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평가도구로서 초등교사 신규임용 시험의 성격과 타당도 분석

        김민조 한국초등교육학회 2019 초등교육연구 Vol.32 No.1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problems of elementary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 by analysing the nature and validity the examination as an evaluation tool. The examination is characterized to be norm-oriented and high-stake evaluation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validity of elementary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 it is hard to confirm that the examination is based on theory about “excellent teacher” in terms of construct validity. As for content validity, the components of the examination reflect in part a set of competency and the questioning items are hardly to ask what needs to be asked. In addition, it is hardly positive that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 contributes to developing teacher education colleges as well as securing quality-based teachers. As a result, there are three conclusive points. At first, the examination has a nature of norm-oriented and high-stake test while emphasizing fairness and objectiveness rather than validity. Secondly, further measure to widen the degree of validity has to be made in a short term while conceding that the current system of examination-based employment is limited. Lastly, a paradigm shift of the selection process needs to be taken beyond competition-based examination in a long-term. 본 연구는 교육평가도구로서 초등교사 신규임용 시험의 성격과 타당도를 분석함으로써 초등교사 신규임용 시험을 둘러싼 문제의 본질을 보다 명확히 드러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초등교사 신규임용 시험은 일정한 자격을 갖춘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규준지향평가, 고부담평가라는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초등교사 신규임용 시험의 타당도를 분석한 결과, 구인타당도 차원에서 신규임용 시험이 ‘우수한 교사’에 대한 이론에 기반하고 있다는 근거를 명시적으로 확인하기는 어려웠다. 내용타당도 차원에서 신규임용 시험 전형요소들이 우수한 교사의 역량을 부분적으로만 반영하고 있었으며, 임용시험 문항들 역시 평가하려는 내용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타당도 차원에서 신규임용 시험이 우수한 교원 확보와 교원양성기관에 대한 긍정적 기여 보다는 부정적인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론을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규준지향 평가, 고부담 시험이라는 성격으로 인해 초등교사 신규임용 시험은 타당성 보다 공정성 및 객관성에 주력하는 특성을 가지게 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단기적으로 초등교사 신규임용 시험 자체의 한계를 인정하되, 제한된 범위내에서라도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의 탐색이 필요하다. 셋째, 장기적으로 초등교사 신규임용 시험에 대한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초등교사 신규임용 정책의 개선방안 탐색

        신광호 한국교원교육학회 200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초등교사 신규임용 정책의 합리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초등교사 신규임용 정책을 분석하여 초등교사 신규임용 정책의 개선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분석과 함께 관련 집단 1,500명을 대상으로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는 x2검증과 일원변량분석,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능한 교사를 양성임용함으로서 교사의 전문성을 확립하고자 한 초등교사 신규임용 정책 이념은 타당하게 설정되었으며, 초등교사 양성교육의 정상화, 우수한 교사의 선발, 임용권자의 자율성 확대 등에 있어 일정 부분 기여한 점은 인정되나 정책의 영향이 미미하거나 부정적인 측면 또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 초등교사 신규임용 정책이 전체적으로 수혜자의 요구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초등교사 신규임용 정책의 효과성을 높이고 우수한 교원의 확보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 대안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중등미술교사 임용 제도의 현황에 기초한 개선방향 탐색

