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호시화(霽湖詩話)』에 나타난 조선중기 시론(詩論)의 특징과 비평사적 의미

        하정승 ( Jung Seung Ha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5 漢文古典硏究 Vol.31 No.1

        梁慶遇는 조선중기 선조조에서 광해군 때까지 활동했던 문인이다. 그가 지은 『제호시화』는 17세기에 간행된 시화집들 중에서도 의미 있는 저작이다. 우선 비평의 내용적 측면에서 볼 때, 기존의 시화비평에서는 잘 이뤄지지 않았던 한시의 형식적인 부분과 운율적인 부분을 다루고 있다는 점이 특이하다. 한국의 한시비평사에서 한시의 형식이나 운율을 다룬 시론은 18세기 신경준에 가서야 본격적으로 이뤄진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제호시화』는 매우 선구적인 영역을 개척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우리 문학사에서 16세기 후반 이후로 유행했던 시풍인 당시풍 한시에 대한 심도 있는 비평을 하고 있다는 점도 중요하다. 시기적인 면으로 볼 때에도 『제호시화』는 조선전기인15~16세기와 조선후기인 18~19세기의 중간에 위치하여 한시비평사의 다리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도 의미가 있다. 마지막으로 『제호시화』는 양경우 當代의 시인들과 작품들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 역시 주목할 만하다. 이것은 일반적인 다른 시화집들이 前代의 시인들 중심으로 기술된 것과 매우큰 차이점이다. 이로 보면 『제호시화』는 한국한시비평사에서 본격적인 當代批評의 출발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제호시화』를 내용에 따라 분류해 보면 용사의 문제, 시의 격률, 압운법,평성·측성의 사례, 詩體, 작시에서 시어의 중요성, 개별 시인들에 대한 시평등으로 크게 나눠볼 수 있다. 여기에서 개별적인 작가들에 대한 시평을 제외하면 용사론, 시어론, 시체론, 격률론, 음운론, 성조론으로 내용이 요약된다. 기존의 시화집들과 비교해 보면 용사론과 시어론, 시체론 등은 기존 비평집의 체제를 계승한 측면이 강하고, 격률론, 음운론, 성조론 등은 기존의 시화집에서는 많이 다뤄지지 못했던 이례적인 비평방법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제호시화』에 나타난 양경우 시평의 특징을 ①시적 형용과 시어의 강조, ②點化와 剽竊과 같은 용사론에 대한 문제, ③시의 格調와 聲律論,④唐風에 대한 강조와 심미비평 등 몇 가지 측면으로 세분하여 고찰해 보았다. 이상의 논의들 중 상당 부분은 사실『동인시화』등 기존 시화집들에서 주요하게 다뤄져 왔던 쟁점들이다. 하지만 당시와 용사의 문제, 송시의 대표자인 소동파 시의 失處, 향렴체 등 당시풍 시의 특징에 대한 사항은 기존의 시비평과 비교했을 때 논의의 수준이 상당히 진일보한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압운법, 격률론, 평성·측성에 대한 논의 역시 기존의 논의들에 비하여 훨씬세분화되고 구체화된 모습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요컨대 『제호시화』는 전통적인 시비평의 방법을 계승하고 그 위에 저자 나름의 안목과 식견을 더하여 새로운 비평의 방법까지 창출해 내었다는 비평사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Yang Kyong-Woo was the influential writer who has worked in the age of King gwanghae to King seonjo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Jehosiwha(霽湖詩話)』written by him is significant book published in the 17C. It is unique that this book deals with form and rhythm.『Jehosiwha(霽湖詩話)』 deserves to be praised for playing a leading role in the history of Chinese poetry criticism in Korea. Next, 『Jehosiwha(霽湖詩話)』 is important because it commented in depth over on the Tang’s poetical style of Chinese poetry, which had been in fashion for much of the end of the 16C. This book is like a bridge linking between the early years of the Chosun and the late of Chosun Dinasty. Lastly, it is noteworthy that 『Jehosiwha(霽湖詩話)』 focuses on poets and works of the time. This book is a new starting-point of criticisms of the day. I categorize 『Jehosiwha(霽湖詩話)』 by content; Yongsa(用事), Siche(詩體), versification, rhythm, rhyme, poetry criticism. It is similar in some ways to a traditional criticism with regard to Yongsa(用事), Siche(詩體), versification. But discussing rhythm and rhyme in poems is unusual criticism method. In this thesis, characteristics of poetry criticism of 『Jehosiwha(霽湖詩話)』 are as follows; ① poetical rhetoric and emphasis on poetic words. ② Yongsa(用事), the use of past events which includes Jumwha(點化), chiseling in poetic terms. ③ rhythm and rhyme. ④ the Tang’s poetical style of Chinese poetry. These subjects are several key issues which are dealed with in 『Dongin-siwha (東人詩話)』. Still, it’s discussions not only took a step forward but are also segmented and concrete. In short,『Jehosiwha(霽湖詩話)』succeeds to method of the traditional poetry criticism and creates new brand ones. So it has a historical significance in poetic criticism history.

