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획주제 : 한국(韓國)한문학(漢文學)의 쟁점(爭點) ; 한문교육(漢文敎育) 연구(硏究)의 쟁점(爭點)

        ( Kwang Ho Baek ) 동방한문학회 2014 東方漢文學 Vol.0 No.58

        이 연구는 최근 10여 년 간 한국한문교육학회와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에서 개최된 정기학술대회의 기획주제를 검토함으로써 한문교육 분야의 선행 연구 성과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한문교육 연구의 쟁점 사항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두 학회에서 개최된 정기 학술대회의 기획주제 목록을 살펴보니, 주로 초·중등학교 현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주제가 다루어지고, 이론적인 면보다는 실천적인 면에 초점을 두고, 한문과 교육과정이나 한문과 교수·학습과 관련된 연구가 主를 이루고 있다. 한국한문교육학회의 경우 한문과 교육과정, 한문과 교육에서의 교재, 한문과 교육현장 등을 주요 쟁점으로 삼고 있다.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의 경우 한국한문교육학회와 같이 한문과 교육과정을 다루었지만, 그에 못지 않게 초등학교 한자 교육,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 한문과 수업, 한문과 평가, 한문 문법 교육 등을 주요 쟁점으로 삼았다는 점에서 한국한문교육학회에 비해 초·중등학교 현장에 실제적으로 필요한 주제를 비교적 많이 다루고 있다. 양대 학회의 기획 주제 외에 한국한문교육학회에서 2012년에 간행한 <韓國漢文敎育學 硏究叢書>의 성과를 살펴보았다. 이 총서는 한문교육의 하위 연구 분야를 총 10개로 구분한 후, 지난 30년 간 나온 연구 성과를 소개한 결과이다. 이러한 성과를 통해 도출될 수 있는 한문교육 연구의 쟁점은 ⅰ) 한문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가운데 한문 ‘독해’를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 ⅱ) 한문 교사들은 현장에서 어떤 딜레마를 갖고 있는지, ⅲ) 한문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은 어떠해야 하는지, ⅳ) 학습자가 매력적으로 느낄 수 있는 한문 교과서는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 등이다. This study examined preceding study results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fields and, through such examination, deduced points to be discussed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nd study by looking into the planned subjects of regular academic events held by Society for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nd Society for Chinese Character &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for the recent 10 years.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list of the planned subjects, the subjects closely related to elementary and junior and high school educational fields were mostly dealt with, focused on practical points instead of theoretical, and most of the studies were involved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al curriculum, and Classical Chinese lesson and learning. In addition to the planned subjects of the two educational societies, it is also necessary to examine the results of <Collected books of study on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published in 2012 by Society for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e issues of study o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nd study which can be deduced through such results include followings: i) How to teach reading comprehension of classical Chinese, ii) What kind of dilemma classical Chinese teachers have, iii) How to teachers education, iv) How to compose a Classical Chinese textbook, etc.

      • KCI등재

        자유주제 : 교육과정(敎育課程) 편제(編制) 변화(變化) 및 운영(運營) 실태(實態)와 한문과(漢文科) 교육(敎育)의 위상(位相) 변화(變化)

