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재석 교수의 농촌사회 연구 - 궤적과 업적, 그리고 계승

        김흥주(Heung-Ju Kim),김철규(Chul-Kyoo Kim) 한국농촌사회학회 2017 農村社會 Vol.27 No.1

        한 학자의 학문적 입장은 그의 삶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연구인생 측면에서, 최재석(1926-2016)은 언제나 주변인이었다. 이상백 선생에게 석사학위 논문을 지도받은 제자였지만 한국사회학 주류 학맥에서는 벗어나 있었다. 319편의 논문과 24권의 연구저서를 발간하였지만 학술원 회원이 되지 못했다. 이런 역경 속에서도 최재석은 좌절하거나 편법을 부리지 않고 오로지 연구업적만으로 승부하는 최고의 학자가 되어 1994년 한국사회학회 제1회 학술상 수상자가 되었다. 최재석은 삶과 학문을 일치시키려는 진솔함, 삶과 학문 양쪽에 스며들어 있는 열정과 집념, 역경과 고난을 새로운 기회로 만들어가는 확고한 신념, 딴 짓에 눈 돌리지 않고 오로지 학문에만 파고든 학문적 고집을 보여준 진정한 학자였다. 최재석의 농촌사회 연구는 크게 세 가지의 업적을 남겼다. 첫째, ‘자연부락’이라는 한국 농촌사회의 독특한 연구단위를 독자적으로 개념화하였다. 둘째, 동족집단의 특징을 분석하여 한국농촌사회를 구조화하는 신분의 원리를 밝혀냈다. 셋째, 후대 연구를 위해 한 마을의 모든 것을 자료로 축적하였다. 이런 최재석의 삶과 학문 세계는 현재의 한국농촌사회학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1960-70년대 한국사회학의 주류였던 농촌사회학은 1980년대 이후 새로운 흐름에 적응하지 못하고 점차 쇠락해가고 있다. 하지만 최재석의 주장대로 농촌사회학자들의 치열한 내적 성찰과 노력이 있다면 농촌사회학의 새로운 발전의 계기가 될 것이다. Academic position of a scholar has a lot to do with his or her life itself. Considering his academic career, Choi Jae-Seok can be described as a marginal man. Even though he received M.A. from Lee Sang-Baek, one of early major sociologists in Korea, Choi always was excluded from mainstream academic community in Korean sociology. Choi could not become the member of Korean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even though he published 24 books and 319 research articles. Yet, even under the unfavorable social and academic circumstances, Choi never gave up and persistently carried out research, which led him to become the top scholar with abundant research results. Choi received the first Academic Achievement Award from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in 1994. Choi Jae-Seok was a genuinely sincere researcher who has not sought other paths of life except for research with great enthusiasm, strong will, and full-commitment in academia. Choi stood up for the following three accomplishments: First, he conceptualized a peculiar unit of research called ‘Jayon Burak’ (natural village). Second, Choi unveiled the principles of status structuring in Korean rural community by empirical researches on communities of consanguinity. Third, he accumulated raw data on villages so the follow-up researches could be done by other researchers. Even though circumstances are not favorable for rural sociology and rural societies these days, rural sociologists should endeavor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as Choi Jae-Seok argued many years ago.