      • KCI등재

        자유주제 : 嗚呼島(오호도)에 대한 認識(인식)과 形象化(형상화) 硏究(연구)

        윤호진 ( Ho Jin Yun ) 동방한문학회 2014 東方漢文學 Vol.0 No.61

        이 글은 嗚呼島(田橫島)에 관한 자료를 통하여 오호도에 대한 인식과 그 형상화, 그리고 그 영향에 대해 탐구한 것이다. 오호도는 중국의 산동반도 주변에 있는 섬으로, 전횡도라고 하는 이칭에서 보듯 劉邦이 천하를 통일하게 되자 田橫이 식객 3천명을 데리고 들어갔던 섬이다. 전횡에 이곳에 있을 때 유방이 전횡을 부르니, 전횡이 부름에 응하여 가다가 낙양 근처에서 자살하였고 이 소식을 전해들은 식객이 모두 자살하였다는 곳이다. 우리나라의 자료에는 오호도에 관한 것이 그렇게 많은 편은 아니지만, 오호도에 관한 여러 가지 다양한 지식과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오호도를 막연히 생각하여 그 위치 등에 대하여서도 잘못된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조선 후기의 李수光·許穆 등 저명한 학자들은 그 잘못을 지적하고 바로잡으려 하였다. 오호도는 고려 후기의 학자 문인인 李崇仁이 오호도시를 지은 뒤로 많은 사람이 오호도에 관한 시를 짓고 있다. 고려 후기의 대표적 학자 문인들인 鄭夢周·李穡·鄭道傳·李詹 등이 모두 오호도 시를 남기고 있는데, 아마도 여말선초 왕조교체기의 시대적 상황이 전횡이 오호도에 들어갔던 때와 비슷하였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오호도에 관해서는 조선 중기에 다시 논의가 일어나 尹根壽·許筠·梁慶遇 등의 자료에 보이는데, 이숭인과 정도전 사이에 벌어졌던 이야기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 이와 동시에 여러 사람의 문집에는 오호도에 관한 시가 많이 수록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金壽恒이 장편의 오호도시를 지어 澤堂 李植의 지우를 받아 출세가도를 달렸던 일도 있다. 이처럼 조선 중기에 다시 오호도 시가 관심의 대상이 된 것은, 조선 중기 임병양란을 겪으며, 혼란했던 한나라 말기의 상황에 비추어 위기의식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그러다가 조선 후기에 오면 다시 오호도가 許穆·沈象奎·金澤榮 등 많은 학자 문인들의 작품에 등장을 하게 되는데, 이것도 당시의 조선왕조의 붕괴, 외세와 일제의 침략 등 시대적 분위기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Koreans’ perception and embodiment of Ohodo(Jeonhengdo) of China were examined in prior part. Ohodo was geographically close to Korea, and it was a seaway to China. Because historic events related with Ohodo matched with Chosun gentry’ ideological intention, Ohodo drew attention from gentry and writers from earlier time. Geographically Ohodo had beeline distance on the same latitude as Hongseong, Korea. Though there were inaccurate knowledges that Ohodo was brought up in Buan, Chonnam and seen from Baengnyeongdo, natural climate and folklore at Ohodo were specifically described by visiting there, including especially temples, portraits of the deceased, and sacrificial tables at Jeonheng. It was revealed that in late Chosun dynasty groundless stories about this island were approached thorough historical research. From the earlier time, poems were written about Ohodo, stories and people related with this island. Specifically in late Koryo Dynasty shifting to Chosun dynasty people had higher concern about Ohodo. Prominent scholars, writers, and politicians , such as Jeong Mong-ju, Lee Sungin, Jeong Do-jeon, Lee Cheom at that time composed various poems about this island. Since then poets and calligraphers had written Ohodo poems in which Jeonheng and his family were consoled and their rightous deaths were compared to Noh Jungnyeon or Hakui and Shukusei, the loyal brothers of Chinese lore. Among those poems, Lee Sungin’s Ohodo poem was given a glowing account by his master, Lee Sek and roused his alumnus, Jeong Do-jeon’s jealousy, which caused various affairs and stories. Seo Geojeong mentioned this in his book 『Jaeho Sihwa』. This story regenerated interests from Yun Geun-su, Yang Gyeongwoo, and Heo Gyun. This content was reproduced in 『Jaeho Sihwa』, 『Jaeho Sihwa』. Kim Suhang achieved recognition with his Ohodo poem from a writer, Taekdang Lee Sik at that time. Taking this oportunity, his literary talent was recognized and became a foundation for his successful lif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霽湖詩話」小考

