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산만지역 청동기시대 취락의 구조와 변천

        羅建柱 한국청동기학회 2010 한국청동기학보 Vol.7 No.-

        아산만지역은 역삼동·흔암리유형의 취락이 가장 밀집되어 분포하는 지역이다. 또한 금강유역의 가락동유형과는 차령산맥을 기준으로 분포범위가 명확하게 구분되고 있어 양자의 관계를 조명하기에도 매우 중요한 지역에 해당한다. 또한 중기의 송국리유형의 기원 및 형성과 관련해서도 다수의 연구자들에 의해 주목을 받는 지역이기도 하다. 이렇듯 아산만지역은 한반도 청동기문화 연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아산만지역의 청동기시대 유적의 구성은 전기에 해당하는 생활유적이 대부분이다. 일부 중기 단계의 유구들이 전기 단계가 중심인 유적들에서 소수 확인되는 양상을 보이며, 순수하게 중기 단계의 유구로 구성된 유적의 분포는 매우 희박하다. 또한 분묘, 경작유구 등 생활유적 외의 다른 성격의 유적은 거의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고에서도 생활유적으로 한정된 취락에 중심을 두고 검토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전기 전엽에는 독립된 생활단위인 개별 주거지가 구릉의 능선을 따라 병렬 배치되는 양상을 보이며, 이후 전기 중엽 단계에 인구증가에 따른 주거지 밀집화가 발생한다. 전기 후엽에는 구릉정상부의 공지를 중심으로 소주거군과 주거군이 형성된다. 전기 전엽과 중엽에 소수의 수혈이 취락 곳곳에 분산되어 분포하였지만, 후엽에는 주거군 내에 군집된 채 확인되고 있다. 이는 주거군에 포함된 구성원들이 공지 인근에 조성된 초·대형주거지를 중심으로 통합된 생활단위를 구성하여 수혈을 경영하였던 것으로 추정하였고, 이러한 양상을 토대로 전기 후엽에 이르러 보다 구조화된 취락의 모습을 갖춰 나가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한편, 전기의 인구밀집지였던 곡교천유역은 중기 단계에는 인구가 급격히 감소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에 반해서 충청 서북부의 서산지역은 반대로 인구가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후 이러한 인구이동은 차령산맥 이남의 금강유역으로 확대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The Asan Bay area is the place where Yeoksam-Dong and Heunam-ri assemblage of commu-nity is most densely distributed. It represents very important area in giving a view of the relation-ship with Garak-Dong assemblage of community in the Geum river valley as its range is clearlydivided on a basis of the Charyeong Mountains. It is also the area that attracts public attention bya great number of researchers about the origin and formation of Songguk-ri assemblage of com-munity in the mid-Bronze Age. In this way, the Asan Bay area holds a very important position instudying the Bronze Age Culture of the Korean Peninsula. The Bronze Age remains in the Asan Bay area is mostly composed of the living ruins that comeunder the former part of the Bronze age. Some feature of the middle Bronze Age were confirmedin the remains, most of which belong to the former part of the Bronze age. The distribution ofthe remains that compose of the vestiges genuinely belonging to the middle Bronze age isextremely rare. Furthermore, the site that have different characters except the living remains likegrave, fields and others are not still being examined. I reviewed focusing on the dwelling limitedto living one in this manuscript. The result was that independent living unit, individual dwellingwas arranged in a row along the ridge of hills in the early days of the lower Bronze Age and afterthat, high-density community occurred by the population increase in the middle of the lowerBronze age. A small group of dwelling and simple dwelling are formed with the vacant lots ofthe top hills in the latter part of the lower Bronze age. While a few small pit type remains in theground in the former and middle part of the lower Bonze Age were dispersedly distributed allover the settlement, they were confirmed to be gathered within the dwelling in the latter part ofthe lower Bronze age. From this, I estimated that the members belonging to the dwelling clusterformed a united living unit focused on extra-large dwelling created neighboring the vacant lots tomanage vestiges. On the basis of this aspect, I judged that they made the settlement structured inthe latter parts of the Bronze Age. Meanwhile, the basin of Gokgyocheon, the densely populated area in the lower Bronze Ageshowed a rapid decrease in population in the middle Bronze age. On the contrary, the Seosanarea of the northewestern Chungcheong province showed concentration of population. I figuredout that the movement of population like this since then was expanded to the Geum River basinin sub-Charyeong Mountains.

