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공습지 조성에 따른 홍수저감효과 분석

        정재원,김연수,홍승진,권형수,김정욱,김형수,Jung,Jae Won,Kim,Yon Soo,Hong,Seung Jin,Kwon,Hyung Soo,Kim,Jung Wook,Kim,Hung Soo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4 No.4

        습지는 수질정화, 재해관리, 생물서식처 제공, 기후변화 대응 등의 다양한 기능을 지닌다. 특히 습지는 수질정화뿐 아니라 유속과 수위를 낮추는 치수목적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므로 하천변 인공습지의 조성은 홍수조절을 위해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습지의 수질정화 기능과 종 다양성 등 생태적 기능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고 천변저류지관련 연구 이외에 수로형습지를 포함한 인공습지 조성에 따른 홍수저감효과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안양천 중류 유역에 속하는 목감천의 인공습지 조성 전과 후의 홍수위 변화를 통해 홍수범람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HEC-HMS 모형을 통해 유출량을 산정하고 수리모형인 HEC-RAS모형으로 인공습지를 모형화하여 습지 조성 전 후 홍수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 인공습지 조성 후의 홍수위가 조성 전의 홍수위에 비해 최대 0.81 m, 평균 0.11 m 감소하며, 목감천 전 구간에서 홍수위가 동일하거나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홍수범람해석을 수행한 결과 인공습지 조성 후에 전체 범람면적이 <TEX>$1,994,000m^2$</TEX> 정도 줄어듬을 확인하여 목감천 유역의 인공습지 조성이 홍수위 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Wetlands have various functions such as water purification, disaster management, habitat of creature, climate change management, etc. Constructed wetland has been introduced as an alternative especially for flood control in the river basin, because it can reduce flood stage as well as improve water quality. However, the previous studies only focused on the function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and ecological function of biodiversity, and the studies on the flood control effects according to artificial wetlands including channel-type wetlands have not yet been carried out. In this study,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flood inundation by doing comparative analysis on flood level change before and after creation of constructed wetlands. For this study, outflow of study area were calculated using HEC-HMS model, and we investigated the change in flood stage before and after creation of constructed wetlands using HEC-RAS model by modeling artificial wetland. The results showed that flood stage after wetland construction was decreased and the reduced stages were maximum 0.81 m, average 0.11 m when we compared with flood stage before wetland construction. Also, flood inundation mapping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area of inundation was also decreased in about <TEX>$1,994,000m^2$</TEX> after wetland construction, and so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artificial wetland can reduce flood stage in Mokgamcheon basin.

      • KCI등재

        생태교육적 가치평가를 위한 습지생태공원 적지분석

        변형균 ( Byun Hyung-kyun ),이정원 ( Lee Jung-won ),이동근 ( Lee Dong-kun ) 한국경관학회 2014 한국경관학회지 Vol.6 No.1

        본 연구는 국가습지센터 습지 리스트 중 내륙 습지 12개소를 대상으로 생태교육을 위한 가장 적합한 장소를 찾는 연구를 하였다. 연구방법은 적지분석을 위한 인자를 도출하여 데이터 수집을 한 후 AHP 기법을 사용하여 인자별 가중치를 설정하였으며, GIS Reclassify를 사용하여 각 인자별 가중치에 대한 분위(Quantile) 분류를 3등급으로 재등급화 하여 1, 2, 3점으로 점수를 부여하였고, 마지막으로 GIS 중첩을 하여 최적의 장소를 찾아내었다. 연구 결과, 우포늪이 1순위를 차지하였으며, 고창운곡습지, 무제치늪, 대암산용늪, 담양습지, 두웅습지, 신불산고산습지, 강화매화마름 군락지, 화엄늪, 한반도습지, 밀양재약산 사자평고산습지 순으로 나타났으며, 상주공검지가 가장 낮은 순위로 분석되었다. 생태교육을 위한 적지분석을 통하여 향후 습지생태공원에서 생태교육의 활성화와 개선점을 기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roject/study aims to find the most appropriate place for ecological education among 12 inland Wetlands of National Wetlands Center wetland list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following process: researchers collected data by deriving factors for suitable site analysis, set weights of the factors through using AHP method, then reclassified Quantile category into 3 ratings depending on their importance of each factor using GIS Reclassify, and found the most appropriate place by using GIS overla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s that Upo Wetland(우포늪) ranked the first place, followed by Ungok Wetland(고창운곡습지), Moojechineup(무제치늪), Yongneup of Mt. Daeam(대암산용늪), 담양습지, Du-ung Wetland(두웅습지), Alpine Wetland of Mt. Sinbul(신불산고산습지), Ganghwa Maehwamarum Habitat(강화매화마름군락지), Hwaeumneu(화엄늪), Hanbando Wetland(한반도습지), Sajapyeong Alpine Wetland of Mt. Jaeyak(밀양재약산 사자평고산습지). Sangju Gonggeumji(상주공검지) was ranked the lowest place.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xpect the improvement and vitalization of the ecological education in Wetland Eco Park in the future through suitable site analysis for ecological education.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의 습지보전에 관한 국민인식도 분석

