니와 아버지 양육행동이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이정자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23 놀이치료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어머니와 아버지 양육행동이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는 연구이다. 이 연구 대상 아동은 한국아동패널연구 11차년도 연구에 참여한 아동 108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아는 558명, 여아는 527명 이었다. 연구방법은 SPSS23.0 으로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 양육행동과 아버지 양육행동 중 긍정적인 양육행동인 권위적 양육행동이 아동의 행복감과 정적상관이 이었고, 부정적인 양육행동인 귄위주의적 양육행동과 허용적 양육행동은 부정상관이 있었다. 둘째 어머니의 허용적 양육행동과 아버지의 권위적 양육행동이 아동의 행복감을 예측하는 중요한 설명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아동의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부모의 양육행동과의 관련성이 있으며 이를 위한 기초 연구자료로서 그 의미가 있을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Paternal parenting behavior on children’s happiness. The study sample was 1085 childrens (558 boys, 527 girl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eleventh wave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s and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3.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paternal parenting behavior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on children’s happiness. Second, maternal permissive parenting behavior and paternal authoritative parenting behavior are predict variables for children’s happiness. These results add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 linking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paternal parenting behavior on children’s happiness. These findings can serve as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future research and practices for increasing children’s happiness.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의 매개효과

        최영희 ( Choi Young-hee ),박남심 ( Park Nam-shim ),송승민 ( Song Seung-min ),박보경 ( Park Bokyung ),강미숙 ( Kang Mi-sook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6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행동,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 및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277명의 유아들(남아 130명, 여아 147명)과 그들의 어머니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변인들은 질문지를 통해 어머니 보고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one-way ANOVA, Pearson의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변인들 가운데 어머니의 한계설정, 과보호-허용 및 거부-방임 양육행동과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은 유아 변인 또는 어머니 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둘째, 어머니의 온정-격려 양육행동은 유아의 문제행동과 부적 상관을, 어머니의 과보호-허용 및 거부-방임 양육행동은 유아의 문제행동과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은 문제행동과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어머니의 온정-격려 및 한계설정 양육행동은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과 부적 상관을, 어머니의 과보호-허용 및 거부-방임양육행동은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어머니의 온정-격려 및 거부-방임 양육행동과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은 부분매개 역할을, 어머니의 과보호-허용양육행동과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은 완전매개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스마트기기의 지나친 사용이 유아의 발달 및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preschoolers` smart device immersion tendencies, and their problem behaviors. A total of 277 mothers with 3- to 6-year-old children (130 boys and 147 girls) answered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es, and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everal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preschoolers` smart device immersion tendencies according to preschoolers` variables and maternal variables. Second, there were most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preschoolers` smart device immersion tendencies, and their problem behaviors. Third, preschoolers` smart device immersion tendencies mediated the associations betwee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preschoolers` problem behaviors. These results suggest excessive use of smart devices leads to maladaptive development in preschoolers.

      • 영아 상호작용행동이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조임숙(Im-sook Jo),박선혜(Seon-hye Park) 영곡사회심리발달학회 2024 사회심리발달연구 Vol.5 No.1

        목적 본 연구는 영아 상호작용행동과 언어발달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상호작용행동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월령 12-48개월 미만의 영아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영아 상호작용행동, 어머니 양육효능감, 어머니 상호작용행동, 영아 언어발달을 측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 상호작용행동, 어머니 양육효능감, 어머니 상호작용행동은 언어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 상호작용행동과 언어발달의 관계에서 어머니 양육효능감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아 상호작용행동과 언어발달 사이에서 어머니 상호작용행동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영아 상호작용행동이 높을수록 어머니 양육효능감도 높아질 뿐 아니라 영아의 언어발달 증진에도 영향을 미치며, 어머니 상호작용행동이 조절 변인으로써 영아 상호작용행동과 언어발달 관계에서 중요한 영향을 주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자녀 양육과 영아의 언어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부모교육프로그램이나 부모치료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데 의미 있게 시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infant interactive behavior on language development, considering the roles of maternal parenting efficacy and interactive behavior.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infants aged 12 to 48 months and their mothers at daycare centers in Gyeonggi-do. Measures included infant interactive behavior, maternal parenting efficacy, maternal interactive behavior, and infant language development, analyz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indicate that infant interactive behavior, maternal parenting efficacy, and maternal interactive behavior positively influence language development. Maternal parenting 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interactive behavior and language development. Additionally, maternal interactive behavior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interactive behavior and language development.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as infant interactive behavior increase, maternal parenting efficacy also increases, and it positively affects infants' language development. Maternal interactive behavior acts as a regulating variable that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interactive behavior and language development. These results suggest meaningful implications for constructing parent education or therapy programs that can aid in child rearing and infant language development.

