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蕩平政局下 安東金門의 政治的 位相

        李根浩(Lee Geun Ho)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11 동아한학연구 Vol.- No.7

        이 연구는 영조대 蕩平政局 아래에서 安東金門의 동향을 살펴본 것이다. 안동김문은 조선 후기 정치와 사상계의 중심에서 활동하던 가문으로, 그 동안 여러 분야에서 연구되었다. 그러나 가문 구성원 개인에 대해 연구가 집중되고 분야별로도 문학이나 사상, 철학 등에 집중되었다. 본 연구는 이런 한계를 극복하고자 정치적 측면에서 안동김문의 정치적 사회적 위상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안동김문 구성원과 다른 가문과의 혼인 관계를 세밀하게 검토하여 당시 사회에서 안동김문이 차지하는 위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숙종 후궁 영빈 김씨를 통해서 왕실과 혼인이 이루어졌고, 이른바 노론 4대신 가문을 비롯해 당대의 대표적인 노론 계열 가문과 혼맥이 연결되었으며, 특히 영조대 후반 탕평을 주도한 풍산 홍씨 홍봉한 가문과의 혼맥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영조대 중반까지 역시 탕평을 주도하였던 소론 계열인 풍양 조씨 조문명 가문과의 혼맥도 주목된다. 이들과의 혼인 관계는 안동김문이 당대 사회에서 차지하는 정치, 사회적 위상을 보여주기에 충분하다. 다른 하나는 辛壬義理의 정립 과정에서 보여준 안동김문의 동향에 주목하였다. 안동김문은 당시 국왕과 탕평파를 중심으로 추진되던 탕평과 관련해서 그 원칙은 지지하면서도 방법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입장이었다. 정치 의리의 측면에서 안동김문 구성원들에게 가장 큰 관심은 辛壬義理였다. 그러나 의리가 정립되는 과정에서 分等說이 제기되거나 가문 일원을 둘러싼 여러 가지 의혹이 제기되면서 그들의 의도와는 다르게 진행되었다. 이때마다 가문의 구성원들은 이를 해명하거나 변론하면서 자신들의 입장을 관철하려고 하였다. 이 과정에서 안동김문 구성원에 대한 영조의 차별적 인식과 대우는 주목된다. This study examines Andonggeummun’s tendency under Tangpyeong political situation Yeongjo being upon the throne time. Andonggimmun in Choson latter term politics and thought central by acted meanwhile in several fields study. But, study about family member individual focused, and focus to literature or thought, philosophy by field. This study examined political social phase of Andonggimmun in political side to overcome this limit. First, in this research, examine marital relationses with Andonggimmun member and other family, Andonggimmun examined occupying phase on society at that time. As a result, there were royals and marriage through royal concubine King Sukjong(肅宗) Yeongbin(寧嬪) Gimssi(金氏), and there was marriage with representative Nonon(老論) order family at that time including so-called Nonon Sadaesin(四大臣;4 State ministers) family, and confirmed that marriage with Poongsan(豊山) Hongssi(洪氏) Hongbonghan(洪鳳漢) family which lead Tangpyeong on second half Yeongjo being upon the throne time especially is achieved. Also, marriage with Pungyang(豊壤) Jossi(趙氏) Jomunmyeong(趙文命) family which is Sonon(少論) order which too led Tangpyeong until middle Yeongjo being upon the throne time is observed. Marital relations with these is sufficient to show government social position occupying on society at the time of Andonggimmun. Other thing observed in Andonggimmun’s tendency showing in Sinimuii(辛壬義利;When it is Joseon Dynasty Gyeongjong(景宗), politics faith about political party strife that happened to 1722 from being 1721)’s establishment process. Andonggimmun was critical about problem of way as the principle supports in connection with Tangpyeong that promote laying stress on king and Tangpyeongpa(蕩平派) at that time. The largest interest was Sinimuii to Andonggimmun members in side of politics faith. But, progressed differently with their intention as Bundeungseol(分等說 ; Opinion that divide grade of crime and make pardon) is brought or encloses family member in process that Sinimuii is established and various suspicion is brought. Family members tried to accomplish oneself entrance making clear this or argue in time. In this process, it is noted that king’s evaluation and treatment about Andonggimmun member differentiate.

