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담론의 균열과 지식인의 위치

        이상옥(Lee, Sang-ok) 우리말글학회 2013 우리말 글 Vol.57 No.-

        이 글은 식민지말기 제국 담론의 균열에 관한 새로운 접근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기존의 논의에서는 대개 지배 담론을 모방, 반복/확대 재생산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균열의 흔적들을 제국 담론의 본질적 한계로 해석하고는 한다. 하지만 균열의 문제는 그리 단순하지 않다. 왜냐하면 중일전쟁(1937.7)에서 태평양전쟁(1941.12)으로 이어지는 식민지말기의 전시상황에서, 제국 담론 균열은 제국/식민지 담론공간이 생성되는 기원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주지하듯이 중일전쟁의 고착화/장기화로 인해 제국 일본은 전시체제의 구축을 위해 식민지 조선과의 관계를 재정립한다. 흔히 황국신민화 정책이라 일컬어지는, 황국신민의 서사 제정, 조선교육령 개정, 육군지원병제도 실시, 국어(일본어) 전용, 창씨개명 등 식민지 조선(인)의 적극적인 전시협력/전쟁동원을 요구/명령하기 위한 일련의 제도적 장치들은 그 구체적 산물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문제는 원활한 전시협력/전쟁동원을 요구/명령하기 위해 식민지 조선을 제국의 경계 내부로 포섭/포획하려고 하면서도 제국의 지위를 그대로 유지하고자 했던 식민 지배 권력의 이율배반성이다. 이로 인해 “국책담론”은 일관성이나 구체성을 가지기 어려웠고, 담론적 이상과 현실 사이의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그동안 이와 같은 균열의 흔적들은 제국 담론의 불완전성/비완결성을 증명하는 근거로 활용되어 왔다. 하지만 식민지말기 전시국가 총동원(총력전)체제 구축을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국책담론들은 애초부터 완결되지 않은 상태로 식민지에 던져진 것이었고, 당연히 조선의 현실에 적용되었을 때에도 다양한 문제점이 표면화될 수밖에 없었다. 그렇지만 피식민지인의 적극적인 전시협력이 “필수불가결한” 사항으로 부각된 식민지말기의 상황에서 그러한 담론의 균열은 어떻게든 봉합되어야만 하는 것이었다. 조선의 지식인들이 제국/식민지 담론공간으로 호명된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었다. 그리고 “서구 근대의 파국”으로 상징되는 세계사적 정세를 바탕으로 “근대의 초극”이라는 일본의 탈근대적 이상을 새로운 시대의 패러다임으로 받아들였던 식민지 조선의 친일파시즘 지식인들은 “국책담론”에서 나타나는 균열을 봉합하는 “지식인의 책무”를 수행함으로써 자신들의 지적 담론공간과 위치를 창출할 수 있었다. 이렇게 볼 때, 식민지 지식인들은 제국 담론의 균열 속에 존재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explain the crack of colonial discourse in the late colonial era. Existing discussions interpreted as inherently limits of colonial discourse, imitation of the dominant discourse and the cracks that appear in the process. However, the problem of crack is not so simple. Because, in the situation of the late colonial period, leading to the Sino-Japanese war in the Pacific War, the crack of colonial discourse is the origin that forming the space of empire/colonial discourses and discourse system of interpellation and response. Since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imperial Japanese is Redefining the relations with Colonial Korea to build a system of war. But the problem is contradictions of dominant power that subsumed to the colony inside the boundaries of the empire, but wanted to retain the status of the empire. As a result, the cracks between the discursive ideal and the reality will occur. Meanwhile, signs of cracks has been used as evidence to prove the imperfection of the dominant discourse. But the dominant discourse was thrown into the colony as a non-completion status. That"s why they called intellectuals of this colonial korea. Based on the world-historical situation, chosun intellectuals that embraced it as a new paradigm Japan"s postmodern ideal, has created a discourse space and intellectual position through the stitching of cracks appearing in the national discourse.

