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가복지서비스가 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백경숙,권용신 한국노인복지학회 2009 노인복지연구 Vol.0 No.4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 of community care service for the aged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ex, living style, health state, religion.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affect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home-helper of attitude in order preference, affirmation, accept. As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all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derly receiving home-based community care service explained 40.3% in three factors. Third, there was significant affect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satisfactions with home-based social service in order emotional support service, health related service, household chore service, social service. As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all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derly receiving home-based community care service explained 54.9% in four factors. 본 연구는 재가복지서비스가 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에 소재하는 가정봉사원파견시설 4개소에서 재가복지서비스를 받는 만 65세 이상 노인 2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5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다. 재가복지서비스가 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재가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을 파악하기 위해 ANOVA, t-test로 검증한 결과, 성별, 동거형태, 건강상태, 종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가정봉사원서비스에 대한 태도에 따른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한 결과, 선호도, 수용도, 긍정도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정봉사원서비스에 대한 태도의 3가지 변인이 재가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을 설명하는 수준은 40.3%로 나타났다. 건강한 재가노인이 건강하지 않은 재가노인보다 높은 심리적 복지감을 보였고, 종교가 있는 재가노인이 종교가 없는 재가노인보다 심리적 복지감이 높았다. 셋째, 재가복지서비스 유형에 따른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한 결과, 정서적 서비스, 건강관련 서비스, 가사서비스, 사회적 서비스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가복지서비스 유형의 4가지 변인이 재가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을 설명하는 수준은 54.9%로 나타났다. 건강한 재가노인이 건강하지 않은 재가노인보다 높은 심리적 복지감을 보였고, 종교가 있는 재가노인이 종교가 없는 재가노인보다 심리적 복지감이 높았다.

      • KCI등재

        간호사의 코칭역량이 조직몰입과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홍진숙,김양진 한국코칭학회 2020 코칭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간호사의 코칭역량이 조직몰입과 심리적 복지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 00구 대학병원 1곳, 서울특별시 00구 종합병원 1곳, 경기도 00시 00구 대학병원 1곳, 경기도 00구 00시 종합병원 1곳에 근무하는 간호사 33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중 응답이 불성실한 17부를 제외하고 313부의 설문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조직몰입 수준과 심리적 복지감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조직몰입 수준에서는 연령, 결혼여부, 종교, 학력, 재직기간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심리적 복지감 수준에서는 성별과 학력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간호사의 코칭역량, 조직몰입, 심리적 복지감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간호사의 코칭역량과 조직몰입 및 심리적 복지감간의 관계에서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간호사의 코칭역량이 조직몰입과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간호사의 코칭역량은 조직몰입과 심리적 복지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이는 코칭역량이 높을수록 조직몰입과 심리적 복지감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how nurses' coaching competence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examining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nurses and the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 of the social and demographics of age, marital status, religion, educational background, and employment perio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nd at the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by examining the correlations between nurses 'coaching compete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overall meaning of nurses' coaching compete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found. We also found that there was a certain correlation. Third, nurses 'coaching compet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s nurses' coaching compet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경찰공무원의 심리적 복지 증진 방안 연구

        오정석 한국경찰복지연구학회 2014 경찰복지연구 Vol.2 No.1

        경찰공무원의 심리적 복지 수준을 증진하기 위해 과거의 경제, 물질 중심 경찰 복지 개념에 대해 심리적 복지 개념을 새로운 페러다임으로 제시하고 Ryff의 심리 적 복지 척도인 자기수용감, 긍정적 대인관계, 자기주도성, 환경적응, 삶의 목표, 개인의 성장 등 6개의 하위 척도를 활용하여 다음과 같이 실천 중심 심리적 복지 척도를 재구성하였다. 자기수용감에 대응한 척도는 참선수련, 명상, 요가, 긍정적 대인관계에 대응한 척도는 동호회, 친목회, 친구관계, SNS 활동, 자기주도성에 대 응한 척도는 의사결정 경험, 환경적응에 대응한 척도는 스마트폰과 인터넷 활용도, 삶의 목표에 대응한 척도는 노후설계, 경제계획 및 실천 정도, 개인의 성장에 대응 한 척도는 연구 활동 실적이다. 이와 같은 실천 중심 심리적 복지 척도는 경찰공무 원의 심리적 복지 평가에 실천적, 동적 성향을 보다 잘 반영하고 심리적 복지 증진 대안 마련에 유익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order to increase police welfare in terms of psychological well being, I proposed to implement a new psychological welfare concept into police welfare, thereby proposing a brand new paradigm. The proposal of new police welfare system based on psychological welfare is based on through analysis of Riff’s six specified measure of psychological welfare, them being self acceptance,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autonomy, environmental mastery, purpose in life, and personal growth. The specific components to help develop these six measures are: self acceptance - zen-meditation, meditation, yoga.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 gatherings, friendly meetings, tight friendship, active social networking. autonomy – experience of decision making. environmental mastery – wise usage of smart phones and internet. purpose in life – retirement plan, making economic plan. personal growth – endless research. The above practice based psychological welfare measures deem to be a more realistic direction for police welfare due to the right implementation of the dynamic characteristics more suitable for real time police officers.