      • KCI등재후보

        牙山灣地域新石器時代 집자리의時空的位置

        구자진 국립문화재연구원 2009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2 No.3

        아산만지역에서 조사된 신석기시대 유적 중 집자리(마을)를 중심으로 구조와 특징을 살펴본 후, 이 지역 신석기시대 집 자리(마을)의 시·공간적 위치와 의미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아산만지역의 신석기시대 집자리는 방형이 주류를 이루며, 일 부 장방형 집자리와 공존하는 예가 확인되고 있어 주목된다. 아산만지역의 신석기시대 집자리는 대부분 구릉지역에 위치하나, 세부적으로는 완만하고 낮은 구릉지역과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 구릉지역으로 구분된다. 먼저 후자 유적들은 차령산맥의 영향으로 해발고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아산·천안지 역의 구릉지역 정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부분 해발고도 50~80m 정도에 해당한다. 반면 전자 유적들은 삽교천과 예 당평야가 넓게 펼쳐진 당진과 예산지역을 중심으로 확인되고 있어 비교적 해발고도가 낮고 완만한 구릉지역(해발고도 20~50m)에 위치하고 있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입지선택은 문화내적으로는 이들 집단의 생계경제 및 기술수준과 관련 되지만, 외적으로는 이들 집단이 처한 자연환경(지형)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결과이다. 아산만지역의 신석기시대 집자리 유적은 방사성탄소연대측정값과 출토유물을 통해 보면, 동시기 유적으로 필자의 신 석기시대 집자리 상대편년 중 Ⅱ기(기원전 3,500~3,000년)에 해당한다. 이들 신석기시대 집자리(마을)는 경기(인천) 해안지 역과 금강유역(충청내륙지역)의 신석기시대 집자리와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데, 이는 대규모 마을을 이루던 경기 해 안지역 집단들과 금강유역(충청내륙지역)의 대표적인‘대천리식 집자리’의 확산 및 교류에 의해 동시기에 형성된 것으로 판 단된다. 결국 아산만지역은 기원전 3,500년을 전후한 시기에 두 유형의 집자리가 공존하는 역동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 으며, 이러한 현상은 당시의 환경(기후) 및 생태적·사회적 변화 등 여러 요인들이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초보적인 농경의 도입에 따른 유적의 확산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examined dwelling site from among the sites of the Neolithic age found in the Asan Bay(牙山灣) area, and the temporal-spatial location and meaning of the dwelling site (settlement). The majority of the settlements in the area are of a square style but some coexist with rectangular-style settlements, which is noteworthy. The dwelling sites of the Neolithic age found in Asan Bay area are mostly located in a ridge of hilly areas, divided into gentle, low areas (20~50 meters above sea level) and relatively high areas (50~80 meters above the sea level). Although location strongly corresponded to the residents' subsistence and the technical levels within the culture, it likely was greatly affected by natural environment where they lived, as well. In examining radiocarbon dating results and the excavated artifacts, the settlements found in Asan Bay were determined to belong to the periodⅡ(3,500~3,000 B.C.) stated in the Relative Chronological table of Dwelling sites in the Neolithic age, written by the author. Said Dwelling sites are proven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ose found on the coast of Gyeonggi Province(京畿道) and in the Geum River(錦江) valley. This is deemed to be the result of expansion and interchange between Gyeonggi Province(京畿道) group and Geum River(錦江) valley group, who constituted the large settlements. Additionally, the Daecheon-ri type dwelling sites in the Geum River valley were verified to be the result of exchange, and spread to the Asan Bay area in the same era. Two forms of Dwelling sites coexisted dynamically in the Asan Bay area around 3,500 B.C. Such a phenomenon resulted primarily from the expansion of the dwelling site due to the introduction of primitive agriculture, as well as environmental (temperature), biological and social changes at those times.

