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 시(詩)에 구현된 존주자(尊朱子) 의식

        박명희 ( Myoung Hui Park ) 택민국학연구원 2012 국학연구론총 Vol.0 No.9

        본 논고는 유희춘의 시 「감흥」, 「곤학」, 「반무당」 세 작품에주목하여 주희에 대한 존숭 의식의 구현 양상과 도학시로서의가능성 등을 논의하였다. 유희춘은 여러 기록을 통해 볼 때 朱熹에 대한 존숭 의식이절대적이었다. 이것은 당대 16세기라는 사상의 흐름과 관련된 것으로 유희춘은 그러한 주희에 대한 敬慕를 실제 「감흥」, 「곤학」, 「반무당」 등과 같은 작품을 통해 依倣해 보임으로써 그의의식의 한 단면을 보여주었다. 먼저 「감흥」 시는 총 4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희의 「재거감흥」 20수를 의방한 작품이다. 유희춘은 「감흥」4수는 체계적인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그러는 가운데 자신의 주희의 존숭 의식을 담았다. 1연에서는 孔孟 이후 시들기 시작한 성리학이 송때 이르러 부흥했음을 밝히며 특히, 주희의 공을 드러내었고, 2연에서는 유희춘 자신이 주희의 학문을 받아들이는 과정을 비유적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3연에서는 주희의 格物致知說과 연관지을 수 있는 觀物論을 언급하였으며, 마지막 4연에서는 주희의 학문을 통해 후대의 학자 및 자신이 이룬 성과를 언급함으로써 존숭 의식의 깊이를 알렸다. 두 번째 작품인 「곤학」시는 총 50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희의 「곤학」시를 의방한 작품이다. 유희춘은 「곤학」시를 통해 자신이 한때 학문에 게으른 적도 있었지만, 결국 주희의 학문을 익히고자 하는 의지를 저버리지 않았음을 밝히며, 존주자 의식의 깊이를 다시 한 번 새겼다. 앞에서 본 「감흥」4수에 비하면학문적 깊이를 알 수는 없지만, 존주자 의식을 재무장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세 번째 작품인 「반무당」은 총 20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희의 「관서유감」을 의방한 작품이다. 유희춘은 「반무당」에서 물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주희와 정신적으로 일화체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주희의 「관서유감」은 물이라는 객관사물을 매개로 시적 정감과 도학적 사유를 융합하였는데, 유희춘도 「반무당」에서물을 각별히 생각하고 도학자적인 입장에서 시 내용을 전개하였다. 그러면서 자신의 그러한 도학자적인 면모는 주희에게서 유래했음을 나타내 보여주었다. 이상 유희춘의 「감흥」, 「곤학」, 「반무당」 세 작품을 통해 존주자 의식이 어떻게 구현되었는지를 살폈다. 세 작품에서 보인 존주자 의식의 양상은 相異했지만, 주희의 학문과 사상을 받아들이려는 자세는 강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감흥」시의 3연에서는 觀物察理의 시학을 드러내었음을 구명하였는데, 이것은 곧 주희의 격물치지설과 연관 지으며 도학시로 볼 수 있는 가능성을 언급하였다. 유희춘의 존주자 의식을 담은 시는 16세기성리학이 점차 무르익어 가는 시점에 나온 작품으로 학문이 어떤 양상으로 수용, 표출되었는지를 알게 해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았다. This study analysed how the respect to Chu Hsi was realized, focusing on the three poems by Yoo, Hui-chun:「Inspiration」, 「Hard Studying」, and「Banmudang」. It is recorded that Yoo, Hui-chun had an absolute consciousness of following Chu Hsi. It is related with the flow of thoughts of the 16th century and he showed his honor to Chu Hsi in the poems titled「Inspiration」, 「Hard Studying」, and「Banmudang」. The 「Inspiration」is made of a total of four passages and each of them is connected to organize his respect. It was based on「Jaegugamheung」by Chu Hsi, but it is distinctively represented through presenting the reality of Confucianism at that time and his academic status. The「Hard Studying」is made of a total of 50 passages and reveals Chu Hsi`s enthusiasm about studying. Yoo maintained the attitude to learn Chu Hsi`s knowledge through the poem. The「Banmudang」is made of a total of twenty passages which show he was mentally united with Chu Hsi through a medium of water. He considered water in the poem and developed the poem with attitude as a Taoist. It shows that such attitude was derived from Chu Hsi. 「Inspiration」, 「Hard Studying」, and 「Banmudang」dramatically show Yoo Hui-chun`s attitude to honor Chu Hsi, through which we can understand how confucian scholars of the 16th century accepted the poetry by Chu Hsi.