      • 심리적 복지 향상 방안 연구

        오정석 한국유럽경찰학회 2018 유럽경찰연구 Vol.2 No.1

        심리적 복지 수준을 증진하기 위해 과거의 경제, 물질 중심 경찰 복지 개념에 대 해 심리적 복지 개념을 새로운 페러다임으로 제시하고 Ryff의 심리적 복지 척도인 자기수용감, 긍정적 대인관계, 자기주도성, 환경적응, 삶의 목표, 개인의 성장 등 6 개의 하위 척도를 활용하여 다음과 같이 실천 중심 심리적 복지 척도를 재구성하였 다. 자기수용감에 대응한 척도는 참선수련, 명상, 요가, 긍정적 대인관계에 대응한 척도는 동호회, 친목회, 친구관계, SNS 활동, 자기주도성에 대응한 척도는 의사결 정 경험, 환경적응에 대응한 척도는 스마트폰과 인터넷 활용도, 삶의 목표에 대응한 척도는 노후설계, 경제계획 및 실천 정도, 개인의 성장에 대응한 척도는 연구 활동 실적이다. 이와 같은 실천 중심 심리적 복지 척도는 경찰공무원의 심리적 복지 평가 에 실천적, 동적 성향을 보다 잘 반영하고 심리적 복지 증진 대안 마련에 유익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order to increase police welfare in terms of psychological well being, I proposed to implement a new psychological welfare concept into police welfare, thereby proposing a brand new paradigm. The proposal of new police welfare system based on psychological welfare is based on through analysis of Riff’s six specified measure of psychological welfare, them being self acceptance,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autonomy, environmental mastery, purpose in life, and personal growth. The specific components to help develop these six measures are: self acceptance - zen-meditation, meditation, yoga.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 gatherings, friendly meetings, tight friendship, active social networking. autonomy – experience of decision making. environmental mastery – wise usage of smart phones and internet. purpose in life – retirement plan, making economic plan. personal growth – endless research. The above practice based psychological welfare measures deem to be a more realistic direction for police welfare due to the right implementation of the dynamic characteristics more suitable for real time police officers.

      • KCI등재후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몰입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 연구

        이주연,지명원,김경화 한국보육학회 2011 한국보육학회지 Vol.11 No.1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몰입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변수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인천과 경기도의 보육시설 보육교사 249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직무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하는 보육교사의 경우 심리적 복지감을 낮게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직무몰입을 높게 지각하는 보육교사의 경우 심리적 복지감을 높게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은 직무 스트레스와 셀프 리더십이 상호작용하여 조절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의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를 조절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를 완화시켜 심리적 복지감을 증진시키고 있음을 의미한다. 넷째,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에 직무몰입과 셀프 리더십이 상호작용하여 조절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의 높을수록 직무몰입과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를 조절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높을수록 직무몰입을 증진시켜 심리적 복지감을 증진시키고 있음을 의미한다. This study was to look into the influence of job stress and job involvement of care-giving teachers on psychological welfare and the effect of adjustment of self-leadership in the relation among these variables.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249 care-giving teachers who works in child-care facilities located in Incheon and Gyounggi-do. As a result, followings can be concluded. First, care-giving teachers who highly sense job stress tend to sense low psychological welfare. Second, the care-giving teachers who highly sense job involvement tend to sense highly psychological welfare. Third, as a result of conduct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justment of self-leadership in the influence of job stress of care-giving teachers on psychological welfare, it appeared that for the psychological welfare of care-giving teachers, job stress and self-leadership interact and work as moderating variables. We could observe that the higher the self-leadership of care-giving teachers, the better they adjust the 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welfare. This result means that the higher the self-leadership of care-giving teachers the better they improve psychological welfare by mitigating job stress. Fourth, it appeared that for psychological welfare of care-giving teachers, job involvement and self-leadership interact and work as moderating variables. We could see that the higher the self-leadership of care-giving teachers, the better they adjust the relation between job involvement and psychological welfare. This result means that the higher the self-leadership of care-giving teachers the better they improve psychological welfare by enhancing job involvement.