        김형숙(KIM Hyungsook),최한울(CHOI Hanwoul) 한국미술교육학회 2013 美術敎育論叢 Vol.27 No.3

        본 연구는 중등교사신규임용후보자선정경쟁시험(이하 임용시험)에 관한 연구로서 미술교사 신규임용제도를 분석하고 현직 미술교사의 임용시험에 관한 경험과 견해를 토대로 미술교사 양성과 선발과정에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기존의 미술과 임용시험에 관한 연구에서 미술교사들의 경험과 견해를 분석한 연구는 이루어 지지 않고 있었다. 그러므로 실제 임용시험과 학교현장을 경험한 미술교사들을 대상으로 신규임용제도를 분석한 것은 미술교사 신규임용제도의 실질적인 타당도를 높일 수 있는 기초연구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술교사들의 목소리를 통해 신규임용제도의 현안을 파악하고 학교현장과 임용시험의 연계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과 개선안을 도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secondary school art teachers' experiences of appointment examination and proposes the means to improve the appointment examination. It analyzes the appointment system for new art teachers and aims to find meaningful implications in the current training and selection system based on the experiences and opinions of those who have taken the examination. To fulfill the purpose of this study. five art teachers participated in an in-depth discussion to provide their opinions on the current appointment examination. The frequency and cross analysis of the collected survey results performed. and the recorded in-depth discussion was transcribed with an analysis per topic of the discussion followed.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are as the following. First. the teachers thought that the imbalanced supply and demand of art teachers create a hyper-competition which causes both individual and societal damage. Therefore. license without examination should be promoted long-term. and demand strategy is necessary. Second. the appointment examination does not reflect the field. In order to address this. the evaluation of practical teaching skills should be further promoted. and the necessary evaluation method needs to be studied. Detailed evaluation tool is needed for both teaching demo and interview evaluation. Third. the centralized appointment system bears the risk of conformity. and research on art teacher-specific appointment examination is necessary. Previous research on art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left behind the analysis of experience and opinion of current art teachers. Therefore. research that focuses on art teachers who have first-hand experience in training and the appointment examination can address the validity of the appointment system. Therefore. this research provides significant implications in that it assessed the current status of the system and proposed the measures to improve the relevance between the appointment examination and the actual practice of teaching discussed in terms of the current status through art teachers' experience.

      • 신규교사의 임용시험 선발관리의 한계와 개선방향

        전제상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6 敎育論叢 Vol.53 No.2

        흔히들 교육의 질은 교원의 질을 능가할 수 없다는 말과 같이, 신규교사의 임용시험에 있어서 선 발관리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교원은 교직전문가로서 적합한 인재가 선발될 수 있도록 선발관 리의 전문화가 전제되어야 한다. 그러나 신규교사 임용시험 선발관리의 주체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으나 이의 적합성 등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이에 신규교사 임용시 험 관리 운영 실태와 문제점, 쟁점과 개선방향에 관한 전문적인 탐색이 필요하다.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중심의 운영에 의한 문제점으로는 신규 임용 시험 관리 기능에 초점, 2차 시험 채점에 대 규모 인력과 예산이 과다 소요, 신규교원 임용시험 참여로 고유 업무 수행 곤란, 신규교원 임용 시험 관리체제의 탄력적 대응 한계 등이 제기되고 있다. 초?중등신규교사 시험 관리 기관 설립 방안으로는 조합 유형, 법인 유형, 제3기관 수탁유형, 시·도교육청 자체 출제, 복수기관 분산형으 로 제안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신규교사 임용시험 관리 전담 기구의 설립이 필요하다.