      • KCI등재

        담수유입으로 인한 아산만 해양수질의 계절적인 변동

        정용훈,조민균,이동기,두선민,최현수,양재삼,Jeong, Yong Hoon,Cho, Min Kyun,Lee, Dong Gi,Doo, Sun Min,Choi, Hyun Soo,Yang, Jae Sam 해양환경안전학회 2016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2 No.5

        아산만의 해양수질의 계절적인 변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2011년 12월부터 2013년 2월까지 4계절 동안 수질을 관찰하고, 담수유입으로 인한 해양수질 변화 관계를 통계적인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아산만의 해양수질 자료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는 해양수질 변화를 주도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담수유입(37.7 %)이며, 그 다음으로는 외해수의 영향(24.4 %)으로 나타났다. 아산만에서 담수의 주요 공급원은 만의 가장 안쪽에 위치한 아산호와 삽교호이며, 이들의 방류로 인해 아산만의 전체적인 수질의 공간 분포가 결정되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담수 방류가 적은 겨울철에는 저층 재부유에 기인한 영향이 상대적으로 중요해진다. 전체적으로 담수 방류량의 계절적인 변화가 아산만 전체의 환경변화를 주도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DIP가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을 제한하는 요소로 나타났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seasonal characteristics of seawater in Asan Bay, the quality of this water was observed over four seasons form December 2011 to February 2013, and correlations between seawater quality variations and freshwater input were analyzed by a statistical method. The results, based on factor analysis, indicate that the two most important factors in understanding variation are freshwater input (37.7 %) and seawater exchange (24.4 %). Asan-ho and Sapgyo-ho are two major freshwater sources that affect inner (eastern) Asan Bay. Discharged freshwater from the inner bay strongly affects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seawater in the bay overall during the summer rainy season. On other hand, water re-suspended from the bottom of the bay overwhelmed the water quality during the dry winter season. In conclusion, seasonal freshwater discharge dominated the water quality of the bay, and, consequently, DIP limited the growth of phytoplankton in the bay.

      • KCI등재후보

        생태-유체역학모델을 이용한 아산만 해양수질의 장기 예측

        권철휘,강훈,조광우,맹준호,장규상,이승용,서정빈,Kwoun, Chul-Hui,Kang, Hoon,Cho, Kwang-Woo,Maeng, Jun-Ho,Jang, Kyu-Sang,Lee, Seung-Yong,Seo, Jeong-Bin 해양환경안전학회 2009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5 No.2

