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계간삼천리』에 교차하는 공간과 주체 - 한국・재일・일본의 내부에서 -

        전성곤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9 일본사상 Vol.0 No.36

        이 글에서는 재일 당사자들에 의해 간행된 계간삼천리를 텍스트로 삼아, 재일이 기술하는 국가 담론과 그러한 ‘국가에 대한 개인의 주체성’ 찾기가 어떠한 방식으로 전개되고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했다. 먼저 본 논고에서는, 일본이라는 국가가 아시아에 대해 갖는 시선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이것은 일본이 아시아에 대해서도 일본이라는 국가 내부에서 형성한 아시아공간에 대한 차별화 과정의 궤적을 밝혀내는 작업이었다. 전전에 전쟁에 동원된 일본국민들은 아시아해방이라는 인식에 대해 의심하지 못했고, 국가 이데올로기에 동원되었던 것이다. 그것은, 서구적 근대 인식을 무사상적으로 받아들여, 일본 자신들만의 해석에서 바라본 ‘아시아 해방’이었다. 그렇지만 이러한 인식은, 전후 일본에서도 지속적으로 계승한다는 점을 제시한다. 바로 전전과 전후에 연속적 갖는 그 내적 특성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특히 전후 자국 역사학의 특성에 존재하는 국가주의적 틀에 의한 ‘편견적 무사상’을 초월하여 ‘진정한 주체’를 갖는 경지에 도달하기를 시사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를 전제로, 전전에 일본인으로서 조선인을 차별하지 않으려는 인식은, 전후 미점령군의 행동을 보면서 깨닫게 된 경위를 설명한다. 그것은 지금까지 ‘기대고 살았던 기반’을 전면적 재설정하는, 즉 주체의식에 대한 재성찰을 느끼게 했다는 점이다. 그것은 동시에 전후 일본 내부에서 이질적인 존재로 생활하는 조선인을 보면서, 일본인이라는 것을 새로 느끼게 되는 계기가 된 점이 소개된다. 그리고 식민지를 경험하고 일본에 돌아와 활동하던 고바야시 마사루와 같은 ‘파괴적 주체’에 대해 고뇌하는 방식을 제시하는, 즉 외지 경험과 내지 경험을 교차시키면서 주체의 재구성에 대한 방식을 설명해 주고 있었다. 그리고 일본에서의 지식인이 한국의 민중 개념을 통해 일본 내의 민주주의에 대한 반성을 촉구하는 내용이다. 전후 한국과 일본이 국가적 차원의 밀월시대가 열리면서, 억압받는 민중이 존재하는 것은, 전전과 전후가 ‘지배자’만 교체된 것이지 동형적 억압이 존재한다는 점을 알리고 있었다. 국민으로 수렴되는 국가 권력자도 마찬가지로 나란히 다룰 수 있는 것으로 ‘그러한 충실성’에 비판적 견해를 제시한다. 국가라는 공간에서 존재하는 개인이 그 국가의 경계 속에서 자아를 형성하는 논리를 통해 역설적으로 그 경계에 의해 인간의 주체가 형성되는 것이었다는 점을 인지하고, ‘국가’라는 개념이 만든 ‘주체와 경계 공간’을 타파하고자 하는 것을 주장하고 있었다. This study used as a text that was published by the parties concerned in Japan to clarify how national discourses were described by those parties and how the establishment of ‘individual identity to the country’ was developed. First, this study presented the logic of a sense of superiority that Japan had over Asia. It was the ‘gaze for Asia’ created by the interpretation inside Japan, which was to uncritically accept the Western perception of the modern times. This perception continued until the post-war era. It had a continuity from the pre-war era to the post-war era. Therefore, it was argued that it was necessary to find the context of the ‘post-war’ responsibility through the criticism on the studies of Asia that escaped from the pre-war thinking. In particular, a method of reconstructing the ‘subject’ was presented by reviewing the contents of ‘non-thinking’ trapped in the framework of nationalism existing in the study of history in the post-war era. Specifically, this was to logically explain that even Japanese people who took a position not to discriminate against Korean people, with the exception of Japanese people who discriminated against Korean people in the pre-war era, realized the meaning of non-discrimination against Korean people in the pre-war era through the meaning of the actions of the post-war US occupation forces who did not discriminate. That enabled the overall reestablishment of ‘the base on which the people lived so far,’ or the reconsideration on subjectivity. In addition, it became a new opportunity for them to realize that they were Japanese by watching Korean people living as heterogeneous entities in the postwar Japan. It explained the way of agonizing over a ‘destructive subject’ experienced under a colonial rule, or the possibility that the crossing of external experiences and internal experiences provides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subject. Finally, it was an explanation of how Japanese intellectuals urge for a reflection on democracy in Japan through the concept of the Korean populace. It criticizes the conspiracy of Korea and Japan that their intergovernmental aid at the national level eventually gave birth to the oppressed populace.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there is the same type of oppression only with the change of ‘the ruler’ in the pre-war and post-war periods. It argued that the individual who existed in the space of a state perceived the paradox that the subject as a human being was formed by the boundary of the state through the logic of forming the self in its boundary, and that the individual intended to break ‘the subject and boundary space’ created by the concept of ‘the state.’