        宋秉烈 ( Pyeong Nyul Song ) 동방한문학회 2013 東方漢文學 Vol.0 No.57

        본 논문은 국가 수준의 제5차 교육과정 이후 편제가 변화됨에 따라 한문과의 위상이 변화된 것에 관한 연구이다. 제5차 교육과정 이후 교육과정의 편제는 국어, 영어, 수학 과목의 단위 시수를 증가시켰다. 국어, 영어, 수학 과목의 편중은 ‘과목수 축소’를 통하여 학습자의 부담을 덜어준다는 취지였다. 그러나 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실제는 국어, 영어, 수학 과목의 비정상적인 운영을 부추겨왔음이 밝혀졌다. 과목 편제에서 증가된 단위 시수를 입시 준비를 위한 문제 풀이 또는 선행학습으로 낭비하여 왔음도 밝혀졌다. 일부 특정 과목에 대한 집중 편제는 상대적으로 다른 과목의 소외 또는 배제를 의미하는 것이었으며, 이로 인한 국어, 영어, 수학 외의 과목은 단위 시수의 감소를 감수해야 했다. 중학교 한문은 제5차 교육과정 필수 과목으로 단위 시수 3~5에서2009년 교육과정에서는 선택 과목으로 단위 시수 평균 1.0으로 그 위상이 약화되었다. 고등학교 한문1과 한문2는 5차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한문1 공통 필수과목 4단위, 고등학교 한문2는 과정별 필수로 4단위였다. 그러나 2009년 교육과정에서는 고등학교 한문1 ‘기술·가정/ 제2외국어/ 한문/ 교양 4개 교과(군)에 속하는 선택과목으로, 고등학교 한문2는 과정은 제시되었으나 편제 시수는 학교 자율에 맡겨져 있다. 대체로 학교 교육과정은 입시 과목을 위주로 편성되는 것을 감안한다면 고등학교 한문2는 학교에서 선택을 하지 않을 것이다.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은 시대의 요구에 의해서 바뀔 수 있다. 그러나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을 학교에서 운영할 수 있도록 분권화한 것은 자치 교육의 실천의 중요한요소이다. 그러나 학교 교육과정의 자율적 운영을 입시 위주의 선행학습 또는 참고서 및 문제 풀이로 진행하는 것은 분명히 교육과정의 낭비이다. 국어, 영어, 수학과목에 편제 단위 편중은 한문을 비롯한 다른 교과목의 주요한 교육 목표의 실현을 양보한 것이다.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서부터 현재의 낭비되고 있는 학교 교육과정의 파행적 운영을 중지시켜야 할 것이며, 현행의 교육과정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a study about the change in the status of Chinese Character Departmen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organization after the fifth Country-level curriculum. After the fifth curriculum, the organization of curriculum increased the standard course hours of Korean, English, math. The concentration to the subjects-Korean, English, math- is aimed at easing the learner`s burden through the reduction of the number of subjects. However, the reality of the curriculum operation in school showed that it had incited the abnormal management of those subjects. It also proved that the standard course hours that were increased in the subject organization had been wasted on solving problems or prerequisite learning for preparing the entrance examination. The concentrated form for some specific subjects relatively meant the alienation or the exclusion on the other subjects, and the others had to submit to reduce the standard course hours. The position of Chinese character in middle school deteriorated from having 3 to 5 standard course hours as a mandatory subject in the fifth curriculum to having only 1 hour in average as a optional subjects in 2009 curriculum. In highschool, Chinese character one had 4 standard course hours as a common mandatory subject and Chinese character two had 4 hours as a mandatory subject according to the curriculum, However, Chinese character one was changed to an optional course that was included in the group of subjects-technology·home economics/ the second foreign language/Chinese character/liberal art, and Chinese character two is being run its standard course hours with each school`s autonomy, though its curriculum was suggested. Considering that school curriculums are generally formed for the sake of the subjects which are included in the entrance exam, Chinese character two would not be chosen at school. Country-level curriculum can be changed by the requirement of the age. Nevertheless, it is the important element of practicing autonomous education that the Country-level curriculum was decentralized to operate it independently at school. However, it is definitely wasting the curriculum to run the independent operation of curriculum in the way of solving problems, reference books or prerequisite learning for preparing the entrance examination. The unequal distribution of the organized hours to Korean, English and math is that the realization of major educational purpose in other subjects including Chinese character was conceded. The present limping operation of school curriculum that is being dissipated from the Country-level curriculum has to be stopped, and it needs to review the current curriculum in the beginning.

