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유발행제 교과용도서의 시도교육청 질 관리 체제 개선 방안

        박미정,김은경,강현숙,박은영,박희동,이미경,주진호,감경원,이윤하 교과와교과서학회 2022 교과와교과서연구 Vol.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lans to improve of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 of the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for the issuance and use of high-quality freely publishing system of textbooks for the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s a research method, we analyzed the prior research on the freely publishing system of textbooks by the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conducted a survey of the people in charge of approving textbooks the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analyzed the on-site opinions that in 13 people respond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proposed to establish a new control tower that oversees quality management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from development to use of freely publishing system of textbooks, to develop and disseminate quality management manuals by this institution, to strengthen the role of the Joint Management Committee of the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Curriculum Manual, to operate the network for the development of freely publishing system of textbooks and to operate permanent training system, to strengthen the expertise in the examination of freely publishing system of textbooks by the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to operate the information sharing system for freely publishing system of textbooks, and to activate the monitoring and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system of freely publishing system of textbooks.s 이 연구는 시도교육청 단위의 현행 교과용도서 관리 체제에 대한 문헌 분석과 현장 의견 수렴에 기초하여 질 높은 자유발행제 교과용도서의 발행 및 사용을 위한 시도교육청 단위의 교과용도서 질 관리 체제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과용도서 자유발행제와 시도교육청의 교과용도서 관리에 대한 법률 및 문서 자료, 선행 연구를 분석하였고,시도교육청 인정도서 담당자 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명이 응답한 현장 의견을 수렴하여 분석하였다 13.연구 결과 자유 발행제 교과용도서의 개발부터 사용까지의 전 과정에서 질 관리를 총괄하는 컨트럴타워로‘(가칭) 자유발행제 교과용도서 질 관리 센터’를 신설하고,이 기관을 중심으로 자유발행제 교과용도서 질 관리 매뉴얼 개발 및 보급, 시도교육청 교과용도서 공동관리위원회의 역할 강화,자유발행제 교과용 도서 개발 네트워크 운영 및 상설 연수 운영, 시도교육청 자유발행제 교과용도서 심사 전문성 강화, 자유발행제 교과용도서 정보공유시스템 운영, 자유발행제 교과용도서 모니터링 및 수정·보완 시스 템 활성화 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시·도교육청 자유발행제 교과용도서의 질 관리 체제 구축 및 개선에 도움이 되어 자유발행제 교과용도서의 질적 제고 및 자율화와 다양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시ㆍ도교육청평가의 개선 방안 연구

        이종재(Lee Chong Jae),김영식(Kim Young Sik),정성수(Jung Sung Soo) 한국교육행정학회 2007 敎育行政學硏究 Vol.25 No.4