      • KCI등재

        청일전쟁기 일본인의 戰爭觀과 조선인식 - 라프카디오 헌의 에세이와 대중매체를 통하여 -

        윤소영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6 일본사상 Vol.0 No.31

        The study tone of the Korean modern history that took up Sino-Japanese War emphasizes aggression characteristics and the barbaric act of the emperor on a day throughout. But the study tone in Japan is different from this. In other words, much human life is killed and wounded in this war and the Queen of Korea was killed by a Japanese. Nevertheless Japan ignores the fact that they invaded Korea and they lift international dynamics relations and insist on legitimacy of the war. Besides it is a fact that such recognition is consistent so far from modern times and is insisted. Why is this? I want to consider this problem through outlook on Korea recognition of the Japanese public for the Sino-Japanese War period. Therefore, I want to attention to is two essays of Lafcadio Hearn(1850-1904). Hearn wrote essays as "A Wish Fulfilled" and "after the war" in 1895. He wrote about his pupil matured into a soldier by the militaristic education of Japanese Emperor system. The boy says that it is the heart's desire to die for the Emperor at the time of Sino-Japanese War and he was killed in war. This suggests what a result of the militaristic education of Japan in those days. The Japanese newspaper continued reporting that this war was the chance when did not have two when Japan could mature into the large country in the Sino-Japanese War period. Meiji Tenno ordered that sacrifice one's life for light and the authority of the empire for declaration of war. Under such situation, the public media which conveyed the war situation overflowed in Japan. The color woodblock print which painters exaggerated a state of the war and drew was popular with people. Other than drama, a diorama, an automatic puppet play, the child toy which featured the theme of Sino-Japanese War, various publications in admiration of war were popular. To Japanese public, this war was like the festival. The people did not have a heart to sympathize with for dead Korea and the Chinese people in war. Japanese newspapers did not have the antiwar tone either. Japan thought only that the Emperor Meiji and the nation won in war all in one body in Sino-Japanese War. It was the same as denying the whole Meiji Japan that people insisted on the war. In such an atmosphere, I think that Japanese frigidity to never feel crime awareness was born for the barbaric act to kill to a Korean queen. 청일전쟁을 다룬 한국근대사의 연구 논조는 일관되게 일제의 침략성과 그 만행을 강조하고 있지만, 일본 측의 연구논조는 이와는 다르다. 즉, 이 전쟁에서 수많은 인명이 살상되고 그 과정에서 한국의 왕비까지 살해당하는 등, 조선을 침략했다는 사실이 분명한데도, 이러한 점을 주목하기 보다는 국제적인 역학관계를 통해서 전쟁의 정당성을 주장하고 있다. 심지어 이러한 인식은 현재에도 일관되게 주장되고 있다. 왜 일본의 연구에서는 청일전쟁기에 조선을 침략했다는 사실에 대한 인식이 미미한 것일까? 그것은 청일전쟁을 바라보는 일본인의 근본적 인식에 원인이 있는 것은 아닐까? 이 연구는 이러한 의문을 갖고 청일전쟁기 일본 대중의 전쟁관과 조선인식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이 글에서는 1890년대에 일본에 거주하며 청일전쟁기 일본사회를 관찰한 작가 라프카디오 헌의 두 편의 에세이와 당시 일본의 대중매체의 전쟁보도 양상을 주목하고자 한다. 라프카디오 헌의 「A Wish Fulfilled」와 「After the War」에서는 자신의 제자인 소년이 메이지일본의 군국주의 교육을 통해 결국 천황을 위해서 죽는 것이 소원이라고 말할 정도로 군국소년으로 성장한 모습을 지적하고 있다. 이것은 당시 일본군국주의교육의 성과가 어떠했는지를 시사하고 있다. 청일전쟁기 신문은 이 전쟁이 일본이 대국으로 성장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로 생각했고 1894년 천황의 조서에는 목숨을 바쳐 충성을 다하라고 젊은 병사들을 선동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청일전쟁 동안 일본에서는 전쟁 상황을 전달하는 대중매체가 봇물처럼 쏟아졌다. 전쟁보도화를 그린 니시키에(錦絵)가 전성기를 맞이했으며 청일전쟁을 주제로 한 연극, 디오라마, 자동인형극, 어린이 장난감, 각종 출판물이 쏟아져 나왔다. 일본이 승전을 거둔 조선의 장소는 ‘명소’가 되어 승전 스토리텔링과 더불어 일본인의 뇌리에 강한 인상을 남겼다. 이 전쟁은 일본인들에게 ‘축제’처럼 이루어졌고 사망하거나 부상당한 병사에 대한 애도, 유족의 슬픔에 대한 공감과 위로, 전쟁에 대한 분노나 격전지에서 학살당한 조선인과 중국인에 대한 동정 등은 언론에 전혀 보도되지 않았다. 이와 같이 청일전쟁은 일본의 천황과 국민이 일체화되어 전쟁에서 승리하여 국가적 도약을 이루는 것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이 전쟁을 침략이라는 관점에서 인식하는 것 자체가 천황과 메이지일본 존재 자체에 대한 부정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조선의 왕비까지 살해한 만행에 대해서도 전혀 ‘죄의식’을 느끼지 않는 일본인의 전반적인 ‘불감증’이 생겼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일본의 외래문화 수용의 두 자세 -‘화혼한재(和魂漢才)’와 ‘화혼양재(和魂洋才)’-