      • KCI등재

        중등교사 신규임용 후보자 선정 경쟁시험 가정과 교과교육학 출제 문항 분석

        김성숙,채정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items in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for secondary school. To achieve the purpose, all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items, which were carried out for seven times from the school year 2001 to the most recent year 2007,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form of items was analyzed by frequency and rate. Behavioral domain of items was analyzed by content analysis. In this study, some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for the quality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tems through discussion of science education and society education items, which were abstracted from the school year 2001 to the most recent year 2007.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 score ratio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tems was fluid as 20-30% from the school year 2001 to 2004 but it fixed as 30-35% since the school year 2005. In subcategory of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items accounted for highest ratio(43%). In the next thing, items of teaching-learning method(35%), evaluation(19%) and philosophy(3%) related to home economics education were followed in order.Second, the form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tems was coexistent form of single item and subordinate item from the school year 2001 to 2004. But it was changed into form of single item by 100% since the school year 2005. 논의 및 제언1. 요약 및 논의가정과 임용시험은 예비 가정과교사들의 학습방향을 결정지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임용된 신규 가정과교사의 질을 결정짓는 요소로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가정과 임용시험은 가정과교사에게 요구되는 전문성을 타당하고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통해 정한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 임용시험 중에서 특히나 가정과교사로서의 전문적인 능력을 평가해야 하는 가정교과교육학 문항수준 즉, 문항의 출제비율, 문항형태, 문항의 행동영역, 내용의 포괄성의 분석을 통하여 가정과 임용시험 문항에서 교과교육학 문항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과학군, 사회군 교과교육학 문항 중에서 추출된 사례문항과의 논의를 통해 가정교과교육학 임용문항의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 있다.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요약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1) 가정교과교육학 문항의 출제비율, 문항형태가정과 임용시험에서 차지하는 교과교육학 문항의 출제비율은 2001-2004학년도까지 20-30%로 유동적이었으나 2005학년도 이후 30%로 고정적인 비율을 보였다. 가정교과교육학 각 하위영역이 차지하고 있는 출제문항 비율에서는 교육과정이 43%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교수-학습법(35%), 교육평가(19%), 교육철학(3%) 순이었다.가정교과교육학 문항형태는 2001-2004학년도까지 단독문항의 형태와 한 문항에 여러 소문항으로 구성된 형태가 양립하였으나 2005-2007학년도 문항형태는 100% 단독문항의 형태로 변화되었다. 이는 2005학년도 이후 가정교과교육학 문항수의 증가로 나타났으며 문항수의 증가는 보다 폭넓은 내용영역에서 가정교과교육학 문항의 출제가 가능함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구체적으로 가정교과교육학 하위영역 문항의 출제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교육과정 문항은 제7차 교육과정 해설서에 제시되어 있는 내용을 직접적으로 묻는 내용이 대부분이었다. 교수-학습법 문항의 출제내용은 특정 교수-학습모형에 관한 교육의 효과, 장단점, 교사의 역할 등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뤘다. 교육평가에 관한 문항의 출제내용은 총 7문항 중 5문항이 수행평가에 관련된 내용이 출제되었다. 마지막으로 가정과교육철학에 관한 문항은 2005학년도에 가정과 사명에 나타난 하버마스의 세 행동체계에 관한 내용이 유일하게 출제되었다.그러나 교과교육학이 각 교과에서 다루는 보편의 지식과 기능을 ‘가르칠 수 있는 지식기능’으로 분별하고 선정하고 질서화 하는 일을 담당한다고(박인기, 2006) 했을 때, 가정과교사는 가정과교육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이론적 바탕이 되는 가정과교육철학의 이해가 요구되며 임용시험 출제내용에서도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중등 신규임용교사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 연구

        이효신(Lee, Hyosh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0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core competences of beginning teachers for secondary schools, investigate their perceptions of the core competencies and the relevant training programs, and develop the direction of effective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them. To do this, a literature review, experts interviews, a closed questionnaire, and written interviews were employed. In order to derive core competencies,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through interviews with experts based on literature analysis, and then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six experts in secondary education. Next, a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574 new secondary school teachers to identify their experiences and satisfaction of taking core competencies-based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perceived level of core-competencies. In addition, a written interview was conducted on 10 beginning teachers to investigate the effects and improvements of beginner teacher training. Nineteen core competencies were derived from 18 teachers major tasks in the six activity areas. Based on this, teachers perception of core competencies and their recognition of the completion of related training and the satisfaction of training were also examine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training course was suggested by reflecting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at the pre-employment training focus on teaching-oriented training, which is recognized as important by beginning teachers, and the post-employment training focus on classroom management and school administration-oriented training. Also, it is proposed to present the operation model for each subject considering factors such as training period, syllabus, training method, class operation, and instructor types which affect the satisfaction of the training. 이 연구는 중등 신규임용교사가 현장에 정착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역량을 도출한후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한 효과적인 신규임용교사 연수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 전문가 면담, 설문조사, 서면면담등 다면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먼저 핵심역량을 도출하기 위해 문헌분석을 바탕 으로 6명의 전문가와의 면담을 거쳐 설문지를 작성한 후 14명의 중등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574명의 중등 신규임용교사를 대상으로 핵심 역량 관련 연수이수 여부와 만족도, 핵심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보유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아울러 직무연수의 장․단점, 연수 이수 효과, 연수 개선사항 등을 조사하기 위해 10명의 중등 신규임용교사를 대상으로 서면면담도 실시하였다. 중등 신규임용교사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조사해 본 결과 6개 활동영역의 18개 주요 업무에서 19개의 핵심역량이 도출되었다. 이를 토대로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관련 연수 이수여부에 대한 인식과 연수 만족도를 조사하 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연수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먼저 임용 전 연수는 신규임용교사들이 중요하게 인식하는 수업 중심의 연수에 중점을 두고, 현장배치 후에는 생활지도와 업무처리 관련 연수를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점을 반영하여 임용 전․후 연수교육과정(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연수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연수 시기, 교과목의 구성, 연수방식, 수업운영, 강사유형을 고려한 교과목별 운영 모델을 제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신규 초등교사 연수 프로그램 운영 및 교육과정 비교 연구

