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알콜중독 환자를 위한 가족치료적 접근전략 연구

        임혁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05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1 No.-

        본 논문은 알콜중독환자를 위한 가족치료적 접근전략을 연구한 것으로서, 알 콜중독환자의 치료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가족체계적인 접근이 요구되며, 알콜중 독 환자가 가족 내에서 기능을 잘 할 수 있도록 사회복지적인 영역에서의 개입 이 요구되므로, 이런 내용들을 바탕으로 하여 알콜중독 가족의 회복을 돕기 위 한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한 걸음 더 나아가 가족치료적인 기법을 활용하여 알 콜환자 가족에 대한 효과적인 개입방안과 그러한 개입방법의 효과성에 대해 고 찰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연구의 의의로는 알콜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단순히 환자 개인의 문제로만 국한시키지 않고, 가족과 알콜환자를 둘러 싼 환경에의 사정을 바탕으로 한 생태체계적인 접근을 시도함으로써, 알콜중독 환자들이 재발하지 않고 지역사회에서 잘 기능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요구 되는 가족체계적인 맥락에서의 사회복지 실천적 개입을 통해 이들의 문제해결 에 도움의 열쇠를 제공하는 단초가 될 수 있다는 데 있을 것이다.

      • 가족탄력성이 알콜중독자의 회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정남,이영호 한국교류분석학회 2009 교류분석과 심리사회치료 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알코올중독자도 가족의 한 구성원으로써 가족탄력성을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궁극적으로 알코올중독자의 가족탄력성 지각정도에 따라 회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병리적 관점에서 벗어나 강점관점을 바탕으로 알코올중독자 및 가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며 가족탄력성 연구를 바탕으로 회복요인 추출을 통해 실천현장에서 알코올중독자의 가족탄력성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임상 개입방향의 기초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첫 음주 시기, 알코올중독으로 진단받는 시기, 입원치료 횟수, 회복활동에 대한 가족들의 도움 정도가 회복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내었으며, 둘째, 연구대상자의 가족통제감, 가족강점, 가족응집력, 가족대처전략, 가족의사소통이 긍정적이거나 높을수록 회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셋째, 연구대상자의 첫 음주시기, 입원치료 횟수, 회복활동에 대한 가족들의 도움정도, 가족대처전략이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청소년의 약물 중독에 관한 연구와 가족치료의 도입에 관한 고찰

        강영주 한국심리협회 2014 심리행동연구 Vol.6 No.1

        청소년기는 성인기의 삶에 영향을 주는 발달과 성장을 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청소년 약물중독의 복잡한 문제들에 대하여 이미 많은 연구들이 행해졌으나, 적절한 개입, 예방, 그리고 치료를 위하여 청소년 약물 중독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간단한 문헌 연구를 통하여 청소년 약물 사용과 중독에 관한 연구들을 알아보았다. 청소년 약물 중독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청소년의 약물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가족이며, 그중에서도 부모라고 결론 내리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의 약물 중독이 가족의 영향이 큼을 인지하고, 약물 중독 청소년을 치료함에 있어 적 극적인 가족치료의 도입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청소년의 약물 중독 치료를 위하여 가족의 개입을 적극 활용한 개입법 중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모델 중 하나인 다차원적 가족치료를 소개하였다. 다차원적 가족치료를 소개함으로서, 가족의 영향력에 대하여 중요시 다뤘던 연구들이 임상 연구를 통하여 어떻게 실제 프로그램으로서 활용되고 있는가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The age of adolescence is a critical time of development and growth that impacts on life in adult. Even though there have been numerous research related to complex problems of substance abuse in adolescent, it is needed to understand substance abuse in adolescent for appropriate intervention, prevention, and treatment. This study examined substance abuse in adolescent through brief literature review. Lots of study about substance abuse in adolescent concluded that family especially parents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substance abuse in adolescent. Thus, this study is aware of impact of family on substance abuse in adolescent, and suggests aggressive use of family therapy for substance abuse in adolescent. In addition, Multidimensional family therapy was introduced that is one of the most popular model for substance abuse in adolescent by using aggressive intervention of family. The study illustrated how studies that emphasized influence of family were utilized as clinical intervention by introducing Multidimensional family therapy.

