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족경제론의 식민지시대 역사인식 재조명

        조석곤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08 동향과 전망 Vol.- No.72

        사구체논쟁과 2차에 걸친 식민지근대논쟁을 통해서 우리는 식민지시대 인식을 심화시킬 수 있었다. ‘1차 논쟁’은 개발과 수탈의 일면적 파악으로는 더 이상 식민지시대를 이해할 수 없음을 보여주었다. ‘2차 논쟁’은 경제성장의 양적 규모의 측정도 중요하지만, 그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의 일상생활과 삶의 질의 변화 또한 중요함을 일깨워주었다. 이 주제를 다룸에 있어 박현채의 식민지종속형 자본주의라는 유형론은 매우 유용한 분석도구이다. 그는 식민지하 자본주의의 발전을 인정하면서도 그 과정을 식민지하 ‘민족경제와 국민경제의 괴리’라고 인식하였는데, 이는 ‘2차 논쟁’의 쟁점 중의 하나였던 식민지자본주의의 양적 성장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한편으로 진행된 분배상의 불평등의 심화라는 문제를 설명할 수 있는 방법론이 될 수 있다. 식민지종속형자본주의는 성장의 과실을 재분배하는 시스템으로서의 민주주의가 보장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기본적으로 불평등이 심화될 수밖에 없는 체제라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성장의 동력 또한 일본경제와 밀접한 분업구조 속에서만 작동되는 특징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이 체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식민지체제의 유지가 필수적이었다. 이러한 모순적인 경향은 식민지종속형자본주의의 장기지속성을 위협하는 요소였다. We can more deeply understand the colonial era after the social formation controversy in the 1980s and colonial modernity controversy(the first one in the 1990s and the second one in the 2000s). The first one shows that neither the concept of exploitation nor that of development grasp the accurate aspect of the colonial era, the second one make us aware of the fact that we should focus on the standard of living of common people living in colonial era as well as the aggregate economic growth in that times. The theory of subordinate capitalism under colonial rule, argued by Hyunchae Park, is regarded as one of the useful analysing tools about the theme. The subordinate capitalism under colonial rule was basically an system whose income inequality was deepened gradually, because the system did not have political democracy, a redistribution system of the economic growth. Nevertheless, because the motive of economic growth in the colonial era was generated by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ur within Japanese colonialism, the stability of this system was dependent on the continuance of the colonial rule. This inconsistency threatened the stability of the colonial economy in modern Korea.

      • KCI등재

        특집논문 : "문학 특집"이라는 식민지적 접촉의 위상학 -「조선(朝鮮),태만(台灣),중국신예작가집(中國新銳作家集))」(1936.1)과「조선현대작가특집(朝鮮現代作家特輯)」(1937.2)을 중심으로-

        신지영 ( Ji Young Shi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6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8