        방상원,신가은 한국습지학회 2009 한국습지학회지 Vol.11 No.1

        우리나라의 습지보전에 관한 국민인식도 분석을 위해 2007년 9월 5일부터 약 1개월간 일반대중 및 습지 이해당사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우리나라의 현재 습지보전 수준과 관련하여, 전체 응답자 300명 중 9.7%만이 ‘우리나라의 습지보전이 잘되고 있다’고 응답하여, 현행 습지보전과 관련된 정책 및 제도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습지 이해당사자의 경우 습지의 공익적 가치에 대해 비교적 잘 인식하고 있으나, 일반대중들의 경우에는 습지의 공익적 가치를 잘 모르는 응답이 58.8%에 달하여, 보다 체계적인 일반대중대상 습지교육 및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습지보전의 정도가 개인과 가정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한 설문에서, 전체 응답자 중 습지의 보전이 ‘중요하다’는 응답은 63.5%이었고 15%만이 ‘중요하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한편 습지보전의 정도가 국가의 자연환경과 발전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전체 응답자 중 ‘중요하다’라는 응답은 83.2%, ‘중요하지 않다’라는 응답은 3%에 그쳤다. 이는 습지의 보전이 개인과 가정 그리고 국가에 미치는 영향이 있고, 특히 국가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습지가 인간에게 직접적인 경제적 이익을 주지 않더라도 마땅히 보호되어야 한다는 응답이 전체 85.1%를 차지하여, 직접적인 경제적 이익이 없더라도 습지가 보호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보였다. 본조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에 우리나라 국민은 습지는 공공의 자산으로 후대에도 물려주어야 할 중요한 자연자산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습지의 가치를 고려하지 않은 무분별한 개발은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order to analyze the consciousness of the general public toward wetland conservation issues, three hundred people, chosen to reflect a representative sample of the issues, including the general public and stakeholders of wetlands in Korea, were questioned for a one month period from September 5th, 2007. With regard to a question about the current level of wetland conservation in Korea, only 9.7 percent of the survey group answered that it has been adequately conserved.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strong need to reform existing policies and management frameworks pertaining to wetland conservation. While the stakeholders recognized the public values derived from wetlands very well, 58.8 percent of the general public did not understand the values at all. This suggests that increased and systematic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programs for wetlands and their public values should be launched, especially for the general public. With regard to the effects brought about by levels of wetland conservation, 83.2 percent of the survey group answered that wetland conservation was very important for both the natural environment and development of Korea, while 63.5 percent of the group answered that it was very important for themselves and their family. Surprisingly, 85.1 percent of the survey group said a wetland should be conserved, even though there are no direct economic benefits from doing so. With all these survey results, the general public in Korea thinks that wetlands are an important and precious public asset which should be passed to the next generation.

      • KCI등재

        국내 연안습지 보전 정책의 법제도적 한계와 개선방향 고찰

        육근형 한국습지학회 2013 한국습지학회지 Vol.15 No.4

        우리나라는 1999년 람사르 협약의 국내이행을 위하여 「습지보전법」을 제정하여 환경부와 해양수산부가 각각 내륙습지 와 연안습지를 관리하고 있다. 연안습지는 2001년 무안갯벌을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하기 시작하여, 2013년 6월 기준으로 총 12개 지역, 218.96㎢을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하였다. 제도가 도입된 지 10년이 지나면서 보호지역 지정 면적이 늘어 나는 외형적 성과를 거두었으나, 한편에서는 습지 보전정책이 효과적으로 이행되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이 연구에서는 습지 관련 법률과 제도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연안습지 보전 정책의 효과적인 이행을 위한 정책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국내 습지 유형에 따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 특성

        김동건,백민정,강효정,최락중,이차영,박형준,배연재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05

