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기도 어린이공원 주변 교통안전 증진방안

        빈미영,김성하,김영돈,현지아 경기연구원 2017 정책연구 Vol.- No.-

        본 연구는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서 어린이시설로 정의하고 있는 어린이공원 주변에 발생하는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수행하였다. 어린이교통안전 정책과 동향을 검토하였으며 어린이공원과 관련된 제도를 살펴봤다. 경기도 어린이공원 현황, 어린이보호구역 현황을 조사하고 어린이공원 주변에서 발생하는 어린이교통사고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13세 미만 어린이 보행사고가 많은 어린이공원을 중심으로 현장을 답사하여 안전실태를 분석하였다. 2011년에서 2015년까지 경기도에서 발생한 어린이교통사고는 13,836건인데, 어린이공원 주변에서 발생한 어린이교통사고는 8,192건으로 약 59.1%를 차지하고 있다. 13세미만 어린이보행피해 사고는 3,682건으로 26.6%이다. 어린이공원 주변의 교통안전을 강화하면 경기도내 어린이교통사고를 줄일 수 있다. 어린이공원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대상지는 어린이공원 주변에서 발생한 어린이교통사고 중에서 13세미만의 어린이 보행자 피해가 가장 많은 공원 8개소를 선정하여 수행하였다. 412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초등학교 4,5,6학년 어린이와 보호자로 구분하여 실시한 결과 어린이공원의 교통안전을 대체로 낮게 평가하고 있으며, 교통안전시설로 과속방지턱과 방호울타리를 우선 설치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현황진단을 통해 어린이공원의 교통안전 증진 방안을 제안하였다. 제도개선방안으로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을 개정하여 어린이공원을 조성할때부터 지역의 심의를 통해 어린이공원 주변 교통안전시설을 설치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도로교통법」을 개정하여 어린이공원을 어린이보호구역으로 지정하는 안을 제시하였다. 어린이공원이 보호구역으로 지정되면 교통안전시설을 설치 하는데 예산이 필요한데, 모든 어린이공원에 새롭게 시설을 설치하는 것은 비용이나 사업추진측면에서 어려울 수 있다. 그리고 일부 어린이공원은 초등학교와 유치원인근에 조성되어있어 어린이보호구역이 겹치는 경우도 있다. 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서 어린이보호구역 범위 300m에 포함되는 어린이공원 개소와 500m범위에 포함되는 개소를 추출하여 단계별로 추진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어린이공원 관리는 시⋅군에서 하며 예산사정에 따라 단계별 혹은 선택적으로 추진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에서 어린이보호구역의 시설설치에 드는 비용은 기존의 어린이보호구역에 설치되는 비용을 조사하여 평균적으로 제시한 것이다. 어린이공원은 대부분이 이면도로와 인접해 있기 때문에 차로수와 관련된 포장에 드는 비용은 현상황에 맞게 조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어린이공원을 어린이교통안전을 집중관리하자는 취지의 이슈화하는 과제이므로 어린이공원의 지역별, 유형별 구분과 이에 따른 안전시설의 설치는 상세하게 고려하지 못했다. 이와 같은 내용은 향후 도시계획분야와 함께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 정책제안으로 다음과 같이 7가지를 제안하였다. ①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개정으로 어린이 보행안전 시설 강화 ② 「도로교통법」을 개정하여 어린이공원을 어린이보호구역으로 지정 ③ 어린이보호구역 시설 표준단가 공시 필요 ④ 주거지 주차단속 및 주차정비 강화 필요 ⑤ 어린이공원 조성 및 관리체계화 필요 ⑥ 어린이공원 주변 보행환경 개선을 위해 쓰레기 방치에 대한 규제강화 ⑦ 어린이교통안전을 위한 경기도 홍보 및 안전지도의 정기적 추진 필요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basic research for preventing traffic accidents occurred near children’s parks, defined as facilities for children, by the Act on Urban Parks, green spaces etc. While there were 13,836 traffic accidents involving children in Gyeonggi-Do between 2011 and 2015, 8,192 incidents (about 59.1%) were happened near children’s parks. Also, 3,682 accidents (26.6%) occurred to the children aged 12 years or younger who were walking. we conducted a survey to the users of children’s parks. As a result of the survey with 412 respondents, they were most likely to underestimate the traffic safety of the children’s parks and answered that there need speed bumps and protective fences that separate roads from sidewalks. Through such a diagnosis of the current conditions, we propose a strategy to improve traffic safety for children’s parks. As a systematic improvement plan, we suggest revising Act on Urban Parks, green spaces etc. to stipulate that traffic safety facilities can be installed around children’s parks at the time of their first creation through deliberation by regional authorities and designate children’s parks as school zone by revising Road Traffic Act. For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the project, we suggest implementing it in phases by identifying the locations of children’s parks that come within 300m and 500m of School zone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earch, we suggest seven measures as follow. ① Strengthening pedestrian facilities around children’s parks ② Designating the neighborhoods around children’s parks as School zone ③ Notifying Standard prices needed to install facilities for the School zone ④ Necessity of monitoring parking violation and improving parking system for residential areas ⑤ Creating children’s parks and systemizing their management needed ⑥ Strengthening regulation on abandoned wastes to improve the pedestrian environment near children’s parks ⑦ Gyeonggi-Do regularly implementing promotion and safety instruction for the children’s traffic safety needed

