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인터넷 신문 읽기와 댓글 쓰기 교수-학습 방안

        이호형(Lee, Ho-hyung)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0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4 No.2

        In this research, I am going to develop an argument on internet newspaper in education as a way of adapting it to the on-the-spot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s in secondary schools, considering the reality that media languag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not regularized while approving the necessity of i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lies in improving learners’ critical literacy and social communicative competence through internet newspaper education. It also has the goal of developing desirable attitude via reading internet news and adding replies. This is based on the notion that learners can acquire the ability to see the society from a critical perspective through the process of comparing diverse news on the internet. This takes into account as well the view that the process of learners’ reading internet news and writing replies is that of experiencing the context of social communication each language has. With the process mentioned above, learners will beware of blindly accepting the news and the replies on the internet or unconditionally criticizing them. In this way, internet newspaper instruction will be able to establish itself as a meaningful means of teaching Korean language in that it can provide the experience of social communication language itself has. However, as the 2007 Curriculum didn’t adopt the internet newspaper as a form of discourse, it may have limitation in making itself a realistic instructing and learning model. Accordingly, this research will integrate the various arguments having been made on internet newspaper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instruction, and will clearly present the features of it combined with its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By giving on-the-spot research teaching several times based on this concept and diagnosing the potential of internet newspaper education as a new instructing and learning model, I have drawn a theoretical frame in which internet newspaper education can be applied to field education. 이번 연구에서는 국어교육에서 매체언어교육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지금까지 교수-학습 차원에서는 본격적으로 실현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여 현장 학교의 교수-학습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인터넷 신문 교육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신문 교육을 통해 학습자의 비판적 문식성과 사회적 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또한 인터넷 신문 뉴스 읽기와 댓글을 쓰는 과정을 통해 바람직한 태도를 기르는 것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는 학습자가 인터넷 신문의 다양한 뉴스를 비교하고 대조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현상을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음에 주목한 것이다. 그리고 학습자가 인터넷 신문의 뉴스를 읽고 댓글을 작성하는 과정은 곧 언어의 사회적 소통 맥락을 경험할 수 있는 과정이라는 점도 눈여겨 본 것이다. 한편 이러한 인터넷 신문 뉴스의 읽기와 댓글 쓰기 활동을 통해 학습자는 뉴스와 댓글을 무비판적으로 신뢰하거나 혹은 무조건적 비판만 일삼는 태도를 경계하게 될 것이다. 이처럼 인터넷 신문 교육은 언어의 사회적 소통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국어교육의 중요한 교육 내용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2007 교육과정에서 인터넷 신문을 담화의 유형으로 선정하지 않아, 실제 교수-학습으로 구현하기에는 제한점이 있을 수 있다. 이런 이유에서 이번 연구에서는 그동안 국어교육에서 전개된 인터넷 신문 교육의 논의를 정리하고, 그 성과와 한계를 점검하여 이를 바탕으로 실제 현장의 연구 수업을 통해 인터넷 신문 교육의 교수-학습 가능성을 진단함으로써 인터넷 신문 교육이 학교 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이론적 체계를 마련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문식성 변화와 디지털 읽기·쓰기 수업의 방향

        방상호 ( Pang Sangho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7 한국어문교육 Vol.23 No.-

