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경찰공무원의 사회적 태만에 관한 연구

        주재진 ( Jae Jin Joo ) 한국경찰학회 2014 한국경찰학회보 Vol.16 No.2

        사회적 태만은 여러 사람이 함께 모여서 집단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때 자신의 생산력을 제공하고자 하는 동기가 감소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따라서 사회적 태만의 직·간접적인 영향요인을 밝히는 것은 이론적인 측면에서는 조직구성원의 업무수행활동의 과정과 기제를 이해하는 데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요인이기에 의미가 있고, 실무적인 관점에서는 사회적 태만을 일으키는 요인을 확인하여 제어함으로써 조직의 업무성과를 증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일이다. 이 연구는 지금까지 한국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사회적 태만 및 사회적 태만 영향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전무했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또한 기존의 사회적 태만관련 연구들이 사회적 태만의 원인 또는 결과의 한 측면만을 다루는 경우가 많았던 반면에, 이 연구에서는 조직문화와 개인적 성향을 매개변수로 하고 그 원인과 결과를 동시에 분석하여 이들 요인들 간의 통합적인 모형화를 시도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전국의 16개 지방경찰청에 50부을 배포하여 총 800명을 조사대상자로 선정하여, 업무관련 요인, 보상 관련 요인, 그리고 집단관련요인이 경찰공무원의 사회적 태만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조직문화와 조직구성원의 개인 주의-집단주의 성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 자료는 경찰공무원의 사회적 태만 감소방안과 조직몰입의 증진방안을 도출하는 실증적 근거로 활용되고 경찰교육훈련 변화에 대한 정책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으며 경찰 조직 내 계층 간 갈등해결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plored the police officer`s social loafing, and the factors affecting of the police officer`s social loafing. The police officer`s social loafing & the factors affecting of the police officer`s social loafing has been measured, and then how Work-related factors, Compensationrelated factors, Group-related factors affects police officer`s social loafing has been examined. The study results may be used as a theoretical basis to assert the need of organizational system to improve the police officer`s job attitud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findings show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Work-related factors, Compensation-related factors, Group-related factors and police officer`s social loafing. So,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ways for police officer`s job attitude improvement casting plan for the police. The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is based largely on the social loafing model. Independent variable comprises 3 categories; Workrelated factors, Compensation-related factors, Group-related factors and Dependent variable is the Police officer`s Social Loafing and the control variable comprises 2 categories; Organizational culture, Individualism- Collectivism 800 police officers from korea was selected as subjects and 661 police officers among them responded to the survey and used 553 police officers` response in actual analysis. Here,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step wise multiple regression, crosstabs, and frequency are used in data-processing with SPSS for Windows 14.0. and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with AMOS 7.0.

      • KCI등재

        일반논문 : 경찰 조직문화와 직무태도의 관계

        주재진 ( Jae Jin Joo ) 한국경찰학회 2013 한국경찰학회보 Vol.15 No.3

        조직문화는 인간, 자본, 물자, 정보에 이은 ‘제5의 관리 가능한 경영자원’이라 할 만큼 조직 관리의 중요한 변수이며, 개인행동에 대해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직무태도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경찰조직문화에 대한 조사·분석과 함께 바람직한 직무태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은 경찰조직의 목표달성에 있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이 연구에서는 경험적 분석 방법을 통하여 조직문화와 직무태도에 대한 처방성을 강화하여 보다 실효성 있는 문제해결방안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경찰공무원의 조직문화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집단문화와 위계문화 순으로, 조직몰입의 하위 변수 중 감정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집단문화와 합리문화 순으로, 지속몰입에는 위계문화와 합리문화 순으로, 규범몰입에는 집단문화와 발전문화 순으로 정(+) 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에 대한 해석과 함께 경찰공무원들의 직무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네 가지 조직문화를 균형 있게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기존의 조직문화와 조화롭게 적용될 수 있고, 조직구성원들에게 공유될 수 있으며, 조직 내부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관리방식 도입의 필요성 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police organizational culture, and police officer`s job attitude. The police organizational culture & police officer`s job attitude has been measured, and then how police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s police officer`s job attitude has been examined. The study results may be used as a theoretical basis to assert the need of organizational system to improve the police officer`s job attitude. The findings show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police organizational culture and police officer`s job attitude, and the four dimensions of police organizational culture was correlated to police officer`s ethical job attitude. So,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ways for police officer`s job attitude improvement casting plan for the police. The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is based largely on the organizational culture model. Independent variable comprises 4 categories; The group culture, The hierarchical culture, The developmental culture, The rational culture and Dependent variable comprises 2 categori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omprises 3 categories; Affective Commitment, Continuance Commitment, Normative Commitment. 640 police officers from korea was selected as subjects and 577 police officers among them responded to the survey and used 511 police officers` response in actual analysis. Here,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step wise multiple regression, crosstabs, and frequency are used in data-processing with SPSS for Windows 14.0.

