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정신장애인의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통합의 경로 분석

        최송식,최윤정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0 재활복지 Vol.14 No.4

        본 연구는 지역사회통합의 세 차원인 물리적통합, 사회적통합, 심리적통합이 정신장애인의 회복에 어떠한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정신장애인의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통합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경쟁모형을 수립하고, 모형검증을 통해 최적 모형을 찾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수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전국의 정신보건기관 및 시설 28개 기관에서 총 522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PASW 18.0과 AMOS 7.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분석방법은 기술통계방법, 구조방정식모형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모든 모형이 비교적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심리적통합이 물리적통합과 사회적통합을 통해서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통합 경로 모형’이 세 모형 중에서는 상대적으로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정신장애인의 회복을 위한 지역사회통합의 전략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정신보건서비스 연계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부산/경남지역을 중심으로-

        최송식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003 한국사회복지행정학 Vol.8 No.-

        최근 한국에서는 정신장애인을 위한 보건복지분야에서 1990년을 전후하여 급격한 수량의 증가과 함께 정신보건서비스 제공기관의 수와 정신보건서비스가 다양해지고 있다. 하지만 한국은 충분한 재원이 확복된 가운데 다양한 정신보건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환경이 아니기 때문에 자원의 효율성을 높이는 정신보건서비스 연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부산, 경남 지역의 정신보건전문가들을 대산으로 우편설문조사를 통하여한 정신보건서비스 연계 관련 요린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서 특히 두드러진 것은 연계업무를 공식업무로 인정하는지의 유무와 연계전담담당이 있는지의 존재여부에 따란 연계인식, 연계정도에 높은 차이가 나타났다. 더욱이 실습, 수련기관, 수퍼비젼 기간동안에 받았던 연계교육훈련 유무에 의해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정신보건서비스 연계업무를 원활히 하기 위해서 연계업무를 공식적인 업무로 인정하고 지속적으로 연계업무에 대한 교육을 하는 것이 한국적 상황에서 정신보건서비스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보여진다.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정보수준, 정보유용성, 정보욕구의 차이에 관한 연구

        최송식,김현숙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9 한국민족문화 Vol.34 No.-

        본 논문은 결혼이주여성의 출신국, 결혼경로별로 정보수준, 정보유용성, 정보욕구가 어떻게 다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에 활용한 자료는 부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가 조사한 「2008년 결혼이주여성의 이주전 정보연결망과 정보수준」이다. 이 자료에서 정보수준, 정보유용성, 정보욕구를 분석에 사용하였고, 분석방법은 t-test, ANOVA, 주성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인도네시아 출신의 여성이, 연애결혼을 한 여성의 배우자 정보수준이 가장 높았다. 그리고 정보유용성은 가족생활에서는 인도네시아 출신 여성이, 가족 및 친척 소개의 결혼경로가 가장 높았고, 사회생활에서는 필리핀 출신 여성이, 학교 및 직장동료 소개의 결혼경로가 가장 높았다. 정보욕구는 주성분 분석하여 기초생활, 가족관계, 사회생활로 나누었다. 기초생활욕구에서는 베트남 출신 여성과 학교/직장 동료 소개 결혼경로 집단이, 가족관계욕구에서는 필리핀 출신 여성과 연애를 통한 결혼경로 집단이, 사회생활욕구에서는 인도네시아 출신 여성과 연애를 통한 결혼경로 집단이 가장 높았다. 이를 바탕으로 본 마지막 결론 부분에서는 결혼이주여성의 정보수준과 정보욕구를 고려한 정보 지원체계의 방안을 제시한다. This study invested the difference of information levels of husband and Korea lives, information utility and information need according to their country, marriage path. Subjects were 251 marriage migration females lived Busan and GyeongNam.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In study reveals, the information levels showed a higher level of females from Indonesia and cases of love marriage. Information utility had divided into family life and social life. Family life showed a higher level of females from Indonesia and cases of arranged marriage by their family and kinship. Social life showed a higher level of females from the Philippines, cases of arranged marriage by their school day's friends and co-workers. Factors among information need using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had extracted into factors of fundamental life, of apprehension family relations and social life. Factors of fundamental life showed a higher need of females from Vietnam, Factors of apprehension of family relations showed a higher need of females from the Philippines and Factors of social life showed a higher need of females from Indonesia. The practical implication of these result were pointed out and discussed in the paper.