      • 청소년의 약물 중독에 관한 연구와 가족치료의 도입에 관한 고찰

        강영주 한국심리협회 2014 심리행동연구 Vol.6 No.2

        청소년기는 성인기의 삶에 영향을 주는 발달과 성장을 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청소년 약물중독의 복잡한 문제들에 대하여 이미 많은 연구들이 행해졌으나, 적절한 개입, 예방, 그리고 치료를 위하여 청소년 약물 중독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간단한 문헌 연구를 통하여 청소년 약물 사용과 중독에 관한 연구들을 알아보았다. 청소년 약물 중독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청소년의 약물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가족이며, 그중에서도 부모라고 결론 내리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의 약물 중독이 가족의 영향이 큼을 인지하고, 약물 중독 청소년을 치료함에 있어 적 극적인 가족치료의 도입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청소년의 약물 중독 치료를 위하여 가족의 개입을 적극 활용한 개입법 중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모델 중 하나인 다차원적 가족치료를 소개하였다. 다차원적 가족치료를 소개함으로서, 가족의 영향력에 대하여 중요시 다뤘던 연구들이 임상 연구를 통하여 어떻게 실제 프로그램으로서 활용되고 있는가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The age of adolescence is a critical time of development and growth that impacts on life in adult. Even though there have been numerous research related to complex problems of substance abuse in adolescent, it is needed to understand substance abuse in adolescent for appropriate intervention, prevention, and treatment. This study examined substance abuse in adolescent through brief literature review. Lots of study about substance abuse in adolescent concluded that family especially parents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substance abuse in adolescent. Thus, this study is aware of impact of family on substance abuse in adolescent, and suggests aggressive use of family therapy for substance abuse in adolescent. In addition, Multidimensional family therapy was introduced that is one of the most popular model for substance abuse in adolescent by using aggressive intervention of family. The study illustrated how studies that emphasized influence of family were utilized as clinical intervention by introducing Multidimensional family therapy.

      • KCI등재

        알콜문제로 인해 갈등을 겪고 있는 부부의 가족치료 사례연구

        박태영 ( Tai Young Park ),박진영 ( Jin Young Park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가족복지학 Vol.33 No.-

        본 연구는 알콜중독 문제를 가진 남편과 그 가족을 돕기 위한 가족치료 모델로서 MRI의 상호작용적 가족치료 모델과 Bowen의 가족체계 이론의 효과성을 보고자 하였다. 또한 알콜중독의 원인을 가족체계라는 맥락에서 이해하여 가족구성원들이 유지해왔던 시도된 해결책을 인식한 후 이를 탈피할 수 있는 새로운 대처 방식을 시도하고 유지함으로써 가족의 문제를 해결한 두 모델의 원리와 개념들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Miles와 Huberman이 개발한 시간에 따른 디스플레이 중 하나인 "사건 흐름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분석에서 발견된 개념들을 도식화하였다. 분석결과로서, 부부갈등의 주원인은 술, 미분화, 역기능적 대처방식이라는 3가지 범주가 도출되었고 부부갈등과 관련된 부부의 원가족 특성은 크게 남편의 원가족 특성과 부인의 원가족 특성으로 나눌 수 있었다. 남편의 경우 음주, 폭언, 폭력에 대한 다세대 전수가 있었으며 부인의 경우 부모로부터의 신체적, 언어적 학대 뿐 아니라 성폭력의 경험으로 인한 낮은 자존감과 피해의식이라는 심리적 특성이 남편과의 상호작용을 왜곡시키는 준거틀로서 작용하고 있었다. 가족치료의 결과로는 대화방식의 변화, 음주량의 감소, 인식의 변화, 역기능적 대처방식에 대한 비효과성 인식이라는 4가지 범주가 도출되었다.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find the causes of the conjugal conflict relating to husband with alcoholic problem,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in family of origin regarding conjugal conflict, and to reveal the effectiveness of MRI model and Murray Bowen`s family systems theory with regard to the result of the family therapy. The total family counseling was 14 sessions, which included individual, couple, and family counseling. The study used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by using open coding method to find the causes of conjugal conflict, the characteristics in family of origin relating to conjugal conflict and the result of family therapy. The study used Miles and Huberman`s time-ordered network display to show the result of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alcohol, undifferentiation of self, dysfunctional communication pattern as causes affecting conjugal conflict. The characteristics in family of origin regarding to conjugal conflict were divided into husband`s characteristics and wive`s. For the husband, alcoholism, violent language, violence were transmitted from family of origin, while the wife had low self-esteem because of parents` physical and verbal abuse as well as sexual abuse experience.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se low self-esteem and victim`s consciousness distorted the interaction with the husband. Finally,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e change of communication skill, the decrease in dose of drinking, the change of cognition, and the insight of the ineffectiveness in dysfunctional coping mechanism as the results of family therapy.