      • KCI등재

        주제 분석을 통한 어린이공원 설계 특성 연구

        김동찬(Dong Chan Kim),김충희(Chung Hee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4

        도시공원의 분류 중에 속한 어린이공원은 거주자들의 보도권내 위치한 어린이들의 정서발달 등의 목적으로 설치하는 공원이다. 어린이뿐만 아니라 지역주민 들의 소통과 휴식, 여가 등에 기여할 수 있는 휴양공간의 확충에도 기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화, 차별화를 추구하는 창조적인 공원 이용자의 욕구를 수용하기 위해 최근 설계된 어린이공원을 중심으로 주제에 관한 분석을 통해 얻은 설계 원리를 활용하여, 다양한 유형의 공간설계 응용으로 독창적인 설계 작업 수행을 도울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범위는 서울시의 상상어린이공원조성사업을 그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상상어린이공원 중 1차 사업지 100개소 중에서 자료 협조를 통해 분석이 가능했던 50개소를 공원의 주제 분석을 위해 공간적 범위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상상어린이공원의 유형화의 기준은 1차적으로 ``비물리적 요소``인 주제유형에 따른 구분을 상위개념으로 하고 2차적으로 주제에 따른 분석을 위해 ``물리적 요소``인 부지형태, 시설물, 식재를 중심으로 유형분류를 하여 대상지 50개소를 분석하였다. 주제에 따른 분석을 한 결과, 공통적으로 형태분석에 있어서는 단일주제를 통해서 부지형태는 장방형의 부지에 순환곡선형의 동선을 이루었다. 시설물의 경우는 대부분이 시설물을 통한 주제를 표현하여 수직형으로 운동시설의 형태로 부지의 중앙에 시설물을 배치하였다. 식재 분석은 낙엽수를 주를 이루며 부지의 측면이나 동선의 주변에 식재를 하는 형태를 공통적으로 보였다. 시범모델로 선정된 어린이공원을 각각의 특성에 맞게 응용/설계를 하여 차별화된 상상어린이공원 조성에 있어서 디자인, 시설물, 식재의 차별화 노력이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어린이공원의 현실적인 규모 문제로 인해 시민들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에는 사실 한계가 있을 수 있겠지만 조금 더 다양한 주제를 통한 독특한 공간 활용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Children`s park classify as city park that is installed for children`s emotional development in residential area. It needs to expand rest area that can contribute both children`s and resident`s communication, rest, leisure and etc. This research has been done analysis to accept desiring various and differentiated park user with designed children`s park as the center. After that it has purpose to help unique design work by using principle of design and space design of various types. The range of this research is targeting to Seoul`s imagined children`s park development project, and spatial range is set up 50 practicable research locations with data cooperation in 100 primary imagined children`s park locations to analysis topic of park. The method of this research is that imagined children park`s standard of materialization is primarily set up concept as ``non-physical factor`` topic type. Secondarily, this research has done analysis 50 locations to analysis based on topic with centered location type of ``physical factor``, facilities and planting trees. Commonly, analysis of form is through single topic, and type of site was recurring curving line in rectangle site based on analysis results. In case of facility, most of them is expressed topic through facility that arranged facility to center of site by vertical type of sports facilities. An analysis of planting tree is mainly deciduous trees, and it commonly shows planting trees at side and circulation of site. Selected children`s park sample model made up differentiated imagined children`s park by each park`s own characteristics. However, analysis results of built park has lack of differentiated design, facilities, and trees. Even though practical scale problem of children`s park has limitation to satisfy citizen`s various desires, concerning about creative space application will be needed through diversity of topics.