      • KCI등재

        韓國 漢文 敎科書의 變遷史 -敎育課程 適用 時期를 中心으로-

        장호성 동방한문학회 2018 東方漢文學 Vol.0 No.74

        Classical Chinese class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selected educationally meaningful material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e classical Chinese class curriculum. Classical Chinese teaching materials mediated to communicate teaching and learning. This study presents the history of changes in Korea Classical Chinese class teaching materials of the textbook. Classical Chinese textbooks published after the curriculum application period and The Korea textbook issuance system uses of combination that government-published textbook, authorized textbook (middle stage), and recognized textbook. Classical Chinese textbooks has been published an authorized textbook or recognized textbook in early stage and Government-published textbooks in the middle stage, after that recently recognized textbook. This article showed listing and cataloging of Classical Chinese textbooks, according as curriculum in Korea. Also, Language planning was influenced enactment of 'Educational Chinese character ‘Commercial Chinese character’, ‘Classical Chinese education basic Chinese character’.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there are various changes in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external structure. 漢文科 敎材는 漢文科 敎育課程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자료를 선택하여 그것을 매개로 교수․학습의 의사소통을 하는 매개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한문과 교재 중 가장 대표적인 교재라 할 수 있는 ‘敎科書’, 그 중에서도 교육과정이 적용된 시기 이후에 발행된 ‘한문 교과서’로 한정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의 교과서 발행 제도는 國定․檢定․認定制를 倂用하고 있는데, 한문 교과서는 초기에는 검정 또는 인정 교과서로, 중기에 한때 국정 교과서로, 그리고 최근에는 인정 교과서로 발행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에서 교육과정이 제정된 이후에 발행되었거나, 혹은 그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漢文 교과서(漢字, 漢字語 포함)를 조사하여 目錄化하고, 수집 가능한 교과서를 통해 한문 교과서의 변천 과정 및 그 내용상의 특징을 개괄하고자 하였다. 한국의 한문 교과서는 국가의 語文政策 그리고 敎育課程에 따라 변화를 거듭하게 되었다. 어문정책이 바뀜에 따라 소위 ‘敎育漢字’, ‘常用漢字’, ‘漢文敎育用 基礎漢字’가 제정되었고, 제한된 紙面에 이들 한자를 소화하기 위해 單元의 數 및 구성 체계 등이 변화하게 되었다. 또 교육과정의 개정에 따라 그 기본 취지에 맞게 내용의 선정 및 조직,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그리고 외형 체제 등에 있어 다양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 KCI등재

        한국(韓國)의 한문폐지(漢文廢止) 논쟁(論爭)의 사적(史的) 고찰(考察)

        박진수 ( Jin Su Park ) 동방한문학회 2011 東方漢文學 Vol.0 No.47

        본 연구는 100여 년 동안 끊임없이 제기되어 온 한국의 한문폐지 논쟁을 역사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한문폐지 논쟁의 성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한문폐지 논쟁에 있어 기본 문제는 논쟁의 발생 배경을 규명하여 폐지논리의 근원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 문제는 논쟁이 발생한 개화기의 시대적 상황과 당시 문체의 변화를 통해서 고찰해 보았다. 다음으로 한문폐지 논쟁이 직접적으로 일어난 애국계몽기의 한문폐지 논쟁 양상을 한문옹호와 한문폐지, 그리고 한글전용으로 세분화하여 역사적 의미를 밝혔다. 기존의 한문을 고수하려는 보수 세력과 한글을 통해 한국의 근대화를 성취하려는 진보 세력 사이의 한문폐지 논쟁은 ``獨立``과 ``自强``이라는 역사적 명제가 전제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고는 초기 한문폐지 논쟁의 성격을 역사적 명제 하에 펼쳐진 한문폐지 논리 가운데서 파악하였다. 한문폐지 논쟁은 민족의 주체적 역량에 근거한 합의에 도달하지 못하고 ``庚戌國恥``로 인하여 그 논의의 장을 일제에게 빼앗겨 버렸는데, 이로 인해 논쟁은 민족의 수난과 더불어 그 성격이 변하게 되었다. 광복 이후 한문폐지와 관련한 문제는 새로운 민족 국가 건설이라는 과제 당면 하에 어문정책으로 결정되었다. 따라서 광복 이후의 논쟁은 어문정책 변화를 통해 살펴보았고, 마지막으로 이전의 한문폐지 논쟁과 그 성격이 어떻게 변하였는가에 대해 고찰하였다. This study, by considering controversies over the abolition of classical Chinese writing in Korea which have been constantly raised over the past 100 years, attempted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controversies. Firstly, the fundamental issue of controversies over the abolition of classical Chinese writing is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on controversies and grasp source of the logic of abolition, which was considered through the periodical condition of the Enlightenment when the controversies began to emerge and the changes of literary style in those days. Secondly, the aspect of controversies over the abolition of classical Chinese writing in the period of patriotic enlightenment when the controversies arose directly was subdivided into three parts such as defence of Chinese writing, abolition of Chinese writing and Hangeul-only, and its historical meaning was unfolded. The controversies over the abolition of classical Chinese writing between the conservative force that adhered to the existing Chinese writing and the progressive force that tried to accomplish modernization of Korea through Hangeul was based upon the historical proposition, ``independence`` and ``self-strengthening``. Therefore, this thesis investigated the nature of earlier controversies over the abolition of classical Chinese writing, between the logic of the abolition of classical Chinese writing which had been set out under the historical proposition. Controversies over the abolition of classical Chinese writing did not reach an agreement based on the nation`s independent capability, and the field for argument was taken away by Japanese imperialism in ``Gyeongsul gukchi (Japan`s annexation of Korea)``, which led to changed nature of controversies along with national ordeal. After the independence from the Japan occupation, the issues related to the abolition of classical Chinese writing was determined by the language policy, facing the problem of the establishment of a new nation-state. Therefore, I examined the controversies after the independence through changes in language policy and considered how the nature of earlier controversies had changed at the conclusion.