        원덕재(Won, Deog-Jae),이선희(Lee, Seon-Hee),남미(Nam, Mi),권동택(Kwon, Dong-Taik) 한국비교교육학회 2019 比較敎育硏究 Vol.29 No.4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운영되고 있는 신규 초등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운영 및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현행 초등 신규교사 임용후보자 직무연수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개선 방향을 제시함에 있다. [연구방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 17개 교육연수원에서 설계하여 운영하고 있는 신규임용예정자 연수를 문헌분석을 통해 비교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신규임용예정자 연수의 형태는 다음과 같이 공통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첫째, 신규임용예정자 연수의 중요함을 인식하고 5일 이상 기간과 합숙 중심의 연수를 지향하고 있다. 둘째, 신규교사로서 기본적으로 갖추어야할 역량 함양 프로그램을 교육과정에 종합적으로 편성하고 있다. 셋째, 다양한 교육현장 정보를 공유하고 개인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연수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다. [결론] 연구결과에 따라 신규임용예정자 연수의 연수 내용 및 운영 방향을 6가지로 제안하였다. 다만, 본 연구는 직무 연수 계획 및 운영 자료로 한정되어 접근했기 때문에 실제 운영 측면에서의 문제와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urr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b training, [Methods] Literatur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new elementary teacher training program plan.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training of new appointees are as follows. First, it should be reinforced with various contents - coping ability and problem-solving - oriented training contents in inter teacher & student interaction. Second, we should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fear and demand) of the new teacher in the step of teacher growth (development). Third, it should be centered on cultivating useful and important core competencies within a limited number of hours. Fourth, the basic course at the national level should be systematically presented, and a training program should be run that characterizes policy directions and tasks for each province. Fifth, interactive debate and dialogue should be strengthened so as to achieve abundant indirect experience and consciousness growth in the teaching profession. Sixth, it is necessary to systemize the job training according to the step of teaching growth (development) and to improve the training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after the training of the new appointment.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six types of training contents and management directions for the new prospective candidate training are proposed. But, this study is limited to job training plan and operation data, there is a limit to suggest problems and improvement direction in actual operation sid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various approaches to improve the system of job training.

      • KCI등재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 문항에 나타난 과학교육학 이론의 분석

        이봉우 ( Bong Woo Lee ),심규철 ( Kew Cheol Shim ),신명경 ( Myeong Kyeorig Shin ),김종희 ( Jong Hee Kim ),최재혁 ( Jae Hyeok Choi ),박은미 ( Eun Mi Park ),윤지현 ( Ji Hyun Yoon ),권용주 ( Yong Ju Kwon ),김용진 ( Yong Jin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at kinds of science education theories are targeted in the “Examination for Appointing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EASST).” For the analyses, we extracted the contents related to the science education theories in the question items of the EASST of 2008 through 2012, and categorized those theories into science curriculum, history of science and philosophy of science, scientific inquily, theory of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assess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theory of teaching and learning appeared most frequently and there were high proportions of question items related to the following topics: contents in science curriculum, scientific method, contemporary philosophy of science, process of inquily, Ausubel`s theory, learning cycle model by Lawson, cooperative learning, criteria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etc. While we, as science educators, believed that the other categories such as ``history of science`` provides important topics for pie-service science teachers, questions items dealing with those were rarely found in the past EASSTs. As EASST has strong influences 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more research should be pursued on how much and what domains of science education theories would be appropriate for the test.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과학교사신규임용후보자선정경쟁시험(이하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의 문항들에서 어떤 과학교육학 이론이 제시되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최근 5년간 시행된 중등과학교사 임용시험의 과학교육학 관련 문항들은 과학과 교육과정, 과학사 및 과학철학, 과학 탐구, 과학 교수학습이론, 과학 교수학습모형, 고학 평가 등의 6가지 영역으로 분석하였다. 그 겨로가, 과학 교수학습이론이 다른 영역에 비해 가장 많이 출제되었고, 각 영역 내에서는 ``차시별 교육과정의 내용요소``, ``과학적 방법``과 ``현대과학철학``, ``탐구과정요소``, ``오수벨의 유의미학습``, ``로슨의 순환학습``과 ``협동학습``, ``수행평가 준거 개발`` 등에서 많은 내용이 출제되었다. 반면에 과학교육자들 사이에서 ``과학사``와 같이 예비 고학교사에게 중요한 주제로 여겨지지만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에서는 출제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영역도 많이 있었다.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이 예비교사들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노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예비교사들이 익혀야 할 과학교육학 이론의 양과 수준에 대해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중등학교 교사 신규채용제도 비교 분석