      • KCI등재

        제국의 시선과 식민지의 눈(들) -오태영의 『오이디푸스의 눈(2016)』을 통해 본 동아시아 연구의 향후 과제들-

        하신애 ( Ha Shin-ae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6 사이 Vol.21 No.-

        식민지 말기 연구에 있어서 `동아시아`라는 지역주의적 의제가 대두된 지 벌써 여러 해가 지났다. 이러한 지역주의(regionalism)적 관점은 일국(一國) 혹은 단일법역(法域) 중심의 연구로부터 한발 더 나아가, 각 세력 간에 축적된 구조적 연관성 및 공간 내부에 함의된 다차원성/유동성/혼종성에 주목함으로써 제국주의로 인한 위계/분할선들을 탈각시키는 한편, 현 시점의 자본·지식·문화의 전지구화에 대응하는 새로운 지역적 사유를 모색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제안되었다. 이러한 관점은 단일 체제에 대한 협력/저항의 이분법적 구도로는 포착해 낼 수 없었던 다채롭고 역동적인 인식/행위성들을 가시화 한다는 측면에서, 그간 “지역 내 불화와 갈등”을 조장하는 트라우마의 진원지(震源地)이자 파시즘의 단일 이데올로기로 점철된 절연지대(絶緣地帶)로만 여겨져 왔던 식민지 말기 연구를 통시적이며 다원적인 관점에서 재조명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이러한 지역주의적 관점에 입각하여 오태영의 『오이디푸스의 눈』을 분석함으로써, 식민지 말기 아시아/인식을 둘러싼 연구 과제들의 수행이 어느 지점까지 진전되었는지, 또한 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학술적 난관에 직면하게 되는지를 고찰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닌다. 오태영의 저작은 당대 조선의 지식인·문학자들이 “지역과 지방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결과물들을 생산하고 그곳에 새로운 위상을 부여”함으로써 제국의 담론에 대응하여 변주(變奏)·분열을 일으키는 과정들을 살펴보는 한편, “동아시아 지역 질서의 재편 과정 속에 나타난 식민지 조선의 위상 변동에 대한 고찰”과 더불어 “한국의 문화지정학적 위상 변동이 동아시아지역 질서, 나아가 세계 체제의 변화와 어떠한 관련을 맺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했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지닌다. 『오이디푸스의 눈』은 식민지 말기 조선 지식인·문학자들이 선보인 `어긋남` 및 `다중적 역학 관계`들이 어디까지 제국으로 수렴되는 것인지를 놓고 딜레마에 직면하기도 하지만, 당대 제국-식민지 공간이 담지했던 “다양한 관점들 및 존재 형식들”에 대한 고찰을 논의의 시작점에 놓고 있다는 측면에서 제국이라는 “지배적 결정 요소”에 대한 함몰로부터 한발 더 나아가, 향후 다원적/다중심적 아시아를 구성하기 위한 단초를 제공하는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위와 같이 오태영의 『오이디푸스의 눈』에 대한 고찰을 진행하는 한편, 이효석의 「은은한 빛(ほのかな ひかり」(1940)·김사량의 「향수(鄕愁)」(1942)에 대한 분석을 아울러 수반함으로써 『오이디푸스의 눈』에서 드러난 바 있는 동아시아 연구의 딜레마와 관련하여 향후 과제 및 전망을 제안하는 것을 부차적 목적으로 삼았다. 이를 통해 식민지 말기 아시아/인식을 둘러싼 차후의 연구들은 제국-식민지라는 거시적 단위들을 세분화된 역사적 행위자들로 다변화하고, 미국·중국·소련 등 당대 `아시아-세계`를 구성했던 다른 정치적 세력들을 논의의 내부로 끌어들임으로써 연구의 판도를 넓히는 한편, 제국-식민지의 정치지리적 경합을 규명하는 것에서 한발 더 나아가 자본·종교·예술·유흥 등에 의해 형성되는 문화지리적 공간성의 해명을 시도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O Tae Young`s Eye of Oedipus (2016) based on regional perspective, to assess the progress of latest research tasks surrounding cognitions of Asia in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academic difficulties researchers often face i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that tasks. The work of O examined how Choseon`s intellectuals·writers made variations and divisions corresponding to Asian discourse produced by Japanese Empire that time. It obtains its significance by checking two important matters-changing of colonial Choseon`s cultural geographic status revealed from reformational process of the East Asian regional order and its relevance with whole regime change in the world that time. In addition to such analysis about O Tae Young`s Eye of Oedipus, this study also attempt to analyze Lee Hyo-Seok`s “Soft Light” (1940) and Kim Sa-Ryang`s “Nostalgia” (1942) to propose henceforth tasks and prospects associated with East Asian study`s dilemma, pointed out in Eye of Oedipus previously. Through these examinations, this study suggest that subsequent researchers surrounding cognitions of Asia in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need to diversify macroscopic units such as the Empire or the colony to subdivided historical performers, and extend academical territory by getting other political groups which had contributed to regime change in Asia/world such as USA, Communist China, Soviet Union involved in internal discussions, and examine the cultural geographic spatiality formed by Capital, entertainment, art and religion, to go one step further from investigating of geopolitical contention between the Empire-Colony, which had already been tried.