      • KCI등재

        사회경제적 지위, 어머니의 우울,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유아의 부정적 또래놀이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김선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학논집 Vol.18 No.5

        This study explor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maternal depression and maternal parenting on young children’s negative peer play behaviors. The 2011 data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ere used. The sample for this analysis was 1,469 young children aged 35 to 42 months and their mothers.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reveal the following: (1) Socioeconomic status significantly affected maternal depression and maternal parenting (warmth and responsiveness). (2)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maternal parenting is significantly mediated by maternal depression. (3)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young children’s negative peer play behaviors (play disruption and play disconnection) are significantly mediated by maternal depression and maternal parenting.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ment parent intervention program on young children’s negative peer play behaviors and explore moderating effects of external family environment factors between low income and young children’s negative peer play behaviors.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지위, 어머니의 우울,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유아의 부정적 또래놀이행동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유아의 부정적 또래놀이행동을 감소시키고 긍정적인 또래관계 수립을 돕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의 2011년 데이터(4차)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35개월 42개월 사이의 유아 1,469명과 그의 어머니이다. 유아의 부정적 또래놀이행동과 관련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매우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모형의 경로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경제적 지위는 어머니의 우울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온정성과 반응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사회경제적 지위와 어머니의 양육행동간의 관계는 어머니의 우울에 의해 매개되었다. 마지막으로 사회경제적 지위와 유아의 부정적 또래놀이행동(놀이방해행동과 놀이단절행동)간의 관계는 어머니의 우울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의해 매개되었다. 유아의 부정적 또래놀이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어머니의 우울 및 부정적 양육행동 중재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및 유아의 부정적 또래놀이행동을 야기하는 가족환경의 취약성을 보완하는 가족외부환경의 중재적 역할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KCI등재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의도적 통제를 중심으로