      • KCI등재

        기획 1 : 중세 라틴어 문화권과 한자 문화권의 이중 언어와 문화 ; 한국(韓國)의 한문문화(漢文文化)와 한문교육(漢文敎育)

        송병렬 ( Pyung Nyul Song ) 동방한문학회 2007 東方漢文學 Vol.0 No.33

        한국 문화는 두 가지 측면에서 형성되었다. 토착적인 생활 문화와 주변 국가와의 교류적인 문화의 측면이다. 주변국과 교류하면서 형성된 문화 중 가장 영향력이 컸던 것은 동아시아 한문문화이다. 이는 한국의 토착적인 민중 생활 문화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주변의 국가들에게도 문화적인 영향을 끼치기도 하였다. 한문문화는 한국의 문화의 정신적, 물질적인 모든 분야에서 드러나고 있다. 사상사적으로 고려시대의 불교, 이조 사회의 유교 사상(성리학) 등이 그것이다. 유교이념의 내용은 전적으로 ``한문문화``에서 起因했다. 이러한 한국의 한문문화는 주로 언어적인 측면에서 출발하고 있다. 바로 한문으로 기록되어서 나온 것이다. 이러한 한문의 교양과 지식을 지닌 지식인들은 또한 한문으로 이루어진 수많은 기록물을 만들어냈을 뿐만이 아니라, 그 안에 내용을 담아냈다. 이러한 내용은 하나의 분야에만 멈추는 것이 아니라, 사회 문화 전반에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산수 자연 문학에 관련된 문학작품이 미술 작품으로는 산수화나 건축으로는 자연친화적인 한옥 건축 미학으로 연결된다는 것이다. 한문문화는 단지 언어적인 것에 머물러 존재할 수 없는 것이요. 수많은 근대 이전의 사회 문화 속에 적용이 되는 것이며, 오늘날 현재의 우리 삶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오늘날과 같이 물질주의의 공세가 커질수록 오늘날 현대인의 삶 속에는 그에 대항할 만한 사상과 문화로서의 반물질주의적인 문화의 교육이 필요하다. 그러나 한문문화의 전통이 우리의 잠재적인 문화로 존재하는 것으로 현대의 물질주의에 저항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한문문화의 전통이 현대 물질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도록 미래 세대에 대해 교육할 수 있는 장이 있어야 한다. 한문교육은 바로 그런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제7차 교육과정의 한문과 성격에는 "언어생활의 한자어" 교육을 강조하였다. 언어생활 한자어가 한문 문화에 의해서 형성된 국어임에는 틀림이 없으나 한문과 성격의 제1의 것으로 하기에는 아쉬움이 남는다는 것이다. 이에 반해 새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성격은 "한문의 학습을 통하여 다양한 유형의 한문 자료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심미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한 교과"라고 규정하고 있다. 심미적으로 고전 자료를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제시하였다. 7차에 비해 매우 적극적인 태도이다. 그러나 그의 실천은 아직 미정이다. 교육과정으로 선언만 하였을 뿐 실천은 교과 전체의 책임으로 남았다. Korean culture has been created in two aspects, which are native living culture and mutually interactive culture with foreign countries. Chinese writing culture was the most effective one among those interactive cultures. It effected Korean native way of life as well as that of other peripheral countries in East Asia. Chinese writing culture is discovered in every mental and material fields in Korean culture. Buddhism of Goryeo dynasty and Confucianism in Joseon dynasty are the very evidence. Confucianism has its ideological foundation definitely on Chinese writing culture. Chinese writing culture in Korea is born in linguistic side; Korean archives are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Intellectual people had produced substantial documents within which contents were linked organically all over the social culture. For instance, literature on natural landscape was connected to landscape paintings and architectural aesthetics. Chinese writing culture does not nor cannot stand alone in linguistic side, but does affect pre-modern social culture and our daily lives. Especially, as materialism gets more excessive, people need culture education of anti-materialism for ideal and cultural factor in their lives. But tradition of Chinese writing culture cannot resist modern materialism if it stays only in our potential culture. We need to educate our descendants to get over materialism with the tradition of Chinese writing culture. Classical Chinese education plays a critical role in that aspect. 7th curriculum emphasized "Sino-Korean words in daily lives" as a feature of Classical Chinese. Sino-Korean words are indeed Korean word derived from Chinese writing culture, but it occurs to me that it`s not quite adequate for a prime feature on Classical Chinese. On the contrary, the new curriculum states that Classical Chinese is "a subject to achieve critical understanding and aesthetic enjoy of various types of Classical Chinese materials through studying." It suggests that building an aesthetic enjoy has a significant meaning. This is a vigorous gesture. Still, taking it into action is yet uncertain. It is our duty not to leave the curriculum as a vague declaration.