      • KCI등재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 시문의 수사적 표현 기법 양상

        박명희 ( Myoung Hui Park ) 한국고시가문학회 2013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2

        본 논고는 眉巖 柳希春 한시에 나타난 수사적 표현 기법 양상을 정리해보고, 이를 바탕으로 그 의의를 구명해보고자 작성하였다. <미암집> 권1과 2에는 총 282수의 시가 수록 정리되어 있는데, 유희춘이 시를 형상화함에 있어 주로 활용한 수사적 표현 기법으로는 隱喩와 象徵, 引喩 등이 있었다. 유희춘은 시에서 은유적 표현 기법을 다양하게 구사하였는데, 첫째 원관념과 보조관념이 뚜렷하게 연관되는 경우, 둘째 상황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면, 보조관념이 무엇을 뜻하는지 알 수 없는 경우, 셋째 한 작품 안에 여러 보조관념이 나와서 결국 원관념을 유추하게 하는 경우, 넷째 한 작품 안에 비슷한 의미를 가진 보조관념이 연속으로 나와 마찬가지로 원관념을 유추하게 하는 경우, 다섯째 하나의 보조관념을 시의 처음에 제시한 후 이것으로써 마지막까지 내용을 이끌어가는 은유의 기법을 활용하는 등등 의미를 전달하는 기법이 실로 다양함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유희춘의 시 중에는 제목을 통해 상징적으로 무엇인가를 나타내 보여주려고 한 작품이 있는데, 상징적이기 때문에 단일의 의미보다는 중의적으로 의미를 파악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유희춘은 博覽强記한 사람으로서 시를 창작함에 있어 이러한 자신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였다. 그러한 박람강기함은 결국 시에 나타난 전고 운용 실태를 보고서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유희춘을 학자로 보는 한편, 문예 기질이 풍부한 문인으로 보아야 하며, 이를 대변해주는 것이 수사적 표현 기법을 활용한 작품들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유희춘에게 있어 수사적 표현 기법을 활용한 작품은 최고의 문예미를 자랑하는 것으로서의 의의를 지녔다고 보았다.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the rhetorical medium shown in Chinese poetry by Miam Yoo Hui-Choon and its meaning, Vol. 1 and Vol. 2 of the <Miamjib> hold a total of 282 poems and what is noteworthy is the medium. Yoo Hui-Choon sometimes used rhetorical expressions to configure poetry while he used straightforward expressions which are easy to understand. He used a different concept metaphorically to deliver original concepts. Also, he applied a number of ancient cases and historical facts. Therefore, this study analysed his poetry focusing on the medium he used to speculate on what he finally achieved through its use. Yoo Hui-Choon usually applied metaphor, symbolism, and allusions to configure his poetry. He used a variety of metaphorical methods: First, when an original concept is definitely connected with a secondary concept; Second, when a situation is not clearly understood as the secondary concept is not clear; Third, when the original concept has to be inferred as there are a few secondary concepts in a poem; Fourth, when the original concept has to be inferred as there are a few secondary concepts with similar meaning in a poem; Fifth, after a secondary concept is presented in the beginning of the poem, it is used to develop the poem to the end as a metaphorical technique. Also he intended to show something in a symbolic way through the titles of his poetry. As it is symbolic, it has double meaning. Finally, he exerted his outstanding intellectual ability in writing poetry. Such ability is discovered through his application of ancient events and cases. He showed his thoughts in his poetry, which were discovered in a number of his poems.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he intentionally used the rhetoric medium for his poetry as a scholar and literary person. So his poetry which uses a rhetorical medium has a proud literary beauty.

      • KCI등재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 시문의 전고(典故) 운용(運用) 양상과 의미