        한예원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7 일본사상 Vol.0 No.33

        Japan has collected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on foreign countries and cultures and formed Japan-like identity via adoption, selection, criticism and changes, which is called Yamato Tamasi by Japanese people. To succeed in and to be Japan-like, that is, 'Hwahon', the acceptance formulas of foreign cultures named 'Hwahonhanjae(和魂漢才)' and 'Hwahonyangjae (和魂洋才)' were established. 'Hwahonhanj' means that Japan understood Chinese studies based on its peculiar spirit while accepting Chinese studies. It was changed into an expression of 'Hwahonyangjae' when western cultures were introduced before and after the Meiji Reformation. That is, 'Hwahonhangjae' and 'Hawhonyangjae' were frames to accept foreign cultures including Chinese and western civilizations. They show Japan's psychological patterns toward foreign people. That is, when Japan accepted foreign civilizations for the first time, it imitated them with attitudes of worship, respect, love and longing, but as it applied them for Japanese tradition and criticized them, it turned out to oppose against it. Such acceptance frame did not appear in China or Korea. As China was culturally complete itself, it thought that culture was its own thing or that it was handed down from the past, not that it came from outside. Therefore, China respected for its tradition and looked down on foreign things, which was its acceptance frame of foreign cultures. Meanwhile, as Joseon was willing to accept Chinese culture which wa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East Asia countries used commonly in the Chinese-speaking countries which were connected inland, it also accepted Chinese culture without specific self-awareness before Modern times. However, Japan behaved differently. It started studies on foreign countries and cultures from the perspective of "know-your-enemy and know-yourself." That is, through reconnoitering the enemy's movements, it formed and maintained Japan-like identity. In other words, to maintain and succeed in 'Hwahon', it had to be aware of changes in international situations. 'Hwahon' was achieved by scholars who tried to have two different cultures in both ways while acting on the border of culture acceptance. 일본은 다양한 외국의 정보를 수집하고, 취사·선택, 비판·변용을 거쳐 ‘일본다움’을 형성하여 왔고, 그것을 일본인들은 ‘야마토 다마시(和魂)’라고 하였다. 이 ‘일본다움’ 즉 ‘화혼’을 제작 계승 보존하기 위하여 ‘화혼한재(和魂漢才)와 ‘화혼양재(和魂洋才)’라는 외래문화 수용공식이 설정 되었다. ‘화혼한재’란 중국의 학문을 수용하지만, 그것을 일본 고유의 정신에 입각하여 소화한다는 입장이다. 그것이 다시 명치유신(明治維新) 전후에는 서양의 문화가 전격적으로 수입되면서 ‘화혼양재’라는 표현으로 전환되었다. 즉 ‘화혼한재’와 ‘화혼양재’는 일본이 중국과 서양 등 외래문화 수용의 프레임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거기에는 공통적으로 일본의 외래자에 대한 심리 패턴이 보인다. 즉 처음 외래문화를 수용할 때는 숭배, 흠모, 사모, 동경의 자세를 취하여 모방에 힘쓰지만, 차츰 일본 전통에 응용하면서 비판하고, 나아가 반발 대항하면서 ‘일본다움’을 형성 유지하는 단계로 나아갔다. 이러한 외래문화 수용의 프레임은 같은 동아시아권의 중국이나 조선에는 보이지 않았다. 중국은 문화적으로 자기 완결적(完結的)이었기 때문에, 문화란 국외에서 수입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로부터 전해지는 자생적인 것이라는 인식이 강하였다. 따라서 전통을 존중하고 외래의 것을 낮추어 보는 존내비외(尊內卑外)가 근대 이전 중국의 외국문화 수용의 프레임이었다고 말 할 수 있다. 한편 조선은 육지로 연결된 중화세계 안에 위치하여, 동아시아 공용한자로 씌어진 중국 문화를 거부감 없이 수용하여 사용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근대 이전에는 대체적으로 특별한 자의식 없이 중국문화를 수용하는 입장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일본의 경우는 달랐다. 일본의 외국 연구의 출발점은 철저하게 지피지기(知彼知己)이다. 즉 상대방의 상황을 살피는 ‘적정정찰(賊情偵察)’을 통하여 ‘일본다움’을 형성하였다고 말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바꾸어 말하면 ‘화혼’을 유지 계승하기 위해서는 국제상황의 변화에 대한 주의가 필요했다. ‘화혼’은 결국 문화수용의 접경에서 활약하면서, 양쪽 문화를 이해하고 연결하는 것에 능한 ‘양다리 걸치기’의 학자에 의해서 이루어졌다고 말 할 수 있다.