        본 논문은 1930년대 중반 「문학안내」에 실린 “문학특집”이라는 식민지적 접촉의 장에 초점을 맞춰, 프로 문학의 전향, 출판자본주의의 대두, 제국주의적 검열의 심화라는 세 가지 양상 속에서 ‘식민지 문학특집’의 장이 펼쳐졌음을 분석한다. 그리고 이러한 배치 속에서 ‘문학특집’에 수록된 작품들이 제각각 어떤 전략을 모색했는가를 원본(조선어)과 번역본(일본어) 사이의 차이를 통해서 살펴본다. 이때 제국/식민지 관계뿐 아니라, 제국 문단 속 대만과 조선의 위치가 서로를 어떻게 참조하면서 제국 문단을 내면화하고 또 제국 문단에서 비껴난 접촉의 공간을 형성했는가를 모색하려고 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사회주의 문학자들의 전향, 출판자본주의의 대두, 아시아로의 제국주의적 침략의 그림자가 뒤엉킨 상황 속에서 ‘근로자 대중’이 직접 창작하는 문학을 목표로 하여 만들어진 1930년대 중반의 「문학안내」라는 잡지의 성격을 일종의 독자란인 「안테나」에 초점을 맞춰 규명한다. 둘째로 프로문학의 교조성을 탈피한 대중성, 출판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 근로자 대중의 현실에 기반하고 그들의 손으로 생산하는 문학, 엄격한 검열에 대한 경계라는 양상 속에서 1930년대 중반의 「문학안내」의식민지 문학 소개의 장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때 1935년 10월부터 시작된 「새로운 보고」란의 식민지 문학 소개가 1936년 1월호의「朝鮮·台灣·中國新銳作家集」 과 1937년 2월의 「朝鮮現代作家特輯」로 이어지는 과정을 중국, 대만, 조선의 관계성 형성 속에서 고찰한다. 이때 대만과 조선이 서로를 어떻게 참조하고 제국 문단의 위계를 내면화 하는가를 비판적으로 논한다. 셋째로 1937년 2월의 「朝鮮現代作家特輯」 에 실린 작품들의 한국어 원본과 일본어 번역본을 비교하여, 각각의 문학자들이 제국 문단에 소개되는 기회를 전략적으로 이용하여 어떤 지점을 드러내려고 했는가를, 각 문학자들이 지닌 내재적 논리(자본주의 비판, 식민지주의 비판, 식민지적 근대성 비판)를 통해서 드러내고, 이러한 논리들이 대만의 작가들의 전략과 어떤 공통점을 지녔는가를 시사한다. 결론에서는 이것이 1940년대에 이것이 문학전집으로 묶일 때 무엇이 배제되는가를 1937년 2월 「문학안내」의 문학 특집과의 관련성이 강하게 보이는 「朝鮮文學選集」(1~3)(赤塚書房, 1940)의 편집의도를 통해서 살펴본다. 그리고 문학 특집과 문학 선집과의 제도적 연계가 지닌 가능성과 한계를 1940년대라는 문단적 사상적 상황을 통해 드러내고, 1940년대에 만들어진 조선 문학 특집과의 비교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했다. 1930년대 중반의 문단적 조건, 프로 문학의 전향, 출판자본주의의 대두, 제국주의적 검열의 심화라는 세 가지 양상 속에서 ‘식민지 문학특집’의 장은 펼쳐졌다. 그런 점에서 문학특집은 포섭과 탈주가 공존하는 장이었다. 이러한 배치 속에서 ‘문학특집’에 수록된 작품들의 원본(조선어)과 번역본(일본어) 사이의 차이를 비교해보면, 작가들이 제각각 지닌 논리(국제 사회주의 연대, 피식민지 지식인의 내면 묘사, 식민지 농촌 근대화 비판, 일본인들과의 다층적인 관계와 식민지 어촌, 하층민의 사투리) 등을 통해 번역했고 이것이 식민자로 하여금 새로운 소재=식민지 문학에 대한 호기심과 두려움을 동시에 갖는 원인이 되었다고 할 수있다. 또한 이때 제국/식민지 관계 뿐 아니라, 제국 문단 속 대만과 조선의 위치가 서로 경쟁하면서 상호 참조하는 과정을 밝혔다. In the middle of 1930’s, the proletarian literatures were undergoing conversions, the print capitalism was emerging and the imperial censorship was strictly imposed. Under the harsh circumstances, Bungaku annai [Literary guide] carried special literary issues. I examine the works in them with the focus on colonial contacts. I notice the different ways in which the works in them adopted the strategies for introducing themselves to the imperial world, while comparing the original versions with the translated ones. Besides, I look into the temporal space in which Choson and Taiwan interiorized imperial literatures by implicating each other and twisted or foiled them at the same time. Firstly, Bungaku annai aimed to produce and publish literary works created by laboring masses. It contained the section called “Antenna” which carried the readers’ opinions, which complied with the magazine’s plan. Thus, I deal with the sections to understand the nature and goals of the magazine. Secondly, I show the processes in which the magazine designed the introductory sections for the colonial literature, based on popularity free from the ideological code of proletarian creativity stemming from the laboring masses despite the harsh imposition of censorship. The introductory section named “Fresh Report”, which began in October, 1935, developed into “The Collection of New Writers from Choson, Taiwan and China,” which appeared in January, 1935 and “The Special Issue of Contemporary Writers from Choson,” in February, 1937. I consider the development and transitions in the light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na, Taiwan and Choson, with a critical discussion about the way how they implicated, compared and stratified one another. Thirdly, the works in “The Collection of New Writers from Choson, Taiwan and China” have their original versions and translated ones. Comparison between the two versions brings to light the way how the writers strategically utilized the chances to be introduced to the imperial literary world, and their criticism against capitalism, colonialism and modernity which they fostered in their inner minds. I suggest the logics and strategies the Taiwanese and Choson writers shared in common through making comparisons. Fourthly, there appeared “The Special Issue of Choson Literature” in the magazine Bungei [Literary arts] in July, 1940. It clearly shows the characteristic features in the early 1940’s, when the language, together with themes, was beginning to be incorporated into the imperial world and, thus, the “Choson” was “absent” from the colonial literary special issue. Then, writers were forced to write only in Japanese, whereas they, in the former days, could write in Korean and translate in Japanese. Here, they changed their strategies to represent their thoughts in the imperial literary situation. I treat the changing tactics they employed. Taiwan Koron [Taiwan opinion], which interiorized imperial literary systems, carried “The Special Choson Issue,” in December, 1943. None of the Choson writers, ironically, participated in arranging the Issue. However, Taiwan writers expressed their strong colonial emotions like competitiveness, empathy, jealousy and others toward the Choson literature and culture. By carefully looking into the Issue, I reify the colonial contact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aiwan and Choson. What is remarkable here are the situations in which the victims of imperialist’s violence sold out their suffering experiences (or imparting their information) to the metropole of the empire which inflicted damages on them and the situations in which the intellectuals in the diaspora resisted the centrality the metropole suggests and at the same time they interiorized the empire. Now we ask a question how they appropriate or avoid them. I examine them in terms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colonizer and colonized as well as between the colonized themselves. Together with them, I discuss the strategies the writers made use of when they translated their works into Japanese and expound their literary logics while deflecting the imperialist’s intents.