      • KCI등재후보

        어린이공원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김경희(Kim, Kyung-hee)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2 조형디자인연구 Vol.15 No.1

        어린이공원의 조형은 대체적으로 지역의 유래와 연관되게 만들어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사용하는 사람들이 유래나 지역의 특성을 알 수 있도록 설명이 필요하며 영상화한다면 좋은 발전이 될 것이다. 상상공원의 경우는 공원이름만 지역과 연관이 있고 주제는 새롭고 재미있게 탄생하였다. 어린이공원들은 다양한 형태로 각기 다른 조형성을 이루지만 모든 공원에서 유사한 감성도 보인다. 여러 어린이공원이지만 어린이공원으로서의 조형적인 통일성을 가지는것과 각각의 공원마다 독창성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어린이공원은 명목상 어린이들이 주로 이용하지만, 어린이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자와 지역 주민을 비롯한 직장인, 청소년, 중년, 노년층 등의 다양한 계층 화합의 장이기도 하다. 따라서 어린이공원이지만 어린이와 어른이 공존할 수 있는 놀이기구와 운동기구의 조화가 필요하다. 색채도 어린이용 놀이기구와 성인용 운동기구가 조화를 이뤄 인간의 오감을 만족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감성적인 공간으로 만들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역 주민의 이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지역의 특성을 잘 살려서 지역의 랜드 마크로 발전할 수 있도록 기획단계에서부터 디자인스토리를 부여하여 공원마다 독창성을 부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어린이공원의 놀이기구 선정과 배치에 있어서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이루도록 하면서도 현대적인 감각을 부여하기 위하여 과학기술이 적용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놀이기구의 도입도 필요할 것이다. The formativeness of children’s park can be thoroughly related to the origin of region, but instructions must be attached so that users can realize the origin or characteristics of region. In case of imagination park, only name of park is related to region and it was born pleasantly as a new subject. Children’s parks have different formativeness with various forms, but similar emotion is shown in all of parks. Although they are individual children’s parks, it’s necessary that the formativeness of children’s park has unity and each park has creativity. Children’s park is a harmonized place by not only children but also various classes such as regional people, company workers, youth, the middle-aged, the aged, etc. Therefore, it’s necessary to harmonize playing equipments and exercising equipments coexisted by children and adults although it’s children’s park. It must be emotional park by creating color harmony of children’s playing equipments and adults’ exercise equipments for human’s five senses. Also, lots of regional people use it, so the design story which can be developed to regional landmark with regional characteristics should be applied to each park. In addition, playing equipments of children’s park must be harmonized by traditional times and modern times, so modernized playing equipments of children’s park are necessary with modernized cutting-edge technology.

      • KCI등재

        어린이공원 관련 연구 동향 고찰 : 2001년부터 2020년까지

        류수진(Ryu, Su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2

        목적 본 연구는 어린이공원 관련 연구 동향을 고찰함으로써 향후 교육학 및 어린이 관련 학문 분야에서의 어린이공원 관련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고 학제간 융합연구의 필요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와 누리미디어(Dbpia), 국회전자도서관에서 2001년부터 2020년까지 발표된 어린이공원 관련 학술지와 학위 논문 110편을 최종 선정하였으며, 이를 발표연도 및 기간별, 종류별, 분야별, 주제별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발표연도별 동향은 매년 평균 5.5편의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전반적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5년 단위 기간별로 2001~2005년에 23편, 2006~2010년에 30편, 2011~2015년에 28편, 2016~2020년에 29편으로 지속해서 연구되고 있었다. 둘째, 논문 종류별로는 학술지는 48편, 학위논문은 62편으로 학위논문이 학술지보다 상대적으로 많았다. 셋째, 연구 분야별로는 ‘도시/조경/환경’ 분야가 60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건축/디자인’ 분야는 34편, ‘기타’ 분야는 16편 순이었다. 넷째, 연구 주제별로는 어린이공원 계획이 40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어린이공원 활용방안은 26편, 어린이공원 평가는 23편, 어린이공원 안전은14편, 어린이공원 특성은 9편 순이었다. 결론 어린이공원 관련 연구는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으나 교육학 또는 어린이 관련 분야에서의 연구가 미흡하였다. 이에교육학 또는 어린이 관련 전공 분야에서의 어린이공원 관련 연구의 필요성과 방향성, 나아가 다양한 학문 분야의 지식을 종합하는어린이공원 관련 학제간 융합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suggest future direction for children’s parks-related research in education and children-related academic fields by examining research trends related to children’s parks, and to explore the need for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 Methods To this end, 110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related to children’s parks published from 2001 to 2020 by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arvice(RISS), Nuri Media(Dbpia), an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were finally selected. Research trends by field, and by topic were analyzed. Results First, as for the trend by year of publication, an average of 5.5 papers were published every year, and the overall trend showed a steady increase. By five-year period, 23 papers were continuously studied from 2001 to 2005, 30 papers from 2006 to 2010, 28 papers from 2011 to 2015, and 29 papers from 2016 to 2020. Second, by type of thesis, there were 48 academic journals and 62 degree thesis, which were relatively more than those of academic journals. Third, by research field, ‘urban/landscape/environment’ had the most with 60 papers, followed by ‘architecture/design’ with 34 papers, and ‘other’ with 16 papers. Fourth, by research topic, children’s park plans accounted for the most with 40 papers, followed by children’s park utilization plans with 26 papers, children’s park evaluations with 23 papers, children’s park safety with 14 papers and children’s park characteristics with 9 papers. Conclusions Research related to children’s parks is being studied in various academic fields, but research in education or children-related fields is insufficient. Accordingly,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children’s parks-related research in education or child-related fields, and furthermore, the necessity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related to children’s parks to synthesize knowledge from various academic fields was proposed.