      • KCI등재

        점령기 일본의 미군성폭력대책과 일본여성 멸시관 : 판판걸(パンパンガール)에서 아메조(アメ女)로

        유지아(Yoo, Ji-A) 일본사학회 2022 일본역사연구 Vol.57 No.-

        1945년 8월부터 시작하여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이 발효된 1952년 4월 28일까지를 공식적으로는 연합국의 일본 점령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이 또한 정확한 표현은 아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점령에 대한 기본 정책을 정하고 점령기간 동안 일본에 관한 모든 문제에 명령권을 가진 것은 미국이었기 때문이다. 일본에 대한 미국의 지배적 위치는 공공연한 것이었기 때문에 미군의 지위 또한 독보적인 것이었다. 때문에 아시아태평양전쟁 후 미군도 점령지 특히 패전으로 인해 점령을 당하는 일본 각지에서 일본인에게 불법행위를 자행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했다. 그러나 진주군에 대한 일본의 공식적인 여론은 점령군으로서 민주적인 점령정책을 실시했다는 평가가 주를 이룬다. 이와 같이 민주의 이름을 달고 시작한 대일점령은 많은 시행착오와 모순을 만들었다. 그 가운데 이제까지 주목하지 않았던 부분이 미군의 불법행위이다. 특히 가장 심각한 불법행위는 미군의 성폭력 범죄였으며, 점점 급증하는 성폭력 사건 때문에 일본은 스스로 연합군 병사관계 사고방지 대책을 강구해야만 했다. 본고는 아시아태평양전쟁 이후 미군의 성범죄행위와 이에 대응하기 위한 일본의 대응 양상을 밝히고 있다. 점령군 위안소는 일본 정부는 점령 후 사회문제로 대두되는 미군의 일본여성 성폭력범죄 예방대책으로 고안한 방안이었다. 미국은 늘어가는 미군의 성병예방에 효과적이라고 생각하여 환영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일본인 여성에 대한 멸시적인 이미지가 형성되어 ‘판판’에서 ‘아메조’나 ‘옐로캡’이라는 용어로 바뀌었을 뿐 현재까지도 멸시적인 이미지는 연속성을 띠고 있다. 이는 아시아태평양전쟁 이후 점령 체제의 연속선상에서 유지되어온 미군 주둔 체제가 동북아에 남긴 어두운 그림자이자, 전쟁 처리와 식민지 청산을 제대로 이루어내지 못한 동북아의 아픈 역사일 것이다. The period from August 1945 to April 28, 1952, when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goes into effect, is officially called the Allied occupation of Japan. However, this is also not an accurate representation. This is because the United States was the one who set the basic policy for the occupation from beginning to end and had the command over all matters related to Japan during the occupation period. Since the US dominant position over Japan was overt, the US position was also unique. For this reason, after the Asia-Pacific War, the US military also frequently committed illegal acts against Japanese in occupied territories, especially in various parts of Japan. However, Japan s official opinion on the Allied Forces is mainly based on the evaluation that it implemented a democratic occupation policy as an occupation force. The occupation of Japan, which started under the name of democracy, caused many trials and errors and contradictions. Among them, the part that has not been paid attention to is the illegal activity of the US military. In particular, the most serious illegal act was sexual violence by the US military, and the increasing number of cases of sexual violence forced Japan to devise measures to prevent sexual violence incidents on its own. This paper reveals the sexual crimes of the US military and Japan s response after the Asia-Pacific War. The Recreation and Amusement Association were devis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as a measure to prevent sexual violence against Japanese women by the US military, which became a social problem after the occupation. The United States welcomed it as it thought it would be effective in preventing the growing number of U.S. military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And in the process, a derogatory image of Japanese women was formed. The image has been changed from ‘panpan’ to ‘amezo’ or ‘yellow cap’, but the derogatory image has continued to this day. This is the dark shadow left by the US military presence in Northeast Asia, which has been maintained in the continuum of the occupation regime since the Asia-Pacific War. And it must be a painful history of Northeast Asia that failed to properly deal with the war and liquidate the colonies.