      • KCI등재

        토지로부터 분리된 농민과 투기자본주의 주체 사이

        권창규(Kwon, Chang-Gyu)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과학연구 Vol.0 No.55

        본 연구는 토지로부터 분리된 하층 농민들의 생존 모색 과정이 도박과 도둑질, 사기, 투기와 같은 일탈적 행위로 채워져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이를 분석했다. 농민들의 일탈적 시도를 보면 김유정의 향토소설에 대한 전통적 평가에서처럼 농민의 건강한 생명력을 읽어내기도 어렵지만, 그렇다고 무지한 농민이 돈에 대한 탐욕으로 비인간화되어 가고 자본주의적 규율을 벗어난 대가로 징벌을 받게 된다는 해석에도 문제가 있다. 이는 하층 계급에 대한 식민주의적 해석에 합류하거나 피상적인 자본주의 논의로 기울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인물들의 탈주를 농촌이 식민화되는 자본주의화 과정, 그리고 일제의 식민지자본주의와 투기자본주의 속에서 바라보고자했다. 하층 농민들이 보여주는 일탈적 시도는 식민지자본주의의 착취로부터의 탈피라는 의미를 갖는 동시에 위험이 일상화되고 동시에 일상이 위험에 처하는 오늘날 투기자본주의 속 일상의 모습을 예견하고 있다. 인물들이 맞는 예정된 실패의 결말 역시 자본주의 체제에서의 주변인들의 말로를 보여주면서 자본주의의 비합리성과 투기성을 폭로한다. This study focused peasants isolated from lands and their illegal act of Kim you-jeong`s short stories. Many studies about Kim you-jeong`s work have discussed about proletarians" vital power or their desire for money. But both points of view are inadequate. It is not true that characters have vital power because they are proletarians. Also it is irrational that proletarians are dehumanized by their greed for money and executed because deviated from capitalistic discipline. This study discussed proletarians` deviation in the colonized rural districts as well as under the speculative capitalism during 1930"s. The transition from isolated peasants to speculative capitalistic people also announces speculative people"s appearance in the present.

      • KCI등재

        기획논문 : 제국에 대한 학문담론과 지식 생산의 양태 ; 왜 『帝國主義下の朝鮮』은 없었는가? 야나이하라 타다오(矢內原忠雄)의 식민(정책)론과 대만,조선

        문명기 ( Myungki Moon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5 사총 Vol.85 No.-

        1945년 이전 일본의 대표적인 자유주의적 식민정책학자로 널리 알려진 야나이하라 타다오(矢內原忠雄,1893-1961)의 식민(정책)론에 대한연구는 이미 적지 않지만,개별 식민지에 대한 연구라는 관점에서 볼때 대만·만주·남양군도 및 인도 등에 비해 식민지 조선에 대한 야나이 하라의 학술연구가 상대적으로 훨씬 적었다는 점은,야나이하라의 조선에 대한 현실적·종교적 관심에 비추어 다소 의외이다. 왜 야나이하라는「帝國主義下の朝鮮」같은 저서를 남기지 않았던 것일까.본고는 야나이하라의 연구와 활동 이력을 따라가다 보면 자연스럽게 드는 이 의문에 답해보는 것을 일차적인 목적으로 한다.이 의문에 대한 해답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야나이하라가 수행한 식민(정책) 연구의 중요한 특질이 보다 선명히 드러날 수 있고,한 발 더 나아가서는 (특히)대만과 조선의 식민지로서의 ‘차이’와 그 의미를 보다 분명히 드러내주는 데 기여할 수도 있다. 기존 연구에서 지적한 식민지 조선 연구에 있어서의 외압은,단지조선 연구에 있어서만이 아니라 대만 연구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작동하고 있었다.따라서 야나이하라에게 조선 연구가 상대적으로 결여되었던 점은 연구 외적 문제가 아닌,연구 내적 문제에 대한 접근을 통해서 해결해야 한다.이 때 주목되는 것이 야나이하라의 식민지에 대한일반이론이다.야나이하라는,문명화 작용을 동반하는 실질적 식민,자치주의,그리고 양자의 결합을 전제로 한 “각 사회군의 필요가 조화된제국”을 상정하고 있었다. 이러한 일반이론에 입각하여 전개한 대만 연구의 결과,야나이하라는 ‘제국주의하의 대만’에 대해 “일본 식민지 중 가장 고도의 자본주의 화를 달성”한 것으로 보았고,이러한 자본주의화(=문명화)에 상응하는 ‘문명적 식민 통치’,즉 식민지의회의 설립을 요구했다.반면 조선에 대해서는 대만에 비해 체계적인 경제 분석이 없었고,조선의 자본축적과 재정 발달 역시 낮게 평가하고 있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만과 마찬가지로 식민지의회의 설립을 요구한 점은 동일했다.다시 말해서,대만의 경우 식민지의회의 설립은 자본주의화 달성의 ‘결과’였던 데 반해, 조선의 경우 식민지의회의 설립은 (아직 도래하지 않은)자본주의화 달성을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었다. 달리 말하면,야나이하라는 대만의 경우 자본주의화(=문명화)를 동반하는 ‘실질적 식민’의 실체가 가시적으로 존재한다고 인식한 반면, 조선의 경우에는 일본의 식민 통치가 정당화될 만한 충분조건이 마련되지 못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바로 이 점 때문에 식민지 조선 경제에 대하여 ‘침묵’했던 것은 아닐까. There are a lot of studies concerning Colonialism Studies by Yanaihara Tadao, who is well known as a passionate supporter of liberal colonial policies during pre-war period, but there is little studies which focused on his scarcity about studying colonial Korea. He was interested in almost all Japanese colonies including Taiwan, Manchuria and the South SeaIslands, but he did not express as much interest to Korea as to the other colonies, and this is very exceptional considering his academic career. Why did not he write a book like Korea Under Imperialism? This article tries to answer this question. The process of answering this question will help us better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his colony studies, and further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Taiwan and Korea as Japanese colonies. External pressure, which previous studies pointed out as a cause of Yanaihara’s lack of Korea studies,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case of Taiwan studies. Therefore we have to deal with this question from the other perspective, for example, from within his colonial studies. At this point, we have to pay attention to his general theory on colonies. He envisioned so called “substantial colonization” accompanying capitalization(=civilization), political principle of colonial autonomy, and“harmonious empire”in which necessities of each social group is well coordinated. He practiced Taiwan studies according to this general theory, and concluded that Taiwan has reached most highly capitalized society among Japanese colonies, and demanded so called“civilized colonial politics”, that is Taiwanese colonial assembly. In contras the lacked systematic analysis on Korean economy like Taiwan, and underestimated capital accumulation and finance development, but still insisted establishment of Korean colonial assembly. In other words, establishment of colonial assembly was the result of capitalization in Taiwan’s case, whereas establishment of colonial assembly was prerequisite of capitalization in Korea’s case. To sum up, Yanaihara thought that in Taiwan, the substance of“substantial colonization” accompanying capitalization existed in tangible form, but in Korea a sufficient condition through which Japanese government of Korea could be justified was not prepared yet. I think this led to Yanaihara’s silence on the economy of colonial Korea.

