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안동 동부지역 뜰집의 조성 과정에 관한 연구

        김화봉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23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5 No.6

        낙공강과 반변천의 사이에 위치하는 안동 동부지역의 뜰집이 조성되는 과정을 전기, 중기, 후기의 3기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안동 동부지역에서 전기(14~15C)에 3호, 중기(16~17C)에 16호, 후기(19~20C)에 17호가 조성되었다. 안동 종부지역의 씨족들은 조선시대 이후에 입향하였는데, 10개의 씨족 중 4씨족은 처가 입향하였고, 나머지는 풍수적 길지를 찾아 입향하였다. 이후 퇴계학파의 학맥 및 결혼을 통한 혼맥으로 서로 긴밀한 인맥을 형성하였는데, 여기에는 뜰집이라는 공간적 매개체가 중요한 원인으로 파악된다. 전기에 조성된 3호의 뜰집은 안마당의 폭이 4칸 이상인 대규모 뜰집으로 조성되었고, 평면은 문자형으로 매우 복잡하였다. 중기에는 16호의 뜰집이 건축되었는데, 중규모의 뜰집이 많이 건축되며, 방형을 기반으로 전형적인 유형이 완성되었다. 후기의 전반기는 14호의 뜰집이 건축되어 활발한 조성이 이루어졌지만, 대부분 소규모의 뜰집이 많았다. 20C에 들어 정치적, 사회적 변화가 일어나자 뜰집의 건축은 급격히 줄었지만, 기존의 건축의 보수, 보존하려는 새로운 건축이 지속되었으며, 이를 통해 근대적 평면형이 제시되었다. 따라서 안동 동부지역에서의 뜰집의 조성은 전기의 여명기와, 중기의 발전기를 거쳐, 후기의 절정기 및 쇠퇴기를 맞으며 변천해왔다고 볼 수 있다. With abundant water supply from the Nakdong river and Banbyeon stream, the habitation in the east area of Andong began from the early days of Joseon dynasty. Yet being located near the Taebaek Mountains left little farmland, leading the east area of Andong to have the least amount of Ddeulzip in Andong, 37. The occurrence progress of Ddeulzip is closely associated to the Study Relationship and the Marriage Relationship between clans. This progres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periods, the early period(14~15C), the middle period(16~17C), and the late period(19~20C). In the early period, there were only three Ddeulzip constructed, such as Naeap Head House and Geumyeokdang, which can be categorized in the large scale Ddeulzip. In the middle period, when many different clans settling into the area, total of 16 Ddeulzip was constructed in various sizes, from medium to small. With clans’ ramifications and construction continuing, 17 Ddeulzip was built in the late period, rather showing modern types of Ddeulzip. Therefore, the east area of Andong can be seen as where the culture of Ddeulzip was preserved the longest out of the Andong area.

      • KCI등재

        안동 중부지역 뜰집의 조성 과정에 관한 연구

        김화봉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22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4 No.6

        안동 중부지역 뜰집 조성시기를 3기로 구분하여, 안동 서부지역에서 전기(14~15C)에 9호, 중기(16~17C)에 11호, 후기(19~20C)에 22호를 조사하여, 모두 42호의 뜰집을 분석하였다. 안동 중부지역의 씨족들의 입향 원인은 초기에는 정치적은 문제로 처가 및 외가로 입향하는 경우가 많았고, 분파의 경우는 학연 혹은 입지의 원인으로 이주한 경우가 많았다. 이후 학연과 혈연을 통한 사족간의 상호 연결은 주거를 매개로 서로의 계층적 동질성을 확인하듯 뜰집을 조성했다. 전기(15~16C)에 조성된 뜰집은 9호로써, 비교적 큰 규모의 뜰집이 건축되었다. 중기(17~18C)에는 11호의 뜰집이 건축되었는데, 임난 이후 적극적인 건축활동은 위축되었고, 보종을 위한 종가의 건축이 주된 건축활동이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후기(19~20C)에서 전반기는 급격한 건축의 바람이 일어났다. 소, 중, 대규모의 다양한 건축이 성행하였고, 근대적 공간으로의 변화인 겹집화 고밀화가 이루어졌다. 20C에 들어 정치적, 사회적 변화가 일어나자 뜰집의 건축 계기는 급격히 줄어들다. 이러한 과정은 안동문화권에서도 뜰집의 조성과정이 가장 다변적인 과정을 거친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안동 중부지역의 뜰집 조성의 핵심적 지역임의 의미하는 것으로 안동문화권에서 명실상부한 뜰집의 중심지역임을 알 수 있다.