      • KCI등재

        상상어린이공원 설계과정의 주민참여와 시공 후 미반영요인과의 관계 분석

        김동찬(Dong Chan Kim),노경식(Kyung Sik Rh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3

        기존의 어린이공원의 조성에 있어서 가장 두드러진 문제는 어린이의 놀이행태와 지역주민의 도시공원으로서의 역할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보다 근본적으로 이러한 접근은 지나치게 놀이기구 디자인에 의존하고 있으며, 지역주민을 위한 공간도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주민참여 설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어린이공원의 참주인인 어린이와 지역주민의 참여로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서울시의 상상어린이공원을 대상으로 공원의 실질적인 이용자들의 요구 사항에 대해 알아보고, 계획상의 그 의견의 적용 실태를 비교 분석하여, 어린이들의 놀이공간으로서의 역할과 지역주민의 휴식공간으로서의 역할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요인을 도출하여 향후 어린이공원의 조성 및 재정비계획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는 서울시의 상상어린이공원조성사업을 그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상상어린이공원 중 1차 사업지인 100개소의 공원(부록 1 참조)을 연구의 범위로 한정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계획상 제시된 주민들의 의견실태, 공원주제, 내용 및 각 공원별 도입시설에 대해 조사·분석하고 어린이와 주민 각각의 참여의견실태를 종합 분석하여 어린이공원 이용에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요인 도출을 통해 그 적용에 대한 현실적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방법으로 하였다. 첫째, 상상어린이공원의 주제를 분석한 결과 동일한 주제와 비슷한 시설물을 가진 어린이공원이 많이 조사되었다. 둘째, 어린이들의 의견의 경우 놀이시설 개선 및 확충에 대한 의견이 집중되어 유희시설에 대한 의견 비율이 높고 특색 있고 재미있는 유희시설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셋째, 주민 의견의 경우 휴식 및 자녀들의 안전에 대한 의견이 집중되어 휴게시설, 조경 식재, 안전시설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조성 실태에 대한 분석 결과, 자연체험 학습장, 테마가 있는 조합놀이대, 다기능 마당과 같은 특색 있는 휴식공간 추구와 더불어 광역지자체들의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관심과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Recently, local autonomous communities have generally realized the necessity of Children`s Park, and thus have embarked on expanding the scale of the parks, and upgrading and modernizing all sorts of facilities wherein. The most prominent problems of this upgrading and modernizing work are failing to satisfy children`s desire for games or meet the demands of residents. In seeking for solutions to these problems, the necessity of residents participation in design is on the rise. As foundational materials for the construction and renovation plan of future Children`s Parks, this study takes the Seoul Imagine Children`s Park as the example and investigates residents participation in this project, It is to investigate the suggestions collected from the park planning survey, to analyze the corresponding situations of the advices, and to summarize the factors that can fulfill both functions of the game space and the rest space. The scale of this research is targeting to imagine children`s park of Seoul, and it limits scale of this research to 100 parks (see appendix 1) that is 1st business place in imagine children`s park. Method of this research is investigating and analyzing about suggested resident`s opinion, topic of park, participated children`s opinion, story and each park`s introduced facilities. Therefore, this method can deduct satisfying factors, practical problem, and improvement plan. First, children park has been researched that have similar topic and facilities as a evaluation result of image children`s park. Second, as children like various playing equipments, considering from both the quantity and quality aspects, complement, compound, and built-up play facilities with distinctive themes should be added to the existing general facilities. Third, opinion of residents focus on safety of their children that they prefer rest area, landscape planting, and safety facility. As a result of landscape condition, preference of rest areas are needed such as nature experience workplace, combined playground with theme, and multi-function yard.