      • KCI등재

        <기획논문 1 | 조선시대 풍양 조씨 가문과 도봉구> 신정왕후 도봉 별서(‘조대비 별서’)의 연원과 역사적 의미

        이민아 ( Lee Min-ah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과학연구 Vol.27 No.-

        현재 도봉서원으로 가는 초입에 위치한 광륜사는 과거 ‘조대비 별서’, 즉 신정왕후의 별서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봉 별서는 본래 안동 김씨인 김보근 소유였다가 매매 또는 양도 등의 절차를 통해 그 소유권이 신정왕후에게 이전된 것으로 보인다. 신정왕후는 아버지 조만영의 선영지인 춘천지역에 별서를 마련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려웠기 때문에, 비교적 자신이 거처하는 궁궐과 가까우면서 풍양 조씨 묘역과 세거지가 있는 도봉산 자락에 별서를 마련했던 것이다. 이후 도봉 별서는 고종의 부인인 엄비가 머무르는 등 왕실 여성의 공간으로 활용되다가, 식민지기 이후 별서로서의 기능이 완전히 사라졌다. 철종 재위 후반기까지 김보근 소유였던 도봉 별서가 고종대에 신정왕후의 별서로 활용되는 과정은, 당시 정치적 역학관계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 신정왕후의 세자빈 간택으로 외척이 된 이래 풍양 조씨는 안동 김씨의 독단적인 권력 농단을 견제할 수 있었다. 그러나 대리청정을 하던 남편 효명세자의 죽음으로 신정왕후와 풍양 조씨는 큰 좌절을 맛봐야 했다. 이후 신정왕후의 아들 헌종의 집권으로 풍양 조씨는 다시 안동 김씨를 견제할 수 있는 힘을 얻었으나, 헌종이 후사 없이 요절하는 바람에 결국 안동 김씨에게 권력을 완전히 빼앗겼다. 신정왕후는 철종 사후 흥선대원군과 함께 고종을 즉위시키고 수렴청정을 통해 정치의 중심에 설 수 있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흥선대원군의 권력 독점으로 정치 일선에서 배제되고 말았다. 도봉 별서는 이러한 정치적 격변을 거치면서 신정왕후의 공간이 되었고 또 활용되었다. 신정왕후의 도봉 별서, 즉 ‘조대비 별서’는 19세기 정치적 격변 속에서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던 신정왕후가 권력에서 배제된 뒤 본격적으로 활용했던 ‘아픔’의 공간이자, 치열한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비로소 한발 물러나 휴식을 즐기던 ‘안식’의 공간이었다고 할 수 있다. 신정왕후의 죽음 이후 도봉 별서를 이용했던 엄비 역시 일제의 침략이 가속화되는 격변의 시기, 아들 영친왕이 대한제국의 황태자가 되는 영광을 누렸으나 곧이어 영친왕이 일본에 볼모로 끌려가는 모습을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 엄비에게도 도봉 별서는 아들 영친왕과 나라를 일본에 빼앗기는 과정을 지켜보면서 머물던 ‘아픔’의 공간이자, 말년에 쉼을 얻었던 ‘안식’의 공간이었다. 다시 말해 아름다운 도봉산의 풍광을 품고 있는 도봉 별서는 신정왕후와 엄비 등 고종대 왕실 여인들의 영광과 아픔, 그리고 안식의 공간이었던 것이다. Gwangryunsa Temple located at an entrance to Dobongseowon is known as a vacation home of Empress Sinjeong long ago. Although Empress Sinjeong who conducted Sooryeomcheongjeong as soon as King Kojong acceded to the throne attempted to continue the reform politics initiated by Crown Prince Hyomyung, she was drastically isolated from the political authority, as she withdrew Sooryeomcheongjeong, in 1866. King Kojong just tried to treat Empress Sinjeong as the Grandmother of the King, by giving an honorific title and the Jinchan ceremony to her who did not have a distinct effect on politics, except that she supported his direct government system. It is supposed that Empress Sinjeong spent her lone later years, while sometimes having a rest in the vacation home built on Mt.Dobong, until 1890, when she died after withdrawal of Sooryeomcheongjeong. The Dobong vacation home was originally owned by Kim Bo-geun belong to the Kims'family of Andong. The ownership of it might be transferred to Empress Sinjeong through a procedure such as sales or a transfer. She seemed to establish the vacation home on Mt.Dobong foot on which the living of generations and the graveyard of the Johs’ family of Pungyang, and which was also relatively close to the palace in which she lived, since it was actually difficult for her to build it in Chuncheon areas, the family burial ground of Joh Man-yeong, her father. Then, the Dobong vacation home was used as a space for royal women: King Kojong’s wife, Empress Um also stayed there. However, it completely lost its function of a vacation home, as the temple was built in it after 1980s.