      • 진주 淸源마을에서의 傳統 中上流居의 空間構成에 관한 硏究

        金華峰 진주산업대학교 2001 산업과학기술연구소보 Vol.-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ring light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system of the traditional middle-upper class house of the Cheongwon village in Chinju. It is the typical example of traditional village in Chinju. There are housing areas reflected the famlly's union power during 350 years. There general site plan style is 'Opened-square' type. The spacial elements of building is different with the domestic economy. Large house is conformed with the pattern of Sadaebu(the ruling classes)-Houses and small house is made with the type of Bunong(the rich farmer)- House. There buildings are fundamentally composed with spaciality of An-che and Sarang-che. The space of An-che is reflect the character of the times, and the space of Sarang-che is express the character of the function.

      • 全南 寶城地域 傳統 中·上流 住居의 空間構成

        金華峰 진주산업대학교 2000 산업과학기술연구소보 Vol.-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ring light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system around Boseung Area at Jeonnam in late Chosun Dynasty. The characters of the space system of traditional middle-upper class house had been catched hold of the analysis of the number of square-space(間數), the disposition of space, the space system of An-che. It's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 1) The mean value of square-space is composed by about 30 Gan(間), but the pattern of space systems are different in similar scale. It is reflects the character of classconsciousness. 2) The patterns of each building's space systems are composed by the based of parallel type of two building(二字形) which is the general type of south area of Korea. 3) The basic space system of An-che reflects the provinciality. But its pattern reflects modernity. It is disappeared in the space division and various type of garnering space. 4) They have the characters of a period of transition of tradition and modern architecture which reflects the provinciality. class-consciousness, modernity

      • '連結型' 뜰집의 內部空間 構成型式에 관한 硏究

        金華峰,梁金石 진주산업대학교 2001 論文集 Vol.4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ring light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al system of inner plan of the Connected Typed Ddeulzip. The Connected Typed Ddeulzip is unclosed and not separated rectangular tyoed house. It is intermediate plan of Completed Type and Separated Type. The rate of its type is 8% of Ddeulzip. Its types are separated three types, 'small-□-type', 'similar-□-type' and 'large-□-type'. Spatially the characteristics of Connected type is more complexed and variety of the inner-and outer space than a general Ddeulzip. It is the result of extending a building. This characteristics is appeared by the analysis of the connect system of the plan. Thus an irregular space system of the Connected typed Ddeulzip is consisted of timing-gap of a building extension. B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is more clearly maintained than a general Ddeulzip.

      • KCI등재

        영양지역 뜰집의 조성과정에 관한 연구

        김화봉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9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structing process of the Ddeulzip in Yeongyang, which is located in the middle east side of Andong. The Ddeulzip is a kind of noble house belonging to the Chosun Dynasty in the Andong cultural area. The constructing process of various branched families into the local village is largely divided into three time periods. They are divided into the Early(15~16C), Middle(17~18C) and Late(19~20C) periods. There are various reasons for the migration of many branched families into the local village of Andong and these include : political escape, war, shelter, and fengshui. As time progressed, these branched families were connected by study and marriage relationships. During the Early Period, only two houses of the Ddeulzip were built. At the Middle Period, various branched families built Ddeulzips. At the Late Period, most of branched families built the Ddeulzip constantly. At the time of late 20C, they still built some of the Ddeulzip. It's unusual case. Thus, they maintained the traditional noble culture of house by the Ddeulzip. 본 연구는 환경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영양지역에 적지 않은 뜰집들이 조성된 과정을 분석하는 것을 연구의 목표로 한다. 영양에는 8개 문중에서 38호의 뜰집을 보유하고 있는데, 입향 시기와 뜰집의 건축 시기를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의 특성을 분석한다. 그 조성 시기는 전기(15~16C), 중기(17~18C), 후기(19~20C)로 삼분하여 각 시대별 속성을 구분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의 문중 간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요인으로 학맥과 혼맥의 연관성도 파악한다. 이를 통하여 전기(15~16C)에는 뜰집의 건축이 단 2호만 이루어졌지만, 중기에는 한양조씨가 중심이 되어 뜰집의 건축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었고, 각 문중으로 전파되었다. 후기 중 19C에는 가장 뜰집의 건축 활동이 왕성했던 시기로, 재령이씨의 건축 활동이 두드러졌으며, 특히 20C 후반까지 뜰집의 건축 활동이 지속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안동문화권 眞城 李氏 뜰집의 變遷過程