        이 논문은 교육기관의 운영과 통제를 거버넌스(Governance) 관점에서 새롭게 탐색해보려고 한다. 거버넌스를 ‘통치’작용으로 규정할 때 정부에 의한 통치 이외에 다른 요인에 의한 ‘협력적 통치체제’를 새로운 거버넌스로 보는 신공공행정론(New Public Management)의 관점에서 현행 시ㆍ도교육청평가의 문제점을 살피는 한편, 시ㆍ도교육청평가 방식의 적절성 문제를 검토하고, 시ㆍ도교육청평가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개선방안은 ‘시ㆍ도교육청평가의 기본 방향 재설정’과 ‘시 ㆍ도교육청평가 제도 개선을 위한 과제’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신공공행정론의 관점에서, 시장의 통제기능을 제고하는 방향으로 시ㆍ도교육청평가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첫째, 시ㆍ도교육청이 책임져야 할 성과에 대한 평가, 둘째, ‘지역교육의 수준과 과제’에 대한 실상을 파악할 수 있는 정보 제공, 셋째, 선의의 경쟁을 유도하여 지역교육의 질적 수준 향상을 도모하는 것으로 기본 방향을 설정하고 있다. 시ㆍ도교육청평가의 개선을 위한 과제로서, 평가 목적에 대한 재점검, 지방교육혁신 조장형 평가모형의 탐색, 시ㆍ도 교육청 참여형 평가과정의 설계, 평가항목과 평가지표 체계의 재검토, 평가시기 조정, 평정과 함께 교육수준과 상황분석 연구 병행, 고객만족도 평가 개선, 평가담당조직의 재구성 등을 제시하였다. Since 1996, "The Evaluation Program of Provincial Board of Education" has been administer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is paper intends critically review the evaluation program of EP-POE conducted in 2006. EP-POE was designed to check the accountability of Provincial Board of Education when the central government(Ministry of Education) began to implement the extended 'Local Autonomy of Education Program' in 1996. In implementing EP-POE, contrary to the general objectives Evaluation Program of Provincial Board of Education, the evaluation has resulted in controlling the work of Provincial Board of Education with the narrowly-detailed evaluation indicators, discouraging creative approaches to the developmental tasks of Provincial Boards of Education. Based on the close-observation of the case of the Evaluation administered in 2006, this paper suggest to change the perspectives of Evaluation program of Provincial Board of Education and proposed eight points tasks for the improvement of the evaluation program in the future.

      • KCI등재

        교육자치의 이념에 토대한 지방아카이브 논의 공공기록물법 제11조의 개정 필요성을 중심으로

        정상명 한국기록학회 2022 기록학연구 Vol.- No.72

        최근 경상남도기록원과 서울기록원의 개원에 이어 시·도의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치를 위한 업무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시·도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등장에 따른 기록물관리 업무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기관이 있으니 바로 시·도교육청이다. 현행 공공기록물법 제11조는 시·도지사에게만 지방기록물관리기관설치 의무를 부여하는 등 시·도 중심으로 규정되어 있는 반면, 시·도교육청은 기관 설치 의무로 갖고 있지 않을뿐더러, 시·도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이 설치될 경우 소관 기록물 중 보존기간 30년 이상의 기록물을 이관해야 하는 의무 등만 명시되어 있다. 이는 시·도교육청과 시· 도가 헌법과 법률에 따라 각자 시·도 단위에서 고유의 업무와 역할을수행하는 것을 고려할 때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는 시·도교육청과 시·도가 기본적으로 지방교육자치와 지방자치를 실현하는 핵심 기관으로서 각자 관할 지역에서 독립적으로 고유 사무를 담당하는 대등한 행정기관이라는 점을 법적·제도적 및 역사적으로 비교하여 살펴보고, 지나치게 시·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 현행 공공기록물법 제11조의 개정 필요성과 함께 시·도교육청의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치에 따른 기대효과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시·도교육청 진로교육 평가지표 개선 연구