      • KCI등재

        『농촌사회』와 한국의 농촌사회학 연구 - 경향과 과제

        김철규(Kim, Chul-Kyoo) 한국농촌사회학회 2018 農村社會 Vol.28 No.2

        이 논문은 한국농촌사회학 연구가 어떻게 변해왔으며, 현재 어디에 있는지를 고찰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우선 한국농촌사회학회의 학술지인 『농촌사회』의 논문들에 대한 경험적 분석을 시도했다. 1991년 창간호부터 2017년 겨울호에 게재된 총 324편을 주제별, 전공별로 분석하여 특징들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초기에 많이 연구되던 농촌 현장의 구체적인 문제들에 대한 연구가 감소하고, 식품 관련 연구가 크게 증가하였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2018년 아시아농촌사회학회에서 발표된 84편의 논문들을 농촌사회에 최근 게재된 88편의 논문들과 비교하여, 한국 농촌연구의 특징을 보다 선명하게 밝히고자 하였다. 아시아농촌사회학회 발표 논문들과의 비교를 통해서도 한국 농촌사회학 연구가 식품 관련 연구에 편중되어 있고, 상대적으로 농촌 문제 관련 연구는 소수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한국 농촌사회학의 정체성에 대한 깊은 고민과 치열한 토론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사회변동과 연구 환경의 변화 속에서 이뤄진 식품과 대안먹거리에 대한 연구 활성화가 농촌 현장의 구체적 문제에 대한 연구 부족 현상과 무관하다고 할 수 없기 때문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changes and key features of Korean rural studies by examining researches carried out by sociologists and experts in the related fields. In order to so, I analyzed 324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Rural Studies, the official journal of Korean Rural Sociological Society, since 1991 till 2017 by categorizing the articles according to the subjects and the authors’ majors. I found that there has been significant growth of food-related studies while researches on rural communities and rural problems have decreased. In addition, I have analyzed the subjects of recently published articles at Journal of Rural Studies with papers that were presented at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Asian Rural Sociological Association. The comparison of two groups of papers also showed that Korean rural studies are much more interested in food-related issues while researches in other regions of Asia are more interested in the problems that are directly related with the rural communities. These results, I argue, raise the identity issue of what is Korean rural sociology. While food issue is certainly very important one today in Korea, this may have led to relative neglection of concrete issues that are of concer for Korean farmers and rural communities.

      • KCI등재

        제 10 차 국제농촌사회학대회 (2000 년 브라질)를 통해 본 세계농촌사회학의 연구동향

        정지웅(Jin Woong Chcong),김지자(Chija Kim),류태영(Tae Young You) 한국농촌사회학회 2001 農村社會 Vol.11 No.1

        이 글은 2000년 7월 30일부터 8월 5일 까지 일주일 간 브라질 리오데자네이로에서 열린 제 10차 국제농촌사회학대회에 발표된 자료에 더하여 세계농촌사회학의 동향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얻고자 쓰여졌다. 그 참석자가 세계 72개국으로부터 1,600여명이나 될 만큼 규모가 컸고 발표논문도 약 1,650개나 나올 만큼 많았다. 이 대회의 주제는 `지속 가능한 농촌생활: 공동체의 건설, 자원의 보호, 인간자원의 육성`으로 참석자 전체가 한 자리에 모여 진행된 전체모임에서 농촌사회의 지속성(5개 논문)과 농촌사회학의 미래(3개 논문), 두 주제가 다루어 졌고, 10개의 주제를 다룬 심포지엄에서는 93개의 논문이 주제 별로 나뉘어 발표되었으며, 웍샵에서는 1,535개의 논문이 60개의 소 주제로 나뉘어 발표되었다. 이 대회에서는 농촌생활의 지속성에 대한 개념규정과 그러한 지속을 위하여 농촌사회학자들의 역할이 더욱 중요함이 강조되었다. 이론보다는 실제 농촌이 당면한 문제, 특히 비자발적인 인구정착문제, 농촌의 민주화, 가족영농, 농촌지역개발, 농촌행정 등에 관련된 논문이 다수 발표되었다. 전반적인 발표의 내용을 보아 이제 2천년 대를 맞아 농촌지역사회와 농촌의 특성에 관한 개념의 재정립, 세계 자본주의의 농촌사회에의 영향 탐구, 농촌지역의 민주화 과정 연구, 농촌 및 농업개발사업 연구, 농촌지역사호의 공통적인 재산으로서의 사회자본에 대한 연구, 농촌사회의 지속성과 관련하여 인구사회학자들의 계속적인 관심과 연구 등이 농촌사회학자에 의하여 탐구되어야 할 과제로 제시되었다.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10th World Congress of Rural Sociology which was held in Rio de Janeiro, Brazil, from July 30 to August 5, 2000, to show what are the critical issues and concerns that the huge number of rural sociologists had expressed in their papers; and to present world trends of rural sociology. The theme of the Congress was "Sustainable Rural Livelihoods: Building Communities, Protecting Resources. Fostering Human Development". Around 1600 scholars, researchers, and rural sociology professors from 72 different countries had presented almost 1550 papers including eight papers in two plenary sessions, 93 in 10 symposia sessions and 1,450 in 60 different topics of workshop sessions. All the informations here are based on the available materials distributed to the Congress participants and authors` observations and interviews made during the Congress periods but for presenting world trend authors` insights and consensus are made after their joint and respective participation in different symposia and workshops. Nevertheless, no full coverage would be done due to its vast and diverse scale. In the plenary session, eight papers were presented under two different themes: What is the meaning of rural social sustainability(5) and the future of rural sociology and its contribution to rural livelihoods(3). Out of 93 symposia papers which were based on community issues(72) such as involuntary population resettlement(18), the process of democratization in rural areas(14), agriculture, nature and social change(8) and so on, were presented more than on theoretical themes(21) such as sociological reflection on sustainability and sociological contribution to the natural resources management. Looking at out of the 60 workshop themes, the following themes drew more attention by the rural sociologists: family farming in the late modernity (82), regional rural development (72), rural administration (64), natural resource management issues (62), trading (60), resettlement (59), social and structural transformation in agriculture (55), rural oooperatives and mainstreams economics: adaptation or resistance? (44), production system sustainability (42), international trade (42), rural women (41), rural social movements (40), issues in agricultural extension (33), and so on. In the wake of globalization, capitalization,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the rural sociologists would need more close investigation on sustainable rural livelihoods, redefining the concept of rural community and ruralites, impacts of changes on rural lsocieties in conjunction with the globalised capitalistic economy, overhauling the rural and agricultural development projects, rural social capital, and the socio-demographic aspects of rural population.