        아산만 해역으로 방류수가 배출될 경우, 생태-유체역학모델을 이용하여 아산만 해역의 장기 수질변화를 예측하였다. 생태-유체역학 모델은 해수유동 시뮬레이션을 위한 다층모델과 수질시뮬레이션을 위한 생태계모델로 구성되어 있다. 생태-유체역학모델을 이용하여 아산만해역의 장기 수질을 예측한 결과, 5개 정점에서 화학적산소요구량, 용존무기질소 및 용존무기인의 농도분포는 현재 계산결과에서 6개월 동안 증가하였다. 수치실험 수행시간 1년에서 2년 사이에서는 화학적 산소요구랑, 용존무기질소, 용존무기인의 농도분포는 6개월 동안 증가한 농도분포가 차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3년에서 10년 사이에서는 일정한 농도분포를 보였다. 화학적 산소요구량, 용존무기질소 및 용존무기인의 농도는 $11{\sim}67%$, $10{\sim}67%$ 및 0.57%의 범위로 증가하였다. 10년 동안의 수치 실험 결과 화학적산소요구량과 용존무기질소의 변화 폭이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하수처리장의 방류수 중 이 두 오염부하량이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산만 연안해역에서 화학적산소요구량, 총질소, 총인의 농도는 해역수질환경기준 II등급으로 조사되었으나, 하수처리장의 방류수가 배출될 경우 사업지구 인근의 아산만 방조제 부근에서는 해역수질환경기준 III등급으로 나타났다. The long-term water-quality change of Asan Bay by the influx of polluted disposal water was predicted through a simulation with an Eco-hydrodynamic model. Eco-hydrodynamic model is composed of a multi-level hydrodynamic model to simulate the water flow and an ecosystem model to simulate water quality. The water quality simulation revealed that the COD(Chemical Oxygen Demand), dissolved inorganic nitrogen(DIN) and dissolved inorganic phosphorus(DIP) are increased at 5 stations for the subsequent 6 months after the influx of the effluent. COD, DIN and DIP showed gradual decreases in concentration during the period of one to two years after the increase of last 6 months and reached steady state for next three to ten years. Concentration levels of COD, DIN, and DIP showed the increase by the ranges of $11{\sim}67%$, $10{\sim}67%$, and $0.5{\sim}7%$, respectively, which represents that the COD and DIN are the most prevalent pollutants among substances in the effluent through the sewage treatment plant. The current water quality of Asan Bay based on the observed COD, TN and TP concentrations ranks into the class II of the Korean standards for marine water quality but the water quality would deteriorate into class III in case that the disposal water by the sewage plant is discharged into the Bay.

      • KCI등재

        대몽항쟁기 이천(李阡)의 온수전투 연구

        김일환(Kim, Il Hwan) 역사실학회 2018 역사와실학 Vol.67 No.-

        아산은 아산만의 독특한 지형적 특성으로 고대부터 해양을 통해 내륙으로 접근하거나, 내륙에서 해양으로 나갈 때 관문의 역할을 하였다. 이 때문에 수로교통의 요지가 되어 경제적으로나, 혹은 군사적으로나 중요한 요충지로 인식되었다. 고려왕조가 건국된 후 개경으로 가는 세곡과 공부(貢賦)가 조운으로 수송됨에 따라 안성천에 하양창이라는 조창이 설치되어 중부권 최고의 물류기지가 됨에 따라 아산만의 전략적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 세계적인 대제국을 건설한 몽골이 고려를 겨냥하고 침략해 올 때 아산지역도 재난을 피할 수는 없었다. 더구나 항쟁을 선언한 무인정권이 강화도로 천도하자 아산은 강도정부를 후원하는 병참기지의 역할을 수행하였고, 해도입보를 대응전략으로 채택하면서 아산만 일대의 해도는 충청지역 최고의 해상피난처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런 이유로 아산지역은 몽골의 직접적인 군사공격의 목표가 되어 두 차례나 침략을 당하는 계기가 조성되었던 것이다. 아주해도로 입보하려면 그 접근통로라 할 수 있는 곳이 온수와 직산이었다. 특히 온수의 읍내성이나 성안말 산성, 이곳과 마주보고 있는 배방산성은 그 입보로를 지키는 군사적 요충지였다. 1256년 이곳을 침략한 몽골군에 의해 온수가 점령된 후에는 선장도를 비롯한 아산만의 해상 입보처를 방어하고 입보민을 보호하기 위해 몽골군의 봉쇄망을 분쇄해야 했다. 이때 이천(李阡) 장군과 수군 200명이 전격적인 기습작전으로 몽골군을 격파하고 군사적 승리를 거둔 온수전투는 큰 역사적 의미가 있었던 사실이다. 온수전투는 아주해도를 봉쇄하기 위하여 아주, 직산, 신창의 요충지를 차단한 몽골군의 군사전략을 깨기 위한 노력이었다. 이천의 뛰어난 전략과 용의주도한 작전운용으로 이 온수전투는 성공하여 몽골군을 격퇴하고 포로가 된 온수민들을 안전하게 구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이천의 온수에서 승리의 결과로 몽골의 아산만 입보로(入保路) 차단전략은 무너지는 계기가 마련되었고, 후속 작전인 정인경의 직산전투의 성공도 가능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 결과 몽골군이 물러가면서 이들의 봉쇄로 인해 차단된 입보통로가 다시 열려 천안, 청주 등의 백성들이 안전하게 아주해도로 피난하였고 안전한 삶이 지켜질 수 있었다. 이것이 계기가 되어 그해 몽골의 고려침략도 서서히 끝나며 철병이 시작되었다고 본다.