        박명희 ( Myoung Hui Park ) 한국고전문학회 2011 古典文學硏究 Vol.40 No.-

        이 논문은 유희춘이 시문에서 운용한 전고의 원래 텍스트 범위와 양상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바탕으로 미학적 의미를 구명하였다. 유희춘은 실제로 經部의 12종, 史部의 19종, 子部의 21종, 集部의 18종 등 총 59종을 시문 창작의 전고로 운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미암집』 소재 시문 282수 가운데 189수의 작품에서 전고를 사용하였고, 총 365회를 활용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그리고 전고 운용 양상은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첫째는 자신이 현재 처한 상황과 의식 등을 대신할만한 전고의 어휘를 다양하게 찾아 반복 운용했다는 점과 둘째, 한 편의 시문을 완성하기까지 전고를 자주 운용하여 난삽함까지 안겨주었음을 지적하였다. 먼저 ``전고어의 운용과 상황의 代稱``에서는 ``흘간산의 참새``부터 ``北海의 孔融``까지 이들 모두는 거의 떠돌이, 유배, 궁핍함 속에도 절의를 지키는가 하면 학문도 게을리 하지 않았다는 이미지로써 유희춘 자신을 처지를 대칭하고 있음을 언급하였다. ``전고의 頻用과 의미의 難澁``에서는 유희춘은 한 편의 시문을 완성하기까지 인명, 지명, 사건 등이 어우러진 전고를 빈번히 운용하였는데, 이렇듯 전고를 시문을 완성하는 중요한 근거로 삼은 까닭에 다소 의미 파악이 어려운 결과를 낳았다고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유희춘이 시문에서 운용한 전고의 양상을 통해 시적 상황의 일치라는 측면에서 동일시의 미학을, 의도적인 인상을 주기는 하지만 작품 안에서 布置에 힘쓴 점을 감안할 때 안배의 미학을 언급하였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aesthetic meaning of authentic precedents used in poetry by Miam Yu Hui-chun focusing on the range and aspects of the original texts. It was discovered that Yu Hui-chun used a total of 59 kinds of authentic precedents in his poetry a total of 365 times: 12 parts of Confucian classics, 12 parts of history, 21 kinds of miscellaneous class, and 18 kinds of anthology class. The aspects he used authentic precedents in his poetry are categorized into two: One is that he repeatedly used a variety of vocabulary which can cover his conditions and consciousness and the other is that he used authentic precedents too often to complete his poetry so that it is difficult to read. In respect to use of authentic precedents and symmetry of conditions, sparrows in Mt Heutgan to Gongyung in the North Sea adhered to their fidelity and did not neglect their studying although they were wanderers or exiles and in poverty, which indicates Yu Hui-chun`s conditions. For ``frequent use of authentic precedents and difficulty of meaning``, he used authentic precedents which contain lots of human or geological names, and events as important grounds of poetry until he completed his poetry. Therefore, it was difficult to understand what it means. In conclusion, the study analysed the aesthetics of identification in an aspect of agreed poetic conditions through the aspects authentic precedents were used in his poetry and mentioned the aesthetics of scattering although it was deliberately intended.

      • KCI등재

        미암유희춘(眉巖柳希春)시문에 나타난 종성(鍾城)유배기 활동 양상

        박명희 ( Myoung Hui Park ) 한국고시가문학회 2012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29

        본 논고는 유희춘이 함경도 종성 유배 시절에 지은 시문에 나타난 활동 양상을 구명하고, 그 시문의 성과를 정리하였으며, 남은 과제를 제시하였다. 유희춘이 남긴 종성 유배기 시문은 총 143수이다. 이러한 시문을 활동적인측면에 근거해보면 첫째, 학문을 연마하며 尊朱意識을 표출한 내용, 둘째, 현지인들에 대한 교육과 저술, 셋째, 뭇 인사와의 교유와 이를 통한 소통 등으로 나눌 수 있었다. 첫째, 학문을 연마하며 존주의식을 표출한 내용에서는 유배라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공부하는 자세를 버리지 않은 모습에 초점을 맞추었다. 특히, 유희춘은 학문과 관련된 시문을 통해 남송 때의 학자인 朱熹를 존숭하는 태도를 강하게 내비치었다. 둘째, 현지인들에 대한 교육과 저술 활동을 펼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희춘이 종성 유배 시절 현지인들은 배움의 의지를 보여 모여들었고, 유희춘은 유교적 현창 사업과 저술 활동을 통하여 현지인들을 교화시키려 했음을 몇몇 시문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셋째, 뭇 인사와의 교유와 이를 통한 소통을 끊임없이 행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관련된 작품 특히, 金麟厚와 주고받은 酬答詩가 인상적인데, 총 16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유희춘과 김인후는 당시 士林이라는 위치에서 배우고 익힌 것을 실천에 옮기고자 했던 측면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가 있었고, 이러한 공통된 실천성은 결국 거리는 멀리 떨어져 있어도 누구보다 가깝게 느끼도록 했으며, 짧은 시문으로나마 지닌 소회를 나타냈다고 보았다. 유희춘의 종성 유배기 시문은 각각이 한 편의 작품에 불과하여 떼어서 보면, 그다지 큰 의미를 지니지 않지만, 전체를 관망해 본다면 유배기를 정리해주는 이야기(story)이라는 점에서 성과를 찾을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유희춘이 유배지에서 남긴 중국 역사 시문과 현실 인식을 담은 시문에 대한 관심은 남은 과제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sed aspects of activities presented in poetry by Yu, Hui-Chun during exile at Jong Sung and organized the results of the poetry and tasks left. Yu, Hui-Chun wrote a total of 143 poetic works while he was in exile at Jong Sung. First, The poetry was categorized into that with respect to Zhu Xi, that on education for local people and that of friendship with neighbors. First, the study focused on his firm attitude of learning though he was in exile. In particular, he revealed strong attitude of respect to Zhu Xi, a scholar of Song Dynasy through his poetry on studie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he led education and writing activities for local people. It was discovered in a few poems that the people gathered to learn from him when he was in exile at Jong Sung and he attempted to educate them through confucian projects and writing. Third, he continued to communicate with famous figures. He exchanged a total of 16 poems with Kim In-Hu, which was very impressive. Yu, Hui-Chun and Kim, In-Hu had common things each other in that they attempted to practice what they learned as Salim and they felt closer each other through their practical mind although they were far away. They showed their feeling through short poems. Though Yu, Hui-Chun`s poetry at exile did not have significant meaning when it was separated individually, it has a great meaning as it tells about his exile as a whole. Then, poetry on Chinese history by Yu, Hui-Chun and interest in recognition of reality will be further studied.