        이 논문에서는 디지털 테크놀로지로 인하여 문식성 개념 및 관습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그 구체적 양상을 살펴보았다. 특히 디지털 텍스트의 네 가지 고유 속성으로 인해 유도되고 있는 새로운 문식성 개념(복합문식성, 초월문식성, 신문식성 관점, 구성적·반응적 읽기, 증강 읽기, 소셜문식성)의 출현이 전통적인 읽기·쓰기 개념 및 관습과 어떻게 관련되는지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읽기·쓰기 수업에 혁신적인 교육목표와 교수·학습 방법을 도입하기보다는, 전통적인 목표와 교수·학습 방법을 중심으로 새로운 문식성 개념 및 관습을 통합하는 쪽으로 방향을 설정해나가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바람직한 디지털 읽기·쓰기 수업 사례를 하나 소개하고, 현행 국어과 교육과정에 디지털 문식성을 반영하자고 제안하였다. This article looks at specific aspects regarding how literacy concepts and practices have changed due to digital technology. In particular, it examines how the emergence of new literacy concepts and practices (e.g., multi-literacies, trans-literacies, new literacies perspective, constructively-responsive reading, augmented reading, and social literacy) driven by four unique attributes of digital text (multimodality, hyper-textuality, manipulatability, and collaborativity) are related to traditional literacy concepts and practices. Based on this, I argue that we should integrate new concepts and practices into traditional goals and methods rather than introduce innovative instructional goals and methods in digital literacy lessons. This article also introduces an example of desirable digital literacy instruction and suggests that digital literacy should be reflected in South Korea’s current national curriculum of literacy education.

      • KCI등재

        문식성(Literacy)의 변화와 기호학적 관점의 국어과 교육과정 모델

        정혜승 ( Hye Seung Chu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08 교육과정연구 Vol.26 No.4

        정보기술의 발달은 매체 변화를 초래하였고, 이러한 매체 변화는 다시 의사소통 방식과 텍스트에 급격한 변화를 추동하고 있다. 문자 언어 중심의 인쇄 단일양식적 텍스트에서 이미지, 소리, 동작 등 다양한 기호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복합양식적 텍스트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텍스트의 변화는 텍스트를 이해하고 생산하는 능력과 깊이 관련되는 문식성 개념에도 큰 변화를 요구한다. 연구자는 이러한 의사소통 방식과 텍스트의 변화를 반영하고 문식성에 대한 사회문화적 관점을 반영할 수 있도록 신문식성(New literacies) 개념을 설정하였다. 신문식성은 `언어를 중심으로 다양한 기호 체계를 이해하고 조작하며, 기호 작용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텍스트를 비판하고 디자인하며 유통하는 실천적 힘`으로 정의된다. 신문식성을 교육하기 위해서는 문자 언어 중심적 사고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기호 체계와 그것의 기호화 작용을 탐구하고 다룰 수 있는 기호학적 관점의 도입이 필요하다.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이 매체와 텍스트의 변화를 일정 부분 반영하기는 하였으나, 기호학적 관점에서 볼 때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연구자는 이에 대안으로 매체 변환과 메타 기호로서의 언어를 주요 개념으로 끌어들여 기호학에 근거한 국어과 교육과정 모델을 제안하였다.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has leaded to alternation of media, and the change of media has provoked that of communication methods and texts. In other words, monomodal texts mainly with written languages is transformed into multimodal texts in which various signs including images, voice and motion work in a complex way. In addition, the change of texts results in a marked alternation in the concept of literacy which is closely related with ability to understand and produce texts. The author used a concept, New literacies, to reflect the change of communication methods and texts and to consider a socio-cultural perspective. The term is defined as `a practical power understanding and making various sign systems mainly with languages, criticizing texts based on recognition on semiosis and designing and circulating them`. To educate it, introduction of a semiotics perspective is needed to avoid a way of thinking focusing on written languages and to investigate and deal with many sign systems and their semiosis. Although Korean Language curriculum revised in 2007 reflected some part of the change of media and texts, it was considered to have some problems in a semiotics perspective. Against this background, the author suggested a model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based on semiotics as an alternative which major concept was language as transmediation and a meta-sign.