      • KCI등재

        왜 <帝國主義下の朝鮮>은 없었는가? ― 야나이하라 타다오(矢內原忠雄)의 식민(정책)론과 대만・조선

        문명기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5 사총 Vol.85 No.-

        There are a lot of studies concerning Colonialism Studies by Yanaihara Tadao, who is well known as a passionate supporter of liberal colonial policies during pre-war period, but there is little studies which focused on his scarcity about studying colonial Korea. He was interested in almost all Japanese colonies including Taiwan, Manchuria and the South Sea Islands, but he did not express as much interest to Korea as to the other colonies, and this is very exceptional considering his academic career. Why did not he write a book like Korea Under Imperialism? This article tries to answer this question. The process of answering this question will help us better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his colony studies, and further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Taiwan and Korea as Japanese colonies. External pressure, which previous studies pointed out as a cause of Yanaihara’s lack of Korea studies,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case of Taiwan studies. Therefore we have to deal with this question from the other perspective, for example, from within his colonial studies. At this point, we have to pay attention to his general theory on colonies. He envisioned so called “substantial colonization” accompanying capitalization(=civilization), political principle of colonial autonomy, and “harmonious empire” in which necessities of each social group is well coordinated. He practiced Taiwan studies according to this general theory, and concluded that Taiwan has reached most highly capitalized society among Japanese colonies, and demanded so called “civilized colonial politics”, that is Taiwanese colonial assembly. In contrast, he lacked systematic analysis on Korean economy like Taiwan, and underestimated capital accumulation and finance development, but still insisted establishment of Korean colonial assembly. In other words, establishment of colonial assembly was the result of capitalization in Taiwan’s case, whereas establishment of colonial assembly was prerequisite of capitalization in Korea’s case. To sum up, Yanaihara thought that in Taiwan, the substance of “substantial colonization” accompanying capitalization existed in tangible form, but in Korea a sufficient condition through which Japanese government of Korea could be justified was not prepared yet. I think this led to Yanaihara’s silence on the economy of colonial Korea. 1945년 이전 일본의 대표적인 자유주의적 식민정책학자로 널리 알려진 야나이하라 타다오(矢內原忠雄, 1893-1961)의 식민(정책)론에 대한 연구는 이미 적지 않지만, 개별 식민지에 대한 연구라는 관점에서 볼 때 대만・만주・남양군도 및 인도 등에 비해 식민지 조선에 대한 야나이하라의 학술연구가 상대적으로 훨씬 적었다는 점은, 야나이하라의 조선에 대한 현실적・종교적 관심에 비추어 다소 의외이다. 왜 야나이하라는 『帝國主義下の朝鮮』 같은 저서를 남기지 않았던 것일까. 본고는 야나이하라의 연구와 활동 이력을 따라가다 보면 자연스럽게 드는 이 의문에 답해보는 것을 일차적인 목적으로 한다. 이 의문에 대한 해답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야나이하라가 수행한 식민(정책) 연구의 중요한 특질이 보다 선명히 드러날 수 있고, 한 발 더 나아가서는 (특히) 대만과 조선의 식민지로서의 ‘차이’와 그 의미를 보다 분명히 드러내주는 데 기여할 수도 있다. 기존 연구에서 지적한 식민지 조선 연구에 있어서의 외압은, 단지 조선 연구에 있어서만이 아니라 대만 연구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작동하고 있었다. 따라서 야나이하라에게 조선 연구가 상대적으로 결여되었던 점은 연구 외적 문제가 아닌, 연구 내적 문제에 대한 접근을 통해서 해결해야 한다. 이 때 주목되는 것이 야나이하라의 식민지에 대한 일반이론이다. 야나이하라는, 문명화 작용을 동반하는 실질적 식민, 자치주의, 그리고 양자의 결합을 전제로 한 “각 사회군의 필요가 조화된 제국”을 상정하고 있었다. 이러한 일반이론에 입각하여 전개한 대만 연구의 결과, 야나이하라는 ‘제국주의하의 대만’에 대해 “일본 식민지 중 가장 고도의 자본주의화를 달성”한 것으로 보았고, 이러한 자본주의화(=문명화)에 상응하는 ‘문명적 식민 통치’, 즉 식민지의회의 설립을 요구했다. 반면 조선에 대해서는 대만에 비해 체계적인 경제 분석이 없었고, 조선의 자본축적과 재정 발달 역시 낮게 평가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만과 마찬가지로 식민지의회의 설립을 요구한 점은 동일했다. 다시 말해서, 대만의 경우 식민지의회의 설립은 자본주의화 달성의 ‘결과’였던 데 반해, 조선의 경우 식민지의회의 설립은 (아직 도래하지 않은) 자본주의화 달성을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었다. 달리 말하면, 야나이하라는 대만의 경우 자본주의화(=문명화)를 동반하는 ‘실질적 식민’의 실체가 가시적으로 존재한다고 인식한 반면, 조선의 경우에는 일본의 식민 통치가 정당화될 만한 충분조건이 마련되지 못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바로 이 점 때문에 식민지 조선 경제에 대하여 ‘침묵’했던 것은 아닐까.