      • KCI등재

        일반논문 : 경찰공무원의 신뢰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주재진 ( Jae Jin Joo ) 한국경찰학회 2009 한국경찰학회보 Vol.11 No.4

        조직몰입에 관한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들은 조직몰입이 직무만족보다 조직구성원의 이직률 등을 보다 잘 설명해주며, 조직몰입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구성원의 성과가 높게 나타날 가능성이 많아지고 또한 조직몰입이 조직효과성의 유용한 지표임을 밝히고 있다. 또한 조직몰입은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안정성을 갖고 있어 조직구성원의 태도와 행동사이의 관계를 잘 설명해주는 변수이다. 경찰조직도 과거와 달리 조직중심의 운영보다는 조직 구성원들의 자발성과 신속성이 조직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고, 이는 조직몰입이 조직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구성원들의 조직몰입은 조직 구성원에게 재량권과 자율성을 주어야 일어나며, 재량권과 자율성은 조직 내에서의 신뢰에서부터 시작한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하여 조직신뢰, 상관신뢰, 동료신뢰를 독립변수로 선정하였고, 조직몰입을 종속변수로 선정하고 하위변수로 감정적 몰입, 지속적 몰입, 규범적몰입을 두었다. 조사대상은 전국의 경찰공무원으로 하였으며, 전국 16개 지방경찰청별로 각 50명씩 800명을 선정하여 신뢰정도와 조직몰입을 실증적으로 측정해보고, 신뢰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감정적 몰입과 지속적 몰입에는 동료신뢰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규범적 몰입에는 조직신뢰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료신뢰가 감정몰입과 지속 몰입, 그리고 하위 변수 세 개를 통합한 조직몰입에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경찰이 조직 내 직원관리와, 직원들 간의 상호 높은 신뢰가 조직몰입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Trust has become an important topic in every social science disciplines including psychology, sociology, economics, and organization studies. This study explored the Police Officer`s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Police officers` Trust &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been measured, and then how Police officers` Trust affects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been examined. The study results may be used as a theoretical basis to assert the need of organizational system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at is directly related to the public`s quality of life. The findings show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Police officers`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three dimensions of Police officers` Trust was cor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So,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ways for trust improvement casting plan for the police. The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is based largely on the trust model. Independent variable comprises 3 categories; `Organizational Trust`, `Supervisor Trust`, `Peer Trust`. and Dependent variable is comprises 3 categories; `Affective Commitment`, `Continuance Commitment`, `Normative Commitment`. 800 police officers from korea was selected as subjects and 689 police officers among them responded to the survey and used 558 police officers` response in actual analysis. Here,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step wise multiple regression, crosstabs, anova and frequency are used in data-processing with SPSS for Windows 14.0. In the conclusion, Peer Trust was highly influential to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tudy results may be used as a theoretical basis to assert the need Trust management system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 KCI등재

        조직풍토가 경찰공무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주재진(Joo, Jae Jin)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사회과학연구 Vol.23 No.3

