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중등교사의 교육실습과정 탐색: 실습지도교사에 대한 신뢰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강경리(Kang, Kyung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3

        본 연구의 목적은 실습지도교사에 대한 신뢰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예비중등교사의 교육실습과정을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 대상은 2018년 1학기 교육실습과정에 참여한 예비중등교사 19 명과 교육실습과정의 실습지도에 참여한 실습지도교사 12명이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로 성찰일지와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첫째, 본 연구에서 교육실습과정에서 예비중등교사의 실습지도교사에 대한 신뢰 형성의 과정을 탐색하였다. 교 육실습과정의 초기, 중기, 말기의 단계에 따라 신뢰성 요소의 역량과 관련 있는 실습 지도교사의 전문성 측면에서 예비중등교사는 실습지도교사와의 관계에서 정보제공, 연습의 기회와 지속적인 피드백, 실행의 기회와 구체적인 조언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성 요소의 도덕성, 호의성과 관련 있는 실습지도교사의 정서적 지원 측면에서 예비중등교사는 실습지도교사와의 관계에서 적극적 소통의 태도, 존중의 태도, 공감을 통한 지지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 교육실습과정에서 예비중등교사의 실습지도교사에 대한 신뢰 형성을 위한 지원 체계를 실습지도교사의 능력과 학교조직의 환경적 요인을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예비중등교사와의 신뢰 형성을 위해 실습지도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은 멘토로서의 자질로 전문적 능력과 정서적 지원 능력으로 나타났다. 예비중등교사와의 신뢰 형성을 위한 학교조직의 환경적 요인은 학습공동체 지향을 목적으로 실습지도교사 간의 신뢰 형성을 통한 실습지도교사의 성찰 공유, 실습지도교사와 실습학교관리자와의 신뢰 형성을 통한 실습지도교사의 보상 강화, 대학수준교원양성기관과 실습중등학교 간의 신뢰 형성을 통한 예비중등교사의 중등학생과의 관계성에 대한 사전 교육 실시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중등교사의 실습지도교사에 대한 신뢰형성을 기반으로한 교육실습제도의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ducational practice of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more effective educational practice syste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who completed the educational practice and 12 practical teachers who completed teaching experience of the educational practice in the first semester of 2018. This study collected data through reflection journal and in-depth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 of reliability formation of the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in the educational practice. In terms of the practical teachers profession related to competence of reliability factor,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experienced providence of information, opportunities for practice and continuous feedback, and opportunities for performance and specific advice. In terms of the practical teachers emotional support related to morality and fidelity of reliability factor,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experienced positive attitude of communication, attitude of respect, and support through sympathy. Second, this study explored the support system for the reliability formation of the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in the educational practice, focusing on the ability of the practical teachers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school organization. In order to form reliability with the pre-service secondary teacher, the ability required for the practical teachers was the mentor s qualities as professional ability and emotional support ability. In order to form reliability with the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for learning community,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school organization were supportive environment for sharing reflection with practical teachers, preliminary education of the university about relations with secondary students of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reward enhancement for practical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practice system based on the reliability formation of the pre-service secondary teacher.

      • KCI등재

        항노화 상품의 신뢰형성요인 척도 개발과 실증연구

        맹지혜(Ji-Hye Maeng),장형유(Hyeong-Yu Jang)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2