      • KCI등재

        식민지배와 민족국가/자본주의의 본원적 축적에 대하여 : 『만세전』 재독해

        김항 ( Hang Kim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3 大東文化硏究 Vol.82 No.-

        이 논문은 염상섭의 『만세전』을 재독해함으로써 제국일본의 식민지배를 민족국가와 자본주의의 중첩된 본원적 축적이 담긴 텍스트로 재전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금까지 『만세전』 독해는 식민지 조선의 실상을 핍진하게 묘사한 자연주의적작품으로 자리매김되거나, 그 자연주의적 시각에 식민자의 시선이란 한계가 내재된 작품으로 비판되거나 해왔다. 그러나 『만세전』에는 자연주의와 식민자의 시선이라는 기존 독해와 다른 가능성이 내포되어 있는데, 이 작품에 등장하는 장소들이 식민지배가 내장한 민족국가와 자본주의의 본원적 축적을 가시화시켜주는 방법을 형상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론에서는 식민지배와 민족국가 및 자본주의의 본원적 축적이 맺고 있는 상관관계를 다양한 이론적 틀과 고바야시 다키지의 『게 가공선』을 중심으로 일별한 뒤, 가장 최근의 염상섭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살펴봄으로써 이 논문의 연구사적 위상을 가늠했다. 그 후 『만세전』에 등장하는 연락선과 부산이란 장소에 천착하여 민족국가와 자본주의의 본원적 축적이 식민지배 하에서 어떻게 전개되는지를 포착하는 방법적 시선을 추출하였고, 이러한 염상섭의 방법적 시선이 한반도에서의 식민지배를 비판하기 위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는데, 그 관점이란 민족을 주권의 담지자가 아니라 육체와 생명을 유린당한 존재로 사념하게 하는 ‘인민주권’과 ‘파르티잔 공공성’이다. 이 두 가지 개념의 적극적인 개발을 통해 『만세전』의 현재적 의의는 새로운 조망 하에서 탐구될 수 있음을 결론에서 시론적으로 논했다. This article is to reexamne Yum Sang-sup`s Mansejeon as a text in which the primordial accumulation of colonial rule, nation state and capitalism in colonial Korea was thematized. Until today, the text have been read as one of the most well-made modern Korean novel on which naturalistic viewpoint to reality of colonial Korea, and recently was analyzed under so-called postcolonial methodology. In this article, another possibility of reading the text is examined, which is to read the text as a text in which the auther tried to capture the primordial accumulation of colonial rule and capitalism through a unique method that could be called ``the method of place`` where was the typical cites like a ship, the city Busan, or tombs in the novel. This methodological view point offers us a possible way for critic to colonialism by which we could escape from nation-centered criticism to colonial rule. In the final stage of reexamination of the text, this article present new concepts for critical approach to colonialism which are ``soveregnty of peple`` and ``partisan public practice.``

      • KCI등재

        김남천의 『사랑의 수족관』론

        장두영(Chang Du-yeong) 한국현대문학회 2007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3