        경찰조직의 효율적인 인적자원 관리를 위해서 경찰관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등 직무태도와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연구는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들어 비교적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그리고 조직 속의 개인의 태도와 행동은 근무환경에 대한 개인의 인식과 함께, 동료들과의 공유된 인식에서도 영향을 받는다는 인식하에 조직의 분위기 또는 풍토에 대한 연구는 시작단계에 있다. 하지만 경찰조직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주로 윤리적 풍토 등의 윤리적 행동에 관한 연구가 되어왔으며, 조직풍토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경찰공무원 개인수준의 차원에서 개인이 심리적으로 지각한 조직풍토를 통하여 실증적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직풍토에 대한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서 조직풍토의 발전과정과 개인의 심리적 조직풍토의 개념을 정리하고, 경찰공무원이 인식하는 조직풍토가 직무만족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조직풍토와 직무만족 사이의 관계를 조절할 수 있는 변수로 변혁적리더십을 선택하였다. 따라서 경찰 조직풍토(분권화, 공식화, 응집성, 혁신성, 개방성,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를 독립변수로, 직무만족을 종속변수로, 변혁적리더십을 조절변수로 사용하여 분석모형을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조직풍토의 하위변수 중 조직구조를 의미하는 분권화와 공식화, 응집성, 그리고 상호작용공정성이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조직풍토의 하위변수 중 공식화, 응집성, 혁신성, 개방성, 분배공정성, 그리고 상호작용공정성이 변혁적리더십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변혁적리더십은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직풍토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변혁적리더십의 조절효과는, 분권화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변혁적리더십은 정(+)적인 조절역할을, 그리고 공식화와 응집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변혁적리더십은 부(-)적인 조절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climate and job satisfaction, The police officers’ perception on the organizational climate has been measured, and then how their perception on the organizational climate affects the job satisfaction has been examined. For the purpose, this study, the literature on organizational climate has been reviewed and with particular emphasis on associated conceptual issues. in chapter 2, presents an overview of research that has assessed the ability to explain job satisfaction on the basis of perceived climate. in chapter 3 and 4, deals with the empirical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al climate, job satisfaction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is study aimed at measuring the effects of police officers’ perception on the organizational climate on job satisfaction, exploring the moderation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providing the basis with implications to promote the job satisfaction in the police Organization. By reviewing previous finding, police officers’ perception on the organizational climate (decentralization, formulation, cohesion, innovation, openness,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interactional justice)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job satisfaction was selected as dependent variable.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selected as moderation variable.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formulation’, ‘cohesion’, and ‘interactional justice’ influenced in job satisfaction(positive), and ‘formulation’, ‘cohesion’, ‘innovation’, ‘openness’, ‘distributive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in job satisfaction(positive). The moderation effect was tested: The Decentralization→Transformational Leadership→Job Satisfaction(positive), The Formulation, & Cohesion,→Transformational Leadership→Job Satisfaction(negative)

      • KCI등재

        일반논문 : 경찰공무원 근무성적평정제도의 공정성 제고방안

        주재진 ( Jae Jin Joo ) 한국경찰학회 2007 한국경찰학회보 Vol.9 No.2

        경찰공무원의 근무성적평정제도는 조직구성원의 근무실적이나 능력, 성격과 적성, 근무태도 및 발전성 등을 체계적, 객관적, 정기적으로 평가하여 공정한 인사관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인사행정활동이다. 근무성적평정제도의 공정성의 확보는 조직구성원에게 노력이 공정한 보상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감을 주며, 나아가 자발적 능력 발휘 등을 촉진시키는 계기가 됨은 물론 조직의 성과를 제고시키는데도 결정적 역할을 하게 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근무성적평정제도의 공정성을 경찰근무성적평정제도가 경찰공무원이 조직에 투자한 투입과 그것으로부터 받은 보상비율이 자신의 준거상태인 투입과 보상비율에 따라 공정하게 보상을 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의미하는 분배 공정성과, 근무성적평정과 관련한 조직 내의 의사결정의 절차가 공정하게 실시되는가에 대한 구성원들의 인식을 의미하는 절차 공정성, 그리고, 근무성적평정에 있어 공식적 절차의 설정이나 절차의 실행과정에서 조직구성원들이 받는 처우와 상사로부터 받는 설명의 적절성을 의미하는 상호작용 공정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분배 공정성 제고방안으로는 합리적인 평가척도 개발의 필요성과 근무성적평정 결과 활용을 확대할 것을 제안하였고, 절차 공정성 제고방안으로는, 근무성적평정범위의 개선과 함께 평정자 교육훈련을 강화할 것, 근무성적평정 결과를 공개할 것, 그리고 다면평가제를 확대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상호작용 공정성 제고방안으로는 근무성적평정권자와 심사승진인사권자를 중심으로 논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Performance Evaluation Justice questionnaire comprises three categories;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The study results may be used as a theoretical basis to assert the need of fair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at is directly related to the public`s quality of life. There are not enough upper positions for the police officers who have similar ability and qualification. Then, the officers who don`t get the position that they want may think the Distributive Justice is not achieved. However, if the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are achieved, the officers may think that the evaluation is relatively fair. This study discusses the ways to improve the Performance Evaluation Justice in the three aspects of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To achieve distributive justice, the development of reasonable evaluation standards and the expansion of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have been suggested. To achieve the procedural justice, the change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range, the evaluator`s training, the opening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and the expansion of the multilateral evaluation system have been asserted. For the way to achieve the interactional justice, the matters on the performance evaluators and the promotion judge have been discussed.