      • KCI등재후보

        신정왕후 도봉 별서(‘조대비 별서’)의연원과 역사적 의미

        이민아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과학연구 Vol.27 No.-

        Gwangryunsa Temple located at an entrance to Dobongseowon is known as avacation home of Empress Sinjeong long ago. Although Empress Sinjeong whoconducted Sooryeomcheongjeong as soon as King Kojong acceded to the throneattempted to continue the reform politics initiated by Crown Prince Hyomyung,she was drastically isolated from the political authority, as she withdrewSooryeomcheongjeong, in 1866. King Kojong just tried to treat Empress Sinjeongas the Grandmother of the King, by giving an honorific title and the Jinchan ceremonyto her who did not have a distinct effect on politics, except that she supportedhis direct government system. It is supposed that Empress Sinjeong spent her lonelater years, while sometimes having a rest in the vacation home built on Mt.Dobong,until 1890, when she died after withdrawal of Sooryeomcheongjeong. The Dobong vacation home was originally owned by Kim Bo-geun belong tothe Kims'family of Andong. The ownership of it might be transferred to EmpressSinjeong through a procedure such as sales or a transfer. She seemed to establishthe vacation home on Mt.Dobong foot on which the living of generations and thegraveyard of the Johs’ family of Pungyang, and which was also relatively closeto the palace in which she lived, since it was actually difficult for her to buildit in Chuncheon areas, the family burial ground of Joh Man-yeong, her father. Then,the Dobong vacation home was used as a space for royal women: King Kojong’swife, Empress Um also stayed there. However, it completely lost its function ofa vacation home, as the temple was built in it after 1980s. 현재 도봉서원으로 가는 초입에 위치한 광륜사는 과거 ‘조대비 별서’, 즉 신정왕후의 별서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봉 별서는 본래 안동 김씨인 김보근 소유였다가 매매 또는 양도 등의 절차를 통해 그 소유권이 신정왕후에게 이전된 것으로 보인다. 신정왕후는 아버지 조만영의 선영지인 춘천지역에 별서를 마련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려웠기 때문에, 비교적 자신이 거처하는 궁궐과 가까우면서 풍양 조씨 묘역과세거지가 있는 도봉산 자락에 별서를 마련했던 것이다. 이후 도봉 별서는 고종의 부인인 엄비가 머무르는 등 왕실 여성의 공간으로 활용되다가, 식민지기 이후 별서로서의 기능이 완전히 사라졌다. 철종 재위 후반기까지 김보근 소유였던 도봉 별서가 고종대에 신정왕후의 별서로활용되는 과정은, 당시 정치적 역학관계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 신정왕후의 세자빈 간택으로 외척이 된 이래 풍양 조씨는 안동 김씨의 독단적인 권력 농단을 견제할수 있었다. 그러나 대리청정을 하던 남편 효명세자의 죽음으로 신정왕후와 풍양 조씨는 큰 좌절을 맛봐야 했다. 이후 신정왕후의 아들 헌종의 집권으로 풍양 조씨는다시 안동 김씨를 견제할 수 있는 힘을 얻었으나, 헌종이 후사 없이 요절하는 바람에 결국 안동 김씨에게 권력을 완전히 빼앗겼다. 신정왕후는 철종 사후 흥선대원군과 함께 고종을 즉위시키고 수렴청정을 통해 정치의 중심에 설 수 있었으나, 얼마지나지 않아 흥선대원군의 권력 독점으로 정치 일선에서 배제되고 말았다. 도봉 별서는 이러한 정치적 격변을 거치면서 신정왕후의 공간이 되었고 또 활용되었다. 신정왕후의 도봉 별서, 즉 ‘조대비 별서’는 19세기 정치적 격변 속에서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던 신정왕후가 권력에서 배제된 뒤 본격적으로 활용했던 ‘아픔’의공간이자, 치열한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비로소 한발 물러나 휴식을 즐기던 ‘안식’의 공간이었다고 할 수 있다. 신정왕후의 죽음 이후 도봉 별서를 이용했던 엄비 역시 일제의 침략이 가속화되는 격변의 시기, 아들 영친왕이 대한제국의 황태자가 되는 영광을 누렸으나 곧이어 영친왕이 일본에 볼모로 끌려가는 모습을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 엄비에게도 도봉 별서는 아들 영친왕과 나라를 일본에 빼앗기는 과정을지켜보면서 머물던 ‘아픔’의 공간이자, 말년에 쉼을 얻었던 ‘안식’의 공간이었다. 다시 말해 아름다운 도봉산의 풍광을 품고 있는 도봉 별서는 신정왕후와 엄비 등 고종대 왕실 여인들의 영광과 아픔, 그리고 안식의 공간이었던 것이다.