        장현진(Hyun Jin Jang),윤형한(Hyoung Han Yoon),임건주(Kun Joo Lim) 한국진로교육학회 2017 진로교육연구 Vol.3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시 도교육청 진로교육 평가지표의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시 도교육청 진로교육 평가 관련 문헌 연구, 평가지표의 변별도 분석,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 그리고 연구진이 마련한 개선 초안에 대한 전문가 세미나를 실시하였다. 진로교육 평가지표의 변별도 분석 결과 지표 5개 가운데 3개는 모든 시 도교육청이 ‘매우 우수’ 등급을 받아 변별력이 없었다. 이 연구에서 도출한 시 도교육청 진로교육 평가지표 개선 방안은 시 도교육청의 진로교육 발전과 시 도교육청 간의 진로교육 격차 완화를 위한 목적으로 다섯 가지 기본 방향에 기반 하여 도출하였다. 평가지표의 개선 방안은 단기적으로 평가지표별 목표치, 평정 기준, 측정 산식 등을 체계화하고 변별도를 높이도록 수정할 필요가 있다. 중 장기적으로는 진로교육법 및 제2차 진로교육 5개년 계획 등 주요한 진로교육 정책 방향을 고려하여 투입, 과정, 성과, 그리고 시 도교육청의 시책 영역으로 구분하고 평가지표 개정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된 개선 방안들은 향후 교육부의 시 도교육청 평가 편람에 반영될 수 있다. 아울러 평가지표의 변별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시·도교육청의 진로교육에 대한 자체평가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그 기준과 매뉴얼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improvement plan to reform the evaluation index for career education of 17 metropolitan or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MPO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we conducted literature review, statistical analysis, stakeholders’ opinion gathering, seminar, and expert consultation. According to the discrimination analysis of the career education evaluation index, three indicators among the five indicators were not distinguishable because all MPOEs were rated ‘excellent’. The improvement plan of evaluation index for career education of MPOEs was derived based on five basic directions in order to develop career education of all MPOEs and to reduce disparity of career education among MPOEs. In the short term, it is necessary to clearly improve the target value, measurement criteria, measurement formula for each evaluation index. In the medium to the long term, considering main policies such as Career Education Law and the second 5 years career education plan (2016~2020), we divided into input, process, achievement, and metropolitan or provincial policies and suggested the revision of evaluation index. In the near future, the proposed improvement plan can be reflected in the MPOEs evaluation manual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monitor the discrimination of the evaluation index continuously and in order to promote self-evaluation of career education of MPO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standards and manuals as well.

      • KCI등재

        우리나라 17개 시‧도교육청 교원정책의 정책수단 유형 분석

        송경오 한국교육행정학회 2023 敎育行政學硏究 Vol.41 No.5

        이 연구는 2010년 교육감 직선제 이후 교육거버넌스 변화로 시‧도교육청 정책적 역량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고 있는 시점에서 우리나라 시‧도교육청이 교원정책에서 어떠한 정책수단을 채택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McDonnell과 Elmore(1987)의 정책수단 모형을 활용하여 17개 시‧도교육청의 정책수단 유형을 분석하였다. 방법론으로는 2011년부터 2022년까지 17개 시‧도교육청이 기획한 ‘주요업무계획’을 내용분석법(content analysis)으로 분석하였고, 2차에 걸친 교육행정 전공 교사 및 장학사의 검토를 통해 내용적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시·도교육청들은 충원정책에서 지역 여건과 비전에 맞는 유능한 교사를 확보하기 위해 규제(mandates) 방식의 정책수단을 주로 채택하는 강한 의지를 보였다. 또한 시‧도교육청들은 교원능력개발정책에서 역량개발(capacity-building)의 정책수단을 대부분 활용하였지만, 규제방식의 정책수단도 상당수 채택하여 교원의 능력개발을 유도하는 전략보다 교육청이 설정한 규준에 따르도록 압력을 행사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끝으로 시‧도교육청들은 교원근무여건정책에서 시스템 변화(system-change)와 유인(inducements)방식의 정책수단까지 골고루 활용하였다. 특히, 시‧도교육청의 정책 재량보다 교육부에 의한 규제방식의 정책수단을 활용하여 하달되는 경우가 많은 교원정책 영역에서 교육감 직선제 이후 일부 시‧도교육청들이 시스템 변화(system-change)의 정책수단을 과감하게 활용하고 있다는 점은 흥미로운 현상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policy instruments adopted by Korean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in teacher policy at a time when the policy capacity of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an ever due to the change in education governanc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Education Commission after the direct election of the superintendent in 2010. To do so, we used McDonnell and Elmore's (1987) policy instrument model to analyze the types of policy instruments of 17 municipal education offices. As a methodology, we used content analysis to analyze the 'major work plans' planned by 17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from 2011 to 2022, and consulted three scholars and teachers for content valida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demonstrated a strong commitment to adopting mandates policy instruments in their recruitment policies to secure competent teachers that fit the local conditions and visions. In the domain of teacher capability development policy, while most offices utilized capacity-building policy instruments, a significant number also adopted mandates instruments, indicating a strategy of exerting pressure to follow the norms set by the education offices rather than merely encouraging development. Finally, in policies concerning teacher working conditions, the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employed a balanced use of system-change and inducements policy instruments. Particularly, noteworthy is the bold use of system-change policy instruments by some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in the area of teacher policy, which is often dominated by mandates impos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especially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direct election system for Superintendents.