      • KCI등재

        眉巖 柳希春의 詠史詩에 나타난 思惟와 지향

        박명희(Park, Myoung-hui) 한국언어문학회 2012 한국언어문학 Vol.82 No.-

        This study defines six pieces of historical poetry by Yu Hui-choon as historical and explained the reason why it is historical, how it was developed and what he pursued for through his historical poetry. Yu Hui-choon's poetry to study here includes『Dokhantoijisamsangseosi』,『Gwajageum』,『Domyeongbi』,『Jangsunghoigo』,『Songsahohwansangsan』,and 『Hanmangjabangbun』.They were categorized into historical facts and theories and he organized his ideas to think historic persons and events based on historical facts although there was a difference in quantity. He developed historical theories poetically. As a result, in『Dokhantoijisamsangseosi』, he reflected Hanyu's attitude to life and revealed agony about a true governor. In『Gwajageum』,he dealt with behaviors of officials and emphasized that history should be written based on Chunchoobeop. In『Domyeongbi』,he focused on ‘virtue' through a historical poetry on Wangsog un and in『Jangsunghoigo』, he suggested that to maintain a nation properly, people should cooperate rather than they are conscripted for building the Great Wall. In『Songsahohwansangsan』,he pointed out legitimacy considering Saho(the four scholars) as positive, and in『Hanmangjabangbun』,he intended to reveal fidelity through Jangjabang and suggested what attitude a ruler should have. This study organized his pursuit through historical theories of six historical poems concluding that it is related with moralism of Confucianism, and suggested that such pursuit is based on his academic background and can be connected to reality.