      • KCI등재

        안동권(安東圈) 의성(義城) 김씨(金氏) 뜰집의 변천과정(變遷過程)

        김화봉,Kim, Hwa-Bong 한국건축역사학회 2014 건축역사연구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volutionary process of Ddeulzip.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 clan family of Euisung Kim in Andong Area. Ddeulzip's evolutionary process in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is divided into largely three periods. The establishment and changing process of Ddeulzip for Euisung Kim's family are analyzed according to three periods called the early (15~16C), mid(17~18C) and late(19~20C).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period are that they created their own ancestral building form of Ddeulzip. Those of the mid period are in their strong will not only to preserve their on ancesteral housing but also to make additional construction of Ddeulzip. And during the late period, although the construction of new Ddeulzip was started in the early stage, no more formation of Ddeulzip was made as it approached toward the late stage. And most important point is smaller construction space (gan) dan first time. The residential Ddeulzip of Euisung Kim's family created at the start of Chosun Dynasty can be regarded as an representative example that shows a typical form of housing by noble residents at the time.

      • KCI등재

        식민지기 醫生 김태일의 생애와 先代의 동래 이주

        손숙경 부경역사연구소 2018 지역과 역사 Vol.- No.4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lives of modern professional workers during Japanese colonized period and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m through doctor Kim Taeil's family history who moved to Donglae from Seoul in 18th century. In addition, this thesis found that the premodern legacy was affected in an individual person who lived stable life even in a huge wave of change. The Kim family lived in Donglae since their ancestor Kim Heng Woo moved from Seoul because he was related with political affairs. His family is Andong Kim military family. Later the family moved from Donglae to Yangsan and his descendents also lived in Yangsan or Donglae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fter inhabiting Donglae they didn't move back to Seoul even though they had some chances to move to Seoul. Kim Tai Il had two occupations. He achieved a doctorial certification in 1914 and he worked as a doctor under the colony government's permission. Before that, he was a land surveyor after graduating of a Survey technology school and earned a certification in 1909. Kim Tae il adjusted and responded faster than anybody else to the new medical student system as a part of colonized policy. This fact shows his choice of carrier is not just because of colonized government allure but his own choice according to his purpose. Kim Tae il recorded his family genealogy not to forget their ancestor's difficulties caused by political affairs related with central government This influence to his descendents to keep living in Donglae region where their successful lives based. Lastly, this thesis also designed to reveal that the family history of Kim Tae il shows specifically how the memory and legacy of a family influenced to each individual family member during the change of modern government system. 이 연구는 18세기에 한양에서 동래로 이주한 안동 김씨 가문의 구성원인 의생 김태일에 초점을 맞추어 그의 선대와 자식들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한말 식민지기 근대 직업인의 삶과 그 의미를 밝히고 있다. 더불어 격동기에 근대직업인으로 안정적인 삶을 살아 온 한 개인의 삶에서 전근대의 유산이 작동하는 것을 검토하였다. 김태일의 가계가 동래에 거주한 것은 18세기 그의 선조인 김흥우가 정치적 사건에 연루되어 한양으로부터 이주하면서부터이다. 김흥우는 안동 김씨 武任가문으로 이후 동래에서 양산으로 이주하였고, 그의 후손들도 양산과 동래로 거주지를 옮기면서 세거하여 왔다. 동래에 이주한 이후 중앙으로 다시 이거할 기회가 있었지만 안동 김씨들은 지속적으로 동래에 거주하기를 선택하였다. 김태일은 한말 식민지기 변동기를 거치면서 두 가지 근대 직업군의 자격증을 취득하였다. 하나는 1914년 의생면허증을 획득하여 식민지 정부의 허가 아래 의생으로서 직업을 영위한 것이다. 나머지 하나는 1909년 측량사무소를 졸업하여 측량기술면허를 획득한 다음 의생 이전 측량사로서도 활동한 것이다. 이같이 김태일은 식민지 국가의 정책적 산물인 의생제도에 누구보다도 빨리 대응하였다. 이것은 의생으로서 직업 선택이 식민지 국가의 일방적 포섭이 아닌 김태일 개인의 능동적 선택이었음을 말해준다. 김태일은 선조들이 중앙의 정치적 사건으로 인해 피해 받은 기억을 망각하지 않도록 世譜를 작성하면서 이러한 사실을 기록해두었다. 이것은 후손들이 동래 지역을 기반으로 입신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유산으로 작용되었던 것이다. 이렇듯 이 연구는 근대 변동하는 새로운 국가 시스템에서도 가계의 기억과 그 유산이 가계의 구성원에게 작용되는 구체적 모습을 보여준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1839~1868년 3대 순교자 김익례·김면호 가족의 행적과 가계도