        최우영 洌上古典硏究會 2003 열상고전연구 Vol.17 No.-

        이 글은 양경우의 개인사적 상황이「제호시화」서술에 어떤 의미 있는 작용을 하였는가를 살펴보기 위하여 쓰여졌다. 이러한 접근은「제호시화」의 내용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양경우는「제호시화」에서 성당시를 시의 전범으로 생각하는 당시의 문단경향을 반영하는 존당적인 태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율격과 음향 등 시의 형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조선 중기에 풍미한 도가적인 풍조와 관계없이 유가적인 시각을 일관되게 견지하고 있다. 서술 대상을 선택하는 데는 뛰어난 재능에도 불구하고 불우한 생애를 보낸 문인들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을 반영하고 있으면서 전체적으로 비평의 객관성을 유지하였던 것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서술태도는 서얼이라는 신분적인 제약을 극복해나간 현실참여적인 성향과 부친으로부터 물려받은 뛰어난 문학적인 재능, 뜻하지 않게 낙향을 하게 된 상황에서 비롯된 아쉬움, 그리고 끊임없는 유가적인 성실성이 어우러져서 나타난 것들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how Yang Kyung-woo's personal history had affected to the writing of Jehoshiwha, to provide an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text of Jehoshiwha. In Jehoshiwha, Yang Kyung-woo shows his respect to the poems of Tang period which reflects the general tendency of literary society in his days. In particular, he puts emphasis on formal aspects of poetry, the versification and tone. He adhered to Confucian view, being aside from the taste for Taoism that was widely spread over the poems in mid-Chosun period. In selecting poets, Jehoshiwha reveals Yang Kyung-woo's particular interest in those who lived in obscurity in spite of their literary excellence. Nevertheless, his criticism on them has been said to be moderate without losing objectivity. These features of Jehoshiwha are supposedly related to his inclination for commitment to the society with which he overcome his inherent social standing of illegitimate class. Also related are his outstanding literary talent inherited from his father, disappointment from being forced to be expelled from bureaucracy, and his sincerity as a Confucianist.

      • KCI등재

        제호 양경우 기행시의 현황과 특징

        황민선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0 한국민족문화 Vol.75 No.-

        Yang Gyeong‐wu who was born of a concubine and lived in the government position with his distinguished war services during the Imjin War, was recognized for his outstanding literary talent, such as being appointed as an official for envoys reception, but lived an uneven tenor life of government position, such as impeachment, deprivation of office, treason report, and rustication. The unstable political situation at the time of the Gwanghae‐gun era and his status limit of an offspring of a concubine brought him difficulty in overcoming with talent alone. This study attempts to point out that research of Jeho is focused on 『Jehosiwha(霽湖詩話)』, and focus on his Chinese poetry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status limit and unstable political situations met with his literary talents, creating a unique world of Jeho. Among them, the target of this study was on records of the government position life, which was severely upset, and his travelog poems, which provide an understanding of Jeho's emotions about them. It is also seen that through this examination, the landscape was selected as a poetic object in his travelog poems to express the speaker's anxiety (愁心), and that the emotion of the guest was revealed using the poetic words that reveal the floating [浮] mindful image. It is thought that Jeho's travelog poems would be a clue to understand his poetic world in more depth. 서자출신으로서 임진왜란 때의 전공으로 벼슬 생활할 수 있었던 양경우는 사신 접대에 차출되는 등 뛰어난 문학적 재능을 인정받았지만, 탄핵, 파직, 고변, 낙향 등 순탄치 못한 벼슬생활을 했다. 광해군 때의 불안한 정치적 상황과 서출이라는 신분적 한계는 재능만으로 극복하기 어려웠던 것이다. 본고에서는 기존 제호의 연구가 『제호시화』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을 지적하는 한편, 신분적 한계와 불안한 정치적 상황이 문학적 재능과 만나 제호만의 독특한 시세계를 만들었다고 보고 그의 한시에 집중하고자 했다. 그 중에서도 부침이 심했던 벼슬생활에 대한 기록과 그에 대한 제호의 정서를 이해할 수 있는 기행시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그의 기행시에서는 화자의 수심(愁心)을 표현하기 위해 시적대상으로서 풍경이 선택되었고, 떠도는[浮] 심상이 드러나는 시어를 사용하여 객의 정서를 드러내고 있다고 보았다. 이런 제호의 기행시는 그의 시세계를 보다 심도 있게 이해할 수 있는 단초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청계 양대박 문집의 異本 연구