      • KCI등재

        경찰공무원의 개인적 성향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주재진(Jae-Jin Joo)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3

        조직구성원들의 자발적인 업무수행이 조직효과성을 향상시킨다는 것이 많은 선행연구들을 통해서 증명되어왔다. 이에 따라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들에 대한 관심이 계속되고 있다. 이 연구는 그 동안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들이 계속해서 진행되어 왔지만,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개인적 성향(개인주의-집단주의)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였고, 조직문화까지 고려한 연구는 전무하였다는 인식에서 출발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경찰공무원을 그 대상으로, 개인적 성향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으며, 두 변수간의 관계에 있어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독립변수인 경찰공무원의 개인적 성향(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을 의미)의 하위변수로 ‘신념’, ‘가치’, ‘규범’으로 선정하였고, 종속변수는 조직시민행동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조절변수는 조직문화(‘합리문화’, ‘발전문화’ ‘위계문화’ ‘집단문화’)를 선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개인적 성향의 하위변수 중 신념과 규범은 조직시민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가치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개인적 성향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는 가치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위계문화는 부(-)적인 조절효과를, 신념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합리문화가 부(-)적인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revious finding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is a useful index for effectiveness of the organization. Also, it is a factor that explains the relation between its member’s attitude and behavior as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been stabilized. Since autonomy and rapidity has become more important in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organization, this mean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has become important in i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of the members occurs only when discretion and autonomy are given to its members. Therefore, this study aimed at measuring the effects of police officers personal disposition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exploring the moderation effect of organization culture, and providing the basis with implications to promote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in the police Organization. By reviewing previous finding, Police Officers Personal Dispositions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was selected as dependent variable. and Organizational Culture was selected as moderation variable.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The belief & The Norm influenced i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positive), and The Value i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negative). And The moderation effect was tested: The Value→Hierarchical Culture→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negative), The belief→Rational Culture→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negative)

      • KCI등재

        일반논문 : 경찰공무원의 신뢰형성요인, 신뢰 및 조직효과성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주재진 ( Jae Jin Joo ) 한국경찰학회 2012 한국경찰학회보 Vol.14 No.1

        신뢰는 대인관계나 집단행동과 같은 조직학적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과학 전반에 걸쳐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주제임에도 불구하고, 경찰조직을 대상으로 한 신뢰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경찰이 최상의 치안서비스 제공과 안전한 사회 건설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경찰조직내의 신뢰형성요인과 신뢰 수준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전국 16개 지방경찰청별로 각 50명씩 800명을 대상으로 첫째, 기존의 대인관계 신뢰와 조직신뢰에서 언급되었던 신뢰형성변수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경찰공무원의 신뢰형성요인을 규명하고자하였다. 즉 신뢰형성요인을 조직적 요인(조직구조, 조직분위기, 조직문화,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력)과 상관의 개인적 행동특성(성실성, 업무능력, 변혁적 리더십)으로 구분하여 경찰공무원들의 신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둘째, 신뢰가 경찰공무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조직효과성(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경찰공무원의 신뢰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셋째, 기존의 신뢰관련 연구들이 신뢰의 원인 또는 결과의 한 측면만을 다루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이 연구에서는 이들 요인들 간의 통합적인 모형화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찰공무원의 신뢰를 매개변수로 하고 그 원인과 결과를 동시에 분석하여 신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분석결과 조직적 요인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경찰공무원 신뢰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를 통하여궁극적으로 경찰공무원의 신뢰와 조직효과성의 증진방안을 도출하는 실증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rust has become an important topic in every social science disciplines including psychology, sociology, economics, and organization studies. This study explored the police officer`s formative causes of trus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ust an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police officer`s formative causes of trust, & Trust, &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has been measured, and then how police officer`s formative causes of trust, & Trust affect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has been examined. The study results may be used as a theoretical basis to assert the need of Police officer`s trust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at is directly related to the public`s quality of life. The findings show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Police officer`s trus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In this study, In the influences that Organizational factors, & Lead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have on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olice officer`s trust`s" moderate effect was verified. The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is based largely on the trust model. Independent variable comprises 2 categories; Organizational factors, & Lead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Dependent variable i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Moderate variable is "Police officer`s trust. 800 police officers from korea was selected as subjects and 622 police officers among them responded to the survey and used 541 police officers` response in actual analysis. Here,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crosstabs, anova, frequency and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are used in data-processing with SPSS for Windows 14.0 and AMOS 7.0.