      • KCI등재

        식민지 검열에서 법과 문학의 상호형성 ―식민지 말기 최정희 소설에서의 중층적 검열을 중심으로―

        이소영 한국법철학회 2012 법철학연구 Vol.15 No.2

        Historically censorship not only controled and manipulated literary text, but also acted as a promotive agent of creative writing. At the same time, such response of literature towards law sometimes lead to alteration of censorship policy and legislation. In other words, legal text writes contemporaneous literary text while literary text may also write legal text of the time. With an original perspective on mutual construction of law and literature, and through unique method of literary criticism of law, this article illustrates multi-layered censorship exposed in late-colonial literature, especially in novels of Choi Jeong-Hee. The research interest of this article may generally be divided into two. First one is on mutual construction of text, or the intertextuality between law and literature. It aims at observing how the colonial narrative, which had been unable to be grasped either in nationalistic dichotomy of resistance/collaboration or in colonial fascism studies, generate various literary techniques and simultaneously make cracks in legal policy on censorship. In order to make such observation, a brief study on structure and content of legislation and legal policy of censorship has been made[II], followed by an illustration of the condition of mutual alteration between literary text and legal text in the course of detouring or evading censorship[III]. Insomuch as the literary techniques to detour or avoid censorship internally take part in writing and re-writing literary and legal text, another question related to the second research interest of this article may be raised as following: what would be the case of literary text that already internalized censorship?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 studies on internalization of censorship in colonial literature were based on the resistance/collaboration dichotomy. However pro-Japanese writings in late-colonial period may not merely be passive submission to enhanced pressure of imperialistic censorship, neither is it a total break-off from the writer's intrinsic outlook on nation, morals, or literature. Particularly with the case of female writers, it may be presumed that they had been double or even triple pressured by both imperialistic authorities and