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토지조사사업과 농지개혁이 토지생산성에 미친 효과에 관한 비교 분석

        조석곤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07 동향과 전망 Vol.- No.71

        The Effects of Land Survey(1912-1918) and Land Reform(1950-1969) on Land Productivity in Korea 토지조사사업과 농지개혁이 토지생산성에 미친 효과에 관한 비교 분석

      • KCI등재

        토지대장으로 살펴본 토지소유구조의 변화: 원주시 호저면의 사례

        조석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5 농촌경제 Vol.28 No.2

        This article shows the trends of landownership during 1915-1977 in Hojeo Myun, Wonju City. We can divide this time span with three periods, the expansion period of colonial landlord system(1915-1942), the dissolution period of colonial landlord system and formation of landed farmer system(1943-1964), and period of mobilizing land(1965-1977). From the early 1940s to Korean war, many arable lands transformed to forest. it shows that the land productivity shrank during this time. The Gini coefficient increased by the early 1940s, and decrease by the late 1960s and increase again after then. The average area of landowner have decreasing trends consistently.

      • KCI등재

        1970년 전후 제시된 한국경제발전론 비교 검토

        조석곤 한신대학교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010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Vol.0 No.17

        이 글은 1970년을 전후하여 제시된 한국경제발전론을 대중경제론, 민족경제론, 속성공업화론, 수출입국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생산과정에 대한 국가개입의 수준에 대해 속성공업화론과 민족경제론의 경우는 기간산업이나 주요산업에 대한 국영을 당연시한 반면, 대중경제론과 수출입국론은 기본적으로 기업의 사영을 주장했다. 경제정책을 통한 국가개입의 수준에 대해 속성공업화론과 수출입국론은 정부의 강력한 주도성을 인정한 반면, 민족경제론과 대중경제론은 정부주도성을 인정하면서도 민주적 절차를 강조했다. 특히 민주주의에 대한 강조는 대중경제론에서 두드러졌다. 성장전략을 보면 대중경제론과 민족경제론이 균형성장론에 입각한 반면 속성공업화론과 수출입국론은 불균형성장론을 견지하고 있었다. 개방전략에 대해서는 대중경제론과 민족경제론은 수입대체적인 성장론을, 수출입국론은 수출지향적인 성장론을 주장했지만, 속성공업화론은 양자를 병행할 것을 주장했다. 기업의 소유형태 측면에서 보면 대중경제론과 수출입국론이 기간산업이나 일부 대기업 등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민간경영을 원칙으로 한 반면, 민족경제론과 속성공업화론에서는 이들 산업의 국유/공영뿐만 아니라 중소기업이나 농업에 있어서도 협동체에 의한 경영을 권장하고 있었다. 대중경제론과 민족경제론의 발전전략의 합리적 핵심이었던 내포적 공업화와 민주주의에 대한 강조가 현 시점에서도 한국경제발전전략을 수립함에 있어 여전히 중요할 것이다.

      • KCI등재

        민족경제론의 식민지시대 역사인식 재조명

        조석곤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08 동향과 전망 Vol.- No.72

        사구체논쟁과 2차에 걸친 식민지근대논쟁을 통해서 우리는 식민지시대 인식을 심화시킬 수 있었다. ‘1차 논쟁’은 개발과 수탈의 일면적 파악으로는 더 이상 식민지시대를 이해할 수 없음을 보여주었다. ‘2차 논쟁’은 경제성장의 양적 규모의 측정도 중요하지만, 그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의 일상생활과 삶의 질의 변화 또한 중요함을 일깨워주었다. 이 주제를 다룸에 있어 박현채의 식민지종속형 자본주의라는 유형론은 매우 유용한 분석도구이다. 그는 식민지하 자본주의의 발전을 인정하면서도 그 과정을 식민지하 ‘민족경제와 국민경제의 괴리’라고 인식하였는데, 이는 ‘2차 논쟁’의 쟁점 중의 하나였던 식민지자본주의의 양적 성장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한편으로 진행된 분배상의 불평등의 심화라는 문제를 설명할 수 있는 방법론이 될 수 있다. 식민지종속형자본주의는 성장의 과실을 재분배하는 시스템으로서의 민주주의가 보장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기본적으로 불평등이 심화될 수밖에 없는 체제라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성장의 동력 또한 일본경제와 밀접한 분업구조 속에서만 작동되는 특징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이 체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식민지체제의 유지가 필수적이었다. 이러한 모순적인 경향은 식민지종속형자본주의의 장기지속성을 위협하는 요소였다. We can more deeply understand the colonial era after the social formation controversy in the 1980s and colonial modernity controversy(the first one in the 1990s and the second one in the 2000s). The first one shows that neither the concept of exploitation nor that of development grasp the accurate aspect of the colonial era, the second one make us aware of the fact that we should focus on the standard of living of common people living in colonial era as well as the aggregate economic growth in that times. The theory of subordinate capitalism under colonial rule, argued by Hyunchae Park, is regarded as one of the useful analysing tools about the theme. The subordinate capitalism under colonial rule was basically an system whose income inequality was deepened gradually, because the system did not have political democracy, a redistribution system of the economic growth. Nevertheless, because the motive of economic growth in the colonial era was generated by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ur within Japanese colonialism, the stability of this system was dependent on the continuance of the colonial rule. This inconsistency threatened the stability of the colonial economy in modern Korea.