      • KCI등재

        서울시 어린이공원 안전실태

        윤선화(尹宣化)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2 Crisisonomy Vol.8 No.4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내 일반어린이공원과 상상어린이공원에 설치된 놀이기구 및 부대시설의 현황을 살펴보고, 법에서 강제한 놀이기구의 KPS마크 부착실태, 놀이시설 및 환경, 부대시설의 안전성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서울시내 일반어린이공원 100곳과 상상어린이공원 100곳이었으며, SPSS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카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공원에 가장 많이 설치된 놀이기구는 미끄럼틀(53.5%), 그네(44%), 흔들놀이기구(40%) 순이었고, 일반어린이공원보다 상상어린이공원에 설치된 놀이기구가 전반적으로 더 다양하고 종류도 많았다. 둘째, 어린이공원에 설치된 놀이기구의 KPS 마크 부착 정도를 살펴본 결과, 회전놀이기구(95.7%), 건너는기구(94.6%), 기타놀이기구(89.3%) 순이었고, 주로 상상어린이공원에 설치된 놀이기구에 부착되어 있었다. 셋째, 어린이공원의 놀이기구와 부대시설 안전실태 결과, 파손된 놀이기구의 폐쇄조치, 놀이기구와 부대시설의 파손, 페인트 벗겨짐, 놀이터내 쓰레기통 청결유지 등의 안전관리는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고, 일반어린이공원보다 상상어린이공원이 비교적 더 안전관리가 잘 이루어졌다.