nationalistic movements to illustrate the mother of militant nation on one hand and the innocent little sister of ours on the other hand. They must have had experienced multi-layered censorship of imperialism, nationalism and gender. Thus this article made 'literary criticism of law' with three signature short stories of Choi Jeong-Hee, a female writer known for pro-Japanese collaboration during late-colonial period, to detect how such multi-layered censorship activated in her literary world[IV]. 역사적으로 문학은 단지 검열에 수동적으로 간섭받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문학텍스트 형성의 한 동인으로 작용하며, 그러한 문학의 대응은 검열법제의 회로변경을 유도하기도 한다. 법텍스트가 동시대의 문학텍스트를 ‘쓰기’도 하고, 그 역방향 또한 가능한 것이다. 본고는 ‘법과 문학의 상호형성’이라는 고유한 관점을 갖고, 법문학비평의 고유한 방법론을 통하여 식민지말기의 문학, 특히 최정희 작가의 소설들에서 찾아볼 수 있는 중층적 검열을 다루었다. 본고의 연구관심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 번째는 검열법제․법정책과 문학의 텍스트적 상호형성에 관한 것이다. 저항/협력의 민족주의적 이분법이나 식민파시즘연구에서 포착되지 않는 식민지의 내러티브가 어떻게 검열을 우회하기 위한 다양한 문학적 기법들을 생성해내고, 이로써 검열법정책 안에 빈틈을 만드는가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식민지 시기의 검열법제와 법정책의 대략적인 구조와 내용을 확인하고[II], 그러한 식민지 검열장 안에서 법과 문학이 서로에 대응하고 서로를 형성하는 차원들, 즉 검열을 우회하기 위한 다양한 문학텍스트적 변형들과 그 기법들이 다시금 법제에 변화를 가져오는 양상을 살펴보았다[III]. 이처럼 검열 우회의 기법들이 법텍스트와 문학텍스트를 쓰고 지우고 다시 쓰는 과정에 내적으로 관여하였다면 검열 수용, 즉 검열을 내면화한 경우는 어떨까? 여기서 본고의 두 번째 연구관심이 출발하였다. 검열내면화가 문학에 남긴 흔적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대개 저항/순응의 이분법에 기초한 친일문학연구의 일환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작가들의 친일적 글쓰기는 전쟁선전물 생산 압력과 검열에 단지 수동적으로 굴복한 것만도 아니고, 이전에 가지고 있던 민족관이나 도덕관, 문학관 등과 단절되어 있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식민지 여성작가들의 경우에는, ‘기존 여성성의 규정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총동원체제 국가의 동원논리로 재규정한 군국의 어머니상’을 그려내도록 강요받는 한편, 민족주의 담론으로부터는 아버지의 부재 상황에서 지켜주어야 할 ‘가녀린 우리 누이상’을 그려줄 압력도 받았을 것이다. 이들에게는 식민지 여성에 부여된 젠더적 역할규정이 제국의 제도적 검열과 도덕적 민족주의의 내적 검열과 더불어 또 다른 검열기제였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식민지 말기에 활동하였던 여류작가이면서 친일작가로 분류되는 최정희의 작품들에 대한 법문학비평을 통하여 제국․민족․젠더의 중층적 검열기제들을 찾아내어 보았다[IV]. 이로써 본고는 제국․민족․젠더의 중층적인 내면화된 검열이 이른바 ‘전향’과 ‘변절’ 이전과 이후를 관통하며 한 작가의 작품세계 안에 숨어 작동함을 보았다. 제국의 제도적 검열과 민족적 도덕의식의 유령적 검열 사이에 선 주체의 공포, ‘군국의 어머니’와 ‘민족의 누이’ 양편 모두에 동근원인 아버지의 법의 옭아맴, 그리고 중층적 검열이 만들어낸 선망과 반감, 부채의식과 죄의식은 ‘본격적 친일저술’ 전후를 넘나들며 일관되게 드러난다. 오히려 달라지는 것은 그러한 중층적 검열기제에 대한 문학적 내러티브의 대응이다. 공포로 앓으며 낯설음에 떠는 데서 순종적이면서도 불순한 복종을 하는 것으로, 이어 내면에 기입된 중층적 검열기제들을 문자 그대로 ‘수행’함으로써 자기존재성과 더불어 소멸시...