      • KCI우수등재

        訥齋 朴祥의 忠州牧使 시절 기묘사림과의 시적 교유와 그 의의

        박명희(Park, Myoung-hui) 국어국문학회 2019 국어국문학 Vol.0 No.189

        본 논문은 박상이 충주 목사 시절 기묘사림과 교유하던 중 지은 시를 대상으로 그 실상을 살핀 뒤에 그 특징과 의의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정해 내용을 서술하였다. 박상은 기묘사화가 끝난 지 2년이 채 안 된 시점에 충주 목사로 부임하는데, 필자는 여기에서 기묘사림들과 만나 시적 교유를 한 것은 유의미하다 판단하여 논문을 작성하였다. 박상이 충주 목사 시절에 만난 기묘사림은 공서린, 김세필, 이약빙, 이연경, 이자등 총 5명이다. 이 중에서 이자 · 이연경 · 김세필 등과 관련한 작품을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이자와 관련한 작품은 총 2제 6수로 집계되었다. 박상은 이자에게 시를 통해 진심어린 위로의 말을 전달했음을 확인하였다. 이연경과 관련한 작품은 총 3제 7수인 것을 확인하였다. 이연경은 광주이씨 명문가 집안으로 박상은 시를 통해 이러한 부분을 부각시켰다. 김세필과 관련한 작품은 총 13제 46수였다. 박상은 바쁜 공무를 보는 틈틈이 김세필이 사는 곳을 자주 드나들며 우의를 다지고, 때로는 열띤 학문의 토론도 했음을 알았다. 본 논고는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교유시의 특징과 의의를 정리하였다. 박상은 충주 목사 시절에 기묘사림들과 시를 통해 진심이 담긴 교유를 하였다. 특히, 김세필과 관련한 시를 수십 편 지어 다른 기묘사림과 대비되는 특징을 보여주었다. 박상을 가리켜 ‘기묘완인’이라 하는데, 필자는 이러한 칭호를 받게 된 계기를 충주 목사 시절의 행적에서 찾았다. 박상은 충주 목사 시절에 기묘사림들과 교유하며 인간적인 면모를 보여주는 한편, 크게 드러나지 않으나 소신 있는 발자취를 남겼기 때문이다. 또한 기묘사화 이후 사림들이 어려움에 처해 있을 때 시를 통해 교유하여 결속을 다져 사림 문화의 면모를 보여주었다는 점을 그 의의라고 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poetry Park Sang as Choongjoo minister wrote during having friendship with Kimyosalim through poetry, its characteristics and meaning. The Kimyosalim members Park Sang met as a minister of Choongjoo were Gong Seo-Lin, Kim Se-Pil, Lee Yak-Bing, Lee Yeon-Gyeong and Lee Ja. He wrote a total of 62 poems with 20 themes in respect to the five members, through which what they talked at those times was understood. In particular, this study gave a focus on the poems relating to Lee Ja, Lee, Yeon-Gyeong and Kim, Se-Pil. As for Lee Ja, there were a total of 6 poems with 2 themes. It was confirmed that Park Sang gave sincere consolation through poetry to Lee Ja. As for Lee, Yeon-Gyeong, there were a total of 7 poems with 3 themes. Park Sang emphasized that Lee Yeon-Gyeong came from a prestigious family of Gwangju Lee in his poetry. There were a total of 46 poems with 13 themes relating to Kim Se-Pil. Park Sang frequently visited Kim Se-Pil"s place and had passionate debate on academic topics with him even though he was very busy with his official job.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friendship poetry based on the results presented above. Park Sang as Choongjoo minister had true friendship with Kimyosalim through poetry. Also, he wrote a few scores of poems relating to Kim Se-Pil, which were different from those on other Kimyosalim members. It was assumed that Park Sang was called ‘Kimyowanin’ because of his achievements as a minister. He had humane relations with Kimyosalim and had a strong belief even though it was not clearly revealed. It was the meaning of friendship poetry he wrote while working as a minister in Choongjoo.

      • KCI등재

        懷齋 朴光玉의 시를 통해 본 삶의 軌跡

        박명희(Park, Myoung-hui) 우리말글학회 2020 우리말 글 Vol.84 No.-

        본 논문은 회재(懷齋) 박광옥(朴光玉, 1526〜1593)이 지은 시를 연도순서로 정리한 뒤에 그 시를 통해 삶의 궤적(軌跡, 발자취)를 살피는 것을 목표로 정하였다. 박광옥은 67세 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고경명(高敬命) · 김천일(金千鎰)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고, 의병도청(義兵都廳)에서 군대의 장비와 양식을 조달했으며, 도원수 권율(權慄)을 도와 공을 세웠다. 따라서 지금까지 박광옥을 언급할 때 반드시 호남의병과 연관 짓는데 그쳤을 뿐 그가 남긴 시 작품을 구체적으로 거론한 적은 없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박광옥 시 작품을 연구한 최초라는 의의가 있다. 박광옥은 전통 시대 수많은 문인들과 마찬가지로 느낌이 일어나면 시를 짓는 시인이었다. 그의 시문을 기록한 『회재유집(懷齋遺集)』을 살펴보면, 총 223제 321수의 시가 전해지고 있으며, 132제 187수 작품에 지은 시기를 명기하였다. 필자는 이 187수의 시에 주목하고 이를 통해 삶의 발자취를 살펴보았다. 우선 이를 위해 40세 이전부터 60세 이후의 시까지 네 부분으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그 결과 40세부터 50세 이전에 시가 절대적으로 많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박광옥은 40세부터 50세 사이에 학행으로 천거되어 고향 광주에서 상경했는가 하면 가정적으로 불우한 일이 겹쳐 여러 산천을 유람하였다. 그래서인지 다른 시기에 비해 더 많은 시 작품을 창작했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박광옥 시의 통시적 구조를 통해 삶의 궤적을 살폈을 때 이를 바탕으로 한 활용 가능성 두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박광옥의 삶의 여정을 이야기로 꾸밀 수 있다고 하였고, 둘째 삶의 여정에서 만났던 인물들을 대상으로 인적 네트워크를 구성할 뿐 아니라 정치색도 알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였다. This paper arranged the poems written by Hojae Park Kwang-Ok in the order of the year and then set the goal of examining the footprints of life through the poems and seeking ways to utilize them. Such longitudinal research was possible because poetry in the vol. 1 of 『Hoijaeyujib』 by Park Kwang-Ok was chronically organized. It has been known that Park Kwang-Ok was one of central persons who raised righteous soldiers in Honam area in 1592 when Imjinwaeran broke out. His poetry has not been studied although he wrote a number of verses because he was a leader of righteous soldiers. However, what is certain is that he passed a literary examination as a literary person and 321 verses with 223 themes he had written were published in the『Hoijaeyujib』. He added periods when he wrote the verses for the timeline in the poetry collection. Volume 1. of 『Hoijaeyujib』 published the poetry he wrote from ages of 39 to 66. It did not show his poetry regularly but what poetry he wrote. In particular, the 「Timeline」recorded in the appendix of the collection dealt with his life roughly in addition to activity as a righteous soldier. By investigating his verses chronically, this study could trace his activity in detail.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further horizontal research on the timeline of poetry and his life is needed as this study was longitudinal.