      • KCI등재

        미래 사회 대비 국어 문식성 교육의 역할과 과제

        원진숙 한국국어교육학회 2019 새국어교육 Vol.0 No.118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Korean literacy education which is needed to actively prepare for the future society characterized by the speed of change and the period of uncertainty. Methods : I have searched the roles and tasks of Korean literacy education that can critically examine and prepare future society, which is a super-connected intelligence society triggered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ased on the David Barton’s ecological approach. Results : In this study, as an alternative to Korean language literacy education that can cope with the future society, we suggested strengthening adaptability of digital literary environment through new literacy education, capacity of social literacy practice through critical literacy education, creative thinking ability through humanities literacy education. Conclusion :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Korean literacy education for the future society is based on the empowerment model that fosters literacy can ‘adapt’ to a new literary environment, and develop the ‘power’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can not do. 목적 : 미래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국어 문식성 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해 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 국어 문식성 교육 자체를 하나의 유기체로 보고 미래 사회의 급격한 사회 문화적 역동성과 문식 환경의 변화를 ‘지금 여기’의 생태학적 조건으로 파악하여 접근하는 David Barton의 생태학적 접근법을 통해 현 국어 교육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 사회를 대비할 수 있는 국어 문식성 교육의 역할과 과제를 탐색해 보았다. 결과 : 본 연구에서는 미래 사회에 대응할 수 있는 국어 문식성 교육의 대안으로 신문식성 교육을 통한 새로운 디지털 테크놀로지 기반 문식 환경에 대한 적응력 강화, 비판적 문식성 교육을 통한 사회적 문식 실천 역량 강화, 인식적 문식성 교육을 통한 인문학적 소양과 창의적 사고 역량 강화를 제안하였다. 결론 : 이제 국어 문식성 교육은 인간 소외를 극복하고 당당한 문식 실천 주체로서 인공지능이 할 수 없는 것을 할 수 있는 ‘힘’을 길러주는 권한 부여적 차원의 접근을 통해 미래 사회에 대한 대응력을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신문 매체의 개념어 확대 사용 양상 연구

        이세연,권순희,김정우,서혁,정소연,전영주,김은성 한국국어교육학회 2016 새국어교육 Vol.0 No.1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key characteristics of the Sino-Korean conceptual words often appearing on newspapers, and to explain the trends in such words in which the meaning is refined and elaborated once combined with other words. The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in two phases:the conceptual words themselves and the extended use of such words. In the first phase, the form and meta analysis and the extended analysis of conceptual words have been analyzed in discussing the extended use of these words. As a result the authors of the study were able to conclude that a small number of conceptual words, combined with numerous other words, have dominated the text vocabulary on Korean newspapers. This result reconfirms the value of conceptual words as educational content and suggests that such words, because of the likelihood of their extended use, are valuable in effective vocabulary teaching for improving literacy. 이 연구는 신문 매체에 사용된 개념어에 주목하되, 특히 하나의 개념어가 다양한 접사 또는 단어들과 연쇄적으로 결합하여 더 큰 구성(構成)을 이루는 현상을 분석하여 신문이라는 특정 매체 장르의 어휘 사용 양상을 교육적 차원에서 새롭게 의미화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신문 매체에 등장한 고빈도 한자 개념어의 특성과 개념어의 확대 양상을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수의 개념어가 다양한 어휘와 결합하여 신문 텍스트 어휘를 장악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어휘 교육 내용으로서 개념어의 가치를 재확인한 것으로 특히 어휘 생성력이 높은 개념어가 문식성 향상을 위한 어휘 교육의 수월성을 높이는 데 가치가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초등 국어 교과서에 반영된 미디어 리터러시 학습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3-4학년군 1학기 교과서를 중심으로 -