      • KCI등재

        시・도교육청의 학교평가 정책 변화에 대한 비판적 탐색: A 지역의 학교평가 편람을 중심으로

        도혜림 (Hye Lim Do),김종훈(Jonghun Kim) 한국교육정치학회 2024 敎育政治學硏究 Vol.31 No.1

        이 연구는 시・도교육청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학교평가와 관련된 정책의 변화를 비판적으로 탐색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최근 새로운 교육감의 취임에 따라 학교평가의 방향과 주요 지표에 변화를 보인 A 시・도교육청의 최근 학교평가 편람을 사례로 하여 시・도교육청의 학교평가 정책 변화의 주요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A 시・도교육청의 학교평가는 2023년을 기점으로 ‘학교 자율로부터 교육청 주관으로의 전환’, ‘평가지표의 정량화’, ‘학교교육 중심에서 교육청 정책 중심의 평가로의 전환’이라는 특징을 보인다. 이 연구는 이러한 A 시・도교육청의 학교평가 정책의 변화가 최근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개혁 및 미래교육 담론에 역행할 뿐만 아니라, 학교평가 본연의 취지와 목적을 퇴색할 우려가 있으며, 학교가 실적주의를 지향하고 성과 지향적인 조직문화를 만들 우려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상의 비판적 탐색을 토대로, 이 글은 시・도교육청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학교평가가 어떠한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하는지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policy changes related to school evaluation at a local level.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s the main features of changes in school evaluation policies in regional office of education using ‘the 2023 School Evaluation Manual’ which recently changed the overall direction and key indicators of school evaluation following the inauguration of a new superintendent. Beginning in 2023, school evaluation in this region characterized by a shift from school-autonomous to region-driven evaluation, quantification of evaluation indicators, and a shift from schooling to policy-oriented evaluation. This study points out that these changes in the school evaluation policy of regional office of education are not only contrary to the recent discourse on education reform and future education, but also have the potential to erode the purpose of school evaluation and create a performance-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in schools. Based on the above critical exploration, this study suggests how school evaluation at a local level should be improved.