        본 연구는 항노화 상품의 신뢰형성요인을 발굴하고 측정변수를 개발하여 결과변수인 신뢰와 구매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기존의 신뢰형성요인인 지각된 품질, 지각된 평판, 브랜드 인지도, 맞춤화에 더하여 새롭게 발굴된 요인은 ‘공인된 인증’이다. 우리나라의 항노화산업은 소비자 건강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산업이기 때문에 기존의 신뢰형성요인이 소비자 신뢰 구축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새로운 척도를 발굴하였다. 본 연구는 항노화 상품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문항의 견실성과 관계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항노화 상품 신뢰형성요인 가운데 지각된 품질, 브랜드 인지도, 맞춤화, 공인된 인증이 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각된 평판은 신뢰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행변수인 신뢰와 구매의도 간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략적으로 실효성 높은 유의미한 신뢰형성요인 발굴과 측정문항을 개발하여 실증적, 실무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신뢰형성요인과 신뢰와의 유의미한 관계를 입증하였다. 동시에 항노화 산업의 마케팅에 중요한 신뢰형성 핵심요인 발굴을 통해 향후의 항노화 상품관련 마케팅전략 수립에 본 연구가 상당부분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which is an outcome variable, was empirically verified by discovering the trust-forming factors of anti-aging products and developing measurement variables. In addition to the existing trust-forming factors such as perceived quality, perceived reputation, brand recognition, and customization, a newly discovered factor is accredited certification. Since the anti-aging industry in Korea is an industry that directly affects consumer health, it was determined that the existing trust-forming factors had limitations in building consumer trust, and a new measure was discovered.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anti-aging product consumers and analyzed the solidity and relationship of the quest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perceived quality, brand recognition, customization, and accredited certification among the anti-aging product trust-forming factors had a positive (+) effect on trust, and perceived reputation had a negative (-) effect on trust. appeared to affec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 effect between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which are the trailing variables. This study proved the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trust-forming factors and trust by strategically developing and empirically and practically examining meaningful and effective trust-forming factors and measurement items. At the same time, this study is expected to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marketing strategies related to anti-aging products in the future by discovering key factors for forming trust that are important for marketing in the anti-aging industry.

      • KCI등재

        헤어관리제품 구매성향 및 인식이 미용사와의 신뢰형성에 미치는 영향

        강나경(Na Kyung Kang),전혜민(Hye Min Jeon),진용미(Yong Mi Ji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서울·수도권지역 미용실을 이용하는 남·녀 고객을 대상으로 헤어관리제품의 구매성향과 인식이 미용사와의 신뢰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고객에게 보다 효과적인 서비스와 만족도를 제공하고 아울러 미용실제품 판매수익을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자료 수집은 미용실 고객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거쳐 총 918부의 설문지를 SPSS 20,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대학교 재학 또는 졸업의 학력에, 월 평균 100에서 300만원 미만의 소득을 가진 20-30대 여성으로, 직업은 서비스직과 사무직이 가장 많게 나타났다. 둘째, 헤어관리제품 구매성향은 7가지 요인으로, 헤어관리제품 인식은 3가지 요인으로, 신뢰형성은 단일차원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헤어관리제품 구매성향이 신뢰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충성적구매, 브랜드추구, 충동적구매, 편의지향형, 동조성구매성향이 높아질수록 신뢰형성의 만족도, 재방문의도, 구전의도가 높아지는 정의 관계를 보이고, 유행추구가 높아질수록 신뢰형성의 만족도, 재방문의도, 구전의도가 낮아지는 부의 관계를 보였다. 넷째, 헤어관리제품의 인식이 신뢰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미용실제품선호성향이 높아질수록 신뢰형성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정의 관계를 보이며, 미용실제품선호, 유명인광고제품선호성향이 높아질수록신뢰형성의 재방문의도와 구전의도가 높아지는 정의 관계가 나타났지만, 시중제품선호가 높아질수록 구전의도는 낮아지는 부의 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헤어관리제품의 구매성향과 인식이 신뢰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고객과 미용사와의 높은 신뢰형성은 고객의 충성도 및 미용실 판매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고, 서비스 제공자의 입장에서는 이윤창출의 효과까지도 기대해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미용사는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을 면밀히 분석하고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조화로운 상담 기술 습득 및 관련 교육 등의 참여로 보다 효과적인 고객관리를 이끌고 동시에 미용실의 마케팅 관리방법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미용실의 홍보 및 제품 선호도 조사를 위한 다양한 제품체험 마케팅, 블라인드 테스트 마케팅 등 보다 다양한 변수들을 적용한 후속 연구가 있어지길 기대한다. This study, with the subjects of customers visiting hair salon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effects of haircare products` purchasing tendencies and perceptions on the confidence building with the hairdressers, to provide the customers with more effective service and satisfaction. Further, it is meaningful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that can increase sales revenue of the cosmetic product.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hair salon customers, and the final 918 copies of questionnaires following preliminary investigation were processed by SPSS 20.0 with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subjects` demographic features showed the educational backgrounds of college students or graduates, the average monthly income of 1 million to 3 million Won, the women in their 20s to 30s, and the subjects occupations indicated mostly those of service and office workers. Second, the haircare products` purchasing tendencies were seven, the preferences for haircare products` perceptions were three, and the confidence building was a single factor. Third, as to the effects of haircare products` purchasing tendencies on confidence building, the higher the purchasing tendency in loyalty, brand pursuit, impulse, convenience orientation, and conformity, the higher the confidence building for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 which is in the positive relation, with the lowering negative relation found in the fashion following type. The higher the purchasing tendency in loyalty, brand pursuit, confidence orientation, impulse, and conformity, the higher the confidence building for revisit intent, which is in the positive relation, with the lowering negative relation found in the fashion following type. Fourth, as to the effects of haircare products` perceptions on confidence building, the higher the perception in hairsalon product preference the higher the confidence building for satisfaction, which is in the positive relation, and the higher the perception in hair salon product and VIP product preferences, the higher the confidence building for revisit and recommendation intents, which is in the positive relation, with the lowering negative relation found in the market product preference.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haircare products` purchasing tendencies and perception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onfidence building. The high confidence building among customers and hairdressers would improve the customer`s loyalty and satisfaction for the products sold at hair salons, with the expected profit creation for the service providers. Thus, hair dressers should carefully analyze and understand the customers` lifestyles, and they should pay attention to more effective customer management and hair salon marketing by acquiring balanced consulting skills and participating in the related programs. Additionally, a follow-up study which is applying more various parameters such as product experience marketing, blind test for a hair salon promotion and preference survey of products is expected to be conducted.