      • KCI등재

        현대일본의 회사종교 : 회사신사를 중심으로

        박규태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1 일본사상 Vol.0 No.20

        버스나 전철을 타고 도쿄라든가 오사카 시내의 도로 위를 달리다 보면 촘촘히 들어선 빌딩 옥상에 도리이(鳥居)와 조그만 신사가 서 있는 것을 쉽사리 목격할 수 있다. 이는 일본 회사의 ‘가미’(神)를 모시는 신사이다. 이처럼 일본의 수많은 회사들이 자기만의 신사를 세우고 정기적으로 회사 임원 및 종업원들과 함께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현상을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까? 왜 일본 기업들은 그런 회사의 신사를 필요로 하는 것일까? 최대한의 경영 합리성을 추구하는 현대일본의 공공적 기업문화에 사적이고 주술적이며 종종 비합리적, 초현실적인 가미신앙이 모순 없이 결부되어 있는 현상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어떤 관점이 필요할까?본고의 목적은 이런 물음들을 염두에 두면서 이른바 ‘회사종교’라 칭할 만한 현대일본사회에 특이한 현상을 분석하는 데에 있다. 즉 본고는 종교로써 회사문화를 설명하는 관점에서 특히 신사와 회사의 관계 유형 및 그 의의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하에서는 먼저 현대일본사회에 있어 고유한 시설 및 장치(조직체계), 성직자나 회사간부에 의해 거행되는 의식(의례체계)이라든가 창업과 회사발전을 이야기하는 고유의 창업자 신화 및 세계관(신념체계) 등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하나의 종교시스템이라 할 수 있는 회사종교론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그런 다음 회사종교의 주축을 이루는 신사시설과 관련하여 특히 그 전형적인 사례라 할 수 있는 이나리(稲荷)신사를 비롯하여 다양한 사례들을 검토하겠다. 여기서 ‘회사신사’란 회사가 제사의 모체가 되는 신사를 가리키며, 그 제신은 ‘회사신’ 혹은 ‘기업신’으로 부를 수 있겠다. 끝으로 본고는 업자나 창업자가 신앙하는 신(家神)을 모신 경우, 회사나 공장이 위치하는 지역의 신(氏神)을 모신 경우, 상업신=이나리신처럼 업종과 관계가 밀접한 신(직능신)을 모신 경우, 아마테라스와 같이 국가제사와 결부된 신(국가신)을 모신 경우, 사람을 신(人神)으로 모신 경우 등으로 회사와 신사의 관계유형화를 시도하면서 현대일본사회에 있어 회사신사의 의의에 대해 전망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서구의 외부 ‘태동(泰東)’과 ‘아시아’의 내부 ‘일본제국’ 사이에서 - 오카쿠라 덴신과 오카와 슈메이의 ‘아시아론 -

        전성곤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4 일본사상 Vol.0 No.26

        오카쿠라 덴신이 주장한 ‘아시아는 하나다’라는 논리 속에는, 인도 불교, 중국 유교와 도교를 중심으로 ‘아시아와 일본’의 관계성 속에서 구축한 ‘아시아론’이었다. 아시아의 정수를 수입하고 여러 주변국의 문물을 받아들여 서구에게 박해를 받지 않으며 근대까지 그러한 아시아적인 것을 보존한 일본은 ‘아시아의 박물관’이며, 그 미술이나 사상은 아시아적 양식의 총합이라고 오카쿠라는 상정했던 것이다. ‘아시아는 하나다’라는 사상 논리를 지탱시킨 것은 결절점으로서의 일본이었다. 그리고 오카쿠라는 서구의 식민지정책아래 허덕이고 있는 조건에 의해 아시아를 하나의 전체로 제시하고, 서구의 문명에 의해 수탈되는 객체로서 아시아를 서구와는 별개로 그러나 포괄적인 원리를 내걸면서 하나의 통일체로 ‘구축’한 것이다.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오카와 슈메이는 아시아의 정수와 일본정신을 연결시켰다. 아시아문화의 집합체로서의 일본을 설정할 수 있는 논리를 오카쿠라를 통해 학습하면서, 그것이 ‘일본정신’으로 재편성되는 논리를 ‘시대적 구분’과 ‘인도와 중국’의 식민지화를 중첩시키는 담론 속에 끼워 넣으면서, 아시아의 가능성을 일본에서 찾는 담론을 발견해 낸 것이다. 특히 서구의 식민지지배에 허덕이는 ‘아시아는 하나’인데, 그러한 아시아의 다문화를 새로운 ‘제국’으로 통합하고 융합하는 테제를 찾아간다. 그것은 바로 다양한 아시아 문화의 정수를 총합한 일본이 그 가능성을 갖고 있으며, 그 정수는 역시 일본정신 속에 존재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일본의 부흥을 위해 필요한 사상성을 ‘일본의 전통’에 투영시키고 아시아의 혁신 에토스를 ‘일본정신’ 속에서 체현해 낸 것이다. 다시말해서 아시아 문화의 ‘정신적 유전자’인 국체(國體)가 일본에서 배양되었는데, 바로 그것이 일본정신의 본질이며, 이러한 일본정신을 부흥시켜야 한다고 주장한 것이다. 그리고 그 원천을 아마테라스 오미카미(天照大神)에서 찾았고, 일본민족=일본문화를 통합해가며 일본정신의 세계성을 해석해냈다. 시대적 상황을 등에 업고 일본정신의 에토스는 성립해 왔던 것이다. 그러한 ‘다문화 제국’의 ‘새로운’ 가능성이라는 명목은, 간토대지진이라는 위기상황에서 오카와 슈메이의 ‘인위적인 의도’로 재현된 ‘정신=사상’논리였던 것이다. 오카와 슈메이는, 오카쿠라 덴신이 주장한 ‘아시아’ 개념을 ‘일본정신의 구조’ 속에서 찾았고, 그 아시아적 정수의 존립형태인 ‘국체’를 합성시키면서 일본정신이 곧 아시아정신이라는 논리를 재구성해냈던 것이다. 결국 ‘일본정신=아시아정신’으로 재구성되고, 동양을 상대화하지 못하는 ‘서구정신=개별정신’을 ‘일본정신=아시아정신=세계정신’으로 전복시켜 일본중심주의적 ‘권위’를 제시하는 ‘아시아 정체성’을 만들어 냈다. 특정한 일본정신에 귀착하는 일본적 구조 그 자체가 이러한 논리 속에서 여실히 드러나고, 아시아의 부흥에 아시아전통=일본전통을 강조하는, ‘일본인의 국민화’ 그리고 ‘일본인의 아시아화’로 시그널을 확대하면서, 오카쿠라 덴신과 오카와 슈메이는 아시아 본질론을 부각시킨 ‘다문화 제국주의=아시아 국민’ 논리를 생산했던 것이다.