      • KCI등재

        가족력이 있는 여성알코올중독자의섬유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유미란 한국미술치료학회 2018 美術治療硏究 Vol.25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a female alcoholic with family history experience through art therapy using fabric medium.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August 2016 to March 2017 in a total of 24 sessions, one or two times a week, with the art therapy program using fiber media for two hours per session. The conclusions are follows: First, the a female alcoholic with family history showed that emotional cutoff with others derived from frustration caused by the mother, and that emotional stability and decrease in depression were met through expression of negative feelings toward family members. Second, the female alcoholic with family history sublimated the negative emotions toward her family, who she had been avoiding, thus altering the humiliation she had toward her family. Third, the experience of the female making dolls through sewing became an opportunity to address the lack of attachment from her family during her childhood, and resolved a sense of guilt toward child - rearing through positive maternal experience. Fourth, the female alcoholic decreased her negative emotions and thoughts toward men stemming from her alcoholic father, and became hopeful in achieving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men. Fifth, the female alcohol addict with family history was able to find her identity through art therapy using a fabric medium, and was willing to become sober and recover with the support and hope of her family. 본 연구는 가족력이 있는 여성 알코올중독자가 섬유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에서의 치유적 경험은 무엇인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알코올중독 가족력이 있는 30대 여성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2016년 8월부터 2017년 3월까지 주 1~2회씩 총24회기에 회기 당 2시간씩 섬유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결론은 첫째, 가족력이 있는 여성알코올중독자는 타인과의 정서적 단절이 어머니로부터 비롯된 좌절감이었음을 통찰하였고, 가족에 대한 부정적 감정의 표출을 통해서 정서 안정과 우울 감소를 경험하였다. 둘째, 가족력이 있는 여성알코올중독자는 그동안 회피했던 가족에 대한 부정적 감정을 작품으로 승화함으로써 가족에 대한 수치심이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가족력이 있는 여성알코올중독자가 바느질로 인형을 만든 경험은 어린 시절에 가족으로부터 결핍된 애착을 충족하였고, 긍정적 모성경험을 통해서 자녀 양육에 대한 죄책감을 해소하는 기회가 되었다. 넷째, 가족력이 있는 여성알코올중독자는 알코올중독인 아버지로부터 비롯된 남성들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과 생각이 감소하였고, 남성에 대한 긍정적인 관계를 희망하게 되었다. 다섯째, 가족력이 있는 여성알코올중독자는 섬유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를 통해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게 되었고, 가족에 대한 지지와 희망을 바탕으로 단주와 회복에 대한 의지를 다지게 되었다.

      • KCI등재

        알코올중독자 가족의 가족적응유연성 증진을 위한 개입모형 개발 : 알코올중독의 세대간 전이를 예방하는 시각에서

        장수미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학회 200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11 No.-