      • KCI등재

        송국리유형 형성과정에 대한 검토

        나건주(Na, Geon ju) 중부고고학회 2009 고고학 Vol.8 No.1

        서울·경기지역에서 송국리유형과 관련된 자료들은 안성천 수계 내에서 확인되고 있다. 안성천은 곡교천·삽교천과 함께 아산만을 통해 서해로 유입되는 하천으로, 이들 하천들이 분포하는 지역들은 지리적으로 하나의 권역인 아산만지역으로 통칭할수 있다. 경기남부와 충청북부에서 확인되는 유적들은 동일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아산만지역으로 통합하여 자료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전기 말에는 주거지가 소형화되고 취락의 존속기간도 길어지며, 주거지의 구조도 반송리식이라는 과도기적인 단계를 거쳐 휴암리식 주거지가 형성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반송리식 주거지의 분포는 아산만지역을 벗어나서 해안지역으로 가면서 그 빈도가 약해지는데 반해서,휴암리식은 당진,서산지역을지나 보령,서천지역에서 높은 빈도를 보이며 취락의 규모도 커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전기말 소형화된 주거지에 구심구조가 채택되며,반송리식을 거쳐 완성된 휴암리식 주거지가 서해안을 통해 금강유역으로 확산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후 휴임 리식은 평면형태가 원형으로 바뀌며 송국리식 주거지로 완성된다. 송국리식 주거지의 분포는 서천과 부여지역,대전과 청주지역 등금강 중·하류역에 집중되고 있다. 이는 전기 단계 곡교천변에 밀집되었던 인구가 중기에는 금강유역으로 대거 이동된 것으로 생각된다. 그 원인은 수도농경에 유리한 경관을 갖춘 지형이 집중 분포하는 지역으로 인구가 옮겨간 것으로 판단된다. The data related to Songguk-ri assemblages are being identified at the Anseong Stream water system in Seoul & Gyeonggi district, The Anseong Stream is a river flowing into thewest sea through Asan Bay together with the Gokgyo Stream and Sapgyo Stream and the districts where these streams are distributed are named Asan Bay district as one area geographically. The relics identified in the southern part of Gyeonggi-do and northern pan of Chungcheong-do are judged to have a similar character and this research examined the related data by integrati.ng these areas into Asan Bay district. As a result, this research discovered that a Hyuamri-typed settlement formed by way of the transitional stage of a Bansong-ri type in a settlement structure with the occurrence of settlement miniaturization and intensification of sedentary efficiency in a settlement at the latter period of the former Bronze Age. The distribution of Bansong-ri-typed settlements was found to be lower in its frequency in the west coastal areas away from Asan Bay district while Hyuamri-typed settlements showed a higher frequency at Boryeong and Seocheon districts past Dangjin and Seosan districts and the size of a settlement was also identified to be bigger. This research understood such a phenomenon as the facts as follows: 1] main structure was adopted into a miniaturized settlement followed by the intensification of sedentary efficiency in a settlement which occurredduring the latter period of the former Bronze Age 2] mere showed the completion of the Hyuamri-typed settlement by way of the transitional stage of Bansongri-type 3] Afterwards, the Hyuamri-type settlement' was expanded into the Geumgan Basin by way of the west coast. The distribution of the Songguk-ri-ryped settlement was centered on the mid-stream & downstream areas of the Geumgang, such as Seocheon & Buyeo districts, Daejeon and Cheongju districts, etc., which fact could be explained by presumption that the population, who densely habited along me Gokgyo Stream during the former period of the Bronze Age, massively moved to the Geumgan Basin during the mid-period of the Bronze Age. It's because the population moved to a district where geographical Features equipped with scenes advantageous to water-field rice plant farming, this res arch judges.