      • KCI등재

        일반논문 : 경찰공무원의 가치체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주재진 ( Jae Jin Joo ) 한국경찰학회 2010 한국경찰학회보 Vol.12 No.2

        이 연구는 개인의 가치체계에서 비롯되어 조직의 행태까지 연결되는 조직행태론이 경찰조직에서도 작용할 수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하였다. 즉 경찰 개개인의 가치체계는 그들의 태도를 결정하고, 그들의 태도는 개인의 행태와 조직의 행태를 결정하는 요인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가치체계가 변할 수 있듯이 개인의 태도와 더불어 행태도 변할 가능성이 있으며, 나아가 경찰조직의 행태도 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개개인의 가치체계의 특징의 파악 및 계층 간의 공통적인 특성을 측정하고, 가치체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궁극적으로는 경찰공무원의 조직몰입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근거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하여 궁극적 가치 와 수단적 가치를 독립변수로 선정하였고, 조직몰입을 종속변수로 선정하고 하위변수로 감정적 몰입, 지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을 두었다. 조사대상은 전국의 경찰공무원으로 하였으며, 전국 16개 지방경찰청별로 각 50명씩 800명을 선정하여 가치체계와 조직몰입을 실증적으로 측정해보고, 가치체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Value has become an important topic in every social science disciplines including psychology, sociology, economics, and organization studies. This study explored the Police Officer`s Valu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Police officers` Value &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been measured, and then how Police officers` Value affects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been examined. The study results may be used as a theoretical basis to assert the need of organizational system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at is directly related to the public`s quality of life. The findings show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Police officers` Valu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two dimensions of Police officers` Trust was cor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is based largely on the Rokeach`s model. Independent variable comprises 2 categories; ``Terminal Value``, ``Instrumental Value``. and Dependent variable is comprises 3 categories; ``Affective Commitment``, ``Continuance Commitment``, ``Normative Commitment``. 800 police officers from korea was selected as subjects and 689 police officers among them responded to the survey and used 558 police officers` response in actual analysis. Here,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step wise multiple regression, crosstabs, anova and frequency are used in data-processing with SPSS for Windows 14.0.

      • KCI등재

        경찰공무원이 인식한 조직문화, 조직냉소주의 그리고 조직시민행동의 관계

        주재진 ( Joo Jae Jin ) 한국경찰학회 2016 한국경찰학회보 Vol.18 No.5

        이 연구는 조직냉소주의와 직무태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다수의 선행연구들이 존재하지만,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조직냉소주의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을 종합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전무하였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경찰공무원이 인식한 조직문화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과 여기에서 조직냉소주의가 어떤 조절효과를 나타내는가를 검증하여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실증분석 결과, 집단문화와 합리문화, 그리고 발전문화가 양심적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위계문화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집단문화가 인지적냉소주의와 정서적냉소주의에 부(-)적인 영향을, 그리고 합리문화가 정서적냉소주의에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서적냉소주의는 스포츠맨십에 부(-)적인 영향을, 인지적냉소주의와 정서적 냉소주의는 양심적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문화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조직냉소주의의 조절효과는 위계문화와 양심적행동의 관계에 있어 조직냉소주의의 하위변수 모두가 정(+)적인 조절역할을, 합리문화와 양심적행동의 관계에 있어 행동적냉소주의가 정(+)적인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의의는 경찰조직을 대상으로 한 조직냉소주의에 대한 인식 연구가 거의 전무했던 상황에서 조직냉소주의의 중요성을 부각하는 연구로서 가치가 있으며, 조직냉소주의가 조직성과 하락으로 연결된다는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조직냉소주의가 조직구성원 개인적 속성 보다는 조직 속에서의 경험에서 형성된다는 속성을 고려할 때 경찰 관리자들은 경찰공무원들의 조직에 대한 부정적 태도인 조직냉소주의에 관심을 가지고 주기적으로 측정해야 하며, 개선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재차 확인시켜주었다는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cynicism,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The police officers` perception on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ynicism has been measured, and then how their perception on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ynicism affects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has been examined. This study aimed at measuring the effects of police officers` perception o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exploring the moder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cynicism, and providing the basis with implications to promote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in the police organization. By reviewing previous finding, police officers` perception on the organizational culture(group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developmental culture, rational culture)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sportsmanship, conscientiousness) were selected as dependent variable. and the organizational cynicism(Beliefs, Affect, Behaviors) was selected as moderation variable. The moderation effect was tested: The hierarchical culture→The organizational cynicism(beliefs, affect, behaviors)→The conscientiousness (positive), The rational culture→The organizational cynicism(behaviors)→conscientiousness(posi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