      • KCI등재

        유니버설디자인 기반의 어린이공원 평가 연구 - 대전광역시 대덕구 어린이공원을 대상으로 -

        이수연,이재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1

        (Background and Purpose) Children’s parks are outdoor play areas that consider their users to be children and provide them with play and relaxation. Currently, insufficient laws and guidelines specifically provide detailed standards of universal design in relation to these projects; while a manual on safety standards is presented for the installation of play facilities and facilities inside children’s parks, guidelines related to the entire park have not yet been standardized.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present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directions of the current space by applying and analyzing universal design evaluation items with the goal of reconstructing and remodeling children’s parks. (Method) The application guidelines related to universal design consist of comprehensive evaluation items for urban parks that are insufficient to apply to and evaluate children’s parks. First, new evaluation items and research models were construct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valuation items used in domestic children’s play spaces and the evaluation items shared by the Universal Design Guidelines. Then, the application evaluation was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 design through field surveys of five key evaluation items (accessibility, inclusion, safety, convenience, and amenity) and 25 details of children’s parks that have been remodeled in Daedeok-gu. (Results) The average scores of the core evaluations analyzed in the four target sites were inclusion (7.5 points) = amenity (7.5) > accessibility (7.25) > convenience (7) > safety (6.25); amenity and accessibility received the highest evaluation while safety received the lowest. With the exception of the installation of CCTVs and lights in the park, safety is deemed to be a low priority compared to the other detailed evaluation items, so it should be considered in its entirety in future park remodeling projects for children. (Conclusions) The results achieved through the universal design evaluation of Daejeon children’s parks are as follows: First, with respect to accessibility,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walking guidance through braille blocks and floor finishing changes. Second, inclusion items should be constructed so that everyone can move around without space restrictions. Third, the application and improvement of safety are essential and should be considered at all development stages including design, construction, operation, and management. Fourth, if the existing toilet, which have been provided for convenience, are continuously used, specifications and safety facilities need to be supplemented. Fifth, regarding as an amenity, continuous management is needed centering on local governments, which are management entities; the voluntary management and efforts by residents are required for children’s parks. It is hoped that this framework, analyzing children’s parks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 design,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remodeling and environmental maintenance of children’s parks or facilities that will be newly created in the future. (연구배경 및 목적) 어린이공원은 이용자를 어린이로 설정하고, 어린이에게 놀이와 휴식을 제공하는 실외놀이공간이다. 현재해당 사업과 관련하여 유니버설디자인의 세부 기준을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는 법규 및 지침이 부족한 상황이며, 어린이공원의내부 놀이시설 및 시설 설치와 관련하여 안전기준에 관한 규정 해설서를 제시하고 있으나, 아직 어린이공원 전체 공간과 관련된기준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재조성 및 리모델링 된 어린이공원에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평가항목을 적용하고분석하여 현 공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적용지침은 도시공원에 대해 포괄적인 평가항목으로 구성되어 어린이공원을 적용하여 평가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다. 이에 먼저 국내 어린이 놀이공간에서 활용하고 있는 평가와 유니버설디자인 지침이 공유하고 있는 평가항목을 비교 분석하여 적용 평가항목 및 연구모형을 구성한다. 그다음 대덕구 리모델링이 완료된 어린이공원을 대상으로 5가지의 핵심 평가항목(접근성, 포용성, 안전성, 편의성, 쾌적성)과 25 가지의 세부 내용에 대한 현장 조사를 통해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 적용 평가를 진행한다. (결과) 대상지 4개소의 어린이공원의 핵심 평가항목에 의해 분석된 전체 적용 평가 배점 평균은 포용성(7.5점) = 쾌적성(7.5점) > 접근성(7.25점) > 편의성(7점) > 안전성(6.25점)으로, 포용성과 쾌적성 항목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안전성 항목은 가장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원 내 CCTV와 공원등 설치를 제외하고는 나머지 세부 평가기준에서 낮게 평가되었으므로,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및 개선을 위해 추후 어린이공원 리모델링 사업 진행 시 안전성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보완하여 구성해야 한다. (결론) 유니버설디자인 기반의 대전시 어린이공원 평가를 통한 개선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접근성에서는 보행 유도 강화를 위해 점·선형의 점자블록및 바닥 마감 변화가 필요하다. 둘째, 포용성에서는 공간과 시설을 이동 공간 제약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조성해야 한다. 셋째, 안전성에서는 필수적으로 안전성 적용 및 개선이 필요하며, 조성 예정인 어린이공원의 경우 설계 및 시공, 운영, 관리 등 모든 단계에서 안전성을 고려해야 한다. 넷째, 편의성 항목에서 제공된 기존 화장실을 지속해서 이용하고 있는 경우 화장실 규격과 안전시설 보완이 필요하다. 다섯째, 쾌적성 항목에서는 관리주체인 지자체 중심으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생활권 내 공공공간인 어린이공원을 위해 지역주민들의 자발적인 관리와 노력이 요구된다.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평가 분석틀이 향후 새롭게 조성될어린이공원 또는 노후화된 시설의 리모델링 및 환경정비에 있어 바탕이 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우수등재