        본 연구는 국내 습지유형에 따른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습지 유형은 국내에 대표적으로 분포하는 습지를 대상으로 자연적으로 형성된 습지인 배후습지(우포습지)와 고층습원(용늪)을 선정하였으며, 인공조성된 습지인 대체습지(덕소습지, 둔촌동습지, 진관내동습지)와 논습지(월봉리습지, 무의도습지, 율수리습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각 유형별 습지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각 분류군의 종조성을 분석하고, 다변량 분석(NMS)을 통하여 군집의 특성를 분석하였다. 종조성의 경우 배후습지와 고층습원의 경우 파리목(Diptera)의 개체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종수 비율의 경우 배후습지와 고층습원에서 비곤충류(non-Insecta)와 파리목(Diptera)이 각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습지와 논습지의 경우 하루살이목(Ephemeroptera)의 개체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종수의 비율은 대체습지와 논습지에서 각각 잠자리목(Odonata)과 딱정벌레목(Coleoptera)이 높게 나타났다. 다변량 분석 결과 유형별 습지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특히 논습지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배후습지와 고층습원과 대체습지의 중간적인 특성을 나타냈다.

      • KCI등재

        금정산 산지습지의 지질학적 특성

        차은지,함세영,김현지,이정환,정재열,옥순일 한국습지학회 2010 한국습지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도심 가까이에 위치하는 부산광역시 금정산 산지습지의 지질학적 특성을 규명하였다. 야외조사와 실내분석에 의해서 금정산 산지습지의 지형, 지질, 구조지질학적 특성, 습지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암석의 강도, 습지의 토양단면, 토양의 화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금정산 습지의 기반암은 각섬석화강암 이며, 습지 주변의 각섬석화강암과 유문암질암의 절리의 주향은 대체로 남북방향, 동서방향, 북동-남서방향이며 60° 이상의 급한 절리 경사각을 가지고 있다. 또한 습지에 가까울수록 암석의 강도가 낮아지고 풍화도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X선 회절분석에 의하면, 습지 토양시료에는 카올리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깁사이트가 나타나며, 이는 장석의 풍화산물임을 지시한다. 습지 토양의 단면은 지표에서부터 O, A, B, C층의 순서로 놓여 있으며, 유기물 함량은 토양의 심도가 깊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습지 토양의 무기물 성분 중 K+와 Na+의 농도가 높게 나타나며, 이는 장석의 풍화에서 유래함을 지시한다.

      • KCI등재

        하도습지의 생태보전 및 치수를 고려한 하천관리 방안 연구

        안병윤,김택민,홍승진,김길호,김수전,김재근,김형수 한국습지학회 2014 한국습지학회지 Vol.16 No.4

        하천변에 위치한 하도습지는 치수사업을 통한 치수가치와 하도습지의 생태적 보전가치가 대립함으로써 사회적 갈등을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도습지의 치수가치와 생태가치에 대한 경제성 분석을 통해 두 가치 모두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치수안전과 생태보전을 고려한 하도습지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차원 홍수피해산정방법(MD-FDA)과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이용하여 임진강 하구유역의 연평균 홍수피해액과 하도습지의 생태보전가치를 산정하였다. 분석결과, 임진강 하구지역은 치수사업도 필요하고, 하도습지의 생태적 보존가치 역시 중요하여 단계별 치수사업과 하도습지의 보호를 위한 관리방안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임진강 하도습지는 지속적으로 퇴적이 발생하고 홍수위가 상승하는지역으로 분류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임진강 하구는 하천정비사업 시 치수안전과 생태보전을 함께 확인하며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고, 생태계 교란을 최소화하기 위한 단계적인 하천정비시행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향후 치수사업과 하도습지의 보존을 함께 고려한 하천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riverine wetlands located in the riverside bring about social conflicts through confrontation between flood control value throughflood control project and ecological preservation value of riverine wetland.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both valuesthrough analysis of economic feasibility of flood control and ecological values of riverine wetland, and tried to suggest managementplans for riverine wetland considering both of flood control safety and ecological preservation through these results. For this, wecalculated the expected annual flood damage of Imjin River using the multi-dimensional flood damage analysis(MD-FDA), andcalculated the total value of riverine wetland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CVM) to estimate preservation value of riverinewetland.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the Imjin River needs flood control project and the ecological preservation of riverinewetland is also important.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management plan for protecting riverine wetland is also needed. As aresult, the Imjin riverine wetland was classified as the area where sedimentation continues to take place, and the flood water level torise. On the basis of the analyzed results, it is judged that the Imjin River needs flood control for public safety and ecologicalconsideration for ecosystem preservation in the river improvement project. So, the stepwise river improvement is desirable to protectriverine wetland and minimize ecosystem disturbance. The results is expected to be made good use as the basic study forestablishment of institutional river management plans considering flood control project and riverine wetland preserv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GIS를 활용한 하구의 습지추정 및 변화추이 분석에 관한 연구