      • KCI등재

        막부(幕府) 말기의 가인(歌人) 연구 - <殉難遺珠>를 중심으로 -

        박상현 동아시아고대학회 2014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6

        일제강점기하 식민지 조선에서 이광수, 서두수, 김억은 일본의 전통 시가(詩歌)라 불리는 와카(和歌)를 우리말로 옮겼다. 이들이 번역한 와카 번역 텍스트 가운데 본고 에서는 대동아전쟁이 한창이던 1943년 9월부터 이듬해인 1944년 3월까지 총 6회에 걸쳐 김억이 막부(幕府) 말기의 우국지사(憂國之士)로 미화(美化)된 인물과 그들의 와카를 조선어로 번역한 <殉難遺珠>를 고찰했다. 김억의 와카 번역 텍스트인 <殉難遺珠>에는 47명의 가인(歌人)과 55수(首)의 와카 가 수록되어 있는데, 본고에서는 주로 김억에 의해 번역․소개된 가인이 어느 시대의, 어떤 인물이었는가에 대해 검토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즉, 그들 은 대부분 시기적으로는 에도막부(江戸幕府) 말기에 활동했고, 계급적 및 사회적으로 는 무사와 지사(志士)였으며 비교적 젊은 나이에 사망했다. 그리고 그 상당수가 정치 적 캐치프레이즈로 ‘존왕양이(尊王攘夷)’ 곧 ‘천황을 받들고 외세(=서양)를 물리치자’를 내세운 인물이었다. 결국 김억이 에도막부 말기에 ‘순국’했다고 칭송되는 우국지사를 굳이 대동아전쟁 기의 식민지 조선인에게 이식하고자 했던 것은, 막부 말기 애국지사의 기억을 불러내 어 당시 수행 중이던 대동아전쟁에 프로파간다로 활용하여 제국일본을 위해 ‘순국’하 는 신민의 정신 자세를 식민지 조선인에게 옮겨 심고 싶었기 때문이었다.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Lee Gwang-su, Seo Doo-soo and Kim Eok translated waka (a form of Japanese poetry) into Korean for Koreans. Of these translations, this study analyzed Zyunanyuizyu in which the patriots and their wakas during the late Edo period were translated into Korean by Kim Eok six (6) times in total from September 1943 to March 1944 when the Pacific War was in full swing. Zyunanyuizyu covered 47 kazins and 55 wakas.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general information of kazins translated and introduced by Kim Eok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most kazins were active in the late Edo period, and they were mostly warriors, patriots and activists. Many of them insisted ‘Serve Japanese Emperor and Destroy Foreign Invaders’ and died at a young age. When Zyunanyuizyu was being introduced to Korea, the Pacific War was in full swing. Then, ‘Patriotism’ and ‘Kitikubeiei’ were insisted. Kim Eok attempted to implant the patriotism and loyalty of the late Edo period in the Korean people during the Pacific War because he wanted to recall and use the patriots’ memory from the late Edo period as propaganda during the Pacific War.

      • KCI등재

        1940년대 초반 식민지 조선에서의 영화 정책의 특징적 양상 (1940~1942)

        함충범(Ham, Chung Beom)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서강인문논총 Vol.0 No.35