      • KCI등재

        일반논문 : 경찰공무원의 신뢰형성요인, 신뢰 및 조직효과성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주재진 ( Jae Jin Joo ) 한국경찰학회 2012 한국경찰학회보 Vol.14 No.1

        신뢰는 대인관계나 집단행동과 같은 조직학적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과학 전반에 걸쳐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주제임에도 불구하고, 경찰조직을 대상으로 한 신뢰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경찰이 최상의 치안서비스 제공과 안전한 사회 건설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경찰조직내의 신뢰형성요인과 신뢰 수준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전국 16개 지방경찰청별로 각 50명씩 800명을 대상으로 첫째, 기존의 대인관계 신뢰와 조직신뢰에서 언급되었던 신뢰형성변수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경찰공무원의 신뢰형성요인을 규명하고자하였다. 즉 신뢰형성요인을 조직적 요인(조직구조, 조직분위기, 조직문화,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력)과 상관의 개인적 행동특성(성실성, 업무능력, 변혁적 리더십)으로 구분하여 경찰공무원들의 신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둘째, 신뢰가 경찰공무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조직효과성(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경찰공무원의 신뢰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셋째, 기존의 신뢰관련 연구들이 신뢰의 원인 또는 결과의 한 측면만을 다루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이 연구에서는 이들 요인들 간의 통합적인 모형화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찰공무원의 신뢰를 매개변수로 하고 그 원인과 결과를 동시에 분석하여 신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분석결과 조직적 요인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경찰공무원 신뢰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를 통하여궁극적으로 경찰공무원의 신뢰와 조직효과성의 증진방안을 도출하는 실증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rust has become an important topic in every social science disciplines including psychology, sociology, economics, and organization studies. This study explored the police officer`s formative causes of trus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ust an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police officer`s formative causes of trust, & Trust, &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has been measured, and then how police officer`s formative causes of trust, & Trust affect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has been examined. The study results may be used as a theoretical basis to assert the need of Police officer`s trust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at is directly related to the public`s quality of life. The findings show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Police officer`s trus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In this study, In the influences that Organizational factors, & Lead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have on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olice officer`s trust`s" moderate effect was verified. The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is based largely on the trust model. Independent variable comprises 2 categories; Organizational factors, & Lead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Dependent variable i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Moderate variable is "Police officer`s trust. 800 police officers from korea was selected as subjects and 622 police officers among them responded to the survey and used 541 police officers` response in actual analysis. Here,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crosstabs, anova, frequency and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are used in data-processing with SPSS for Windows 14.0 and AMOS 7.0.