        오정순,신나리 한국생애학회 2018 생애학회지 Vol.8 No.2

        본 연구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대전 및 충청북도에 위치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4-5세 유아 364명(남아 192명, 여아 172명)명과 이들의 어머니 364명 및 담임교사 40명이었다. 유아교육기관 적응을 측정하기 위해 Jewsuwan, Luster와 Kostelnik(1993)이 개발한 유치원 적응 평가(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 PAQ)를 본 연구자가 번안하여 사용, 교사를 통해 유아를 평가하도록 하였고,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Crase, Clark와 Pease(1978)가 개발한 IOWA 부모양육행동 척도(IOWA Parent Behavior Inventory-Mother Form: IPBI)를 홍계옥(1995)이 타당화한 ‘어머니의 양육행동’ 척도를 기초로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 어머니 자신의 양육행동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부정적 정서성은 Rothbart(1996)의 아동행동질문지(Child Behavior Qestionnaire: CBQ)를 권연희(2003)가 번안한 것을 기초로 본 연구자가 번안, 수정한 것을 어머니가 자녀를 평가하도록 하였고, 유아의 의도적 통제는 Rothbart(1996)가 개발한 아동행동 질문지(Child Behavior Questionnaire: CBQ) 중 의도적 통제 문항을 어머니와 교사가 각각 자녀와 해당 유아를 평가하도록 하였고, 유아의 의도적 통제는 연구자가 유아를 대상으로 적녹 신호(Red-Green Sign) 과제를 통해 측정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 SPSS 21.0을 이용하여 주요변인의 기술적 통계 특성을 알아보고,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서 신뢰도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하위요인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AMOS 22.0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sion Modeling: SEM)을 실시하였으며 간접효과를 보기 위해 bootstrap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은 유아 과제를 통해 측정된 의도적 통제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고, 부정적 정서성이 높을수록 의도적 통제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어머니가 평정한 유아의 의도적 통제와 유아 과제를 통해 측정된 유아의 의도적 통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극적 참여, 한계설정, 반응성, 합리적 지도, 친밀성 등의 양육행동을 많이 할수록 의도적 통제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 과제 수행을 통해 측정한 유아의 의도적 통제와 교사가 평정한 유아의 의도적 통제는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의 의도적 통제 수준이 높을수록 또래들과는 물론 교사와 긍정적인 관계를 맺고 즐겁고 편안한 기분으로 생활하며 자신감 있고 자기주장이 분명하며 하루 일과를 잘 이해하고 따른다. 넷째,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유아 과제를 통해 측정한 유아의 의도적 통제를 통해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유아 과제 수행을 통해 측정한 의도적 통제는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선행연구결과와 달리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은 주고 있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의도적 통제는 기질과 같은 선천적인 요인에 영향을 받기도 하나 어머니가 제공해주는 양육환경의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on their adaptation to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their effortful control. Participants were 364 children aged 4-5, their mothers and teachers. Children's effortful control was measure by the Red-green sign task and reports of mothers and teacher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performed to examine pathways from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and parenting behaviors of their mother to their early childhood program adaptation through their effortful control.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young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had indirect effects on their adaptation to early childhood programs through their effortful control measured by a structured task; direct pathways from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and parenting behaviors of their mothers to their adaptation were not found. It was implied that young children’s effortful control played a mediating role not only in the process in which negative emotionality had effects on their adaptation to early childhood programs but also in the process in which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have effects on the adaptation. Further,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at it elucidated that young children’s effortful control can manifest itself differently depending on contexts and circumstances.

      • KCI등재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행동의 관계 : 자녀양육관련 비합리적 사고의 매개효과

        이정윤,장미경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09 인지행동치료 Vol.9 No.2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우울이 자녀에 대한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우울과 자녀양육행동의 관계에서 자녀양육관련 인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어머니의 우울, 양육행동, 자녀양육과 관련된 비합리적 사고를 측정하는 설문지를 서울과 경기지역의 지역사회 일반 어머니 50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우울은 자녀에 대한양육행동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녀양육관련 비합리적 사고 변인 중자녀에 대한 부정적 사고는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행동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녀양육과 관련된 비합리적 사고 변인 중 부모의 자기비난과 부모역할에 대한높은 기준설정은 우울과 양육행동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인지적 접근의 부모교육과 우울한 어머니에 대한 상담과 관련된 시사점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nd parenting behaviors, and whether this relationship is mediated by irrational beliefs in parenting. Five hundreds and six married women in community completed questionnaires about depression, parenting behaviors and irrational beliefs in parenting for the study. The result showed that depression of mothers significantly predicted their parenting behaviors. In addition, irrational beliefs in parenting, especially negative thoughts for the child,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nd parenting behaviors. However, mother's self-blame and high parenting standards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nd parenting behaviors. Th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parental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these women.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가정 및 기관에서의 문제행동 개인차와 교사-유아 관계에 미치는 영향