        IPA분석을 이용한 저층주거지 내 어린이공원 주변공간의 환경계획요인에 관한 연구

        배연희,변기동,하미경 대한건축학회 2019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safe environmental project factors for enhancing the safety of children in peripheral space aroundchildren's park and suggest environmental project measures for peripheral spaces around children's parks, based on the survey of children'spark users' consciousness on peripheral spaces. Physical space range for this study was limited to low-rise housing area wihtin the radius of250m, as peripheral spaces around children's parks in which children's playgrounds were built. In addition, the target areas for examiningusers' consciousness on peripheral spaces around children's parks were selected according to following criteria. 1)areas with highter portion ofchildren; 2) those with higher portion of single-family houses/multi-housing/tenement houses, which constitute low-rise housing areas; and 3)those with higher safety accident rate of children, which was measured based on criminal and traffic accidents. The finding are as follows:first, users' consciousness on safety accidents that are likely to occur in peripheral spaces around children's parks was examined to show thatthere is most prominent difference between satisfaction and necessity. This result suggests that users are clearly conscious of the necessity ofenvironmental improvement rather than the 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peripheral environment around children's park.; second, for thedifference between satisfaction with and necessity of environmental project factors for access/boundary spaces around children's pakrs, there ismos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atisfaction with and the necessity of establishment of facilities against illegal parking for clearvisibility of community roads, for access spaces, and the separate establishment of bicycle racks around main entry into parks, for boundaryspaces. Users' necessity of the establishment of them is judged to be derived from the fact that the safety of children and even adults isthreatened, because bicycles invaded into the deep inside of children parks. This study analyzed a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andnecessity through factor and IPA analysis, and should be initially considenred if the future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would beconducted to promote safe environment in peripheral spaces around children's parks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provide practicalenvironmental project factors through a field investig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공원을 둘러싼 주변공간에서 어린이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한 안전환경 계획요소를 도출하고, 어린이공원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주변환경에 대한 의식조사를 바탕으로 어린이공원 주변공간의 환경계획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물리적 공간 범위는 저층주거지에서 어린이놀이터가 설치된 어린이공원 주변공간으로서 설치기준 반경250m이내 저층주거지로 한정하였다. 또한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어린이공원을 둘러싼 저층주거지의 주변환경에 대한 이용자 의식을 조사하기 위한 대상지는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첫째, 어린이의 비율이 높은 지역, 둘째, 저층주거지를 형성하는 단독․다세대․연립주택의 비율이 높은 지역, 셋째, 어린이 안전사고율이 높은 지역을 선정하였으며, 어린이 안전사고율은 범죄사고와 교통사고를 기준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공원을 둘러싼 주변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에 대한 이용자 의식을 살펴보면 교통안전에 대하여 만족도와 필요도의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의 어린이공원 주변환경이 이용자들이 만족감보다는 환경개선의 필요성을 크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접근공간의 경우 이면도로에서 시야 확보를 위한 불법주차 방지시설의 설치에 대한 만족도와 필요도 간의 차이가 가장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는 최근 불거진 불법주차에 대한 심각성을 반영한 것으로 판단된다. 경계공간의 경우, 공원 주출입구 인근에 자전거보관대를 별도로 설치하는 항목으로 나타났다. 자전거보관대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어린이공원 내부까지 자전거를 타고 활보하여 어린이뿐만 아니라 어른까지도 안전을 위협받고 있으므로 자전거보관대가 설치되어야 한다는 이용자들의 요구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요인분석과 IPA분석을 통해 만족도와 필요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향후 어린이공원 주변공간의 안전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환경개선사업을 실시할 경우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추후 현장조사를 통하여 실질적인 환경계획요소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범죄예방 환경설계를 기반으로 도시의 어린이공원 안전성 평가 연구 -양천구 및 동대문구를 중심으로-

        조방서,김신원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8 No.3

        국토연구원에 따르면 서울은 OECD 국가 중 인구밀도가 가장 높은 도시이다. 높은 인구밀도로 인해 공원에 대한 수요는 높으나, 접근성이 용이한 다양한 형태의 도시공원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주거지인근에 5∼10분 이내로 접근 가능한 어린이공원의 이용이 늘고 있다. 고밀도의 도시환경 속에서 어린이의심신 발달을 위해 마련된 어린이공원에 다양한 연령층의 이용객이 몰리면서, 취약 계층인 어린이와 이용객의 안전성 확보에 대한 불안이 커지고 있다. 이에본 논문에서는 CPTED 이론과 관련된 범죄예방 환경설계 이론을 바탕으로 주변 환경 및 시설물의 물리적안전을 결합하여 환경 방범에 대한 안전성 평가요소를 정리하였다. 평가요소를 사회요소, 안전관리요소, 공간요소, 물리적 요소 등 4개의 평가요소와 12개 세부 평가지표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서울 내에서도 인구밀도가 높은 양천구와 동대문구 소재지의 어린이공원 4곳을 선정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대상지는 인구밀도가 높고 아파트 단지와 인접해 일상적인 이용 빈도가 높은, 양천구의 단지어린이공원과 넓은들어린이공원, 동대문구의 늘봄어린이공원과 한내어린이공원의 4곳으로 선정하였다. 현장조사 결과, 넓은들어린이공원 점수가 가장 낮았고, 늘봄어린이공원의 종합 점수가 가장 높았다. 4개 공원의 평가 결과를 종합하면 장소 안전, 식물 안전, 가시성, 유지관리, 영역성 점수는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활동성 증대, 명료성, 접근 통제, 시설 안전과 환경 이미지에서의 평가는 부족한 부분이 다수 발견되었다. 본 논문은 고밀도 도시 소재의 어린이공원 대상지의 평가분석을 통해 대상지의 문제점 개선을 위한 의견을 제시하고, 향후 어린이공원의 안전성 조성을 위한 이론적 기반과 설계 전략을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상상 어린이공원 놀이시설 이용률과 연령별 놀이행태 상관성에 의한 놀이시설 개선 제안