      • KCI등재

        연구논문 : 여행사 웹사이트 신뢰형성이 여행상품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여행사 웹사이트 방문경험이 있는 잠재고객을 대상으로

        김성혁,황수영,김용일 대한관광경영학회 2007 觀光硏究 Vol.22 No.3

        본 연구는 여행사 웹사이트 방문경험이 있는 잠재고객들을 대상으로 신뢰형성요인이 여행사 웹사이트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며, 여행사 웹사이트 신뢰와 구매의도간의 영향관계 및 신뢰형성 요인과 구매의도간의 영향관계를 고찰함으로써 여행사 웹사이트를 통한 여행상품의 구매의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따른 본 연구결과의 발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행사 웹사이트 신뢰형성요인은 지각된 규모, 지각된 유용성, 웹사이트 품질, 거래 안정성, 지각된 평판 등 5개의 차원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뢰형성요인 중 지각된 규모를 제외하고 지각된 유용성, 웹사이트 품질, 지각된 평판, 거래 안정성 등의 순으로 여행사 웹사이트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뢰형성요인에 의해 형성된 여행사 웹사이트 신뢰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행사 웹사이트 신뢰형성요인 중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평판, 웹사이트 품질 순으로 웹사이트를 통한 여행상품 구매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웹사이트를 통해 효율성 및 구매성과가 증대되거나 웹사이트 작동기능이 용이하고 효과적인 피드백 제공을 제공하며, 신분확인 및 거래정보 내용을 보장하는 여행사 웹사이트 일수록 신뢰가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여행사 웹사이트가 잠재고객들에게 온라인을 통해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trust formulation" factors of potential customers who have been experienced at visiting travel agencies' web-site on "trust" and "intention to purchase" by site. All question items including the "trust formulation" factors, "trust" and "intention to purchase" in this study were drawn from the appropriate related literature.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over a two weeks period from August 1st 2007 to August 15th 2007. Of the 300 distributed questionnaires 210 copies were used in the analysis to give a response rate of 70 percen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trust formulation" factors of travel agencies' web-site were divided into five factors including "perceived reputation", "perceived size", "perceived site quality", "transaction safety" and "perceived usefulness". Secondly, most of the "trust formulation" factors excepting "perceived size" exerted a positive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trust". In particular, "perceived usefulness"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terms of the "trust formulation" factors, followed by "perceived site quality", "perceived reputation" and "transaction safety" in descending order respectively. Finally, "trust" was built by the "trust formulation" factors positively affected "intention to purchase" by site. Thirdly, "trust" was built by the "trust formulation" factors positively affected "intention to purchase" by site. Finally,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reputation" and "perceived site quality" among the "trust formulation" facto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intention to purchase" by site.

      • KCI등재

        경제공간에서 신뢰형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성신제(Sin-Je Sung),이희열(Hee-Yul Lee) 대한지리학회 2007 대한지리학회지 Vol.42 No.4