        알코올중독은 중독자 개인뿐만 아니라 가족구성원 전체에 영향을 미치며 가족의 역기능을 초래한다. 특히, 부모의 알코올중독이 아동의 심리적, 사회적 기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이제까지 알코올중독자 자녀에 대한 지배적인 연구결과였다. 이 연구들은 주로 임상표본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서, 알코올중독 부모가 있는 역기능적 가족환경에서 자라난 자녀에게 알코올중독의 세대간 전이가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알코올중독자 배우자나 자녀 등 가족에 대한 치료적 개임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최근 들어서 알코올중독자 가족에서 성장함에도 불구하고 건강한 적응을 이룬 자녀에 대한 연구는 알코올중독자 가족의 가족적응유연성(family resilience)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중독자 가족의 가족적응유연성 과정에서 나타난 자녀에 대한 보호요인이 무엇인가를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기존의 질병중심, 결함중심 시각을 기반으로 한 치료적 접근에서 벗어나 알코올중독자 가족의 가족적응유연성을 촉진시켜 알코올중독의 세대간 전이를 예방하는 차원에의 사회복지적 개입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지역사회에서 개입할 수 있는 예방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Alcoholism has effect on all alcoholic's family members as well as alcoholic himself and it has results in adverse effects on the family function. Especially, it was dominant results of the research that alcoholic parents make adverse effects on the children's psychologic and social function in most cases. These studies were mainly focused on the clinical population. Therefore, they are recognized the fact that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alcoholism will be easily executed to the COA(Children Of Alcoholics) who have brought up under the dysfunctional family environment. Accordingly, there are various intervention programs for alcoholic's spouse or children . However, the studies on the alcoholic's children who has achieved successful adaptation in spite that they had brought up under alcoholic parents, have made attention to family resilience in the alcoholic family. Therefore, in this study, it is focused on the literature reviews and case study in order to find that what is protective factors in the adaptation of COA that have appeared in the process of family resilience. Also, it suggests the necessity of transition from medical approach focused on disease and deficits to preventive approach in the community for improving family resilience and preventing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alcoholism.

      • KCI등재

        남성알코올중독자의 우울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가족기능과 가족지지의 역할을 중심으로

        박병선(Byung Sun Park),진혜민(Hye Min Jin),허만세(Maan Se Hoe)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38 No.-

        본 연구는 남성알코올중독자의 우울, 가족기능, 가족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 요인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신과병원에 입원 치료중인 알코올중독자 21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기능은 알코올중독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우울의 효과를 매개하였다. 둘째, 우울은 알코올중독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가족지지의 효과를 매개하였다. 셋째, 알코올중독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인 우울, 가족기능, 가족지지를 모두 포함한 경로모형이 유의하였고, 모형에 포함된 모든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알코올중독자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우울 및 가족요인들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알코올중독의 치료와 재활에서 우울에 대한 개입이 필요하며 가족기능 및 가족지지를 치료적 기제로 고려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 함의로서 알코올중독자의 가족기능과 가족지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연구의 제한점과 함께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depression, family function, family support on life satisfaction and the relationship of this factors in male alcoholics. The sample consisted of 215 inpatient alcoholics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family function mediated the effect of depression on life satisfaction in male alcoholics. Second, depression mediated the effect of family support on life satisfaction. Third, influential factors that depression, family function, family support, on life satisfaction were including the path model is significant and all path of path model is significa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roles of the depression and family factors on life satisfaction in alcoholics, and that the intervention of depression is needed and family function, family support could be utilized as therapeutic mechanisms in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programs for alcoholism. Stud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terms of ways of improving family function and family support for alcoholics.

      • KCI등재

        알코올중독자가 지각하는 가족레질리언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생태체계관점을 중심으로 -

        권혜민,최송식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9 사회과학연구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ead to the implications of ways to strengthen the problem solving abilities for alcoholic families and also to provide a practical framework for presenting the direction of intervention to achieve adaptation and growth, by looking for the factors in the ecological system(individual, micro, meso, macro) affecting the alcoholic families’ family resilience(AFFR). The research conducted survey targeting alcoholics living with families. The total collected answers were 260, of which single-person households and answers with insincerity were excluded. A total of 232 were used for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most important variable group explaining the AFFR was individual-system. Concretely the first drink age, the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family leisure activities, family stress, religious activities, and the acceptable level for drinking culture, were significant in the overall ecosystem variables.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understanding and reinforcing the AFFR. 본 연구의 목적은 알코올중독자가 지각하는 가족레질리언스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생태체계이론에 따라 나누어 설정하고, 그러한 변인들이 가족레질리언스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알코올중독자 가족의 문제해결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함의를도출하는 것이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족과 동거중인 알코올중독자 2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각 생태체계변인들과 가족레질리언스를 살펴보고, 다중회귀분석을통해 가족레질리언스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인과 그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알코올중독자가족에서 다른 중년기가족들과는 다른 특징들이 드러났으며, 가족레질리언스는 낮은 수준임이 밝혀졌다. 알코올중독자가족의 가족레질리언스를 설명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변인군은 개인체계였으며, 구체적으로 최초음주나이, 금주자기효능감, 가족여가활동, 가족스트레스, 종교활동, 음주문화허용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