      • KCI등재

        눌재(訥齋) 박상(朴祥)의 시를 통한 비판적 사유(思惟)의 실현과 현대적 의미

        朴明姬 ( Park Myoung-hui ) 동방한문학회 2021 東方漢文學 Vol.- No.86

        본 논문은 박상이 시를 통해 어떤 대상을 비판했으며, 사유의 실현 양상은 어떠한지를 구명한 다음에 현대적 의미를 새기는 것을 목표로 정하였다. 이는 한시의 高踏性 탈피와 현대와의 연계 가능성을 시도한 것이기도 하다. 박상은 32세 우부리 장살 사건, 연산군 외척으로 인해 고관을 사퇴한 일, 42세 때 「청복고비신씨소」를 올린 일, 기묘사화가 일어난 이후 피화인들에게 도움을 준 일 등을 통해 비판적 사유가 어떻게 실현되었는가를 살폈다. 이를 통해 박상은 심신이 표리부동한 사람이 아니라는 확인하였다. 또한 관인으로서 사유를 실현한 것과 사림으로서 사유를 실현한 것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관인으로서 사유 실현과 관련한 시는 「재화김동추세필술전가잡어」 1제 10수, 「삼화김동추전가잡어」 1제 10수 등이 해당하였다. 또한 사림으로서 사유 실현과 관련한 시는 「강천산」 1제 1수, 「적거술회」 1제 5수 등이 해당한 것을 확인하고, 작품의 내용 또는 특징을 구명하였다. 그리고 관인의 입장에서 현실을 그린 작품에 비할 때 사림의 입장에서 지은 작품이 다양한 수사법을 동원한 것에 주목하였다. 마지막으로 현대와 어떻게 연계시킬 수 있는지를 언급하였다. 박상의 살았던 시대와 현대는 맞지 않은 측면이 있으나 사유한 것을 실천에 옮겨 일관된 삶을 살았던 것은 교육적으로도 얼마든지 활용할 수 있다고 전망하였다. 또한 문학적으로도 박상의 시 정신과 창작의 방법 면에서 그 의미를 새겼다. 우선 박상이 남긴 비판적 사유를 실현한 시 작품은 현대적 입장에서 보면, 리얼리즘을 실현시켰다고 보았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ubjects Park Sang criticized and how his critical thinking was realized in his poetry based on what has been achieved so far in theses on him and his poetry and then reflect their modern meaning. Park Sang is a representative poet of Honam Area in the middle period of Joseon and approximately 1,200 poems with 620 themes were handed down in the 『Nuljaejip』. The 1,200 Chinese poems he wrote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contents as follows: Poems on love of his family, those on friendship, those on concern about current issues and those on academic opinion and belief. They all have their own peculiar meaning and in particular, the poems directly relating to realization of critical thinking concerned about and regretted over the current issues. As this study considered that it is a good point of his poetry, it was to speculate on his thinking and its modern meaning in his poetry. It was suggested that it was an attempt to escape from transcendence of Chinese poetry and possibility of connection with modernity. Based on the results above, it is concluded that the poems where critical thinking was realized presented the landmarks of life in the present beyond the past and those the poet wrote when he worked for official post suggested what attitude officials should have on official work.