      • KCI등재

        일본인의 한반도 이주와 여성중등교육의 형성 — 식민 초기, 경성고등여학교를 중심으로 —

        송혜경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22 일본사상 Vol.- No.42

        본 논문은 통감부 시기와 1910년대 한반도에서 진행되었던 일본인을 위한 여성교육의 내용과 이를 둘러싼 담론을 연구한 것이다. 특히 경성고등여학교를 통하여 식민지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당시 재조일본인 여성에게 부과되었던 교육의 방향과 의도를 파악한다. 통감부 설치 이후 가정을 단위로 하는 일본인의 이주가 증가하면서 일본인을 위한 교육시설이 마련되었다. 한반도에는 일본인 여학생을 위한 고등여학교가 남학생을 위한 중학교보다 ‘먼저’ 또 ‘많이’ 세워졌고 전국 곳곳에 산재해 있었다. 이는 딸은 부모 곁에서 교육시키고자 하는 의식뿐 아니라, 식민지 본국인 일본에서의 고등여학교에 대한 인기와 관심이 반영된 것이었다. 경성고등여학교는 1908년 경성에 설치된 최초의 일본인 중등교육기관으로, 해외 발전을 위한 조력자로써의 현모양처주의 교육을 실시했다. 여성이 책임자가 되어 가정을 경영한다는 당시로써는 개혁적인 교육방침은 공고한 식민지지배와 일본인 사회의 안정을 위한 사상으로써 이용되었다. 이와 더불어 학생들에게 조선인을 지도하는 계몽자의 역할을 부여하였다. 식민화 초기 일본인 여학생은 조선 개발을 위해 여성으로써 일조해야한다고 교육받으며, 일본 엘리트 여성으로서 조선인에 대한 우월의식을 내면화하도록 양성되었던 것이다. This study is about the contents of Women’s education for Japanese settlers in Chosun in the early Colonial Period(1910’s). In particula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direction and intention of education imposed on Japanese women in the special circumstances of the Colony through Gyeongseong Women’s High School.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General Colonial Management, the number of Japanese immigrants increased, and educational facilities for Japanese were established. On the Korean Peninsula, Japanese girls’ high schools were built ‘before’ and ‘more’ than boy’s middle schools, and they were scattered all over the country. The girls’ high school for Japanese in Chosun reflects the interest of female education in Japan at that time. Gyeongseong Girl’s High School is the first Japanese secondary education institution established in Gyeongseong of Chosun in 1908. This school educated Japanese women to become a facilitator for Japan's extension of their power abroad. At that time, the reformed educational policy was used as an ideology for the stabilization and expansion of Japanese society in the colony, when women were in charge and run the family. In addition, Gyeongseong Women’s High School gave the students the role of enlightenment to guide Koreans. These female students were educated to contribute as women for the development of Chosun, which served as an opportunity to internalize a sense of superiority toward Koreans.