      • KCI등재

        GIS와 USLE를 이용한 아산만 유입 유사량 추정

        김상민,박승우,강문성 한국수자원학회 2003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36 No.6

        본 연구는 아산만으로 유입되는 유사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Landsat-5 TM 위성영상과 NGIS 수치자료를 이용하여 대상유역의 기본도와 USLE 주제도를 구축하고, 범용토양유실공식(USLE)을 이용하여 아산만 유역의 토양유실량을 추정하였다. 유사운송비와 포착률을 이용하여 아산만으로 유입되는 유사량을 추정하였으며, 이를 농업기반공사의 배수갑문 관리자료와 환경부의 담수호 부유물 측정자료로부터 구한 실측 유사량과 비교하였다. USLE와 유사운송비, 포착률을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combined with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USLE) was used to estimate the soil erosion of Asan Bay experiment watershed in Korea. Spatial data for each USLE factors were obtained from the Landsat-5 TM remote sensing im

      • KCI등재후보

        계절별로 조사한 조석에 따른 아산만의 수질 변동

        김세희,신용식 (사)한국해양생명과학회 2020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Vol.5 No.1

        아산만은 방조제 갑문을 통한 담수 유입과 외해인 서해로부터 해수가 유입되는 하구의 특성을 나타내는 곳으로, 반일주조형 조석을 가진 조수간만의 차가 크게 발생하는 해역이다. 하구에서 조석은 단기적인 물리 · 화학적 수질 특성 변화 및 생물학적 반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조석에 따른 수질 변화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는 아산만의 고정 정점에서 계절별로 2시간 간격으로 24시간 동안 조사하여 조석에 따른 수질 변동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조위에 따른 수온과 염분의 변동이 확인되었고, 염분은 특히 조위와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총부유물질의 경우 표층보다 저층의 농도가 높고, 조석에 따라 농도의 차이가 특히 저층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간조 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영양염류인 아질산+질산성 질소도 조위 양상과 반대의 분포로 나타났으며, 상관성 분석 결과에서도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나머지 영양염류들도 다소 약하지만 유사한 형태의 변동을 보였고, 담수 유입의 영향을 받은 7월에는 반대 경향이 더욱 명확하게 나타났다. 유기물 및 총질소, 총인의 경우 조석 주기동안의 시간 변동이 다소 크게 나타났고, 대체적으로 조위와 반대의 분포를 보여 주었다. 입자유기물을 제외하고 대부분 염분과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보여 무기질 영양염류와 유사하게 담수 유입이 공급원임을 암시하고 있다. 결국 아산만에서는 용존산소, pH 등 일부를 제외한 수질인자와 영양염류 및 유기물의 시간적 변동에 조석이 관여하여 단기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2006년도 하계 아산만의 유기인계 농약의 분포 특성

        최진영,이성규,양동범,홍기훈,신경훈,Choi, Jin-Young,Lee, Sung-Gyu,Yang, Dong-Beom,Hong, Gi-Hoon,Shin, Kyoung-Hoon 해양환경안전학회 2009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5 No.1