        김남천 작 『사랑의 수족관』에 관한 논의는 주로 통속성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통속성의 문법을 채용한 결과 작가의식의 퇴보로 이어진다는 지적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작품에 대한 접근시각을 달리하여 ‘식민지 자본주의’를 중심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1930년대 후반기의 식민지 경성은 식민지 경제성장을 위한 총독부의 정책과 경제공황 이후 만주진출로 인한 일본 경제의 급속한 회복으로 조성된 경제적․사회적 결과물이다. 조선의 공업화 과정에서 일본 대기업 독점자본이 한국을 경유하여 만주로 진출하게 되고, 조선인 자본가는 일본 자본과 결탁하여 유래 없이 막대한 이익을 취한다. 이 점에서 조선인 자본가의 영애인 이경희와 일본 철도회사 직원 김광호는 각각 조선자본과 일본자본의 수혜자인 셈이다. 한편 1930년대 경제성장은 ‘만주침략=만주진출’의 관계에서도 드러나듯 일본의 군국적 제국주의의 확장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만주붐으로 표현된 경제적 이윤추구 이면에는 제국주의의 확장을 위한 규율과 규범의 내면화를 가용하는 동일화의 논리가 자리하고 있었다. 그런데 식민지 경성의 인물들은 이데올로기 장치의 ‘호명’되어 주체를 형성한다. 개인은 현실을 인식하는 방식에 따라 ‘동일화’라는 주체형성의 요구에 각기 다른 반응을 보인다. 현상에 대한 분석을 결여한 채 감정과 인상에 의존하는 이경희의 시선은 대상을 이상화하고 욕망함으로써 동일화의 가능성을 열어둔 반면, ‘방관자’를 자임하여 분석과 해석을 통해 대상을 추상화하려는 김광호의 시선은 판단정지를 통해 전면적인 동일화를 유보하고 있다. 이경희는 자선사업을 통해 사회를 개선할 수 있다는 신념을 가지지만 결국 식민지인을 타자로 설정하고 통제하려는 식민당국의 논리에 동화되어 버리는 결과를 낳는다. 반면 무비판적인 동일화를 유보하던 김광호 역시 현실의 거대한 힘에 눌려 정신적인 방황을 거듭한다. 그의 분석적인 시선은 아직 식민지 자본주의 전체를 조망할 만한 인식능력을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은 인물들이 외부 세계인 만주를 경험하고서 크게 변화한다. 만주는 식민지 본국의 독점자본세력과 군부를 중심으로 한 제국주의 세력이 결합하여 건설한 근대적 공간이었다. 조선에 작동하는 자본주의와 식민권력의 복합작용은 내면화되었기에 쉽게 파악할 수 없었지만, 외부 세계인 만주에서 현실의 작동 원리를 목격하는 것이다. 이에 이경희는 자신의 신념이 내포한 허약성을 깨닫게 되고, 김광호는 시선의 방법론을 강화함으로써 현실에 대한 분석을 시도할 입각지를 마련하고서 경성에 복귀한다. 그러나 작가는 김광호가 앞으로 어떠한 행보를 걷게 될 지는 미지수로 남겨둔다. 작가 스스로도 체제의 위력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체제 규율의 내면화가 강요되는 상황에서 무비판적인 동일화라는 투항을 함몰되지 않고 비동일화의 가능성을 암시함으로써 우회의 방법을 탐색한다는 점에서 『사랑의 수족관』은 단순한 통속성을 벗어나 진일보를 성취하고자 한 작가의식의 소산이라 결론내릴 수 있다. Kim Namcheon's An Aquarium of Love has been paid attention to in a respect of popularity for a long time. For example, it's said that a grammar of 'popularity' which Kim adopted in his work made his critical mind as a writer blunt. But this thesis accepts the word 'colonial capitalism' as a keyword to understand the colonized Chosun. Kyoungseong is a city in which the colonial Japanese government employed the various policies to develop the colony and Japanese economy recovered through the advance to Manchuria. Japanese conglomerate's monopolistic capital went through Chosun to Manchuria and Chosun capitalists sponged on it. From this point of view, Lee Kyounghee and Kim Kwangho benefited from the colonial capitalism because the former is a daughter of Chosun capitalist and the latter is an official of Japanese railroad company. On the other hand, economic development in 1930s, as you know it's achieved from the invasion to Manchuria, is related to the spread of the militarism of imperial Japan. Imperial Japan emphasized on and enforced the identification that people had to accept the rule of Imperialism to benefit from 'Manchuria Boom'. For instance, the colonialized are supposed to have the identities that were made by the 'interpellation' of Ideological Appuratus. This Process doesn't directly make the identities. The characters each response upon the call. Lee Kyounghee tried to accept the identity with the imperial self-consciousness with a point of impressive and sentimental view. She doesn't analyze the present situations only to idealize and desire them. For example, she has a conviction that she can develop the Chosun society through the charitable works. But this conviction has the same logic that Imperial Japan can govern and control Chosun and Manchuria, the other. While, Kim Kwangho denies to accept absolutely the identity that imperial Japanese capitalism enforce. He, as an observer, tries to make the present situations abstract by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But the psychological pressure of reality makes Kwangho also wanders mentally because he has no analytic eyes to see the whole 'colonial capitalism' with. Characters' limitations are changed after their experiences of Manchuria, out of Chosun. Manchuria was the modern space that was made by the combination of the colonial monopolistic capitalism and the Japanese militaristic imperialism. Characters in this work don't easily know the capitalism and the colonial authority because they internalized them in Chosun, while they can easily know them in Manchuria because it's outside of Chosun. So, Kyounhee perceives the fragility in her conviction and Kwangho comes back to Kyoungseong, which he can analyse with the methodological and objective eyes. Kim Namcheon, the writer didn't show Kwangho's future to us. It's left just a potential possibilities. Maybe even Kim didn't know the authority and influence of imperial Japan and its representative Kyoungseong. But in An Aquarium of Love, Kim showed characters to us that denied the identification logic which the capitalism of imperial Japan enforced to them. For this reason, we can conclude this work An Aquarium of Love results from the writer's critical mind to attain the progressive step forward from a simple popularity.