      • KCI등재

        무정(茂亭) 정만조(鄭萬朝)의 진도 유배 시(詩)에 나타난 현지인과의 교유와 그 의의

        朴明姬 ( Park Myoung-hui ) 동방한문학회 2020 東方漢文學 Vol.0 No.82

        본 논문은 정만조의 진도 유배 시에 나타난 현지인과의 교유에 주목하여 『恩波濡筆』의 내용을 중심으로 정리한 뒤에 그 의의를 구명하였다. 『은파유필』은 정만조의 진도 유배와 관련된 책이다. 이 책에는 총 144제 257수의 시가 전하고 있는데, 진도 유배지에서 지은 작품 수는 119제 232수이다. 본 논문은 119제 232수를 대상으로 주로 논의하였다. 정만조는 1895년 8월에 일어난 乙未事變과 10월에 일어난 春生門 사건에 연루되어 1896년 1월 체포 구금되었고, 3월에 진도로 유배지가 결정되어 유배 생활을 시작하였다. 정만조는 유배지 진도에서 수많은 작품을 짓는데, 이러한 작품은 『茂亭存稿』와 『은파유필』에 남아 있다. 특히, 『은파유필』에는 『무정존고』에 없는 향토색 짙은 작품들이 있으며, 현지인들과 교유한 시가 고스란히 남아있어 필자는 그 부분에 주로 주목하였다. 정만조의 『은파유필』에 등장하는 진도 현지인은 김필근, 김형면, 박덕인, 김명항, 박봉우, 박유련, 박응원, 박진원, 소승규, 안종석, 이남언, 이범교, 이범위, 이승희, 장봉정, 허변, 허형, 그리고 신원 미상 2명 등이다. 정만조는 이들 현지인들과 詩契를 맺는 등의 활동을 통해 고된 유배 생활을 이겨나갔다. 시계를 맺은 정만조는 현지인들과 잦은 만남을 가져 詩作 활동을 하였다. 이것이 바로 정만조가 진도 현지인들과 교유하는 방법이기도 하였다. 필자는 이런 시적 교유에 대략 세 가지 양상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첫째, 어떤 특정한 한 사람과 있을 때 지은 것, 둘째 여러 사람과 어울렸을 때 지은 것, 셋째 정만조가 시를 지어 다른 사람에게 보인 것 등이 그것으로 본문을 통해 구체적인 내용을 서술하였다. 당시 진도에는 문예에 뜻을 둔 사람들이 많았는데, 필자는 현지인들의 그러한 뜻을 정만조가 충족시켜주었다고 결론지었다. 정만조의 영향은 후대까지 이어져 가는데, 그 중심에 진도 사람 박진원이 있다고 언급하였다. This study speculated on friendship with locals of Jindo shown in the poetry he wrote when he was exiled through the contents of 『Eunpayupil』 and the meaning. 『Eunpayupil』 is related to Jeong Man-Jo's exile in Jindo. It has a total of 257 poems with 144 titles, 232(119titles) of which were written in Jindo. This study focused on the 232 poems with 119 titles. As Jeong Man-Jo was involved in Eulmisabyon on April of 1895 Chunsaengmun Case that occurred in October of the same year, he was arrested in January of 1896 and was exiled to Jindo in March of the same year. He wrote a great number of poems in Jindo, which were recorded in 『Mujeongjongo』 and 『Eunpayupil』. In particular, as the 『Eunpayupil』 included poems of rich local colors that did not exist in 『Mujeongjongo』 and those on friendship with local people, this study gave a focus on it. Jindo people who appeared in the 『Eunpayupil』 were Kim Pil-Geun, Kim Hyeong-Myon, Park Deok-In, Kim Myeong-Hang, Park Bong-Woo, Park Yoo-Ryon, Park Eung-Won, Park Jin-Won, So Seong-Gyu, Ahn Jong-Seok, Lee Nam-Un, Lee Byom-Gyo, Lee Byeom-Wee, Lee Seong-Hee, Jang Bong-Jeong, Huh Byon, Huh Hyeong and two unidentified people. Jeong Man-Jo overcome difficulties in exile by joining in literary associations with them and continuing to write poetry. That was the way he had friendship with local people.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re were three aspects in such poetic association: First, the poems he wrote when he was with a specific person; Second, those he wrote when he was in company with many people; and those he showed to others after he wrote. They were specifically described in the body. At that time, there were a number of people in Jindo who aspired to literary activity. This study concluded that Jeong Man-Jo satisfied their aspiration. His influence continued and in particular, Park Jin-Won was much influenced by him.