      • KCI등재

        한국의 농촌사회학과 『농촌사회』 20년

        김철규(Chul Kyoo Kim) 한국농촌사회학회 2010 農村社會 Vol.20 No.2

        이 논문은 농촌사회학회 창립 20년을 맞아 농촌사회학의 과거를 되돌아보고 학회지 『농촌사회』의 변화 궤적을 검토함으로써, 농촌사회학의 미래를 조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사회가 산업화와 도시화의 길로 내달리면서 농(農)은 주변적인 것으로 밀려났으며, 이에 따라 농촌사회학도 쇠락의 길을 걸었다. 그러나 농의 위기가 심화될수록 농촌사회학자들의 역할이 더 중요해지고 있다. 농촌과 농민의 지속가능성을 복원하고, 과잉산업화와 과잉도시화로 출구를 잃은 한국사회에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는 일은 농촌사회학자들의 몫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대적 사명을 배경으로, 이 연구에서는 농촌사회학의 역사를 간단히 검토하고, 농촌사회학의 출범이 가졌던 역사적 의미를 당시 발기 취지문 및 『농촌사회』 창간사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했다. 또 20년 간 『농촌사회』에 게재된 논문들의 주제와 연구자들의 전공 등을 경험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농촌사회학이 어떤 학문적 정체성을 가지고 발전해왔는지를 평가하였다. 끝으로 농촌사회학이 위기에 처한 한국사회에 비전을 제시하는 미래학문으로서 자리매김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This paper attempts to envision a new future of rural sociology via examining the past trajectory of the Journal of Rural Society, as the Korean Rural Sociological Society celebrates its 20th anniversary. As Korean society has undergone a rapid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e rural and the rural sociology have been marginalized. However, I argue that the more the crisis of rural society and agriculture is deepened, the more the role of rural sociologists becomes important. It is the responsibility of rural sociologists to recover the sustainability of rural society and farmers and to provide a new vision for the Korean society in crisis.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examines the history of Korean rural sociology and attempts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establishment of Korean Rural Sociological Society by examining the early documents. I also investigate how the research trend has changed over time by analyzing the themes and authors of the Journal of Rural Society over the past 20 years. Finally, I propose amore active role by rural sociologists to cope with the challenges Korean society in general, and rural Korea in particular, face at the moment.