        한국영화사에서 ‘일제말기’가 특별하게 인식되는 이유는, 당시 영화계가 전반적인 변화에 직면하였으며 그것이 특수한 배경 하에서 동시기 시대적 흐름과 매우 밀접하게 관계하기 때문일 것이다. 실제로 중일전쟁 이후 조선영화계는 크게 바뀌게 되는데, 이는 특히 1940년대 식민지 조선에서의 영화 정책에 기인하는 측면이 강하였다. 당시 영화 정책에 있어 ‘조선영화령’이라는 법령의 도입과 그 내용의 핵심을 이루는 영화인 등록제 및 영화사 허가제에 따른 영화계의 변화상은 가장 주요한 계기와 결과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이 부분에만 방점을 두다 보면, 영화 정책의 제도화에 대한 총체적인 원인 및 지속적인 과정에 대한 정확한 파악과 심층적 이해가 동반되지 못할 수도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조선영화령이 도입되는 1940년부터 사단법인 조선영화배급사와 사단법인 조선영화제작주식회사가 설립되는 1942년까지를 주된 시간적 범위로 설정하고 관련 역사적 사실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논리적 해석을 시도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첫째, 극영화 제작 및 배급만이 아닌 뉴스영화와 문화영화를 포함한 영화 상영 및 관람 부문에 대한 정책 내용에 대한 구체적 조사. 둘째 조선과 일본의 영향 관계 및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분석적 파악. 셋째 영화 분야를 둘러싼 동시기 시대적 배경 및 그것과 영화의 관련성에 대한 명확한 이해. 본 논문은 1940년대 초반 식민지 조선에서의 영화 정책의 특징에 대한 고찰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조선에서의 영화 정책 변화는 당대 일본에서의 그것과 연동되어 이루어진 측면이 강하였다. 둘째, 그럼으로써 조선에서 영화(정책)는 제작, 배급 부문과 더불어 상영 부문의 역할과 기능이 강조되었다. 셋째, 정책적인 측면에서 극영화만큼이나 뉴스영화, 문화영화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넷째, 조선의 영화 상영, 배급, 제작의 통제 체제가 일원(화)적 양상만을 유지한 것은 아니었다. 다섯째, 이러한 과정을 거치며 식민지 조선영화(계)가 제국 일본영화(계)에 편입되며 위계화되는 경향이 짙어졌다. 그리고 여섯째, 이와 같은 변화 양상은 전쟁 상황 및 전시체제라는 동시기 시대적 특수성에 기인하는 것이었다. Special attention is paid to the last stage of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e history of Korean cinema because the cinema of the period faced a general change, which had a close relation with the specific conditions of the period. After the Second Sino-Japanese War, in fact, the Joseon cinema was to be largely changed, incomparable to any period in its history; especially this was evoked by the film policy of the 1940s. What this change was resulted from and in was the introduction of the Film Law (Joseon Yeongwhayeong), its license system for film productions and filmmakers that marked the Law. The history of Korean cinema pays much attention on this point, but this might lead to underestimate the fundamental reason for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film policy of the 1940s and its development and the deeper understanding of it. By closely examining and acutely analyzing the period from 1940, when the Film Law was announced, to 1942 when Joseon Cinema Company (Joseon Yeongwha Jusikwheosa), this paper aims to first examine the film policy of not only film exhibition but also film production and distribution for feature films including newsreel and culture films: second to the relation between the Joseon film policy and that of Japan: third to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of the period and their relations with the Joseon cinema of the period. First, this paper will argue that the changes Joseon cinema made during this period were closely, directly associated with that of Japan. Second, because of this close relationship, the film policy of the 1940s paid much more attention to the film exhibition rather than the film production and distribution. Third, it interested in newsreel and culture films as much as feature films. Fourth, this paper will show that the film exhibition,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were less unified. Finally, going through such changes, Joseon cinema became more subject to and dominated by Japanese cinema. Such changes cannot be realized outside the specific conditions of the Second Sino-Japanese War and wartime regime in colonial Korea.

      • KCI등재

        일제말기 식민지배 서사 연구 - 『대화숙일기(大和塾日記) 』 (1944)를 중심으로 -

        윤미란 ( Yun Miran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7 국제어문 Vol.0 No.72

        일제 말기 치안유지법망에 걸려든 조선의 `사상범`들은 사상범 처벌과 예방이라는 이중효과의 극대화를 위하여 사상범 교화기관인 대화숙(大和塾)에 입회하여야 했다. 경성대화숙 소장 나가사키 유조(長崎祐三)는 수산부(授産部)를 설치하여 보호관찰대상자들을 노동에 동원하였고, 여기에서 나오는 수입으로 `국어강습회`를 운영하였다. 『대화숙일기(大和塾日記) 』는 `국어강습회`의 선생님인 일본 여성 아사노 시게코(淺野茂子)의 유고 일기와 그녀의 죽음에 대한 추모글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식민지배 서사로서 기능한다. 그러나 한편 일제말기 조선인의 황국신민화에 기여하고자 하는 `국어강습회`의 목적을 반영하면서 동시에 그것에 반하는 성격을 드러내기도 한다는 점에서 다층적이고 자기모순적인 텍스트이다. Daehwasuk(大和塾) was the institution established to reform Chosen`s political offenders at the end of Japanese Imperialism. The manager of Gyeongseongdaehwasuk(京城大和塾), Nagasaki Yuzo(長崎祐三) headed the Susanbu(授産部), where Chosen`s political offenders were to work. He also led a Japanese course funded from Susanbu(授産部)`s budget. Diary of Daehwasuk(大和塾)(1944) was made from teacher Asana Sigeko(淺野茂子)`s diary and memorials written for her death. This text is a fine example of a narrative of colonial rule with multiple layers. This text demonstrates self-contradiction, as it contains narratives of colonial rule at the end of Japanese Imperialism and narratives with opposite meanings.