        이석원 (재)한국교회사연구소 2020 敎會史硏究 Vol.0 No.56

        This paper reconstructed the lives and martyrdom of the Kim Ik-rye family by compiling and analyzing the letters and testimonies from the missionaries at the Paris Foreign Missions Society(MEP), official documents, the Byeokwipyeon(闢衛編), and genealogical records. Ten members of the Kim Ik-rye family became martyrs from 1839 to 1868, but only the records on Kim Myeon-ho remain to this date. This paper attempted to compile a history of the Kim Ik-rye family, including Kim Myeon-ho, and created a family tree. The Kim Ik-rye family was a part of the Andong Kim clan that resided in the Yeongpyeong region for generations. Kim Ik-rye’s maternal family was from the Yeonan Yi clan. Both clans were part of the Namin(南人) party. Yi Myeong-ho, who was the cousin of Kim Ik-rye’s mother, became a martyr in 1801. Kim Ik-rye introduced his family to the Catholic faith in 1834. Kim Ik-rye (Antonius), the eldest son, Kim Eung-rye, the third son, and the mother, Yi Hui-yeon (Catharina), were caught and killed during interrogations at the Podocheong in 1839. Kim Ik-rye’s remaining brothers were forced to scatter but continued to live by their faith. Kim Myeon-ho (Thomas), the fifth son, was martyred at Saenamteo in 1866. Kim Peter, the fourth son, and his family (his son Kim Mathew and his wife and sister-in-law) were martyred in 1868 in Seoul, while Kim Peter’s sister and her maidservant Jeomee were martyred in Chungjoo in the same year. Although the date is unknown, Kim Myeon-ho’s eldest son was also caught and was martyred in jail by hanging. 이 글은 파리외방전교회 선교 사제들의 서한과 신자들의 증언, 관찬 자료, 『벽위편』, 족보 자료를 정리·분석하여 김익례 가족의 생애와 순교 과정을 재구성한 것이다. 1839년부터 1868년까지 김익례 가족 중 10명이 순교했으나 현재까지 관련 자료가 정리되고 약전이 저술된 것은 김면호가 유일하다. 따라서 김면호를 포함한 김익례 가족의 역사를 정리하고 가계도를 작성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김익례 가족은 영평에 대대로 살던 안동 김씨 가문이며 김익례의 외가는 연안 이씨 가문으로 둘 다 남인 당파에 속해 있었다. 김익례의 외당숙 이명호는 1801년 순교자이다. 김씨 가족은 김익례를 통해 1834년경 천주교에 입교했다. 1839년 장남 김익례(안토니오)와 3남 김응례 형제, 모친 이희연(가타리나)이 붙잡혀 포도청에서 심문을 받다가 순교했다. 김익례의 나머지 형제들은 흩어져 살았지만 계속 신앙생활을 했다. 1866년에 5남 김면호(토마스)가 새남터에서 순교했으며, 1868년에는 4남 김 베드로와 그 가족(아들 김 마태오 부부와 형수)이 서울에서, 김 베드로의 누나와 여종 점이가 충주에서 순교했다. 언제인지는 모르지만 김면호의 큰아들도 잡혀서 감옥에서 교수형을 당해 순교했다. 김씨 가족 순교자 10명과 관련 순교자 이명호와 점이를 포함한 김익례 가족의 가계도(외가 연안 이씨 포함)를 작성하여 제시했다.