      • KCI등재

        청년농업인의 농촌사회 정착의 어려움과 부모의 사회자본 영향에 관한 질적 연구

        정하나 한국농촌사회학회 2022 農村社會 Vol.32 No.1

        현재 청년들이 경험하는 농촌의 높은 진입장벽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 연구들은 공동체 중심으로 형성된 수평적 사회자본을 강조하거나 마을 구성원들과 관계를 형성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농촌에 진입하는 청년들은 수평적인 농촌 지역사회의 사회자본보다 부모-자녀 간의 관계에서 형성되는 수직적 사회자본에 더욱 큰 영향을 받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을 종사하고 있는 청년농업인 16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농촌에서 부모가 형성하고 있는 사회자본에 따라 농촌에 진입하여 정 착하는 과정에서 청년들이 겪는 배제는 매우 상이하였다. 먼저 부모의 사회자본은 농촌에 진입하는 청년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특히 승계농 청년들은 부모의 사회자본으로 인해 농촌 지역사회에 진입하였을 때, 안정적으로 정착하여 농업을 시작할 수 있었다. 반면 새로운 지역에서 농업을 시작하는 창업농 청년들은 마을 구성원들의 외지인에 대한 문화적 차별과 배제로 인해 농촌 지역사회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경험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어서 부모의 사회자본 영향이 부족한 창업농 청년들은 마을 구성원들과 관계 형성이나 소통할 수 있는 기회가 제 한되어 있어 농업과 관련한 정보 공유에 있어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 따라서 승 계농 청년과 달리 창업농 청년들은 정보 소외와 공정성이 담보되는 지원 사업에서 배제를 경험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농촌 지역사회에서 부모의 사회자본의 영향에 따라 청년들이 다양한 차별과 배제를 경험하고 있다. 부모의 사회자본은 승계농 청년에게는 긍정 적인 기능으로 작동하였고 창업농 청년에게는 부정적인 기능으로 작동하고 있다. 특히 부모의 사회자본의 혜택으로 인해 공정성을 기반으로 하는 지원 사업조차 승계농 청년은 부모의 사회자본을 활용하며, 승계농 청년을 중심으로 사회자본을 재생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종합하면 부모의 사회자본은 청년들에게 기울어진 운동장처럼 서로 다른 출발 선상에서 시작하고 있음을 밝힘으로써 농촌 지역사회에서 창업농 청년들의 정착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함의를 제공한다. 기존의 농촌 사회자본 연구들은 수평적 사회자본 활성화를 하기 위한 노력을 시도하였지만, 부모의 사회자본의 혜택이 청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주목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농촌 지역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하여 농업을 하는 과정에 있어 청년들이 경험하는 불평등의 재생산을 살펴보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창업농 청년들의 생존은 오로지 개인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창업농 청년들을 위한 정책적 지원과 사회적 관심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청년들이 농촌에 진입하였을 때 부모의 사회자본으로 인해 경험하는 배제를 중심적으로 보았다. 이를 통해 농촌에서 청년들이, 특히 높은 진입장벽을 겪는 창업농 청년들이 안정적으로 정착하며 생존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Preceding studies on young farmers tend to address the high entry barriers for rural communities against newcomers. Those studies focus on horizontal social capital formed around rural local communities, which emphasizes that young new farmers need to build relationships with local members for their settlement. However, new evidence suggests a different solution; whether young farmers successfully adjust to rural areas depends more on vertical social capital inherited from parents than horizontal social capital. In this vein,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6 young farmers. According to the analysis, discriminations and exclusions that young farmers experienced when settling in rural areas varied depending on the social capital formed by their parents. Parents’ social capital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young farmers entering rural areas. In this sense, young “inherited” farmers easily adjusted to already familiar local networks. In contrast, young new farmers faced many difficulties while settling in a new local network due to the territoriality of local members. Accordingly, because they lacked parents’ social capital, their relationship with local members was, at best, superficial; their involuntary lack of close connection with local members further impeded them, bereaving them of opportunities to obtain valuable agricultural information. Therefore, they experienced inequities in receiving local government funding due to lack of information and exclusion. This paper suggests that parents’ social capital heavily influences young farmers who dream of agricultural success, resulting in varying degrees of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The parent’s social capital is a positive factor for inherited farmers, while the opposite is true for new farmers. It even had a severe impact on the determination of recipients of governmental support projects. In this sense, a reproduction of social capital is in action. In sum, parents’ social capital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the settlement process of young start-up farmers in rural areas by revealing that they are starting from different starting lines. Preceding studies on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in rural areas have attempted to revitalize horizontal social capital but said studies did not focus on vertical social capital inherited to young farmers. Therefore, this paper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examining the reproduction of inequality experienced by young farmers. Since the survival of start-up farmers is not merely a problem posed to individual young farmers, policy support and social interest for start-up farmers are critical. With these supports, one could expect that young farmers, especially those experiencing high barriers, may settle and survive in rural areas stably.