      • KCI등재

        식민지말기 『初等音樂』에 서사된 軍國主義

        김서은,김순전 일본어문학회 2014 일본어문학 Vol.65 No.-

        本稿では日帝末期に使用された朝鮮総督府編纂の唱歌教科書『初等音樂』を調べ、当時の時代的な状況の流れに従って、音楽教育がいかなるイデオロギーに変容されたかを考察することにある。まず第4次朝鮮教育令期に音楽教科書として施された『初等音樂』では、前期のとは違って、日常生活と結びつけて聴音の能力を育てようと尽くしたといえよう。鋭敏な聴覚の育成をこんなに大事にしたことは、戦場でわが軍機と敵機を区分出来、銃、鉄砲などの多様な武器の音を区別できる絶対音感が要求されたうえ、難しい「みくにの歌」をよく歌えるように指導するための目的を保っていたからである。『初等音樂』の内容は特に戦争の風景を赤裸々に浮き彫りする児童用の軍歌とも言える‘戦争唱歌’がそうとう載せてあることに気がつく。『初等音樂』に載っている戦争に関する唱歌は戦時状況が反映された歌で、歌詞に天皇、兵士、皇国人民(国民)、日の丸、大東亜などの用語がよく表れる。唱歌のテキストには戦争に関する唱歌が半分以上を占め、戦争体制下で日本帝国主義が施された‘軍国主義的教育’が如実に装置されてあるといえよう。それに歌詞に‘鉄’という二重的な掛詞の装置が挿入されてあって、鋼鉄のような堅い意志を象徴する精神的な側面にエスカレート․アップして戦争のための物資として鉄の大事さを児童に認識させたことがわかった。また唱歌の歌詞を通じて、强占末期に施された唱歌は、音楽性の鼓吹よりは軍国的な戦争を正当化したうえ、美化する教育であったことが分かる。

      • KCI등재

        골목안의 사정(事情)과 치유의 거짓말 - 박태원의 「골목안」을 중심으로 -

        황지영 ( Hwang-jiyoung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7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75 No.-