        본 연구는 경제공간에서 신뢰형성의 개념적 틀과 발전단계를 제시하고, 신뢰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찰하였다. 경제공간에서 신뢰형성의 개념적 틀은 세 가지 접근, 즉 규범적ㆍ규제적 요인(법, 규범)과 사회적 위치 및 경제적 시스템(믿음, 정치, 제도)을 포함하는 거시적(구조적ㆍ제도적) 접근, 외적장치(표현요인, 사회적 역할, 중요한 상징)와 배경(물리적 공간, 매개자인 기술ㆍ지식 등)을 포함하는 중시적(상호주관적) 접근, 그리고 경제행위자의 의지(가치의 내재화)와 계산(모험 및 불확실성 분석)을 포함하는 미시적(주관적) 접근이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경제행위자 간 상호협력이 지속됨에 따라 신뢰형성은 거시적(구조적 및 제도적) 수준에서 중시적(상호주관적) 수준, 미시적(주관적) 수준으로 점차 발전한다. 또한, 경제공간에서 경제행위자 간 신뢰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경제행위자 간 장기적ㆍ반복적 상호작용, 정보공유와 호혜성, 상호의존과 자산특유성, 불확실성, 근접성, 기업의 문화 및 규범과 공식적 제도 등 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conceptual framework and a stage of development of trust building and to study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trust building in economics space. Conceptual framework on trust building in economics space is combined of in the three approaches. The macro(structural and institutional) approach includes normative and regulative factors(laws, norms), and positionality in social and economic systems(beliefs, political ideologies, institutions). The meso(intersubjective) approach contains the personal fronts(expressive factors, social cues, significant symbols) and settings(physical space, intermediary such as technologies & knowledges). The micro(subjective) approach comprises the willingness(internalization of value) and calculation(risk and uncertainties analysis) of economic actors. According to sustainable cooperation among economic actors, trust building to the macro(structural and institutional) level, the meso(intersubjective) level, and the micro(subjective) level develop by stages. The factors such as long-term and repeated interaction, information sharing and reciprocity, interdependence and asset specificity, uncertainty, proximity, and culture & norm of corporate and formal institution are determinants on the trust building across economic actors in economic space.

      • KCI등재

        발달장애인서비스에서 보호자 신뢰형성과 신뢰행동 선택기제 연구

        염태산(Yeom Tae san)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8 한국장애인복지학 Vol.42 No.42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보호자가 발달장애인서비스에서 신뢰를 형성하는 과정과 맥락을 탐구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는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방법을 활용하여 발달장애인을 자녀로 둔 어머니 19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인터뷰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방 코딩 과정에서 18개 범주와 65개의 코드가 발견되었다. 이를 통하여 도출된 축 코딩 패러다임은 ‘서비스 기대갖기(인과조건)’, ‘직원과 기관의 신뢰성 판단(맥락조건)’, ‘불균형한 신뢰 경험(현상)’, ‘권력불평등을 경험함(중재조건)’, ‘맡김과 떠남의 행동(작용과 상호작용)’, ‘서로 다른 이용자 역할 맡기(결과)’로 수렴되었다. 이야기 윤곽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중심범주는 ‘불균형한 신뢰 경험, 권력관계 경험에 따라, 맡김과 떠남의 행동을 하며 직원 및 기관과 관계를 맺어가기’였다. 이어 진행된 과정 분석에서는, 보호자가 ‘기대와 불안의 서비스 진입단계 – 불균형한 신뢰성 평가와 경험 단계 – 맡김과 떠남의 대처와 이용자 역할 결정 단계’를 경험한다는 점이 정리되었다. 보호자의 신뢰형성은 특정한 신뢰/불신이 형성되는 사례를 중심으로 정리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보호자가 경험한 다양한 서비스 상황을, 중심범주에 따라 신뢰성, 신뢰경험, 신뢰/불신행동 등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정리된 73개의 사례를 중심으로 유형분석을 실시하여 9가지의 유효한 유형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유형이 나타나는 상황을 검토하기 위하여 상황모형을 구성하였으며, 이러한 검토를 거쳐 ‘신뢰행동의 선택기제’를 설명하는 실체이론을 발견하였다. 제안 이론은, 발달장애인서비스를 이용하는 보호자가 직원 및 기관의 신뢰성과 지역사회의 서비스 대안조건을 고려하고, 직원/기관 동일시, 예상되는 사후가정사고 등의 인지적 과정을 통해 다양한 내용과 수준의 신뢰행동을 선택하는 기제를 설명한다. 상기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사회복지실천관계에서 사회복지사의 신뢰성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관계 경험, 특히 ‘마지못해 순응하는 이용자’의 신뢰행동에 주목해야 할 이유에 주목한다. 사실 발달장애인서비스를 이용하는 보호자는 각기 다른 내용과 수준의 신뢰행동을 선택하지만, 이들의 취약성은 신뢰행동의 선택으로만 해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서비스 대안 조건을 우호적으로 바꾸고, 신뢰를 협력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실천 및 정책 대안을 제안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rocesses and contexts of parents’ trust-building in developmental disability services. For these aims,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was used to analyse the interviews from the 19 mothers of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8 subcategories, 65 codes were found during open coding process. Subsequently, axial coding results were ‘expecting services(causal condition)’, ‘judging trustworthiness of staffs/service agency(context condition)’, ‘experiencing unbalanced trust(phenomena)’, ‘experiencing the power inequality(intervening condition)’, ‘entrusting or refusing behaviors(actions and interactional strategies)’ and ‘determining various user roles(result).’ The core category of this study is “according to trustworthiness judging and the power inequality experiencing, mothers display entrusting and refusing behaviors and have relationships with service providers.” The trust-building processes in developmental disability services are ‘service entry with expectation and anxiety’ phase, ‘trust judging and experiencing’ phase, and ‘entrusting–or–refusing and user–role-determination’ phase. By the matrix of behavior strategies/entry opportunities and user roles, 9 valid types are discovered from 73 trust/distrust cases of mothers’ data. Based on the findings, ‘the trust-behavior selection mechanism theory’ is discovered. This substantial theory explains the various service users’ trust behaviors according to trustees’ trustworthiness judging, the alternative conditions calculation, the identification with trustees or services, and the anticipated counterfactual thought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or the equality of social work relationship, user vulnerability and uncertainty should be more concerned. The choices on trust behaviors cannot solve the vulnerability problems of mothers. Therefore the practice and policy efforts were presented to make their choice alternatives more favorable.