      • KCI등재

        한국농촌사회의 장기비전과 발전전략

        박진도(Jin Do Park) 한국농촌사회학회 2010 農村社會 Vol.20 No.1

        한국의 농촌사회가 급속히 공동화되고 있다. 그것은 성장지상주의와 경제제일주의 정책에 따라 추진된 수출주도의 불균형공업화와 재벌과 대도시 중심의 성장전략 그리고 세계화와 시장개방, 경쟁력 지상주의 농정이라는 국가 프로젝트의 산물이다. 그 동안 정부가 농촌에 적지 않은 자금을 투자하였지만 별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농촌사회의 공동화를 막지 못했다. 그 이유는 농촌정책이 대증요법적 대책에 치우치고, 농촌사회의 장기변화 전망에 기초하여 올바른 비전과 발전전략을 수립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이 글은 붕괴 직전의 농촌사회를 재생시키기 위해서는 농업농촌의 가치에 대한 국민 인식과 농촌사회의 발전전략이 근본적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한다. 농촌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내발적 발전전략에 기초한 농촌사회의 경제적, 사회문화적, 환경적으로 통합적인 발전과 그것을 담보할 수 있는 주체 형성이 중요하다. Korean rural society has been facing the serious problems like getting empty owing to the nation projects which put the high economic growth as the supreme end of economic policies. Korean government has provided huge money in order to rebuild rural areas. The effort, however, did not get the expected results, because the policies were not based on the long-term vision and right development strategies of Korean rural society. This paper insists the change of peoples` consciousness and rural development strategy in order to revive the Korean rural society. Peoples` need to rural society is widening not only food but also the places of living, varied economic activities, and environment. Based on endogenous strategies, we need the integrated development of rural areas and reform of local governance. Particularly the bringing up of local leaders, who are responsible for rural development, are very important.