        식민지 말기에는 전시총동원체제가 발동되고 전시 불황이 만성화되었다. 이 시기에 창작된 박태원의 「골목안」에서는 식민지 조선인들의 삶이 물질적 측면뿐 아니라 정신적 측면에서도 붕괴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작품의 주인공은 과거에는 경제적으로 부유하고 양반이라는 지위를 누리면서 안락한 생활을 했지만, 지금은 ‘집주름’을 하며 생활을 영위한다.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에서 거리를 산책하며 근대의 도시공간을 탐색하던 구보를 그렸던 박태원은 이 작품에서 ‘골목안’을 서술의 중심 공간으로 설정하여, 공적 공간인 ‘거리’와 사적 공간인 ‘집’ 사이에서 펼쳐지는 식민지 조선인들의 다층적인 삶을 그려낸다. 골목 안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생활은 시대적 상황과 맞물리면서 회복하기 힘든 위기를 맞이한다. 그래서 주인공 영감은 막내아들의 고등소학교 후원회 발기회에 참석해서 자신과 청중의 욕망이 반영된 ‘거짓말하기’를 통해 일시적이나마 삶의 회복을 꾀한다. 이 장면은 이 시기에 조선인들의 삶이 ‘진실말하기’를 통해서는 회복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음과 어그러진 시대 속에서는 어그러진 말하기의 방식, 즉 거짓말이 삶의 치유를 위한 장치로 기능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In the late colonial era, the general mobilization system for the wartime was invoked and the depression came to be chronic. 「In the Alleyway」 created by Park Tae-Won in this period shows lives of Joseon people in the colonial era collapsed both from physical and from spiritual aspects. In this work, a narrative is developed centered on an elderly man who lived a wealthy and comfortable life enjoying his status as a nobleman in the past but now as a ‘house broker’. Park Tae-Won, who depicted Gu Bo taking a walk through the street and exploring the modern urban space in 「One day of the Novelist Gu Bo」, in this work sets ‘In the alleyway’ as a central narrative space and describes a life presented between the ‘street’ of the public space and ‘home’ of the private. People living in the alleyway come to be faced with an irreparable crisis along with a periodic situation. Hence, the hero, elderly man attends a parents' general meeting for his youngest son and pursues recovery of the life through ‘lies’ reflecting the desire of his and the audience. It shows that in this period lives of Joseon people could not be recovered through the truth-telling and that in such an estranged period a mode of the estranged telling, or lies could be function as a device for curing the life.

      • AHCISCOPUSKCI등재
      • KCI등재

        1940년대 전반기 국민문학론의 혼란과 문학의 가능성

        이상옥(Lee, Sang-ok) 우리말글학회 2014 우리말 글 Vol.61 No.-

        이 글은 1940년대 전반기 국민문학론의 혼란과 그 원인을 살펴보고, 그 해석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기존의 논의에서는 대개 국민문학을 자명한/고정된 실체로 전제해 왔다. 하지만 국민문학은 애초부터 명확성과 구체성이 결여된 매우 추상적이고 모호한 대상이었다. 특히 국민문학 개념과 창작방법의 부재는 국민문학론의 혼란을 야기한 주요한 원인이었다. 식민지 조선의 친일파시즘 문인들은 근대적 문학 패러다임으로 ‘국민문학’을 해석했고, 대개의 경우 그 개념과 범주를 넓게 해석하려는 경향이 강했다. 문학의 가능성을 최대한 열어둘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었다. 국민문학을 정의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던 조선의 문인들과 달리 일본의 문인들은 삶과 생활의 문제와 결부시켜 국민문학을 쉽고 단순하게 해석했다. 하지만 그와 같은 단순한 정의에 내포된 문제는 국민적 자각의 문학적 재현이라는 것 자체가 지극히 주관적으로 해석될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이는 정치의 미학화의 극단적 형태인 비약과 간증의 문학이 성행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였다. 또한 국민문학이 국책문학 혹은 정치문학으로 특정되지 않은 이유, 그리고 국민문학의 핵심적 특질로 정신, 내면, 혼 등의 모호한 잣대가 제시된 것은 근대의 초극이라는 시대적, 지적 흐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근대에 관한 근본적인 초극을 지향했던 근대초극론을 바탕으로 식민지 조선의 국민문학은 일정한 문학적 자율성을 획득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explain the concept of chaos and politics quality of literature in the late colonial era. Existing discussions interpreted as inherently limits of colonial discourse, imitation of the dominant discourse and the cracks that appear in the process. However, the problem of crack is not so simple. Because, in the situation of the late colonial period, leading to the Sino-Japanese war in the Pacific War, the crack of colonial discourse is the origin that forming the space of empire/colonial discourses and discourse system of interpellation and response. Since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imperial Japanese is Redefining the relations with Colonial Korea to build a system of war. But the problem is contradictions of dominant power that subsumed to the colony inside the boundaries of the empire, but wanted to retain the status of the empire. As a result, the cracks between the discursive ideal and the reality will occu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