      • KCI등재

        근대 일본 여성과 국가 : 쓰다 우메코(津田梅子, 1864∼1929)와 일본의 사이

        이은경(Lee, Eun-Gyong) 일본사학회 2022 일본역사연구 Vol.57 No.-

        이 글은 쓰다 우메코의 생애를, 종래와 달리 근대 일본이라는 국가와의 관련성 위에서 통시적으로 조망하려 한 것이다. 우메코가 미국 유학을 마치고 11년만에 귀국하여 ‘일본’에 정착하려 했을 때 그가 어떻게 일본을 이해하고 혹은 실망했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그리스도교는 어떠한 의미와 영향을 갖는 것이었는지, 최종적으로 그에게 일본은 무엇이었는지 등을 살피려 했다. 본 연구를 통해 파악한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귀국 후 우메코는 황실과 황후, 정부와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면서 친밀감을 느끼고, 심지어 자신을 일본 정부의 일부로 여기기까지했다. 일본에 대해 해외의 지인과 매체를 통한 국제 사회의 정보를 입수할 수 있었지만, 대외전쟁의 명분이나 강한 애국심에 대해 당시의 일본인과 크게 다르지 않은 입장을 보였다. 둘째, 그러나 십여 년만에 마주한 일본에 대해, 그가 아쉬움과 불편함을 느꼈던 것은 일본이 그리스도교가 아닌 이교도의 국가라는 점과, 극심한 남녀의 불평등으로 인해 여자만은 근대 이래의 일본의 눈부신 발전의 혜택을 누리지 못한다는 점이었다. 셋째, 우메코가 일본을 향해 가진 이상의 부정적인 인식은 비판이나 대결이 아니라, 장래 더 나은 일본의 건설이라는 궁극의 목적으로 수렴되었다. 이교도의 나라라는 점은 오히려 그리스도교 복음화의 기대를 갖게 했고, 여성 차별이라는 문제 앞에서는 이성(異性) 간의 대결이 아니라 일본을 위한 남녀 협력의 방법을 모색하려 했다. 넷째, 일본과 자신을 일체화하려는 우메코의 성향과 일본 정부에 의해 보장된 그의 안정적 지위는 그에게 새로운 시도를 주저하게 했다. 결국 그가 종래의 학교를 사직하고 사립학교 설립에 나서기까지는, 세 차례에 걸친 미국행과 신앙적 결단이 필요했다. In contrast to past research, this paper examines the life of Tsuda Umeko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in relation to modern Japan. Upon returning home after 11 years in America, Umeko tried to settle back into Japan, attempting to understand her home country, her disappointments, how Christianity influenced this process, and finally what Japan meant to her. This research will examine these topics. This study has led to the following findings. Firstly, upon returning home to Japan Umeko felt close to the imperial family, the empress, and the government, even including herself as part of the Japanese government. Through her overseas network and the media, Umeko was able to obtain information on Japan from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However, her position on the cause of Japan’s wars against foreign powers and her strong patriotism did not differ much from the Japanese public at the time. Secondly, Umeko also held regretful and uncomfortable feelings when returning to Japan after ten years abroad. These feelings came from the fact that Japan was a pagan country, far from Christianity and due to the extreme gender inequality that deprived women of benefitting from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Meiji, Japan. Thirdly, Umeko’s negative understanding of Japan was not judgmental or for want of confrontation, but instead converged with the goal of building a better Japan for the future. She held the hope of Christian evangelization for Japan. When facing the severe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she searched for a way for men and women to cooperate for their mother nation while avoiding gender confrontation. Finally, Umeko s inclination to unify herself with Japan and her stable status guarante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made her hesitant to practice these new ideas. As a result, Umeko had to make three additional visits to the US as well as a religious decision before resigning from her current school job and starting the new private school.

      • KCI등재

        일제강점기 재조일본인 여성의 위상과 식민지주의 - 조선 간행 일본어 잡지에서의 간사이(韓妻) 등장과 일본어 문학

        송혜경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7 일본사상 Vol.0 No.33

        This paper is to study the relation between the social status of "Japanese women" who lived in Chosun and the Japanese colonialism itself by analyzing Japanese-written literature about "Kansai". Kansai is a word that describes a Japanese mistress who is in a temporarily-conjugal relationship with a Japanese man who has his first wife back in Japan. Kansai were not taken a census of the population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or in an official document. However, they formed a defined social status when referred to Japanese media that was published in Chosun.The colonial power wanted to strengthen their control by encouraging the migration of the whole family member or emphasizing the ideal family image. At the same time, many reviews and articles based on the background of Kansai were presented in Japanese media that was issued in Chosun. It also became the main subject of Japanese literature and showed the aspects of Japanese family in the colony. Kansai, however, was mainly based on women's youth, appearance, and sexuality, and therefore against the purpose of colonial power to establish social stability by settling the "sweet home" in its colony. The Japanese literature shows the break up of families, the tragedy of wife according to patriarchy, and Kansai's desire to improve their social class and to make money from men. While Japanese media presented the ideal family image in order to spread the discussion about the "family model", Japanese literature destroyed this intention by showing the reality of the lives of Japanese women who lived in Chosun. 본고는 조선에서 발행된 일본어 잡지를 통하여 식민지 초기 조선으로 이주한 일본인 여성, 특히 ‘간사이’ 관련 기사와 이를 소재로 한 일본어 문학을 분석하여 재조일본인 여성의 위상과 식민지주의와의 관계를 규명한 것이다. 간사이는 조선에서 독신생활을 하거나 고향에 본처가 있는 일본인 남성이 합법적인 경로가 아닌 임시 부부관계에서 맺어진 일본인 현지처를 가리킨다. 이들은 통감부나 조선총독부의 인구조사나 공적인 기록에는 남아있지 않은 ‘비가시적’인 존재였다. 그러나 당시 조선에서 출판된 일본어 잡지를 보는 한, 매우 명확한 존재로 하나의 계층을 형성하고 있었다. 식민 권력은 가정 단위의 이주를 권장하고 이상적인 가정상을 보여줌으로써 식민지 지배를 더욱 공고히 하고자 하였다. 식민지 조선에서 일본 가정의 이식을 의도하는 가정담론이 확산되는 것과 같은 시기, 조선에서 간행된 일본어 잡지에는 일본 여성 현지처인 ‘간사이’의 등장 배경과 그 현상에 대한 평론과 기사가 등장하였다. 간사이의 존재는 간사이의 별칭인 ‘조선뇨보(朝鮮女房)’로서 연구되고 그 존재에 대한 ‘가부론’까지 논해지고 있었다. 또한 당시 일본어 문학의 소재가 되어 실제 식민지에서의 일본인 가정의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젊음, 미모, 생식기능에 의해 값이 매겨지는 간사이의 존재는 식민지에서의 ‘스위트 홈’의 정착을 실현시켜 식민자 사회의 안정을 공고히 하려는 식민권력의 의도에 위배되는 것이었다. 당시 일본어 잡지에 게재된 일본어 문학은 임시의 불안정한 부부 관계에 의해 파경에 이르는 가정, 남성 중심의 가부장적 의식에서 발생하는 부인의 비극, 남성을 지위향상과 부의 원천으로 여기는 현지처의 욕망을 그리고 있다. 당시의 일본어 잡지가 일본인 사회의 안정을 위해 가정담론의 확산하고자 했다면, 여기에 게재된 일본어 문학은 이러한 의도를 거스르며 식민지라는 환경에서 겪었을 이주 여성들의 실상과 그에 대한 인식의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일본 평화헌법의 공동화(空洞化)와 자위대