        김이경(Kim, Ee-Gyeong),안지윤(Ahn, Ji-Yoon),위화구(Wei, Hua-Ou) 한국비교교육학회 2014 比較敎育硏究 Vol.24 No.3

        중등학교 교사의 신규채용제도는 교직에 적합한 인재를 충원하는 시작점일 뿐만 아니라, 교원양성 방향과 프로그램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다. 그러나 양적 수급조절에 치우쳐 적격자 선발이라는 본래의 기능에 충실하지 못하다는 문제인식에서 본 연구는 유사한 상황에 직면해 있는 한국과 중국의 중등학교 교사 신규채용제도를 비교 관점에서 분석한 후 시사점을 도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변천과정 및 변화동인, 자격요건, 선발방식을 준거로 삼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의 중등학교 교사 신규채용제도의 변화에는 사회ㆍ경제적 요인이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선발의 적합성보다는 교원의 양적 수급 불균형 해소가 주된 변화 동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양 국가 모두 신규채용의 전제 조건으로 교사자격증을 요구하고 있으나, 교사 자격을 검증하는 기제가 취약하다는 점은 공통적인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셋째, 교직 적성을 갖춘 우수한 인재를 선발한다는 목적 하에 양 국가는 각기 다른 접근을 채택하여 선발방식을 부단히 변화시켜 왔으나 교원수급의 조절 실패 및 과잉공급된 지원자를 선별하기 위한 객관성과 공정성의 강조로 인하여 교사로서의 적합성 검증기능은 한계를 노정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등학교 교사 신규채용제도가 양적 수급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교직에 적합한 인재를 충원하기 위한 질적 접근을 지향해야 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importance of selection method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have gathered attention due to their enormous influence on the pre-service education programs. However, scholars and practitioners are skeptical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measures, especially under the condition of teacher oversupply found in South Korea and China. Based on this problem statement, this study seeks to compare the secondary teacher employment methods of the two countries to better understand the situations as well as to draw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We reach the following conclusions through comparative analyses. First, the reforms of the teacher employment system in both countries have been triggered by the quantitative supply concerns not by the qualitative concerns. Second, both countries require teaching license as a precondition of employment, while their quality assurance measures for the license reveal critical limitations. Third, both countries have attempted to improve selection methods; nevertheless, oversupply of prospective teachers makes objectivity and fairness more important than the appropriateness. Based on the conclusions, policy implications focusing on the quality-oriented approach are suggested in order to employ effective secondary teachers who can contribute to the quality improvement of school education.

      • KCI등재후보

        초임 기술교사의 '신임임용교사연수'만족도와 교육요구

        이명훈,나승일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6 實科敎育硏究 Vol.12 No.3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measure the satisfaction and the needs of beginning technology teachers about the training program for new teachers. The population for survey was all beginning technology teachers who were employed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1, 2003 to September 1, 2005 in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researchers, which consisted of 19 scales. The questionnaire was sent to the sample by mail. One hundred ninety seven out of 339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Through data screening process, 187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Beginning technology teachers were dissatisfied with the training program for new teachers. Especially, they were dissatisfied with educational method and educational contents of the training program. They preferred affaires practice than other educational methods. And they preferred the incumbent teacher as a training educator. The most desired educational content of training program for new teachers was technology practice guid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