      • KCI등재

        기획 1 : 중세 라틴어 문화권과 한자 문화권의 이중 언어와 문화 ; 한문 교육 진흥을 위한 독일의 라틴어와 한문 교육 사례 검토

        유명인 ( Myoung In Yu ) 동방한문학회 2007 東方漢文學 Vol.0 No.33

        중·고등학교 한문 교육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는 수업 목표를 재고할 필요가 있다. 한문 교육이 전통의 계승과 인성의 계발에 도움이 되기는 하겠으나 이것만으로는 한문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기 힘들다. 문어라는 한문의 특성을 잘 살려 한문 교육에 실용성과 미래지향성을 부여해야만 한다. 한문 교육이 한국어를 비롯한 다른 언어의 독해력 향상과 모국어에 대한 올바른 인식의 확립에 도움이 된다는 점을 강조해야 한다. 유구한 한문 문학의 전통이 한국어 문학의 진흥에 필요한 비옥한 토양이 될 수 있다는 점도 함께 강조해야 한다. 다시 말해, 한문 교육의 목표가 단순히 한문의 습득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한국어의 위상정립에도 있다는 것을 널리 알려야 한다. 이런 방향으로 한문 교육의 기능을 강화하고 한문 교육의 정당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려면 교육 방법도 재고할 필요가 있다. 한문이 단지 전통의 寶庫만이 아니라 언어의 보고라는 점을 강조해야 한다. 전통적인 교육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다. 다시 말해, 언어학적 방법으로 체계화된 문법을 중심으로 한 수업 방법과 한문의 제이 외국어화를 적극 고려해야 한다. 문법의 정리를 위해서는 한국과 주변국에서 나온 성과뿐만 아니라 서구 중국학계에서 나온 성과도 함께 참고해야 한다. 특히 후자의 경우가 중요하다. 한문 교육의 미래지향적인 방향 설정을 위해 본고에서는 독일 학교의 라틴어 교육과 독일 대학의 고전 중국어 교육을 사례로 검토했다. For the development and the promotion of the Hanmun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there is an urgent need to question the purpose of the Hanmun curriculum. Hanmun education, as is widely held, is probably conducive to keeping tradition and developing personality, yet this is not enough to create a broad consensus about the need of learning Hanmun. Its nature as a written language will shed light on the fact that learning Hanmun is not only of practical use but also future-oriented. More emphasis must be put on the possibility that it helps students to improve their reading comprehension in Korean as well as other languages and to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ir own native language. It must also be emphasized that the long tradition of Hanmun literature can provide a favourable basis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Korean literature. In this regard, it is of particular importance to propagate the idea that the Hanmun education also aims at achieving the establishment of Korean as the literary language. In order to strengthen these functions and reach a consensus of that type, of course, it is also necessary to improve the teaching methods of Hanmun. Besides, the fact that Hanmun is a repository of language (resources) rather than one of the traditions will have to be seriously taken into account. The traditional methods have reached their limit. In this respect, serious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application of modern linguistic methods based on the grammar of Hanmun. Furthermore, it might be more adequate that students have an option to learn Hanmun as a second foreign language. To this end, the research results from Korea and her neighbours as well as from the field of sinology in Europe and North America should be consulted. The latter, amongst others, is expected to be a good guide to methodological innovation. In view of all this, this paper emphasizes the necessity of changing the course of the Hanmun curriculum and makes suggestions to the effect by giving some examples from the Latin curriculum in secondary schools and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on the college level in Germany.