      • KCI등재

        전국 시도교육청의 전통교육 프로그램 운영 현황에 관한 연구

        이승철,지준호 한국유교학회 2018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71

        This study has provided efficient operation plan presented through research and analysis about traditional education of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n order to take such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specific research projects are to be estimated and examined. First, in order to examine the issues related to traditional education in the "local level curriculum" proposed by each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we will review the guidelines of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each school announced by each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Second, we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related programs run by each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reality of the traditional education - related programs in the policy tasks and emphases that are pursued by each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education programs of each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revealed through these two surveys are as follows. First, the purpose of the traditional education program is ambiguous. Second, it is not a proprietary education program, but a program that mainly constitutes a sub-domain of personality education. Third, the related programs run by the direct agency of each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re mainly one - time experiential activities. Fourth,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ifference of the traditional education programs of each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seems to be irrelevant to the infrastructure of the region. Based on this consideration, we would like to suggest some suggestions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education - related programs of the National Education Agency of Korea and its improvement plan. 본 연구에서는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이 2017년 운영한 전통교육 관련 프로그램의 현황을 조사ㆍ분석하고, 이로부터 제기되는 효율적인 운영방안에 대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과제를 산정하고 검토하고자 한다. 첫째, 각 시도교육청이 제시한 「지역수준 교육과정」에서 전통교육 관련 사항을 살펴보기 위하여 각 시도교육청이 고시한 각급학교의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지침」 등을 검토하고자 한다. 둘째, 각 시도교육청이 추진하는 정책과제 및 역점과제에서 전통교육 관련 프로그램의 실제를 살펴보기 위해 각 시도교육청 직속기관이 운영하는 관련 프로그램의 현황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로서 드러나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교육 프로그램의 목적이 모호하다. 둘째, 독자적인 교육프로그램이 아니라 주로 인성교육의 하위 영역을 구성하는 프로그램으로 편성되어 있다. 셋째, 시도교육청별 직속기관이 운영하는 관련 프로그램은 주로 일회성의 체험활동이 주를 차지한다. 넷째, 각 시도교육청의 전통교육 프로그램의 양적 질적 차이는 해당 지역의 인프라와 무관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앞선 고찰에 근거하여 전국 시도교육청의 전통교육 관련 프로그램의 운영현황과 그 개선방안에 관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연구기관과 시・도교육청간 관계의 정치학 : 경기도교육연구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양성관 한국교육정치학회 2019 敎育政治學硏究 Vol.26 No.3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autonomy of research institutes belonging to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using the perspective of resource dependence theory. The research institutes have explored the efforts to acquire resources by strategic choice of the organization that they do not accept environmental factors passively and actively cope with them. Based on the case of Gyeonggi Institute of Education, the possibility of securing autonomy of research institutes through related research reports and interviews with related persons was analyzed focusing on (1) the leadership of research institutes, (2) the research capacity of researchers, (3) the quality management of research, (4) the interaction with the city and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5) the political influence and relationship in the utilization of research result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institutes can pursue limited autonomy in a way that pursues changes in dependence on various resources used by the city and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his possibility requires long-term prospect of leadership for research institutes and research experience and capacity of researchers should be accumulated in the collaborative culture. Second, autonomy of research institutes and responsibility of education office interact within tension and coordination relationship. Third, research institutes and education offices should reflect the needs of special and individual education sites as much as possible. 본 연구는 시도교육청 소속 연구기관의 자율성 확대 가능성을 자원의존론의 관점을 활용하여 탐색한 연구이다. 연구기관이 환경적 요인을 피동적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적극적으로 대처하기도 한다는 조직의 전략적 선택에 의한 자원의 획득 노력을 탐색하였다. 경기도교육연구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시도교육청 차원의 교육정책 발굴과 생산, 결과의 활용, 시도교육청과의 관계를 관련 연구보고서와 관련자 면담을 통해 연구기관의 자율성 확보 가능성을 (1)연구기관장의 리더십, (2)연구원의 연구역량, (3)연구의 질 관리, (4)시도교육청과의 상호작용, (5)연구결과의 활용 면에서의 정치적 영향력과 관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기관은 도교육청이 활용하고 있는 각종 자원에 대한 의존성에 변화를 추구하는 방식으로 제한적 자율성을 추구할 수 있다. 이 가능성은 연구기관에 대한 장기적 전망을 지닌 리더십이 필요하며, 협업문화 속에서 연구원의 연구경험과 역량이 축적되어야 한다. 둘째, 연구기관의 자율성과 도교육청의 책무성은 긴장관계와 조정관계 안에서 상호작용한다. 셋째, 연구기관과 도교육청은 특수하면서도 개별적인 교육현장의 요구를 최대한 반영해야 한다.