        김종훈 ( Jong Hoon Kim ),성지현 ( Ji Hyun S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6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atterns of behavioral problems at home in order to ascertain if they vary according to parenting types; to determine if the pattern of behavioral problems at home affects behavior i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finally, to determine the effect of behavioral problems on teacher-child relationship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6 teachers of classes for 4- and 5-year olds, 224 preschoolers in educational institutions in Seoul and Kyung-gi do and their mothers. Analyses findings reveal that a mother’s type of parenting behavior affects child-teacher relationships through behavior problems at home and in the classroom by two indirect paths. First, one indirect path shows that a mother’s rejection is related to preschooler’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t home, which in turn is associated with preschooler’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 in a classroom, which finally is related to conflicts in the child-teacher relationship. Second, another indirect path found that mother’s controlling reduces preschooler’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t home, which in turn relates to the preschooler’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in a classroom, which finally decreases conflicts in the child-teacher relationship.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at a mother’s rejection influences a preschooler’s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t home while autonomous parenting behavior reduces a preschooler’s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However, maternal parenting behavior did not predict preschooler’s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in the classroom. These findings provide useful background information for parent education, parent conferences and intervention strategies.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행동 유형에 따라 유아에게 가정에서 어떠한 문제행동이 나타나고, 이러한 가정에서 관찰되는 유아의 문제행동 유형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어떠한 문제행동과 관련이 있으며, 결과적으로 교사와 유아의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에 소재한 유아교육 기관 6곳에서 4, 5세반의 담임교사 16명과 기관에 재원중인 유아 및 그들의 어머니 226명을 대상으로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행동 유형이 유아의 가정 및 교실 내 문제행동을 통해 유아-교사 관계에 미치는 간접경로는 두 가지 경로로 나타났다. 첫 번째 간접경로는 어머니의 거부적인 양육행동이 유아의 가정 내 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교실 내의 외현화 문제행동으로 영향을 미쳐, 최종적으로 교사유아관계에서 갈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간접 경로는 어머니의 통제적인 양육행동이 가정에서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을 감소시켰고, 이는 다시 교실 내의 외현화 문제행동도 적게 나타나, 결과적으로 교사유아관계에서 갈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거부적인 양육행동은 가정에서 유아의 내재적 문제행동의 원인이 되고, 자율적인 양육행동은 가정에서 내재화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이러한 관계가 교실 내에서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으로 나타나지는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긍정적인 기관 적응과 문제행동의 감소를 위해 부모의 양육에 대한 코칭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이론적인 근거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유아의 자아탄력성의 매개적 역할

        신나나,도현심,최미경,김민정 한국아동권리학회 2013 아동과 권리 Vol.17 No.1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reschoolers' ego-resilience on relations betwee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preschoolers' anxiety and depression A total of 155 mothers with preschoolers(aged 3-4 years, M = 46.87 month, SD = 4.64 month) participated in this study. Mothers reported on their parenting, preschoolers' ego-resilience, and preschoolers' anxiety and depression. There were three major findings. First,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preschoolers' ego-resilienc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reschoolers' anxiety and depression. While only maternal rejection/control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related to preschoolers' anxiety levels, all three parenting behavior variables (i.e., warmth/acceptance, rejection/control, permissiveness/neglect)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reschooler's depression. Second, resilient children displayed less anxiety and depression. Finally, preschoolers' ego-resilience mediated relations between maternal parenting and preschoolers' anxiety and depression, suggesting that maternal parenting behavior indirectly influence anxiety and depression through ego-resilie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oth individual(ego-resilience) and environmental factors(maternal parenting behavior)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to explain anxiety and depression during the preschool period.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행동, 유아의 자아탄력성, 그리고 유아의 불안 및 우울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불안 및 우울 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탐색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만 3-4세의 유아 155명과 그들의 어머니였다. 어머니들은 자신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아탄력성, 유아의 불안 및 우울에 관한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그 결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유아의 불안 및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어머니들이 거부․제재적 양육행동을 보일수록, 유아의 불안 수준이 높았다. 우울의 경우, 어머니들이 유아를 온정․수용적으로 양육한다고 보고할수록, 유아의 우울수준이 낮았으며, 거부․제재적으로, 허용․방임적으로 양육한다고 보고할수록 유아의 우울 수준이 높았다. 또한 자아탄력성이 높은 유아는 불안과 우울 수준이 낮은 것으로 어머니에 의해 보고되었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하여 유아의 불안 및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유아기 불안과 우울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인적 측면으로서의 자아탄력성과 환경적 측면으로서의 양육행동이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