      • KCI등재

        탈식민적 식민지 연구의 원점 ─ 1980년대 후반 한국 근대경제사 한일 공동연구

        홍종욱 일본사학회 2022 일본역사연구 Vol.59 No.-

        In the 1980s, Korea achieved economic growth and democratization. Changes in Korean society came along with the global post-Cold War era. Japanese critical intellectuals tried to interpret the changes in Korean society. Satoru Nakamura, a Marxist historian, paid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Korea and presented a new world history statue based on semi-developed capitalism theory. Hideki Kajimura, who led the study of modern Korean historiography based on the theory of immanent development, explained Korea as peripheral capitalism that develops dependently. Until the mid-1980s, South Korean critical economist Ahn Byeong-jik adhered to the theory of colonial semi-feudal society that denied Korea’s capitalist development. In 1985, with Ahn Byeong-jik’s study in Japan, a Korea-Japan joint research was planned to explore the historical conditions of Korean economic development. Critical intellectuals from both countries put their heads together for the first time and discussed repeatedly to historicize the colonial experience. Decolonization is possible by facing and historicizing the colonial experience. Ahn Byeong-jik accepted Nakamura’s semi-developed capitalism theory in the course of his joint research. However, this joint research cannot be simplified as the origin of colonial modernization theory. The Korea-Japan joint research on the history of Korea’s modern economy can be positioned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colonial research that began in earnest after the 1990s in that it attempted various empirical and theoretical analyses. 1980년대 한국은 경제 성장과 민주화를 이뤘다. 한국 사회의 변화는 세계적인 탈냉전과 함께 찾아왔다. 일본의 비판적 지식인들은 한국 사회의 변화를 해석하기 위해 노력했다.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자 나카무라 사토루는 한국의 발전에 주목해 중진 자본주의론에 바탕한 새로운 세계사 상을 제시했다. 내재적 발전론에 입각한 한국 근대사 연구를 이끌던 가지무라 히데키는 한국을 종속 발전하는 주변부 자본주의로 설명했다. 한국의 비판적 경제학자 안병직은 1980년대 중반까지 한국의 자본주의적 발전을 인정하지 않는 식민지 반봉건사회론을 고수했다. 1985년 안병직의 일본 유학을 계기로 한국 경제 발전의 역사적 조건을 탐구하려는 한일 공동연구가 기획되었다. 양국의 비판적 지식인은 처음으로 머리를 맞대고 식민지 경험을 역사화하기 위해 논의를 거듭했다. 탈식민은 식민지 경험을 직시하고 역사화함으로써 가능하다. 안병직은 공동연구 과정에서 나카무라의 중진 자본주의론을 수용했다. 다만 이 공동연구를 식민지 근대화론의 발원지로 단순화할 수는 없다. 한국 근대경제사 한일 공동연구는 식민지에 대한 다양한 실증적, 이론적 분석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1990년대 이후 본격화하는 식민지 연구의 원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 KCI등재

        연작시 <밥과 자본주의>에 나타난 아시아, 자본주의, 신식민주의

        이소희(Lee, So?Hee)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8 젠더와 문화 Vol.11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최초의 페미니스트 시인으로 평가받는 고정희의 연작시 <밥과 자본주의>에 나타난 아시아와 자본주의, 신식민주의의 역사적 관계와 영향을 분석하여 고정희를 “아시아의 페미니스트 시인”으로 재평가 하기 위한 것이다. 고정희는 필리핀 체류 이후 전 지구적 규모로 작동하고 있는 자본주의와 신식민주의를 아시아의 역사적 맥락에서 읽어냈고 그 결과로 탄생한 것이 바로 <밥과 자본주의>를 구성하고 있는 26편의 시이다. 고정희는 아시아 밥상문화의 평등성을 강조하면서 아시아가 겪어온 식민주의, 자본주의, 신식민주의를 극복하고 새로운 아시아 공동체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여성주의 시각의 핵심을 아시아 여성의 삶과 수난에서 찾게 되기를 열망했던 고정희는 식민 역사의 지배와 억압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아시아 민중 여성들에게 깊은 공감과 안타까움을 표현하는 동시에 힘차게 나아가는 아시아에 대한 공동체적 비전과 연대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This paper explores Goh Jung Hee"s serial poem with 26 sections, Bab and Capitalism,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of Asia, capitalism, neocolonialism and female sexuality. The most creative and noteworthy ideas in the poem are her main analys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merican colonial capitalism and Asian basic food, bab(rice). The paper argues that Goh Jung Hee indicts American colonial capitalism for its immensely powerful and harmful influence on contemporary Filipino culture and the subjectivity of Filipino people. Furthermore, she extends this approach to the colonization history of other Asian countries, in terms of Asian women’s sexuality and suffering induced by capitalism and neocolonialism. Despite the fact that the current neocolonial reality is not without problems, Goh Jung Hee hopes for Asian solidarity and community, anticipating a hopeful future for Asia and the Asian spirit, through overcoming its history of colonization and neocolonial capitalism.