        김소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1 규장각 Vol.59 No.-

        이 글은 남원양씨 양대박의 문집인 『청계집』의 초간목판본, 종중 소장 필사본, 규장각 소장 필사본을 대상으로 각 이본의 체제와 특징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하나의 善本을 선정하기보다는 이본 하나하나에서 확인되는 細註의 내용을 보완하여 定本化하는 작업을 통해 새로운 선본의 제작이 필요함을 언급했다. 아울러 시를 분석하여 인물정보, 장소정보, 사건정보 등 다양한 정보들을 구조화하고 이를 검색과 활용이 가능한 아카이브로 구축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하였다. 또한 『청계집』을 토대로 양대박과 교유한 인물의 문집에서 발견되는 미비한 기록이나 오류들을 보완ㆍ수정할 수 있고, 반대로 타인의 문집 속에서 양대박과 관련된 정보를 찾아냄으로써 양대박이 지었던 새로운 시문을 발견하고 그의 행적과 그를 둘러싸고 벌어진 각종 사건과 인물관계 및 情景 등을 보다 풍부하게 서술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선본 비정을 위한 서지학적 연구의 필요성이 제고되고, 이글에서 제시한 방법론을 토대로 양대박의 생애와 문학적 성과 등에 있어서 깊이 있고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학대남편을 살해한 피학대 여성의 판결에 관한 연구

        김현정,이수정 한국여성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2 No.1

        Many studies reported that the battered women killed their abuser because they tried to defend themselves. But the battered women's experiences has been not considered in out society. Because there many prejudices about the battered women, ethical criticism for killing spouse, and conservative judical system. It cause to sentence more a battered women who kill abuser than abuser who kill woman. In contrast the battered women syndrome an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re used to defense the battered women who killed abuser. Jurors who were offered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wife battering and expert testimony judge more not guilty verdicts than jurors who were not. This study examined how factors in battered women's cases affect jurors's decision making. This study presented the mock jurors three types of scenarios. First scenario described the general case. Second scenario involved the adultery of the battered woman. The third scenario involved abuse history and severity of past abuse. Of the three manipulated variables, abuse history appeared to be more important for predicting not guilty verdicts. This means that when the past beating experiences are offered to mock jurors, they returned more not guilty. This finding propose change and improvement of judical system to investigate the abuse history in battered woman's case

      • KCI등재

        허균(許筠)의 비평자료에 나타난 호남문인의 실상(實狀)

        박명희 ( Myoung Hui Park ) 東方漢文學會 2009 東方漢文學 Vol.0 No.39

        본 논고는 허균의 비평 자료를 중심으로 호남문인들의 면모와 각 자료에 나타나는 특징을 구명해봄으로써 그 가치를 다시 한번 되새겨 보고자 하였다. 허균의 대표 비평서로는 『학산초담』과 「성수시화」가 있는데, 그는 이러한 본격적인 비평서를 통해서 자신의 비평적 소신을 매듭지었을 뿐 아니라 비평가로서 문단이 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그러기 위하여 여러 문인들을 비평문 속에 등장시켜 나름대로의 비평을 가하는데, 그 중심에 호남문인들이 자리잡고 있다. 또한 호남문인인 김공희와 양대박을 대상으로 서·발문을 써 주었는데, 이들의 시적인 능력만 보았지 두 문인의 주변적인 상황은 크게 고려하지 않았다. 특히, 양대박은 당시 사회적인 분위기에서 보자면, 밖으로 드러내놓을 수 없는 신분적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허균은 당시 보수적인 문인들과는 다르게 양대박을 받아들이고, 그의 시적인 능력과 인간 됨됨이까지 살피며 문집의 서문을 써 줌으로써 시인으로서 알릴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다. 허균은 정감과 인간의 성정 등을 중요하게 여긴 순수 문예론자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 입장에서 이루어진 비평 또한 문예지향적일 수밖에 없었다. 그러던 중에 다수의 호남문인을 자연스럽게 거론하면서 호남문인의 문예취향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 주는 계기를 만들었다고 하겠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spects and features of literary persons in Honam area from various data centering on critical data by Huhgyun to consider their values. Huhgyun`s representative critical books include the『Haksanchodam』and the『Seongsoosihwa』, through which he showed his own critical opinions and provided future directions for literary circles as well. At that time, many literary persons gave their own criticism, which was led by those in Honam area. And he did not significantly consider their surrounding circumstances when he wrote prefaces and epilogues for Kim, Gong-Hee and Yang, Dae-Bak. In particular, Yang, Dae-Bak had limited social status that was hard to be exposed outside in consideration of the social atmosphere at that time. However, Huh accepted Yang with a different view from that of conservative literary persons at that time and wrote a preface for Yang, recognizing his writing ability and personality. Huhgyun is a pure literary person who valued affection and personality of man. Therefore, his criticism was also oriented toward literary art. With such intent, he provided a chance to naturally confirm literary tastes of literary persons in Honam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