      • KCI등재

        일 지역 취약계층 노인의 신체화, 심리적 안녕감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이경숙,이경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8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plore the relationship Somatiza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fare on psychological welfare and related factors. Methods: Somatiza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farer scales were used as the measurement tools with a sample of 200 eldery in U-city.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May 1, 2017 to August 31, 2017.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24.0 version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Results: Somatiz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fare. Psychological well-be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nd psychological welfar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38.1 % by the variable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earlier screening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high somatization, and low pychological well-being in eldery should be helpful in increasing psychological welfare. 본 연구는 일지역 취약계층 노인의 신체화, 심리적 안녕감, 심리적 복지감의 정도의 정도를 파악하고 각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며 신체화, 심리적 안녕감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U광역시 9개동 주민 200명이었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5월 1일부터 2017년 8월 31일까지였다. 대상자의 신체화는 평균 89.25±19.94점이었고, 심리적 안녕감은 73.11±11.54, 심리적 복지는 49.48±13.29,로 나타났다. 신체화와 심리적 안녕감은 부적 상관관계, 신체화와 심리적 복지감은 부적상관관계, 심리적 안녕감과 심리적 복지감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지역주민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주된 영향요인은 신체화, 심리적 안녕감이었으며, 이들 변수는 38.1%의 설명력이 있었다. 따라서 지역주민의 심리적 복지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신체화를 낮추고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가 취약계층 노인의 신체화, 심리적 안녕감의 정도 파악과 심리적 복지감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일본 후기고령자의 자녀와의 사회적 지원과 심리적 복지감

        김혜경(Hye Kyung Kim),Erika Kobayashi,Jersey Liang 한국노년학회 2003 한국노년학 Vol.23 No.4

        본 연구는 일본 70세 이상 후기 고령자의 자녀와의 사회적 지원 교환과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련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자료는 일본 동경도 노인종합연구소에서 실시한 '후기고령자의 건강, 가족, 경제의 다이나믹스' 프로젝트의 일부자료(N=2,442)이다. 부모ㆍ자녀관계는 장기간에 걸쳐 형성, 유지되나 선행연구에서는 한 조사 시점에서 이루어진 사회적 지원 교환을 검토한 연구에 머무르고 있는 제한점을 고려하여 과거에 고령자가 자녀에게 준 지원과 현재 고령자가 자녀에게서 받는 지원을 측정하여 장기적 관점에서 지원의 교환을 파악하여 이의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련을 검토하였다. 심리적 복지감은 3항목으로 구성된 인생 만족도 척도를 통해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분산구조분석을 통해 사회적 지원 교환의 호혜성(reciprocity)이 심리적 복지감과 관련되는 양상을 분석한 결과, 지원을 해 주는 것과 지원을 받는 것의 상호작용이 유의한 수준에 이르지 않아 자녀와의 사회적 지원 호혜성과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련은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과거에 자녀에게 경제적 지원을 해 둔 사람은 현재 자녀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지 않더라도 심리적인 복지감이 높게 유지되고 있어, 일본의 고령자는 자녀에게 일방적으로 지원해주는 것에 만족하며 자녀에게서 보답을 반드시 기대하지 않고 이타적 동기에서 사회적 지원을 해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경로분석을 통해 과거에 해 준 지원은 현재의 받는 지원을 높여 심리적 복지감과 관련하는 간접효과가 있는가를 알아본 결과, 과거에 지원을 준 적이 잇는 사람일수록 현재 자녀로부터 지원을 받기 쉬웠고, 또한 지원을 받고 있는 사람의 심리적 복지감이 유의하게 높은 것을 통해 그 효과는 약하지만 지원을 해 준 것이 지원 받는 것을 높여 심리적 복지감과 관련하는 효과가 밝혀졌다. 한국의 후기 고령자를 대상으로 후속연구를 실시하여 일본과의 유사점 및 상이점에 관한 비교검토가요구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support exchange with children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Japanese elderly aged 70+. Data are from a national representative survey conducted in 1999. In our framework, the measure of support exchange with children exhibit a time lag between providing and receiving support. To measur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elderly, we employed a life satisfaction index composed of three items. We explored the interaction effects of previous providing support and current receiving support on well-being using ANCOVA(Analysis of Covariance) in other to examine the impact of support reciprocity on well-being. In addition, we conducted path analysis to examine the indirect effect of previous providing support on well-being via current receiving support. Main results are follows. (1) ANCOVA analysis revealed that the interaction effects of previous providing support and current receiving support on well-being was not sigruficant. This results implies that the reciprocity of support have no direct relation with the well-being of Japanese elderly. However, the main effect of previous provid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lying that the elderly who provided support enjoying higher well-being regardless of they receive support from children or not. (2) From the path analysis, we found an indirect effect of providing support on well-being of elderly. Further research are required from the standpoint of cross-culhxal viewpoint using Korean data.