        김명희,이진,이종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6

        (Background and Purpose) An improvement project for Sangsang Children’s Park led by the Seoul City government to change the existing playground into an imaginative and creative play space is receiving favorable comment throughout the country. It is considered important to conduct post-construction assessments of various aspects once children begin using facilities that are part of the improvement projects undertaken enthusiastically by local governments; as a result, this paper analyzes whether the improved environment and facilities reflect age-appropriat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play forms of children who are the actual users, based on correlativity between utilization rates and play forms by age. This research aims to suggest improvements in the design of amusement facilities in children’s parks to reflect play forms by age. (Method) Focusing on the five children’s parks that are the targets of this research, a field survey and observation survey for applicability assessment were conducted. Also, to define the exact ages of the children, their satisfaction with the facilities and the assessment of the facilities by guardians, a guardian-facing questionnaire survey was added. The analysis included the number of child visitors to the park, their ages, the utilization rates of the facilities, the frequency of facility use by age, satisfaction with the park, and requirements such as areas for improvement. Based on this observation and survey analysis, an evaluation of the correlativity of the amusement facilities’ utilization rates and play forms by age was attempted. (Results) It is known that there is meaningful correlativity between the utilization rates of amusement facilities in the park and play forms by age. There are larg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physical development of infants, preschool children, and school-age children, so their activity areas, preferred facilities and play forms are different; nevertheless, there is no facility or play space that matches age-related characteristics. Although improvements in creative concepts, eco-friendly materials and diversity were seen to exist, they were not enough to satisfy children’s actual play needs, and did not deviate from standardized structures and uniform arrangements. Also, safety and cleanliness factors left much to be desired. (Conclusions) First, when planning children’s parks in the future, play spaces that reflect age-related characteristics should be planned. Children have different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play forms, so there should be diversified play facilities that take into account their physical features and abilities at each stage. Second, there should be physical improvements to the arrangement and safety features to amusement facilities that are currently uniformly established. Since results indicate that guardians are focused on safety, the security of amusement facilities should be prioritized. (연구배경 및 목적) 기존의 어린이 놀이터를 상상력과 창의력이 가득한 놀이공간으로 탈바꿈시키기 위해 서울시가 주도한 상상 어린이공원 개선사업이 호평과 더불어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다.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의욕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어린이 공원 개선사업에 대해 다양한 차원에서 이용 후 평가에 대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개선된 환경과 놀이시설이 실 이용자인 어린이들의 신체적 발달 특성과 연령별 놀이행태를 잘 반영하고 있는지를 놀이시설 이용률과 연령별 놀이행태 간 상관성 여부를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어린이의 연령별 놀이행태를 반영한 어린이 공원 놀이시설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지 5개 어린이 공원을 중심으로 적용성 평가를 위한 현장조사와 더불어 관찰조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어린이들의 정확한 연령과 그들의 놀이시설 만족도 및 보호자의 놀이시설에 대한 평가를 파악하기 위한 보호자 대면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분석을 위해 공원을 방문하는 어린이 방문자의 수와 연령대, 놀이시설 이용률, 연령별 놀이시설 이용빈도, 공원 이용 만족도와 개선점 등의 요구사항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관찰 및 설문조사 분석을 바탕으로 놀이시설 이용률과 연령별 놀이행태 간 상관성에 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결과) 공원 내 놀이시설 이용률과 연령별 놀이행태 간에는 유의미한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유아기와 아동기의 어린이는 인지, 신체적 발달의 정도가 큰 차이가 있어 놀이 행동 반경이나 선호하는 놀이시설 및 놀이행태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조사 대상 어린이 공원 놀이시설은 연령별 특성을 적용한 시설 및 놀이 공간 구성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창의적인 컨셉, 친환경적 소재, 다양한 캐릭터는 많은 발전을 하였으나 실제 아이들의 놀이욕구를 충족하고 있지는 않았으며, 정형화된 구조와 획일화된 배치를 탈피하지 못하였고, 놀이시설의 안전과 청결에 대한 관리소홀인 곳이 많았다. (결론) 첫째, 향후 어린이 공원을 계획함에 있어 연령별 특성을 반영한 놀이 공간을 계획하여야 한다. 어린이는 그 연령에 따라 발달 특성이 다르며, 놀이 행태도 다르기 때문에 각 발달 단계의 신체적 특성과 능력을 고려한 놀이 요소가 다양화되어야 한다. 둘째, 획일적으로 설치되는 놀이시설의 배치와 사용 안전성에 대한 물리적 개선이 필요하다. 보호자들의 요구가 안전에 대해 집중되고 있는 결과를 볼 때에 놀이시설의 안전성 문제는 새삼 강조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