      • KCI등재

        새로운 한글 유산록 〈금강산졀긔 동유록〉의 작자와 작품 분석

        구사회(Gu, Sa Whae),김영(Kim, Young) 동악어문학회 2017 동악어문학 Vol.73 No.-

        〈금강산졀긔 동유록〉은 지금까지 학계에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한글 유산록이다. 작자는 19세기 중기에 활동했던 승산(勝山) 김영근(金泳根, 1793~1873)이다. 그는 안동 김씨로 정묘호란 때에 척화대신으로 이름이 높았던 청음(淸陰) 김상헌(金尙憲, 1570~1652)의 9대손이고, 노론의 영수였던 김수항(金壽恒, 1629~1689)의 직계 후손이다. 〈금강산졀긔 동유록〉은 강원도 관찰사로 있던 작자가 1863년 음력 8월에 관할 고을을 순시한다는 명목과 함께 금강산을 다녀온 내용을 적은 것이다. 서술형태는 노정에 따라 날짜를 밝히고 내용을 기록한 일기체 유산록이다. 표현 방식은 주관적인 비유나 묘사를 피하고 대상을 객관적으로 서술하여 사실성을 중시하였다. 그래서 작자가 거쳤던 곳이나 유람한 내력이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었다. 하지만 유람하면서 느꼈던 작자의 내면세계나 자연에 대한 감흥을 깊이 있게 담아내지 못하는 한계가 보인다. 〈금강산졀긔 동유록〉을 읽다 보면 다른 유산록에서 찾을 수 없는 특이점이 보인다. 대다수의 유산록에서는 작자가 산수 유람을 통해 심성을 연마하고 자연속에 내재된 이치를 탐구하면서 자신의 정신세계를 고양하고자 하는 태도를 보인다. 그런데 〈금강산졀긔 동유록〉에서는 그것보다는 안동 김씨인 자신의 조상과 가문에 대한 자부심을 곳곳에 쏟아내고 있었다. 지금까지 알려진 금강산 유람 기록은 100여 편이 넘고 대부분 한문으로 기록되어 있다. 반면에 국문으로 기록된 것은 10여 편에 지나지 않고 대개 19세기 말엽에서 20세기 전반기에 나왔다. 그리고 김영근 이전에 나온 한글 양식은 거의 가사 양식이었다. 그런 측면에서 보자면 김영근의 〈금강산졀긔 동유록〉은 앞선 시기에 나온 한글 유산록의 자료적 가치가 있다. 〈Geumgangsan-jyeolgwi Dongyurok〉is a new Korean record not widely known to the academic sector. The author is Kim,yeong Geun who was active in the mid-19th Century. He was from the Kim Family of Andong and a direct descent of Kim, Sang Hyeon. This record was written after he visited Mt. Geumgang in August 1863 of the lunar calendar as the governor of Gangwon-do Province. It was written as a diary under each date following the course of his trip. The expressions avoided subjective comparisons or depictions, but the objects were objectively described in realistic terms. Therefore, the places the author passed or visited are clearly listed. However, it does not reflect the author"s introversion or appreciation of nature. As you read 〈Geumgangsan-jyeolgwi Dongyurok〉, there are characteristics you cannot find in other records. Most of records alike reflect the author`s attitude to explore the laws of nature and enhance their spiritual world as they discipline themselves while traveling. However, 〈Geumgangsan-jyeolgwi Dongyurok〉 focuses on praising the author"s pride in the ancestors and reputation of the Kim Family of Andong. Most records of visits to Mt. Geumgang are written in Chinese letters and only 10 were written in Korean. Furthermore, most pieces before Kim, Yeong Geun were in the form of Gasa. In this respect, Kim"s record has value as a Korean work.