      • KCI등재

        농촌사회학 연구의 동향과 농촌사회학의 과제

        김철규 한국농촌사회학회 2022 農村社會 Vol.32 No.2

        This research attempts to explore the tasks of rural sociology by reviewing recent research trends in rural sociological field. This effort reflects the question of what should be the social role of rural sociologists. I would argue that researchers in rural sociology should engage in searching for alternatives to overcome the current sustainability crisis. I introduced the birth and trajectory of rural sociology in the West and its development in the 1970s and 80s, which was followed by theoretical fragmentation and differentiation. I analyzed rural sociological journals in the U.S., Europe, and South Korea from 2019 to 2021. The analysis found that environment/disaster and female/gender issues are very popular in the West, while environmental issue was less researched in South Korea. In South Korea, social values such as sustainability, justice, and resilience are quite frequently studied. In terms of method, qualitative researches were popular in all 3 regions. Compared to other social science fields, the percentage of female authors were relatively high. As a final comment, I argued that environment, inequality, and gender issues needed to be more deeply studied by Korean scholars. I recommended that rural sociologists should play an active role in constructing and implementing sustainability project to overcome the current symptoms of socio·ecolocial crisis. 이 연구는 국내외 농촌사회학 연구의 최근 동향을 추적함으로써, 새로운 농촌사회학의 과제를 발견하고자 했다. 이러한 작업은 농촌사회학의 역할에 대한 질문을 배경으로 한다. 특히 지속가능성 위기에 처해 있는 현실 속에서 농촌사회학과 관련 연구자들이 대안 모색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고자 했다. 먼저 농촌사회학의 형성과 그발전궤적을 정리하였다. 농촌사회학의 태동과 제도화, 그리고 1970-80년대 이후의 새로운 농촌사회학 발달과 이후의 분화 과정을 소개했다. 이어서 최근 3년 동안 미국, 유럽, 그리고 한국의 대표적인 농촌사회학 학술지의 연구 논문들에 대한 경험적 분석을시도하였다. 분석결과 미국과 유럽에서는 환경/재난과 여성/젠더 등이 중요한 주제로 등장하고 있었다. 한국의 경우 상대적으로 환경/재난 관련 연구가 부족했고, 반면사회적 가치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방법론에 대해서도 정리했는데, 일반적으로 질적연구의 비중이 컸다. 연구자의 전공은 다수가 사회학 전공자들이었지만, 매우 다양한전공 배경을 갖고 있음도 알 수 있었다. 경험적 분석을 통해 농촌사회학 연구자들이환경/재난, 불평등/빈곤, 여성/젠더 등의 문제에 대해 더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을 지적했다. 나아가 이러한 이슈들은 농촌 및 한국사회 전체의 지속가능성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향후 농촌사회학의 적극적 역할을 제안하였다. 농의 사회적 가치를 중심에 둔 지속가능성 기획에 농촌사회학자들이 기여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전통시대 한국과 베트남의 농촌사회조직에 대한 비교연구

        한도현(Han Do Hyeon) 한국농촌사회학회 2003 農村社會 Vol.13 No.2

        향약이란 농촌지역사회의 주민들이 서로 도우며 살아가자는 약속의 결사체이다. 이 향약은 중국, 한국, 베트남 등에서 수백 년 동안 실천되었던 전통시대 농촌 사회조직이다. 향약 결성을 주도하였던 농촌 엘리트들은 지역사회의 해체를 막고 지역사회의 발전을 추구하였다. 그러므로 향약을 지역사회의 조직화 운동이자 지역사회조직이다. 지역사회 조직화 운동은 지역사회라는 공적 영역의 발전에 관심을 가진 운동이다. 그것은 계층이나 집단의 이익을 추구하는 운동이 아니라 지역사회가 직면한 궁극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운동이다. 향약이 만들어지던 전통시대의 농촌지역사회는 상호협력의 낭만적인 공동체가 아니었다. 전통시대의 농촌지역 사회도 갈등, 대립, 일탈의 현장이었다. 따라서 구성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개선하려는 노력이 없으면 사회해체를 경험할 위험에 놓여 있었다. 한국과 베트남의 향약을 결성하는 데 주도적 역할을 했던 유교지식인들은 이 점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조직운동으로서 향약이 지닌 긍정적 측면을 강조한다. 그동안 향약 연구를 주도해 온 사람들은 향약을 신분지배와 봉건적 착취의 산물로 간주하고 있다. 이들에 따르면 향약이란 유교지식인들이 신분질서를 유지하고 하층민을 이데올로기적으로 통제하기 위해 만든 조직이라는 것이다. 향약을 봉건적 신분지배의 도구이자 하층민에 대한 착취의 도구로 보는 견해는 베트남이나 한국의 연구자들에게 자주 발견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견해를 반대한다. 먼저 향약은 중국, 베트남, 한국 등 넓은 지역에 수 백 년 동안 실천되어 온 조직이기 때문에 `신분지배의 도구`로 단순화할 수 없다. 또 향약이 신분사회를 극복하지 못했다고 해서 신분지배의 도구라고 단정하는 것은 무리이다. 신분사회라는 시대적 배경 안에서 농촌지역사회 엘리트들이 추구했던 이념을 내재적으로 이해해야 한다. 당시의 유교지식인들은 지역사회참여, 지역사회책임, 엘리트의 사회적 책임, 예치 운동 등을 통해 지역사회를 발전시키고자 하였다. 이러한 전통은 오늘날의 지역 가꾸기, 지역사회발전 전략에도 활용될 수 있다. In traditional Korea and Vietnam, Confucian intellectuals made great effort to develop the local communities where they lived. They were willing to take their responsibility for community organizing and development. They understood that their local community could face social disorganization if they did not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ommunity affairs.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rural communities as gemeinschaft, rural communities in traditional Korea and Vietnam were full of social problems, conflicts, mistrust, hatred, etc. To overcome the social problems of their communities, Confucian intellectuals in traditional Korea and Vietnam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ctive participation of villagers in community affairs. Their efforts were expressed in organizing community compacts. The community compacts widely existed in premodern East Asia. Thus, the community compact was one of typical rural social organizations in traditional Korea and Vietnam. In this paper, I analyze the community compacts in both countries. Most historians in both countries say that the community compacts were established and operated for the purpose of class control and exploitation by the dominant class and Confucian intellectuals. I criticize the current researches on the community compact. First, I argue that the current researches ignore local and historical differences, thereby mistakenly simplify diverse community compacts of both countries. Second, the current researches do not distinguish the community compacts per se from class society. It is not right to say that since the community compacts were built and implemented in the age of class society, they were automatically tools of class control.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diverse community compacts in both countries, I maintain that the community compacts were expression of community participation and responsibility by local literati. Leaders of community compact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mmunity participation and responsibdity. Instead of class control, they pursued the ideal of rite-based society based on moral development, voluntary self cultivation, mutual encouragement, and mutual reciprocity. In addition, they full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ir social responsibility as the members of the social elite. Finally I suggest that the tradition of communtiy compacts could be a useful resource for contemporary works for community organizing and development.