        정현선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8 한국초등국어교육 Vol.65 No.-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contents of media literacy reflected in the elementary Korean textbooks. Media literacy is closely related to the theories of New Literacy Studies, emphasizing literacy as sociocultural practices, and Multiliteracies theory as well as the curriculum changes with an emphasis on the 21 st century core competencies and learner participation. This study discusses how media literacy related contents might reflect real life experiences of students; what might be the views of the activities on students’ experiences of media communication; and how and whether the activities might be useful to improve students’ media literacy.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 that there are meaningful examples from the viewpoint of media literacy in that the textbooks encourage students to participate as citizens to solve problems in specific contexts and that they help students to understand the changing literary culture, media and communication. The textbooks might need to be improved in terms of the negative perspectives on the effect of media literacy on children’s media use, insufficient strategies of reading the meaning of media texts, insufficient activities to understand the format and expression of media texts, and the use of terms and concepts of media, for example, animation. 이 연구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3-4학년군 1학기 교과서에 반영된 미디어 리터러시 학습 내용에 대해 비판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사회문 화적 실천을 강조하는 신문식성 이론, 문식성의 개념 확대를 바탕으로 한 복합문식성 이론, 핵심역량으로서 미디어 리터러시를 강조하는 학교 교육의 변화 등을 배경으로 더욱 주목받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초등 국어 교과서에 반영된 미디어 리터러시 학습 내용들은 무엇인지, 이 내용들이 학생들의 일상적 삶에 비추어 얼마나 실제적인지, 그리고 이내용들은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와 활용의 관점에서 학생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향상에 어떤 도움이 될 수 있는지 등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미디어 리터러시 관점 에서 의미 있는 사례로는 구체적인 맥락 속의 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 참여적 문식 활동, 변화하는 문식성, 미디어, 소통에 대한 이해를 돕는 제재를 제시한 점 등으로 나타났고, 개선이 필요한 사례로는 어린이의 미디어 문식 활동에 대한 균형적 관점의 재현 필요성, 실제적 문식 활동을 위한 사전 찾기와 정보 검색의 연계 필요성, 미디어 텍스트의 온전한 의미 읽기를 위한 비언어적 표현과 영상 언어 교육의 필요성, 비판적 미디어 이해를 강조 하는 미디어 텍스트 읽기의 필요성, 미디어 텍스트의 형식과 표현에 대한 의미 이해 활동의 필요성, 미디어 관련 정확한 용어와 개념 사용 필요성 등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국어 능력의 융복합적 개념화 탐색

        김규훈(Kim, Kyoo-hoon) 우리말글학회 2015 우리말 글 Vol.67 No.-

        이 연구는 국어 능력을 융복합적 관점에서 개념화하는 시도이다. 특히 국어 능력을 융복합적으로 재개념화할 수 있는 매개 담론을 탐색하여 그 핵심 개념을 제안하고자 한다. 국어 능력은 ‘사고, 소통, 문화’의 구조를 지니고 있다. 학문 융복합의 논의를 바탕으로 융복합 교육의 중핵적 원리를 도출하면, 교과 혹은 비교과 현상의 ‘넘나듦’이다. 융복합 국어교육은 국어과를 중심으로 다른 교과 및 비교과를 넘나들 수 있는 능력의 함양을 추구한다. 이에 국어 능력의 ‘사고, 소통, 문화’ 범주에서 ‘넘나듦’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개념을 제시해야 한다. ‘사고’의 측면에서는 교육학의 융복합적 사고력 논의를 바탕으로 ‘국어와 다른 현상을 연계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소통’의 측면에서는 신문식성의 논의를 바탕으로 ‘확장된 언어로서 기호를 소통하는 문해력’을, ‘문화’의 측면에서는 언어문화의 담론을 바탕으로 ‘문화가 본질적으로 지닌 중층성을 실천하는 힘’을 설정할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conceptualize convergency Korean language ability. Convergency Korean language ability is an important concep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ponding to the Convergence education, so this study would suggest core concepts for Korean language ability with searching mediation discourses of convergence. Korean language ability have a subordinate structure, “thought, communication, and culture”. Based on convergence studies, a kernel principle of convergence education is “crossing” on subjects or activities. Convergency Korean language education cultivate learners’ ability to cross between Korean language subject and other subjects or activities. So, this “crossing” matters could be inquired in a category of “thought, communication, and culture”. In terms of “thought”, “problem-solving ability with relations of Korean language and others” could be set on a basis of convergency thinking discourses in pedagogy. In an aspect of “communication”, “literacy of sign as an extended language” could be set on a basis of new-literacy discourses. And in a “culture” category, “power of practicing multi-layer taken in culture essentially” could be set on a basis of language-culture’s discourses about multi-layer.