      • KCI등재

        사용자 상호작용과 신뢰형성의 상호 영향에 관한 시계열 분석

        오현교,이태희,김상욱 한국정보과학회 2015 데이타베이스 연구 Vol.31 No.1

        We are living in the era of information overload. Escaping from the information overload, online users are hoping to get reliable information. As a key solution to information overload, trust among users has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in recent years. Trust in social media is an expression of faith and confidence that a trustor is willing to accept the information provided by his/her trustee. In social media, various applications based on trust have been developed, including services of trust-aware recommendation and finding high-quality user reviews. In reality, however, the explicit trust relations available are extremely sparse because a quite small number of users express trust relations. In order to solve the sparsity problem by inferring unknown trust relations, trust prediction methods have been proposed. Although time-stamps on trust formation and user interactions are available, no existing methods do not perform time-series analysis on them in trust prediction.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trend of user interactions that appear before and after the trust formation on daily time-series data. We found that a certain level of user interactions is required for trust to be formed between two users. Once trust between two users has been developed, the level of user interactions between a pair of users having trust rather decreases. We expect that the result of our analysis provides a nice insight towards a more advanced approach to trust prediction. 오늘날 우리는 정보 과잉의 시대에 살고 있다. 온라인 사용자들은 정보 과잉에서 벗어나 믿을 수 있는 정보를 얻고 싶어 한다. 최근 들어 정보 과잉 문제 해결의 실마리로 사용자간의 신뢰 (trust)가 주목을 받고 있다. 소셜 미디어에서의 신뢰는 한 사용자가 그가 신뢰하는 다른 사용자들이 제공하는 정보를 믿음을 가지고 수용하겠다는 의사 표현이다. 소셜 미디어 사이트에서 신뢰 정보를 활용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신뢰-인지 추천 서비스, 양질의 사용자 리뷰를 찾는 서비스 등이 제안되어왔다. 그러나 실제 소셜 미디어 사이트에서는 소수의 사용자만이 신뢰를 표현하기 때문에 명시된 신뢰 정보의 양이 매우 희박하다. 이러한 신뢰 정보의 희박성 문제 (sparsity problem)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신뢰예측 (trust prediction)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다. 기존의 신뢰예측 방법들은 사용자간 신뢰 형성 시점 및 상호작용 시점 정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뢰예측을 위한 시계열 분석을 수행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일 단위 (daily) 시계열 분석을 통해 신뢰 형성과 상호작용간의 관련성을 파악한다. 신뢰관계를 갖는 사용자간 상호작용의 추이를 분석함으로써 신뢰 형성에 선행하는 특별한 패턴을 파악할 수 있고 나아가 그 패턴을 활용하여 보다 향상된 신뢰예측 방법을 구축할 수 있다. 분석 결과, 사용자간에 신뢰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일정량 이상의 상호작용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한, 대부분의 사용자 쌍이 신뢰를 형성한 이후에는 이전과 비교하여 오히려 상호작용이 감소하는 패턴을 보임을 발견했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교사들의 동료에 대한 신뢰 형성의 근거와 결과