        김화봉 한국건축역사학회 2013 건축역사연구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ing process in the Ddeulzip of Jinsung Lee clan family.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clan family of Jinsung Lee in Andong Cultural Area. The period of Chosun Dynasty is divided into largely three parts. The establishment process for Jinsung Lee's family is analyzed during early (15~16C) and mid(17∼18C) periods, and changing process is analyzed during mid(19∼20C) and late periods.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osun Ddeulzip is that it made a foundation to construct a Ddeulzip form. Those of mid Chosun period is in their strong will to preserve their ancestral house which is well manifested through the restoration of Taegye's ancestral house. During the late Chosun period, many of the different styles of Ddeulzip were constructed due to the stable environment of both political and economical status. The residential house of Jinsung Lee family that were centered in Yean area include diverse forms for both high and middle class social status. Jinsung Lee family's Ddeulzip is thus considered to bring about the firm foundation as a clan family representing the Andong cultural area through the development of Ddeulzip. 본 연구의 목적은 진성이씨의 변천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조선의 시기를 세 기간으로 구분하여, 조선 전기(15C)와 중기(16∼17C)에서는 진성 이씨의 정착과정을 분석하고, 중기, 후기(18∼19C)에서는 뜰집의 변천과정을 분석했다. 마을의 정착에서의 초기 특징은 먼 거리에서 세 번의 이주를 통해 정착했다는 것이고, 중기의 특징은 근거리에서 분파하였다는 것이다. 초기에는 적극적인 이주가 이루어졌고, 중기에는 소극적인 이주가 이루어져 안동 예안지방에 집중 분포하는 결과를 낳았다. 뜰집의 변천에서 조선중기의 특징은 종가를 잘 보존하려는 의지가 강하여 졌다는 것인데, 이는 퇴계의 종가 복원을 통해 그 의지가 잘 드러난다. 조선 후기의 건축적특징은 정치적, 경제적 안정을 기반으로 많은 유형의 뜰집이 건축되었다. 예안을 중심으로 한 진성 이씨의 주거는 상류계층과 중류계층의 다양한 유형을 내포하고 있다. 이를 통해 진성 이씨의 뜰집은 안동문화권을 대표하는 씨족으로서의 확고한 기반을 형성하는 결과를 낳았던 것으로 파악된다.

      • KCI등재

        경남 하동지역의 전통 상류주거

        김화봉,Kim, Hwa-Bong 한국건축역사학회 2007 건축역사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sis of traditional noble houses style of Ha-Dong area in Kyeong-Nam. The sequence of this study is at first finding the list of survey object, and investigating of those houses, after than drawing the site and floor plan, and lately analysis the characters of inner and outer space of them. It required six months.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m are as follows. 1. The noble traditional houses in Ha-Dong are found eight samples which are not noticed in academic society. 2. The constructions of noble housing in late Period of Cho-sun Dynasty are divided in three parts as a general role. Its grade is similar in Ha-Dong. The number of traditional noble house of (old) volunteer class is two cases. The (new) rich-farmer class is four cases. And there are two cases of (long) authority class. 3. The type of site plan is based on Korean south area style which is the style of departed rectangular type. But outdoor spaces are divided in several space by many fence than other area. It is the special item of construction. 4. The special character of indoor space is the use of 'Gong-ru'. It is called similar space used in top of main entrance building of large building. But it is located in various space in Ha-dong. It is included in any space of Sarang-Che, An-Che, Are-Che. The traditional noble houses of Ha-Dong area have special spacial characters. For long time there space was developed based on local identity. And its characters was divided various classes. Thus Ha-Dong area is definite place of useful identified traditional cultur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