      • KCI등재

        귀농인의 농촌사회 적응에 대한 생태체계적 분석

        김백수(Beag Su Kim),이정화(Jeonghwa Lee) 한국농촌사회학회 2013 農村社會 Vol.23 No.2

        본 연구는 귀농인의 농촌사회 적응에 대한 관련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생태체계 변인이 귀농인의 농촌사회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전남·북 농촌지역에 2003년∼2012년 사이 귀농한 성인남녀 50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들은 ‘농촌생활이 좋아서’, ‘퇴직 후 여생을 위해’, ‘자신과 가족의 건강을 위해’ 등의 이유로 귀농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사회 적응 수준(M=3.46)은 중간점수(M=3)보다 높았으며, 귀농인의 농촌사회적응에 전체 생태체계 변인의 설명력은 54%였다. 마지막 모델을 중심으로 귀농인의 농촌사회 적응에 대한 각 변인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귀농인의 농촌사회 적응에 이웃과 영농활동간 관계가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주관적 경제상태, 가족역할의 안정성, 농촌환경 지각 정도, 주관적 건강상태, 귀농관련정책 인지수, 가족과 영농활동간 관계, 농번기 농사일 시간, 지역사회자원 수준 순으로 영향력이 있었다. 귀농인의 농촌사회 적응에 ‘이웃과 영농활동간 관계’의 영향력이 크다는 결과는 농촌진흥청의 현장실습제도와 노동부의 청년창직제도 등 귀농인 관련사업이 이들의 적응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고, 생태체계적 접근의 연구결과, 귀농인을 농촌사회에 잘 적응시키기 위해서는 개인, 가족, 농촌마을, 기초 자치단체, 정부가 함께 노력해서 다각적인 교육 및 지원이 이루어져야 함을 밝혔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variables related rural society adjustment of the rural migrants. For pursuing this aim, this study was reviewed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rural migrants and the influence of the ecological systematic variables on the rural society adjustment of the rural migrants. This study was analyzed to the adult men and woman 508 people which were migrated to the rural area of Jeonnam·Jeonbuk between 2003 and 2012.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rural migrant people of Jeonnam·Jeonbuk area were selected to the rural migrant as reason which ‘because the rural life is good’, ‘for the life after retirement’, ‘for the healthy of I and my family’ etc. The level of rural society adjustment (M=3.46) was higher than the middle level(M=3). Also, in case of the rural society adjustment of the rural migrants people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ecological systematic variables additionally showed Individual Organism variables of 26%, Microsystem of 13%, Mesosystem of 10%, Exosystem of 3% and Macrosystem of 2%. The influence of the ecological systematic variables on the rural society adjustment of the rural migrants people were observed as the relationship of the neighborhood and the farming activity, the subjective economic status,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recognition level for policy of the rural migration, the stability of family role, the perceptions level about rural environment, the relationship of the family and the farming activity, the farming time of farming season, the local society resource level order. This study result show that rural society adjustment of the rural migrants people is influenced by almost overall environment factors. Therefore, for the successful rural society adjustment of the rural migrants people show significant impact to need on the composite effort of all such as the individual, the family, the rural society, local autonomous entity, the government.