        김대현,최류미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6 교육혁신연구 Vol.26 No.3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들이 동료교사에 대해 신뢰를 하게 되는 계기, 신뢰 형성 혹은 저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그 결과를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현재 초등학교에 근무하 고 있는 1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고, 내용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도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첫째, 동료교사를 신뢰하기 위해서는 일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회와 일정 기간 이상 의 시간 등의 계기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료교사에 대한 신뢰를 ‘형성’하는 근거로는 교육활동 에 대한 신뢰와 인간성에 대한 신뢰가 공존하고 있었다.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동료교사와의 신뢰가 형 성되면 교사 간에 개인적인 삶을 나눌 수 있는 관계로 발전하고, 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게 되면서 학교 생활의 질이 향상되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동료교사에 대한 신뢰를 ‘저해’하는 근거로는 이기적인 성향, 언 행 불일치, 말을 쉽게 옮김, 동료의 교육활동 개선 의지를 꺾음 등이 있었다. 동료교사와의 신뢰가 저해되 면, 기계적으로 업무를 처리하게 되고 학교에서의 삶이 팍팍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해 동료교사에 대한 신뢰를 판단할 때는 교사의 직·간접적인 경험이 서로 영향을 미치고, 이 신뢰에는 인지적· 정의적·행동적 차원이 복합적으로 공존하고 있다는 특성을 밝힘으로써 동료교사 간 신뢰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지역사회 자발적 결사체의 신뢰형성 탐색: 사회복지서비스 확대 시대의 과제

        김효정 ( Hyo Jung Kim ),유영주 ( Young Ju Yu ),최종혁 ( Jong Hyug Choi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0 사회복지연구 Vol.41 No.3

        본 연구는 사회복지서비스 확대 시대의 과제를 배경으로 지역사회의 자발적 결사체에 대한 이해 및 활용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는 목적에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의 자발적 결사체가 유지ㆍ강화되기 위해서는 사회적 자본의 주요 개념인‘신뢰’가 주요하게 작용한다고 보고, 자발적 결사체에서 신뢰가 어떻게 형성되는가를 심층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따라서 연구방법은 근거이론의 방법론상 한계성을 보완한 수정근거이론을 사용하였으며, 조사연구는 4차에 걸쳐 진행되었고, 연구기간은 11개월이 소요되었다. 연구결과, 자발적 결사체의 신뢰형성 구조는 크게‘초기 신뢰형성 구조’,‘상호 신뢰발전M구조’,‘안정화된 신뢰 구조’등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은 시간적ㆍ공간적으로 구조화 되었으며, 이들 구조 속에는 역할, 활동, 성과, 태도, 갈등, 그리고 외부환경 등이 기본속성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또한 이 속성들은 신뢰형성과정의 어느 장면에서나 발견 되며, 결사체의 유지ㆍ발전 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각종 지역복지활동과 관련하여 자발적 결사체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그 활용 가능성을 높여주고 있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basic material about voluntary association in local community and its utiliz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was considered that trust of social capital plays a leading part in voluntary association to maintain or strengthen its role and activities. For this reason we attempt to find the process of trust building in voluntary association. The revised ground theory that is complementary weaknesses of ground theory is used in this study and in 11months, four times researches have investigated.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the structure of building trust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structure, building up relationship, dynamic interaction and structural stabilization in voluntary association. In the space that is structured spatially and temporal, role, activity, accomplishment, attitude, conflict and environment acted as basic attributes. These attributes can be found in every building process of trust and influence on continuance and growth of voluntary association. The fact that this study offers in-depth understanding of voluntary association and empirical directivity regarding the community welfare services is of great signific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