      • KCI등재

        梅山 鄭重器 輓詩의 창작양상과 그 의미

        조해훈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6 石堂論叢 Vol.0 No.64

        This paper is the 18th century, Yeongcheon-si, Gyeongbuk, Korea of the region was born and Jeong, Jung-gi who was active in analysis Mansi not only for the new work at her as he by any respect. For this, his psalms with kith and kin and the studied with a man of letters case, and a friend's three for each if appropriate by classifying them as an example and looked at it. Jeong, Jung-gi to pack every one of the death of a distant relative, regardless of ‘In the case of one's kith and kin’ paternal and maternal side and resulted in a Mansi. ‘The friend who studied together case’ is his father and mentor is usually based on Lee, Hyun-il's disciple of his disciples decided the target figure of Lee. ‘In the case of friend’ is a team of Yi, In-Jwa during ; he had the integrity and loyalty, including cause a loyal army as to rearrange the states created them on Mansi. His mansi is a request for direct connections with you, not built by people writing novels was drunk only those people. Creative modern point of view expressed directly or in the context of the passage of these Mansi or uphold the social code of manners by Jeong, Mong-ju's descent who have served in a patriarchal attitude is chastity Thickened ceremony was able to find that of one’s eldest son of the family. A musketeer who was pivotal figure in the Jung family, his popularity or representative of the Youngcheon, that is natural for him such a ceremony. It is also North Kyeung-Buk Region's Kwon in Andong and his family through mansi marriage with relationships, and through Lee, Hyun-Il's protege, was that Kim in Uiseong, social and political can understand that the extension of presence. 본고는 18세기 경북 영천지역에서 태어나고 활동했던 梅山 鄭重器(1685~1757)의 輓詩를 분석하여 창작양상과 그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 그의 시편들을 ‘일가친척의 경우’, ‘학맥 및 문인의 경우’, ‘벗의 경우’ 세 범주로 구분하여 각각의 해당 시들을 예로 들며 논증하였다. 매산은 ‘일가친척의 경우’ 친가 및 외가를 막론하고 먼 친척의 죽음까지 일일이 챙기며 만시를 지었고, ‘학맥 및 문인의 경우’는 그의 부친과 스승이 갈암 이현일의 문인이었던 까닭에 주로 이현일의 문인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벗의 경우’는 이인좌의 난 때 창의를 하거나 은거하여 학문에만 전념하는 등 절의가 있었던 벗들을 주 대상으로 하는 등의 창작양상을 보였다. 그의 만시들은 일면식은 없으나 요청에 의해 지어진 것이 아니라 자신과 직접적인 친분이 있는 사람들만을 대상인물로 창작된 것이다. 이러한 만시들의 시구에 직접적으로 표현되거나 맥락에 깔린 창작의 관점 또는 태도는 충절을 지킨 포은 정몽주의 후손(방계)으로서 종법제도가 시행되던 사회구조에서 禮를 중시하는 명문가의 嫡長子라는 의식이 짙게 깔려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즉 영천지역의 대표적 명망가인 영일 정씨 문중의 중추적인 인물이자 문과급제자로 조정과 외직에서 벼슬살이를 한 그로서는 그러한 의식이 당연하였던 것이다. 또한 만시를 통해 정중기의 문중이 경북 북부지역의 안동 권씨 및 의성 김씨와의 혼반관계, 그리고 이현일의 문인이라는 학맥을 통하여 사회적․정치적 활동영역이 확장되었음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한글편지에 나타난 순원왕후의 수렴청정과 정치적 지향

        이기대 ( Lee Gi-dae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09 국제어문 Vol.47 No.-

        본 논문에서는 한글 편지를 중심으로 순원왕후의 정치적 지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순원왕후는 헌종과 철종 2대에 걸쳐 수렴청정을 하면서 19세기 안동 김씨의 세도정치를 열어간 인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한글 편지에 나타난 순원왕후의 정치적 역할은 왕실의 유지와 위상의 강화에 중점이 놓여 있었다. 편지에는 순원왕후가 수렴청정 기간 동안 백성에게 관심을 가지고 연민으로 대하고 있으며 지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재를 등용하는 모습이 나타난다. 그리고 홍삼 무역과 관련하여 개성의 인삼 재배 백성을 보호하기 위해 潛商을 금하는 등의 적극적인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또한 철종이 왕으로서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교육을 중시하면서, 철종이 영조의 혈맥을 이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아울러 이전 왕들의 왕릉을 옮겨가면서까지 왕실의 권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논의는 순원왕후 자신의 목소리를 근거로 한 것이기에, 자료 자체가 편향되어 있다. 하지만 바로 이 점 때문에, 기존의 역사적 자료와 다른 균열이 드러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이를 보다 적극적으로 해석한다면, 이후 순원왕후와 19세기를 보다 입체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계기가 되리라 기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Queen Soonwon`s letters written in Hangul in an attempt to discuss her political orientations. Queen Soonwon administered state affairs from behind the veil on behalf of two kings, King Heonjong and King Cheoljong, and she is famous for letting the Kims of Andong exercise power in the 19th century. According to her Hangul letters, however, her political roles primarily aimed at the maintenance of the royal family and bolstering the status of it. The letters of Queen Soonwon showed that she cared about the people and felt pity for them during her Sooryeomcheongjeong, and that she engaged men of ability to iron out local problems. She was aggressive in protecting those who cultivated ginseng in Gaeseong by prohibiting the illegal trade of ginseng steamed red. And she attached importance to education so that King Cheoljong could pull his weight as a king, and she stressed that he was a descendent of King Youngjo. It could be inferred from her Hangul letters that she wanted to strengthen the authority of the Joseon royal family and to maintain the orthodoxy of it, as its authority was gradually on the wane in the 19th century.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Queen Soonwon tried to protect the royal family as the top leader of the nation while she maintained a politically collaborative relationship with the Kims of Andong, which was her maiden home. She published Eonhaebon and directed her energy into education as a member of the royal family. It seemed that she kept in mind that she was among the female members of the royal family, and the fact she strived to heighten the status of the royal family seemed to result from that.