      • 조선시대 양안의 정확성에 관하여 : 언양 양안 및 깃기의 분석

        趙錫坤 尙志大學校 1998 論文集 Vol.20 No.-

        Since Onyang yangjon in 1871 was done just before kwangmu yangjon, it shows us the latest form of old yangan. In this paper, I chose two villages randomly-Samdongmyon Pounri and Ch'oilli located in Ulsan, Kyongnam now. Yangan of Namsamdong(南三同) remains two. I call them A and B yangan each. A-yangan(奎 15013) was made earlier and the sizes of gyolbu in some plots were amended in B-yangan(奎 15008) later. I draw some conclusions from analysing Onyang yangan. First, though ch'aho(字號) was generally fixed every five gyols, this principle was not strictly observed in B-yangan. So the sum of gyolbu of each ch'aho was omitted in B-yangan. Second, The gyolbu was amended in B-yangan. Generally the gyolbu was calculated only by area and rank, but this principle was not observed in some plots. Third, the form of kiju was generally a real name, not a homyong(戶名, the name of a house). Finally, the area of yangan was underestimated about 20% in comparison with that of tojidaejang. But it was more accurate than in kwangmu yangan of which underestimation was 30-90%. As yangan didn't reflect on real land ownership, each up made another tax-levying book for tax collection, this was called haengshim(行審). Ch'akpu(作夫) was the process of deciding actual amount of taxation by haengshim. For this process, sowon(書員, the local official who make kitki) gathered the plots by each taxpayer. To decide one's burden, the give-and-take process of plots was needed. After this process, kitki was completed. 5 volumes of Kitki on Onyang remain until now. The kitki of Namsamdong(奎 15021) was one of them. Letters were written with exact style in yangan, but with cursive style in kitki. Moreover the numbers were written with unique style, so most people, except sowon, couldn't tead kitki. Sowon intended to monopoly the process of making kitki and to appropriate the fruits gained from this work. The name on kitki was generally homyong, but there were 19 taxpayers(out of 361, 5.3%) who were recorded by real names without homyong. This reflected on the change of tax collection system. Second, the gyolbu of a plot on kitki could be different from that in yangan by the reduction of gyolbu due to natural damage. Third, the number of a plot on kitki was somwtimes misspelled by the mistakes of sowon(62 cases out of 494, 12.6%). Though the gyolbu of a plot in kitki was not strikingly different from that in yangan, the size of gyolbu was diminished in the plots which were running waste. Year by year after yangjon, the gap became wider. Bae Yongsun(1988) and Cho Sokkon(1995) compared the gyol in gyolsuyonmyongbu(結數連名簿) with the pyong in tojidaejang, and they concluded tha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gyol and pyong.

      • 조선토지조사사업 연구를 둘러싼 최근 쟁점에 대한 소론

        조석곤 한국사회과학 연구협의회 1999 社會科學論評 Vol.- No.18

        역사적 사실에 대한 평가는 시대에 따라 달라지지 마련이다. 세기의 전환기에서 한국사의 주요한 과제는 이제 더 이상 일제잔제 청산일 수는 없다. 변화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 한국사회의 존립 방향을 모색하고, 분단 50년의 질곡을 청산하는 일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즉 이 시대의 과제는 근대국가의 수립이 아니라 근대의 유산을 극본한 탈근대의 사회를 구축하는 일이 될 것이다.

      • KCI등재

        토지 등급으로 살펴본 식민지기와 농지개혁기 토지 생산성의 변화: 원주시 호저면 사례

        조석곤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15 동향과 전망 Vol.- No.94

        Using land register, this paper analyses the trends of land productivity during colonial period and land reform period at Hojeo-myeon, Wonju-city. Effects of rural structural change from colonial landlord system to owner- peasant system in productivity growth after Korean land reform are inferred from the analysis. The land productivities are calculated by land price, lease price, and yield standard; these represent the productivity of the early 1910s, the late 1930s, and the late 1950s respectively. Regression analysis of productivity change including variables related to the land owner information shows as following facts. First, the owned-size or local residence of landowner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land productivity growth, It means that the manage participation effect of colonial landowner in productivity growth did not exist. Second, the productivity growth rate in the colonial period, 25.3% was almost similar to that in the land reform period, 20.2%. This shows that after land reform owner-peasants have increased in production input more than the colonial period. 이 글은 토지대장을 이용하여 식민지기와 농지개혁기의 토지 생산성 증가율을분석하고, 그에 기초하여 식민지 지주제에서 자작농 체제로 변화한 것이 토지 생산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추론한 것이다. 토지대장에 기록된 과세지가, 임대가격, 표준 수확량 등으로부터 각각 1910년대 초반, 1930년대 후반, 그리고1950년대 후반의 토지 생산성을 계산할 수 있는데, 이를 토지 소유자 정보를 포함하여 회귀분석을 시행했다. 첫째, 식민지기 지주의 소유 규모 또는 현지 거주여부 등 지주 관련 변수들은 토지 생산성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지주의 경영 참여 효과가 없었거나 크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둘째, 생산성 증가율은 식민지기 25.3%와 농지개혁기 20.2%로 거의 비등했다. 이는 농지개혁에의해 자작농이 된 농민들은 소득증대라는 ‘인센티브’에 의해서 요소 투입을 증대함으로써 식민지하 성립된 기술 체계를 더 강력하게 작동시켰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