      • KCI등재

        ‘전공 역량’ 기반의 한문교육과 전공 교육과정 재구성에 관한 연구

        白光鎬 ( Baek¸ Kwang-ho ) 동방한문학회 2021 東方漢文學 Vol.- No.88

        본고는 중등학교 한문 교육의 변화를 앞두고 한문교육과의 전공 교육과정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라는 고민에서 출발한다. 이는 어느 한 학과의 문제가 아니기에, 한문교육과의 구성원들과 이 고민을 나누고, 현장 교사는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공유하고 싶다. 한문교육과에서 길러야 하는 능력은 무엇일까? 독해력, 즉 한문을 능숙하게 풀이하는 능력인가? 아니면 교수 능력, 즉 한문을 잘 가르치는 능력인가? 이 글에서는 이것을 ‘전공 역량’이라는 용어로 지칭하고자 한다. 그래서 재학생 및 졸업생 의견을 청취하고 현장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한문교육과에서 길러야 하는 ‘전공 역량’을 선정하고 각각의 역량에 대한 정의를 내린다. 이 연구에서 ‘전공 역량’을 내세운 취지는 지금의 전공 교육과정이 한문 독해에 다소 치우쳤음을 지적하고, 전공 교육과정에서 키울 수 있는 학생들의 역량에 관심을 기울이자는 것이다. 중등학교 한문 교육의 변화에 따라 한문교육과의 전공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자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지만, 그렇다고 하여 당장 강좌를 폐지·신설하거나 강좌 명칭을 변경하는 것은 어렵다. 그래서 예비 한문 교사가 수강하는 각 강좌에서 다룰 수 있는 ‘전공 역량’에 초점을 둔다. 본고는 교육부에서 2021년 7월에 발표한 ‘교원양성체제 발전 방안[시안]’에 대비할 수 있는 한문교육과의 전공 교육과정 및 운영 방안을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가 있다. 이제는 한문 독해력보다는 다양한 상황에서 한문을 기반으로 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중심으로 전공 교육과정을 재구성해야 하는 때이다. This paper starts from the problem on how to change the Major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Chinese Classics education for the training of Preparatory teacher in anticipation of changes in secondary school Chinese Classics education. This problem is not an issue in any of the departments, so I wanted to share this topic and how the teachers in the field think, with members of the department of Chinese Classics education. What does it take to become a Chinese Classics teacher? Reading comprehension, that is, the ability to interpret Chinese classics proficiently? Or is it the teaching ability, that is, the ability to teach Chinese classics well?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use the term "major competency". Now is the time to restructure the specialized curriculum centered on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based on Chinese Classics in various situations rather than reading comprehension of Chinese Classics.