      • KCI등재

        충청북도 농촌 사회적경제의 현황과 발전방안 : 사회적 가치를 중심으로

        이해진(Lee, Hae-Jin) 한국농촌사회학회 2020 農村社會 Vol.30 No.1

        본 연구는 농촌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대안운동으로서 사회적경제를 주목하고 농촌 사회적경제를 발전시키기 위한 조건과 방향을 모색했다. 특히, 농촌 사회적경제를 발전시키기 위해서 사회적 가치를 인식하고 창출하는 노력이 중요하다는 논점을 강조하고자 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적경제 운동과 지역화의 관점에서 사회적경제의 사회적 가치에 초점을 맞추어 농촌 사회적경제의 현황과 발전방안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사회적경제 정책과 사회적경제조직의 실태를 경험적으로 연구하였다. 먼저, 사회적경제와 사회적 가치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논의하고, 충청북도 사회적경제의 역사와 현황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충북 지자체의 사회적경제 정책의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조명했다. 충북 사회적 경제의 저발전은 사회적경제가 실현하는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식과 사회적 인정이 미흡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했다. 이어서, 고용노동부의 사회적가치지표(SVI)를 활용해서 충북 농촌 사회적기업들의 사회적 가치 실천 현황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분석결과, 사회적 가치를 더 많이 추구하는 사회적기업이 다른 사회적경제 및 지역사회 조직과의 연대와 협력, 지역사회 기여, 혁신의 성과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농촌 사회적경제 조직의 사회적 가치 지향성이 지역 사회적경제 생태계를 활성화시키는 효과와 관련된다는 사실을 경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충북 농촌 사회적경제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지역사회의 사회적 지지를 확보하기 위한 발전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가치를 실천함으로써 농촌 사회적경제가 대안적 연대경제와 지역사회운동으로 발전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social economy as a new alternative movement to solve rural problems and seeks conditions and directions for developing the rural social economy. In particular, this paper tried to highlight the role of social values in developing the rural social economy. Therefore,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strategies of the rural social economy, focusing on the social value of social economy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economy movement and localization. To this end, I empirically analyzed the social economy policies of Chungcheongbuk-do and the reality of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conomy and social values was theoretically discussed, and the history and current status of the social economy in Chungcheongbuk-do were reviewed. Next, the problems of the social economy policy of the Chungcheongbuk-do local government were critically examined. I interpreted this reason for the underdevelopment of the Chungbuk social economy as the lack of realizing the social values of the social economy and gaining social recognition from the local community. Subsequently, using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s Social Value Index(SVI), the current status of Chungbuk rural social enterprises was empirically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social enterprises pursuing more social values had higher achievements of solidarity and cooperation with other social economy and community organizations, community contribution, and innovation. It has been empirically confirmed that the social value orientation of rural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is related to the effect of revitalizing the local social economy system. Based on this result, I proposed some alternative ways to realize social values and develop the rural social economy in Chungbuk. By implementing these social values, it is expected that the rural social economy will develop into an alternative solidarity economy and community m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