      • KCI등재

        농촌노인의 일과 여가활동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이정화(Lee Jeong Hwa),한경혜(Han Gyeong Hye) 한국농촌사회학회 2003 農村社會 Vol.13 No.1

        농촌에서 노인의 인구비중이 높아지고 이들의 삶의 질이 중요하나 지금까지 농촌노인들의 삶의 질이나 심리적 복지에 대한 연구는 도시에 비해 매우 적었다. 특히 정년의 개념 없이 지속적으로 생산활동을 유지하고, 대부분 그 지역사회에서 오랜 기간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며 살아가는 농촌노인들은 도시노인에 비해 다양한 사회적 관계망과 사회적 활동을 더 오랫동안 유지할 가능성이 높지만 이러한 사회적 활동들이 농촌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많이 알려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농촌노인들의 사회적 활동영역중 농사일참여와 여가활동을 중심으로, 사회적 활동에의 참여가 농촌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료는 제주도를 제외한 8개 도 32개 시·군에서 1개 마을씩을 선정하여 총 1,226명의 농촌노인을 대상으로 생활지도사가 면접한 것이다. 자료분석은 Spss windows 10.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등의 기술통계와 교차분석, 피어슨의 적률상관계수, 중다회귀분석의 통계기법을 사용하였다. 농촌노인의 일반적 특성, 농사일 참여정도, 여가활동 참여정도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농사일 참여정도는 농촌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설명력이 나타나지 않은 반면, 여가활동 참여정도는 이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쳐 여가활동 참여가 농촌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년기 생산적 활동이 노인들의 심리적 복지에 긍정적이라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달리, 농촌노인들의 경우 농사일 참여는 그들의 심리적 복지에 영항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농사일`이 농촌 노인에게 생산성이라는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활동이라기보다는 경제적 필요에 의해 `해야만 하는 일`로서 비자발적인 측면이 부각되었기 때문이거나, 농촌노인들이 감당하기에 너무 고된 일이었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사회경제적 특성을 통제하고서도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정도가 높은 노인일수록 심리적 복지감이 높았다는 결과는 여가가 갖는 긍정적인 의미를 다시 보여주는 것으로, 농촌노인의 여가활동 참여를 더욱 활성화 시켜야 할 필요가 있음을, 그리고 이를 위해 농촌노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이용 가능한 여가 프로그램이 많이 개발·보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In Korea, as the elderly population is grow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rural elderly is becoming a major concern. According to Rowe and Kahn(1997), active and productive engagement in society is a central component of successful aging. Yet, the effect of various social participa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is not uniform. For ex. involuntary participation for productive activities due to economic needs might have negative impa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Likewise, involuntary leisure after the forced retirement could not be enjoyable for the elderly. However, few empirical research was done to examine the effect of work and leisure activity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people. This study is an attempt to empirically examine the connection between them. For this purpose, community welfare specialists gathered data from 1226 rural elderly in 32 villages,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statistic methods used for the data analysis were descriptive statistics, cross table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s10.0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the majority of rural elderly engaged in farming and 62.8% among them are heavily involved in that profession. The mean of daily working hours of the rural elderly during the busiest season for farmers was 7.8 hours. The main reason for their continued participation in farming was economic need. In terms of leisure activity, about 40% of rural elderly participated in various activities in the community. The main activities wer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s offered by community senior centers and visiting neighbors or friends. The effects of farming and leisure activities on the rural elderly`s psychological well-being was different. That is, the extent of leisure activities positively affected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while extent of farming didn`t show significant impact.