      • KCI등재

        매산(梅山) 정중기(鄭重器) 만시(輓詩)의 창작양상과 그 의미

        조해훈 ( Hae Hun Cho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6 石堂論叢 Vol.0 No.64

        본고는 18세기 경북 영천지역에서 태어나고 활동했던 梅山 鄭重器(1685~1757)의 輓詩를 분석하여 창작양상과 그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 그의 시편들을 ``일가친척의 경우``, ``학맥 및 문인의 경우``, ``벗의 경우`` 세 범주로 구분하여 각각의 해당 시들을 예로 들며 논증하였다. 매산은 ``일가친척의 경우`` 친가 및 외가를 막론하고 먼 친척의 죽음까지 일일이 챙기며 만시를 지었고, ``학맥 및 문인의 경우``는 그의 부친과 스승이 갈암 이현일의 문인이었던 까닭에 주로 이현일의 문인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벗의 경우``는 이인좌의 난 때 창의를 하거나 은거하여 학문에만 전념하는 등 절의가 있었던 벗들을 주 대상으로 하는 등의 창작양상을 보였다. 그의 만시들은 일면식은 없으나 요청에 의해 지어진 것이 아니라 자신과 직접적인 친분이 있는 사람들만을 대상인물로 창작된 것이다. 이러한 만시들의 시구에 직접적으로 표현되거나 맥락에 깔린 창작의 관점 또는 태도는 충절을 지킨 포은 정몽주의 후손(방계)으로서 종법제도가 시행되던 사회구조에서 禮를 중시하는 명문가의 嫡長子라는 의식이 짙게 깔려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즉 영천지역의 대표적 명망가인 영일 정씨 문중의 중추적인 인물이자 문과급제자로 조정과 외직에서 벼슬살이를 한 그로서는 그러한 의식이 당연하였던 것이다. 또한 만시를 통해 정중기의 문중이 경북 북부지역의 안동 권씨 및 의성 김씨와의 혼반관계, 그리고 이현일의 문인이라는 학맥을 통하여 사회적·정치적 활동영역이 확장되었음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is the 18th century, Yeongcheon-si, Gyeongbuk, Korea of the region was born and Jeong, Jung-gi who was active in analysis Mansi not only for the new work at her as he by any respect. For this, his psalms with kith and kin and the studied with a man of letters case, and a friend`s three for each if appropriate by classifying them as an example and looked at it. Jeong, Jung-gi to pack every one of the death of a distant relative, regardless of ``In the case of one`s kith and kin`` paternal and maternal side and resulted in a Mansi. ``The friend who studied together case`` is his father and mentor is usually based on Lee, Hyun-il`s disciple of his disciples decided the target figure of Lee. ``In the case of friend`` is a team of Yi, In-Jwa during ; he had the integrity and loyalty, including cause a loyal army as to rearrange the states created them on Mansi. His mansi is a request for direct connections with you, not built by people writing novels was drunk only those people. Creative modern point of view expressed directly or in the context of the passage of these Mansi or uphold the social code of manners by Jeong, Mong-ju`s descent who have served in a patriarchal attitude is chastity Thickened ceremony was able to find that of one`s eldest son of the family. A musketeer who was pivotal figure in the Jung family, his popularity or representative of the Youngcheon, that is natural for him such a ceremony. It is also North Kyeung-Buk Region`s Kwon in Andong and his family through mansi marriage with relationships, and through Lee, Hyun-Il`s protege, was that Kim in Uiseong, social and political can understand that the extension of pres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