      • KCI등재

        작문 교육과정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원진숙 한국작문학회 2019 작문연구 Vol.0 No.4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volutionary process of school writing curriculum from the viewpoint of evolution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desirable writing education to prepare for the future society. The school writing curriculum has been changed, grown and developed through 11 revisions over the past 70 years in the ecosystem condition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the social needs of the time, the change of the writing education theory,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directions of the writing curriculum to prepare for the future society based on empowerment model. First, it cultivates practical writing skills that will enable learners to develop writing abilities in academic and business field. Second, it strengthens ability for critical thinking competencies in digital literary environment through the new literacy education. Third, it makes individuals to have healthy identity by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ng with one self through the expressive writing for self-management. 이 논문의 목적은 진화론적 관점에서 학교 작문 교육과정이 해방 이후 교수요목기로부터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어떠한 변천 과정을 겪어 왔는지를 시기별로 개관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 사회를 대비하는 바람직한 작문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해 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학교 작문 교육과정은 당대의 사회적 요구와 작문 교육 이론의 변화, 문식 환경의 변화 등 제반 변인들로 조건화된 생태계 안에서 지난 70여년간 무려 11차례의 개정 작업을 통해서 변화와 성장, 발전을 거듭해 왔다. 결론적으로 본고에서는 이러한 검토 작업에 기반하여 미래 사회를 대비하는 작문 교육과정의 방향성을 권한 부여적 차원에서 첫째, 학습자들로 하여금 장차 대학과 직장 생활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데 필요한 학문 글쓰기 능력이나 직무 글쓰기 능력을 길러주는 실용의 차원, 둘째, 신문식성 교육을 통해 디지털 문식 환경에 대한 적응력과 비판적 사고 역량 강화의 차원, 셋째, 자기 자신을 반성적으로 성찰하고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와 소통을 통해 건강한 자아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게 해 주는 자기 관리의 차원에서 제안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디지털 협력적 글쓰기 효과 연구 - 학생 필자 반응의 양적 분석을 중심으로

        이지영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5

        This study examined complexion on cooperation students writers collaborate and effects of digital collavorative writing on the writing process and the wiritng product. This research shows four implications. First, cooperation through writing process on digital collavorative writing is different than cooperation at writing results on printed collavorative writing. Second,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n digital collavorative writing is different from on printed collavorative writing. Third, it focus attension on the need for study new strategies of writing that time management skills of student writers identified in study of digital collavorative writing. Fourth, more research is necessary to know roles and cognitive strategies and enmotion of ‘writer and reader’ on digital collavorative writing. 본고는 디지털 협력적 글쓰기에서 학생 필자들의 협력 양상, 디지털 협력적 글쓰기가 글쓰기 결과와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다음 네 가지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디지털 협력적 상황에서의 ‘쓰기 과정적 협력’은 인쇄매체 기반 협력적 글쓰기에서 이루어지는 첨삭 형태의 ‘쓰기 결과에 대한 협력’과 다르다. 둘째, 디지털 협력적 글쓰기에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의 성격은 인쇄매체 기반의 의사소통의 그것과 다르다. 셋째, 디지털 협력적 글쓰기 과정에서 나타난 학생 필자들의 ‘시간 관리’ 전략 공유는 그간 쓰기 교육 연구에서 다루지 못했던 역량 중심 전략에 대한 관심을 촉구한다. 넷째, 디지털 협력적 글쓰기 환경에서 나타나는 ‘필독자’의 역할과 인지적 전략과 정의적 반응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