      • KCI등재

        눌재(訥齋) 박상(朴祥)의 잡체시(雜體詩) 실현 양상과 그 의미

        박명희 ( Park Myoung-hui ) 한국한문학회 2018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0

        본 논고는 눌재 박상이 잡체시를 어떤 양상으로 실현하였고, 그 의미는 무엇인지를 밝히는 데에 주력하였다. 박상이 남긴 잡체시는 실현한 양상에서 차이가 있는데, 문답체와 회문체는 別體詩이고, 팔음가ㆍ약명체ㆍ읍명체 등은 遊戱詩이며, 연구는 交感詩로 구분하여 논의하였다. 첫째, 별체시에 해당하는 작품으로는 문답체인 「전차아문답 봉수적암부언편」와 회문시인 「퇴거 화리문순운」, 「술회 배률회문 용리춘경운」 등이다. 「전차아문답 봉수적암부언편」을 통해서는 ‘학문의 방향’, ‘貞明’, ‘正道’, ‘진정한 友道’, ‘삶의 태도’ 등을 강조하였다. 회문시 작품의 경우, 특히 이규보와 김시습의 시에서 운을 빌려와 시를 지으면서 더 발전적인 형태로 나름의 창의성을 드러낸 작품도 완성하였다. 둘째, 유희시에 해당하는 작품으로는 「팔음가 유장검상옥정한림만종」 등이다. 이 잡체시 중에 팔음가는 단순히 문자를 재미있게 나타내기 위한 데에서 그친 것이 아니라 含意를 드러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약명체와 읍명체를 통해서는 시어에 담긴 의미를 찾도록 함으로써 유희성을 한층 더 높였다. 셋째, 연구시에 해당하는 작품으로는 「여사연구」 등이다. 박상은 「청복고비신씨소」와 같이 자신이 스스로 만든 일 때문에 고초를 겪으면서, 그리고 기묘사화라는 역사적 소용돌이 속에서 사림으로서 뜻을 함께 한 사람들과 의기투합할 기회를 갖고 싶었을 것이다. 비록 많은 작품 수는 아닐지라도 연구시는 그런 기회를 만들어준 경우라고 평가하였다. 전통 시대에 많은 문인들은 잡체시를 홀대하였다. 그런 중에 박상이 잡체시를 남겼음은 실험 정신을 드러낸 것이기 때문에 의미가 있다. 이는 다른 문인들과 달리 한시 시체에 대해 각별한 편견을 지니지 않았다는 의미에서 중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speculate on how Nuljae Park Sang realized Jabchaesi and what meaning it has. There are differences in realization aspects of Jabchaesi he left. Mundapchae and Hoimunchae are Byolchesi, Paleumga, Yakmyongchae and Eupmyongchae are Yooheesi(fun poems). Gyogamsi (sympathetic poems) was categorized as Yeongusi. First, Jeoncha Amundap Bongsujeokambuun Pyon as Mundabchae Toigeo Hwarimunsunun, Sulhoi Baeryulhoimun Yongrichungyongun, Jaesugoun Sagalouijin Mamadabjeok Micholsinki Chatakmulsang Gangpyonwhagmo Angbakchanyeon and Chamaewoldangsasijeolgu as Hoimunsi are Byolchesi. He emphasized ‘directions of studies’, ‘rectification’, ‘right path’, ‘true friendship’ and ‘living attitudes’ in Jeonchaamundap Bongsujeokbuunpyon. As for Hoimunsi poems, he responded to Hwamunsi by Lee Gyu-Bo and Geum Si-Seup or rhymed a poem. In particular, when he followed their rhymes to write poems, he developed the rhymes further to be very creative. Second, Paleumga Yoojanggeumsangokjeonghanlimmanjong, Yakmyongchae Yoojanggeumsangokjagangbu, Hoseomyongyong Yongbondoeupmyong Chapanun Jeongbongwoojeoldomaengsungong are Yooheesi. It was confirmed that Paleumga, one of Jabchaesi, had implications beyond fun expression of words. Through Yangmyongchae and Eupmyongchae, he led readers to search for meaning in poetic words, which made readers have more fun. It seems that such poems were like ‘picture puzzles’. Third, Yeosayeongu, Kimgongseokgongjadang Yeongu, Gongjadang Juseokk Yeongu are Yeongusi. It was suggested that Park Sang would have an opportunity to have solidarity with those who agreed to him in the historical whirlpool of Kimyosahwa while suffering from what he caused through Chongbokgobisinssiso. Though he did not write so many Yeongusi poems, it was judged that it gave him such opportunity. In the past, literary persons ignored Jabchaesi. Therefore, the fact that he wrote Jabchaesi is meaningful and important as it was shown that he had experimental mind and were not much prejudiced against verse forms of Chinese poe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