        2006년 5월부터 9월까지 아산만의 유기인계 농약의 분포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중 표층수와 부유입자 시료에서 28개의 유기인계 농약이 검출되었다. 조사해역의 표층수에서 가장 많이 존재하는 유기인계 농약은 IBP와 DDVP로 각각 N.D.${\sim}$014.4, 3.2${\sim}$696.3 ng/L의 농도로 측정되었다. 유기인계 농약은 아산만에서 7월과 8월에 가장 높은 농도분포를 보였으며, 이는 농약의 사용 및 강수와 관계가 있었다. 조사 해역에서 유기인계 농약은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농도가 뚜렷이 감소하여 육상기원 잔류농약이 연안의 해양환경내로 유입된 후 분해 희석됨을 보여주었다. 조사기간 중의 아산만 해역의 유기인계 농약의 분포는 다른 지역에서 조사된 것 보다 높은 농도를 보였다, 검출된 유기인계 농약의 농도는 우리나라 해역의 수질기준 중 유기인계 농약의 잔류 허용치를 넘지 않았다. 분석된 유기인계 농약 중 DDVP, IBP, Diazinon, Phorate, Azinphos ethyl, Chlorfenvinfos는 부유입자에 흡착하는 성질이 다른 농약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고 흡착계수 $(K_d)$는 Log $K_ow$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organophosphorous pesticides (OPs) were studied over the period from May to September, 2006 in Asan Bay, Korea. During the study period, 28 kinds of organophosphorous pesticides dissolved in surface water and adsorbed on suspended particle were measured. In the surface water, the dominant OPs were IBP and DDVP, and the concentration were in the ranges from not detected to 2014.4 ng/L for IBP and 3.2 to 696.3 ng/L for DDVP.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OPs in the surface waters in Asan Bay appeared in July and August showing that seasonal distributions of OPs depend on application time and precipitation. The concentrations of OPs generally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distance from the mouth of Asan Bay, implying progressive dilution of pesticides in the estuarine system. OPs residue in Asan Bay was relatively higher than in other area of Korea. The concentrations of the observed OPs concentrations did not exceed the seawater quality standard of Korea. DDVP, IBP, Diazinon, Phorate, Azinphos ethyl and Chlorfenvinfos had higher adsorption capacity onto suspended particle than the other OPs. In the study area, adsorption coefficients $(K_d)$ of OP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Log $K_ow$ of each compound.

      • KCI등재후보

        18~20세기초 아산만 포구의중심 이동과 둔포시장권의 변화

        박범 (재)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3 충청학과 충청문화 Vol.0 No.34

        Since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central port of Asan Bay has beenGongjinpo. Gongjinpo was able to have a centrality thanks to the Jounsystem. However, problems with the shipping system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Daedong Act brought about changes. As grains were trans-ported from other ports, Baekseokpo, which was growing as a fishing base,emerged as a major port. As several inlets in the Asan Bay basin appeared, the central governmentand the royal family also began to seek profits. In the process, the newport that appeared was the dunpo. Dunpo was a port and a space equip-ped with all markets. While Baekseokpo only played the role of a fishingbase, Dunpo developed a market where fish and salt were collected anddistributed. As the muzzle of the dunpo developed, a group of peddlersappeared. A large market area centered on Dunpo was formed. The change in the market area centered on Dunpo was the laying of theGyeongbu Line railroad. When a market was opened in front of Pyeong-taek Station, major goods were moved there. It was not until the end ofthe 19th century that a large market was formed, but the rise and declineof Dunpo did not last long. 조선초기 이래 아산만의 중심 포구는 공진포였다. 공진포는 조운 제도 덕분에 중심성을 가질 수 있었다. 그러나 조운 제도의 문제와 대동법의 시행으로 변화가 나타났다. 다른 포구에서 곡물을 운송하게 되자어업 기지로 성장하고 있던 백석포가 주요 포구로 등장하게 된 것이다. 아산만 유역의 여러 포구가 등장하면서 중앙정부와 왕실에서도 그 이익을 노리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새롭게 등장한 포구는 둔포였다. 둔포는포구이면서 시장을 모두 갖춘 공간이었다. 백석포가 어업 기지의 역할만 담당한 데에 반하여 둔포는 어염이 모여 유통이 되는 시장이 크게발달하였다. 둔포의 포구가 발달하면서 보부상 집단이 등장하였고, 둔포를 중심으로 하는 큰 시장권이 형성되었다. 둔포 중심의 시장권에 변화를 야기한 요인은 경부선 철도의 부설이었다. 평택역 앞에 시장이 개설되면서 주요 물품은 평택장으로 집산되었다. 이처럼 둔포장은 19세기말이 되어서야 대시장권을 형성할 수 있었으나, 둔포의 성쇠는 오래가지 못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