      • KCI등재
      • KCI등재

        정신장애인이 지각하는 스티그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최송식,윤숙자,박미진,최윤정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8 재활복지 Vol.12 No.3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the perceived stigma of the mentally disabled related to recovery attitude from the viewpoint of the recovery mode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5 persons who were found through DSM-Ⅳ to have chronic mental disabilities such as schizophrenia, schizoaffective disorder and bipolar disorder. The survey was conducted at 20 places including mental hospitals,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nd mental health centers in Busan and Gyeongsangnam do. Factors affecting the perceived stigma were the 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mentally disabled, factors related to illness, recovery attitude, empowerment, social support, etc.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recovery attitude, empowerment, family support and social support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stigm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economy states, age, duration of illness, recovery attitude and social support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stigma. Among the influential factors, recovery attitude was most influential. This has significant implication of the decrease of stigma on recovery mode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materials for experimental research on the recovery attitude and stigma of the mentally disabled. Implication of the social work intervention for the decrease of perceived stigma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정신장애인이 지각하고 있는 스티그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회복모델의 관점에 서 회복태도와 연관시켜 살펴보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자는 총 355명으로 DSM-Ⅳ에 의해 정신분열병, 분열정동장애, 조울증으로 진단된 만성정신장애인으로 부산·경남지역정신병원,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 등 20곳에서 조사가 이루어졌다. 스티그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질병관련요인, 회복태도, 임파워먼트, 사회적 지지 등이 포함되었고, 자료분석을 위해서 상관관계분석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스티그마는 회복태도, 임파워먼트, 가족, 사회적 지지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소득수준, 나이, 유병기간, 회복태도, 사회적 지지가 스티그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영향요인 중에서도 가장 높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회복태도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회복모델의 관점이 정신장애인의 스티그마 극복을 위한 개입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스티그마와 회복태도와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는 점과,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정신장애인의 스티그마를 줄이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공무원교육원 사회복지교과과정 개발 연구

        최송식,차정희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08 한국사회복지교육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a provisional conclusion about how to operate a public social curriculum and what to establish as new subjects for city and province officials. And this study focus on public social workers who have completed public social curriculum in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ials Training Institute. The Delphi method was used to collect the views of experts concern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ublic social curriculum for a new official should be operated separately from the experienced officer's. Second, the scope of trainees for the experienced official's curriculum needs to be extended to include the other welfare-relevant officials as well as the officials solely in charge of social welfare. Third, Regarding the period of training, it is preferred to be below 2 weeks in both the curriculum of newcomer and the experienced. Fourth, The number of courses required to be established is 24 (above the grade point average 3.8 by the scale of 1 to 5) in respect of the public social curriculum of a newcomer. For this, the welfare-relevant advanced courses should be included with the existing basic courses for the newcomer. Fifth, In the case of curriculum for the experienced, 31 courses (above the Grade Point Average 3.8 by the scale 1 to 5) are to be offered, which require to include more systematic advanced courses than those for the newcomer. This study presents a desirable way of development of official institute's public social curriculum in the aspects of newcomer's and the experienced. 본 연구에서는 급변하는 행정환경변화와 더불어 복지전문직으로서 복지전문가 양성을 위한 역량강화와 자기 주도적 학습훈련이 필요한 시점에서 부산광역시공무원교육원 사회복지 교육과정을 이수한 사회복지전담공무원 92명을 대상으로 2006년부터 2008년 4월까지 델파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요구되는 사회복지교과 과정 개발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복지교과과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교과내용으로 신규자과정인 경우는 교육이수 후 바로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직무과목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며, 실무자과정인 경우 날로 늘어나는 복지업무량과 비중으로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직무과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신규자 사회복지교과과정과 경력자 사회복지교과과정으로 나누어 그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