      • KCI등재

        일반계고 학업성취도에 대한 시·도교육청의 영향 분석

        하정윤(Ha, Jungyoun),강지연(Kang, Jiyeon),최진숙(Choi, Jinsook),김대명(Kim, Daemy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20 열린교육연구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계고의 학업성취도(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의 국어·영어·수학 교과 보통학력 이상 도달 비율)에 대한 시·도교육청의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학업성취도는 교육청 변인에 의해 설명될 수 있는가, 둘째, 단위학교 학업성취도 차이는 교육청의 어떤 변인들로 설명할 수 있고, 그 설명력은 어느 정도인가이다. 단위학교 및 시·도교육청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정 하에 2수준 다층모형으로 설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시·도교육청에 의해 설명되는 학업성취도 차이는 12.330%로 확인되었다. 둘째, 단위학교 수준의 변인을 통제한 후, 시·도교육청 변인들에 의한 학업성취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교원연수 활성화 노력, 교사의 교육전념 여건 조성 노력, 학교 기본운영비 확대 비율, 교육환경개선 사업비 투자실적 비율이었다. 그리고 일반계고 학업성취도에 대한 시·도교육청 수준의 설명력은 60.74%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시·도교육청 수준의 변인들이 단위학교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된 바, 시·도교육청의 권한과 기능 변화에 따른 정책과 재정 변인들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앞으로 시·도교육청 수준의 다양한 변인을 활용한 실증연구가 보다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ratio of achieving above the average score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t general high schools. The variables affecting the academic achievement a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those of the schools and those of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This study is designed for a multi-level analysis of level two under the hypothesis including variables of the schools and of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that can affect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variances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by academic achievement were 12.330%. This means that the difference of academic achievemen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Second, after controlling for school-level variables, the differences between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measured by academic achievement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cademic achievement rat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variables depending upon factors such as the effort to revitalize teacher training, the efforts to create teachers devotion to education, the increase in the basic operating cost of the school, and the ratio of investment to educational environment improvemen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level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general high schools was found to be 60.74%.

      • KCI등재

        시·도교육청 차원의 교육정책 개발과 조정

        성병창 한국교육정치학회 2015 敎育政治學硏究 Vol.22 No.4

        The study was developed in an attempt to find out education policy development and coordination of the local education offices in the form of some manner, and successful based on the composition. The key findings summarized the various claims in the literature are as follows. On the result of comparing the policies of all local education offices, educational vision is ‘all', ‘happy', ‘hope’to major key-words. In the case of the superintendent of progressive propensity, a major policies were an innovative schools, free meals, equalization policy. Superintendent of maintenance molding propensity, on the other hand, were developed mainly on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educational activities on presence. The successful coordination system of policies developed by the local education offices were the cooperative relations in relation with the department of education in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coordination with the National Superintendent of the Council and the Local Administrative Council, and the coordination mechanisms that can be guaranteed citizens' participation. Preparation was also important that attempts foundation for policy development and coordination. They were the greater educational autonomy value, authority and control over virtually secured the superintendent, research functions strengthening, and the greater autonomy of financial management. 이 연구는 시도교육청 차원에서 개발된 정책들이 어떤 방식의 조정 형태를 지니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시도교육청 차원의 정책 개발과 조정이 성공적이기 위한 기반 조성을 살펴보았다. 주요 쟁점들에 대한 다양한 주장들과 문헌들을 정리한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시도교육청 차원에서 정책들을 비교 분석한 결과, 교육비전으로는 ‘모두’, ‘행복’, ‘희망’을 주료 키워드로 제시하고 있었다. 그리고 진보성향의 교육감들의 경우에는 혁신학교, 무상급식, 평준화 정책을 주요하게 개발한 반면에 보수성형의 교육감들은 현존하고 있는 교육활동의 개선과 발전에 관한 정책들을 주로 개발하였다. 시도교육청 차원에서 개발된 정책들이 성공적이기 위해서는 교육청과 중앙정부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와의 협조적 관계 유지의 조정 체제가 중요하고, 전국교육감협의회와 지방교육행정협의회를 통한 조정 기제의 활성화가 보다 필요하였다. 또한 시민들의 참여가 보장되어질 수 있는 조정 기제의 활용도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도교육청 차원의 정책 개발과 조정을 위한 기반 조성으로는 크게 교육자치 가치의 정착화, 교육감 권한과 통제권의 실질적 확보, 연구기능 확보, 재정 운영의 자율성 보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