      • KCI등재

        기획1 : 한국한자학(韓國漢字學)의 미학적(美學的) 접근(接近)(1) ; 한문교과(漢文敎科) 산문교육(散文敎育)에 있어서 미학(美學) 원리(原理)의 적용(適用)과 실천(實踐) 방안(方案) 연구(硏究)

        허철 ( Chul Heo ) 동방한문학회 2011 東方漢文學 Vol.0 No.49

        본고는 이 중 ``한문학``, 특히 한문 산문이 가지고 있는 미학적 특질이 한문 교과에서 어떻게 표출되고 있으며 그 내용이 적절하게 구성되고 있는가를 집중적으로 살피면서 향후 한문 교과에서 문학, 특히 한문 산문을 교육 내용으로 선정하고 조직할 때 어떤 계획과 방법론을 제시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였다. 한문 교과에서 산문 교육이 중요하다는 것에 대해서는 이론의 여지가 없으나, 그것을 어떻게 구조화할 것이고 어떻게 위계화하며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아직 그렇게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근본적인 이유로 우리는 현실적인 문제를 거론하지만, 실제 현실적인 문제에 앞서 필자는 한문 교과에서 문학을 어떻게 취급해야 할 것인가라는 기본적인 문제 인식과 그 해결을 위한 방법이 모색되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필자는 한문 교과의 학습목표의 위계적 목표와, 즉, 초기 학습자로부터 고급 학습자까지 조금씩 다른 학습목표를 제시할 것과 교과서의 1차시 1소단원 학습이라는 암묵적 규율에서 벗어나 조금 더 하나의 작품을 올바르게 감상할 수 있도록 다차시 한 작품의 학습을 위한 구조적 변경을 제시하였다. 결국 한문 교과에서 시행하는 한문 산문 교육은 문학적 특수성을 반영한 미학 교육이라는 측면에서 다른 한문 문장들과는 다른 교육적 접근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우리는 한문 교과에서 다루어야 할 교육 내용이 무엇이며, 어떤 내용을 어떤 시기에 선정하고 어떻게 조직화되어야 하는지 보다 치밀한 설계가 필요하다. This paper is about how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especially the feature of aesthetic in Chinese prose presents in a Classical Chinese subject. Also it discusses that when selecting and organizing the contents for educational purpose which plans and theories we are going to present. Although there is no doubt that education of prose is very important in Classical Chinese subject, it is not enough to be discussed on how we should organize, structuralize, reflect the Chinese prose in a lesson. For this issue we usually consider the realistic matter however, prior to the matter, this writer think we should find how we will identify and treat the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subject which is the basic problem and the method to solve the problem. For this I will present the organized goal in Classical Chinese subject which is to set the different lesson goals based on the level from basic to advance. Also, I will provide alterations on structure of lesson plan like a multiple planned lessons for one work to help complete understanding which is not only limited by the old system of a period in one chapter. All in all, regarding the Classical Chinese prose education in Classical Chinese subject reflects the distinct feature, it is needed a different educational approach distinguished from other sentences in Classical Chinese. In this sense, we need the detail processor about when and how the certain contents should be organized and what we should cover in the Classical Chinese subject as well.

      • KCI등재

        투고논문 : 한문과 학교문법서의 서술 방향 모색 -2007 개정교육과정 중고등학교 해설서(한문) 강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성중 ( Sung Joong Kim ),김수경 ( Su Kyung Kim ) 동방한문학회 2012 東方漢文學 Vol.0 No.50