        유지아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9 일본사상 Vol.0 No.37

        From cold war and Korean War, US expect alliance with Japan. At this point, Japan wanted pre-consolidation and US wanted military stationing at Japan – which could gave them space to coop with. A step further, US estimated Japan’s remilitarization for strategic point of view. Therefore Treaty of Peace with Japan has been made, stated that Japan agreed their remilitarization. Fast or not, it was expected to be happened. Treaty also contains mutual national security agreement. Since this treaty, Conserves of Japan keep trying amendment of Article 9. As a result, Japan did not choose amendment but Japan Self-Defense Forces’ (JSDF) function slowly expanded for mutual national security. Apparently Japan shows collective self-defense, which means widely accepted their military power reserving and right to choose military conflict. Reality is: Article 9 was already hollowed out. Beside with this article, Japan interpreted and detailed collective self-defense as global contribution. This move fortified their position in US-Japan alliance, also systematically chose to ignore relationship with other East Asian countries. Nevertheless, Japan still wants amendment for ‘war on self-defense’ – means that officially granting JSDF in law. Politics spend much attention to convince social needs of JSDF within public and ‘normalize’ its existence. Hollowing constitution made many Japanese to accept irony between Article 9 and current situation of JSDF. Therefore we need to think about true meaning of amendment since constitution hollowed out and JSDF widely understood as protector for nation and people. 냉전과 한국전쟁의 국제정세에서 미국은 일본을 우방국으로 삼고자 하였다. 이에 일본은 ‘조기강화’를, 미국은 ‘미군의 일본주둔’을 최우선 목표로 설정하고 연대하였다. 그러나 미국은 일본에 주둔하는 것 뿐만 아니라, 군사전략적 관점에서 일본을 재군비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일본은 급진적이든 점진적이든 재군비에 동의하는 형식을 취하면서 대일강화조약에 서명하고, 미국과 미일안보조약을 체결하였다. 대일강화조약이 체결된 이래 일본의 보수세력들은 헌법 제9조를 개정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일본은 헌법을 개헌하지는 않았지만, 미일안보 차원에서 자위대의 역할을 확대시켜왔으며, 집단적 자위권을 행사함으로써 군력보유와 교전권을 이미 인정하고 있는 상태가 되었다. 이와 같이 전후 일본국 헌법 제9조는 이미 공동화되었다. 일본은 헌법과는 별도로 국제공헌이라는 명목으로 집단적 자위권을 구체화함으로써 미국과의 관계에서 동맹국으로써 지위를 명확히 하는 대신 동아시아 다른 국가들과의 관계를 중요시하지 않는 국제관을 가지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헌법개정을 통하여 자위전쟁을 가능케 하는 자위대의 존재를 헌법에 명시적으로 인정하고자 한다. 그 목적을 위해서 일본은 자위대 존재를 보편화하고 그 필요성(needs)에 국민적 합의를 확립시키려고 많은 에너지를 투입해 왔다. 많은 일본인이 헌법 9조와 자위대 사이에서 모순을 느끼지 않게 된 것은 이러한 헌법의 공통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일본이 헌법을 공동화시키고, 국민들의 인식 속에 자위대가 국가와 국민을 지키는 군대로 자리매김한 상태에서 헌법개정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생각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헌법 개정을 저지하기 위해서는 헌법 제9조야말로 테러와 전쟁이 만연한 시대에 일본의 평화와 동북아시아의 안정을 지키는 열쇠가 될 수 있다는 구체적인 확신이 필요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헌법 제9조의 유지가 안전보장정책에 유용한 조항이라는 것을 증명해 나가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