      • KCI등재

        학교기관 군 병사들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심리적 복지감 관련 주요 변인 간 상관성 연구

        김기원 ( Kim Kiwon ),이상현 ( Lee Sanghyun ) 한일군사문화학회 2021 한일군사문화연구 Vol.33 No.-

        최근 군 복지정책의 일환으로 시행된 군 병사들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해서 복지여건 개선이라는 긍정적 시각과 군 기강 해이, 군사대비태세 이완, 군사보안 위반, 사이버 범죄 증가 등의 부정적 시각이 공존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의 대표적 역기능인 스마트폰 과의존은 많은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데, 군내에서도 이와 관련한 여러 문제적 현상이 발생하고 있음을 알리는 언론매체나 군의 발표가 여러 차례 있었다. 이에 따라 과연 병사들의 스마트폰 사용이 본래의 취지인 복지로써의 기능을 충실히 하고 있는지, 아니면 전우와의 친교나 자기계발 등 이전에 해 오던 복지마저 저해하고 있지는 않은지 진단해 볼 필요가 있었다. 본 연구는 군 병사들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심리적 복지감 관련 주요 변인 간 상관성을 규명하는 데 있으며, 나아가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문화, 본래의 취지인 복지로써의 의미에 대한 고찰의 동기를 환기시킴에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연구범위는 스마트폰의 대표적 역기능인 ‘스마트폰 과의존’., 인간의 복지감 중 비교적 최근의 ‘심리적 복지감’ 그리고 관련 주요 변인 등이며, 연구방법은 설문조사에 의한 양적 연구로써, 스마트폰 과의존과 심리적 복지감 관련 주요 변인 간 상관성을 분석하는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스마트폰 과의존은 심리적 복지감 관련 주요 변인 중 군 생활 스트레스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자아존중감, 대인관계능력, 사회적 지지와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여러 선행연구들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또한 군의 복지 향상을 위해 시행된 병사들의 스마트폰 사용은 여가사용면에서 복지를 향상한다는 긍정적 효과보다는 스마트폰 과의존과 더불어 심리적 복지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고를 통해 건전한 스마트폰 사용문화 조성과 여가사용 여건 개선을 위한 노력이 조기에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As part of the military welfare policy, positive views of improving welfare conditions for military soldiers and negative views of lax military discipline, relaxation of military preparedness, violation of military security, and increased cyber crimes coexist. The overdependence of smartphones, a representative adverse function of smartphones, has caused many social problems, and many media outlets and the military have announced that there are many problematic phenomena related to them in the county. As a result, it wa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soldiers’ use of smartphones was faithfully functioning as welfare, which was originally intended, or whether they were hindering their previous welfare such as friendship and self-development with their comrade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jor factors of military soldiers’ on smartphones and psychological welfare, and to further motivate them to consider the right culture of using smartphones and their original purpose as welfa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major variables related to military soldiers’ dependence on smartphones and psychological welfare, and to evoke motivation to consider the correct smartphone use culture and its original purpose, meaning of welfare. The scope of the study is “smartphone overdependence”, a relatively recent “psychological welfare” among human welfare, and related major variables, and the research method is a quantitative study by questionnaire, which went through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major variables related to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psychological welfar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smartphone dependenc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ilitary life stress among major variables related to psychological welfare,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interpersonal ability, and social support, which was not much different from many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use of smartphones by soldiers implemented to improve military welfare had a negative effect on psychological welfare along with dependence on smartphones rather than a positive effect of improving welfare in terms of leisure use.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efforts to create a healthy smartphone use culture and improve leisure use conditions will be made early through this paper.

      • KCI등재

        여성단체활동자의 역할갈등과 심리적 복지감에 관한 연구

        이영석,최외선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011 한국가족복지학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females involved in women's organizations. This study specificall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role conflict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02 women participating in women's organizations in Gyeoungbuk Province. They were asked to answer survey questions, including 15 items about role conflicts and 18 items about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instrument was modified from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Jo, Ok-Hee (2004). The participants' answers were analyzed through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 The study revealed that more than half of the subjects were satisfied with their level of well-being. However, less than half of the participants had role conflicts during the activities. Women who had higher education and family income felt not only high psychological well-being but also low role conflict. In addition, positive psychological well-being corresponded with the duration of their membership in the organizations. Subjects who had high role-conflic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some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ies on the role conflict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females belonging to women's organizations. 본 연구는 사회단체활동을 하는 여성의 역할갈등과 심리적 복지감의 수준과 그 관련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상북도에서 각종 단체활동을 하고 있는 여성 302명이며 설문지는 조옥희(2004)의 연구를 토대로 역할갈등 15개 문항과 심리적 복지감 18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2.0 program을 이용하여 신뢰도, 타당도, 요인분석, 상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여성단체활동자의 역할갈등은 중간 이하의 수준을 나타냈으며, 심리적 복지감은 중간 이상의 수준을 나타냈다. 학력과 월소득은 역할갈등 뿐만 아니라 심리적 복지감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단체활동기간은 심리적 복지감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 역할갈등이 높을 때 심리적 복지감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여성단체활동자의 역할갈등이나 심리적 복지감 연구의 기초적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