        학교문법은 학문문법이 간결화 과정을 거친 결과라고 한다. 이는 결국 어떠한 내용을 어떻게 기술하느냐에 관련되는 것이다. 구체적인 조작은 대상이 누구냐에 따라 달라진다. 우리가 한문을 익히는 방법은 서양인과 다르고 중국인과도 다르다. 따라서, 한문 독해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필요한 한문 문법 지식은 우리나라 학생의 상황에 맞게 서술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한문과 학교 문법에 대한 학계의 연구 성과는 2007 개정교육과정(및 해설서)에 모아져 있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한문교육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해설서를 중심으로 한문 문법을 강의하면서, 학생들이 해설서를 통해 한문 문법을 익히는 과정에서 노정된 여러 문제점을 크게 네 유형으로 나누어 그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첫째, 학생들에게 일반적 문법의식과 한문만의 특수한 문법 인식을 제고해줌으로써 도입단계에서 한문의 문법적 요소를 이해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둘째, 해설서의 부분적인 문법 서술의 모호성과 간략성은 학생들이 해당 문법내용을 이해하는 데 혼란을 야기할 수 있는 까닭에, 문법 서술 표현을 엄밀화함으로써 학생들의 문법 이해 효과를 증대할 필요가 있다. 셋째, 문법 사항을 설명하는 예문이 교재 및 학생의 학습 수준과 유리될 경우 학생들은 문법 설명을 명확히 이해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가능한 한 전형적이고 실용적인 예문을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의 해당 문법 내용에 대한 이해를 극대화시켜야 한다. 넷째, 학생들이 한문 문법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데 필요한 학습 요소들을 보강, 추가할 필요가 있다. 이상에서의 고찰이 향후 학교 문법서 편찬에 참고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We ascertain that the 2007 Revised Curriculum Guide of Korean Classical Chinese has reflected the academic research performance of the school grammar of Korean Classical Chinese so far. Based on the various critical recognition of one college student group majoring in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oward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which had been researched during the lecture in 2011, this essay endeavors to devise alternative proposals for their critical queries. We categorize our suggestions into four parts. First, the students` grammatical recognition could be enhanced by presenting the factors grounded on the general grammar recognition and the distinctive grammatical elements of Korean Classical Chinese, respectively, in the intro. Second, the preciseness of grammatical description could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students` grammatical grasp, because the survey shows that the students express their difficulties of understanding when the grammatical descriptions are ambiguous. Third, the archetypal and obvious example sentences help the students understand grammatical contents more directly. we find that when an example sentence deviates from the school text or the students` academic standards, the students` academic efficiency decreases. Forth, Some grammatical issues could be resolved by additional description of grammatical elements, such as causative use of verbs, solo & multi functional aspects of mood particles, which are not included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Guide. We hope that our research and suggestions to the students` grammatical recognition could have a certain value for the compilation of a future school grammar text.

      • KCI등재

        한국전쟁(韓國戰爭時) 한문교육(漢文敎育)의 사적(史的) 고찰(考察)-쟁점(爭點) 용어(用語)를 중심(中心)으로-

        이돈석 ( Don Suk Lee ) 동방한문학회 2013 東方漢文學 Vol.0 No.55

        한문교육의 내용과 위상은 시대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를 역사적으로 연구하는 것은 한문교육 자체를 이해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한문교육사 연구에 대한 실증적 자료의 수집과 정리가 미비하였다. 다만 1955년 1차 교육과정이 공포되어 교육과정사와 관련된 문헌이 남아 있었기 때문에 그 근거가 확실하다. 해방이후부터 1차 교육과정이 공포되기 전까지의 한문교육과 관련된 실증적 자료는 부족하다. 이는 그동안 한문교육의 위상과 같은 외재적 요인으로 한문 과목의 필요성과 관련된 연구에 내용이 집중되었고 내재적으로는 연구자들이 한문교육학의 학문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연구에 집중하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그 동안 실증적으로 검토되지 못하였던 戰時 中 한문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신문 기사와 각종 자료를 발굴하여 한문교육사와 관련된 내용이나 용어, 발표 시기에 대한 진위 여부를 밝혀 보았다. 그 중 전시 한문 교육과 관련된 용어인 ‘戰時敎育特別措置要綱’과 ‘戰時學習指導要項’, ‘漢字指導要項’, ‘常用漢字’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The contents and phase of the Classical Chinese education varies,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Therefore, the historical study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tself to understand these changes was an essential a sphere. Until now, however, collect and organize the lack of empirical data for the study of the History for Classical Chinese education. However, because it remains the History of curriculum and related literature published the primary curriculum in 1955 that is certainly based. However, it is the fact for the lack of the empirical date related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fter the liberation from the colonial rule and before publishing the primary curriculum. For researchers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have externally focused on the research related to the needs of the Classical Chinese subjects, such as the phase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nd internally on the research to lay the academic foundation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the contents, terminology and the time announced associated with the History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during war, who had not been examined empirically, are found out the truth with discovering the related newspaper articles and the various mater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