      • KCI등재

        이연주 시에 나타난 탈식민주의페미니즘과 재현의 정치학 - 매음녀가 있는 밤의 시장을 중심으로

        윤은경 한국비평문학회 2019 批評文學 Vol.- No.73

        이 글은 90년대 초반 2권의 시집을 남기고 스스로 짧은 생애를 마감한 이연주의 시편을 페미니즘의 문제의식과 탈식민주의 인식을 기반으로 분석하여, ‘여성주의’의 입장에서 그 재현의 정치성을 읽어낸 것이다. 포스트-식민 국가의 근대화는제국주의적 식민 기획의 일환으로 진행되며 성취되는 까닭에, 필연적으로 제국주의, 자본주의, 민족주의와 밀접하게 관계를 맺고 있으며, 특히 과거 전통과도 긴밀히 연관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포스트-식민공간에 여성범주가 더해진 ‘포스트-식민주의 여성 담론’은 정치․경제․사회․문화․역사 등 사회의 전 영역이 복잡하게 얽혀복합성을 띨 수밖에 없다. 기지촌의 수간호사로 일했던 독특한 이력을 가진 이연주는 한국 여성주의 시사상 독특하게도 매음녀를 시적 주체로 호명하여 형상화했다. 이연주의 시편에 재현된 ‘매음녀’는 상징이자 실체인 존재로서 다양한 담론의 교차지대에 위치한다. 이‘매음녀’는 한국 내의 전통적 성별의식 및 가부장제 이데올로기, 제국주의, 자본주의, 민족주의 담론 등이 횡단하는 장소로서, 복수적으로 억압된 ‘서발턴’에 대해알레고리적 독해를 요구하는 기표이다. 이는 이연주가 ‘매음녀’라는 표상 기호 안에 우리 근현대사의 암울한 역사적 기억과 유난히 격동적이었던 80년대적 징후들을 배경으로, 후기 자본주의의 강렬한 욕망과 무의식에 은폐된 식민화된 영토까지를 고스란히 끄집어내어 펼쳐놓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한국 현대 여성 시사에서 독특한 서발턴 문학으로서 여성/서발턴의투쟁과 전복의 정치성을 드러낸 것으로 보이는 이연주의 텍스트 분석을 통해 한국여성주의 시 연구가 나아가야 할 윤리적 지평을 가늠해보고자 했다. 이에 따라 본연구는 이연주의 시편들이 첫째, 포스트-식민공간인 한국 사회에서 여성 억압의기저에는 ‘이미 존재하는 억압체계’로서 식민체제를 통해 만들어지고 젠더화 된‘근대적 가족제도’와 이에 내재된 남성중심주의의 가부장적 희생자 담론이 기저에서 작동해왔으며 둘째, 이연주가 시적 주체로 호명한 매음녀는 은유 혹은 실체로서식민 잔재를 청산하지 못한 채 미국 중심의 자본주의 세계체제에 종속된 신 식민관계로, 성별 성애적 관계로 구성되었음을 밝혔다. 셋째, 격동적으로 흘러온 한국현대사의 이면에서 여성/서발턴은 제국의 남성 주체와 피식민 남성주체, 그리고피식민 남성 주체의 이중적 욕망으로 인한 내부 식민지였으며, 여성에 대한 폭압의기저에 자리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연주는 매음녀의 고백적 발화를 통해 목소리 없는 서발턴인 ‘여성’에게 적극적인 ‘말 걸기’를 시도했다. 본 연구는 ‘매음녀’라는 표상기호를 통해 유지되고 재생산되는 이데올로기뿐만 아니라 시의식의 현상학으로서 구체적인 시편을 분석함으로써, 이연주의 시편에서 재현되고 있는 여성/서발턴이 어떤 실천적 메시지를전하고 있는지를 구명하는 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 아울러 한국의 서발턴에 대한이러한 면밀한 재독이 한국 여성주의 시문학이 나아가야 할 윤리적 지향을 가늠하는 중요한 노둣돌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deferred poetry, which left two shortpoetry books in the early 90s, based on feminism's problemconsciousness and post-colonial perception, and read the politics ofrepresen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sm'. It is paid. Modernization of the post-colonial state proceeds and is achieved aspart of the imperial colonial plan, and therefore is inevitably closelyrelated to imperialism, capitalism, and nationalism, and in particularclosely related to past traditions. Therefore, the post-colonial womendiscourse, which has added women's category to the post-colonialspace, is intricately intertwined with all areas of society such as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and history. Lee Yeon-joo, who had a unique career as a guard nurse in acamp village, uniquely portrayed a prostitute as a poetic subject inKorean feminist affairs. The prostitute, reproduced in Lee's poems,is both a symbol and an entity and is located at the intersection ofvarious discourses. This prostitute is a place where traditionalgender consciousness and patriarchal ideology, imperialism,capitalism, and nationalism discourse are traversed in Korea. This isbecause Lee Yeon-joo draws out the colonial territories concealedby the intense desires of the late capitalism and theunconsciousness in the background of the gloomy historicalmemories of our modern and historically violent signs in the symbol of 'prostitute'. to b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ethical horizon for the studyof feminist poetry in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deferred texts, whichseem to reveal the politicality of women's / Suvalton's struggle andsubversion as a unique Suvalton literature in contemporary Koreanwomen's affairs.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that Pyeon-ju Lee'spsalms were, firstly, a 'modern family system' that was created andgenderized through the colonial system as an 'oppression system alreadyexisting' at the base of women's oppression in Korean society, apost-colonial space. The discourse of patriarchal victims ofmale-centeredism has been at the base, and secondly, the seductivewoman named by Lee Yeon-joo as a poetic subject is a new colonialrelationship that is subordinated to the capitalist world system centered onthe United States without metabolism or entity. Revealed that the enemywas composed. Third, behind the tumultuous Korean modern history,women / Suvalton were internal colonies due to the dual desires of themale subjects of the empire, the colonized male subjects, and the malesubjects of the colonial colony, and they were at the basis of theoppression of women. Said. Lee Yeon-ju attempted to aggressively "talk" to the silent woman"Sbalton" through confessional utterances. This study is not only forthe ideology maintained and reproduced through the symbolicsymbol of 'Magic woman', but also for analyzing the practicalpsalms as phenomenology of poetry, which is primarily intended toclarify what practical messages the women/Suvaltons are beingreproduced in the poetry. There is a purpose to be. In addition, itis expected that such close rereading of South Korea's Suvalton willbe an important roadmap for the ethical orientation of Koreanfeminist poe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