        노백호,이창희 한국습지학회 2007 한국습지학회지 Vol.9 No.2

        하구습지는 육지생태계와 해양생태계가 만나는 전이적 특성으로 인해 다른 생태계에 비해 겨울철새를 비롯한 많은 생물종이 도래ㆍ서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하구습지에 대한 공간적 분포나 시간에 따른 하구습지 변동추이를 분석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한강, 섬진강, 가화천의 하구습지를 파악하였으며, 이때 구한말 이후 일관되게 제작되는 국가기본지형도를 이용함으로서 표준화된 방법으로 하구습지의 시대별 변화추이를 분석하였다. 특히 1910년대 제작된 고지형도와 1970년대, 그리고 2000년대에 제작된 지형도를 획득하여, 하구 내 갯벌, 습지, 모래에 대한 공간분포와 하구별 하구습지의 훼손실태를 파악하였다. 한강 및 영산강 하구와 같이 대하천 하구는 191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지속적으로 습지면적이 감소되었으나, 감소율은 크지 않았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하구둑 건설과 영산강유역종합개발계획 등 각종 개발사업이 이루어진 영산강의 하구습지는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한강 하구도 남북긴장 완화와 접경지역 개발지원에 따라 습지훼손이 심화되고 있다. 반면 하구둑이나 주변 개발사업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운 가화천은 하구습지의 훼손이 낮은 상태인데, 아직도 1910년대와 비슷한 형태의 갯벌과 갯골을 간직하고 있다.

      • 장기간 운영된 인공습지의 비점오염저감효율 분석

        김준식 ( Joon-sik Kim ),윤춘경 ( Chun-gyeong Yoon ),손영권 ( Yeongkwon Son ),김형중 ( Hyungjoong Kim ),정지연 ( Jiyeon Jung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농지배수를 처리하기 위해 조성된 인공습지에서 구조 및 계절에 따른 인공습지의 유입수 및 유출수의 질소 농도 및 처리효율을 장기간에 걸쳐 분석하였다. 연구대상 지역은 충청남도 당진군 석문면에 위치한 자유수면형 인공습지이며, 인공습지를 이용한 비점오염원 제어효율을 검증하기 위해 2001년에 습지와 유수지를 각각 4개씩 조성하였다. 인공습지의 유입수는 간척농지 배수 및 석문담수호로 유입되는 하천수를 펌핑하여 사용하였으며, T-N과 T-P의 평균 유입수 농도는 각각 4.67 mgㆍL<sup>-1</sup>와 0.43 mgㆍL<sup>-1</sup>를 나타내었다. 습지의 수심은 웨어를 이용하여 생장기(3∼11월)와 동절기(12∼2월)에 각각 0.3 m와 0.5 m로 유지하였으며, 체류시간은 습지와 유수지에서 각각 2∼10일과 1∼5일을 유지하였다. COD<sub>Mn</sub>의 농도는 유수지와 습지에서 유사하게 유지되었으며, 시스템에 따른 처리효율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5번 시험포를 제외한 모든 시스템에서 유출수의 농도는 10 mg/L 전후를 유지하고 있어, 습지의 배경농도로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농도의 유입수가 유입된다면 처리효율이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T-N의 경우 2010년 인공습지 시스템의 처리효율은 1, 2, 3, 4번 시험포가 각각 62.6%, 61.9%, 64.5%, 60.2%로 높은 처리효율을 보였으며, 2009년은 각각 75.8%, 57.0%, 57.4%, 51.3%로 습지-유수지 시스템 또는 유수지-습지 시스템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010년의 경우에도 각 시험포가 74.5%, 68.2%, 69.4%, 73.8%로 높은 처리효율을 보였으며, 장기간 운영된 인공습지에서 습지바닥에 이탄층이 적절히 조성되었을 경우 높은 질소처리효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P의 2010년 전체 인공습지 시스템의 처리효율은 개방수역을 설치하지 않은 1번, 2번 습지의 경우 -25.4%와 -23.9%의 처리효율을 보였으며, 설치한 3번과 4번 습지의 경우 각각 50.1%와 14.2%의 처리효율을 보였다. 습지의 처리효율은 1, 2, 3, 4번 습지가 각각 -73.4%, -6.2%, 22.8%, 15.9%로 측정되었으며, 유수지의 처리효율은 27.7%, -16.7%, 35.4%, -2.0%로 나타났다. 개방수역을 설치하지 않은 1번과 2번 시험포의 경우 습지가 장기간 운영되면서 습지 수체내의 용존산소부족으로 인한 인의 재부유로 인하여 처리효율이 낮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에 개방수역을 설치한 3번과 4번 시험포의 경우 적절한 DO농도 유지를 통한 인의 용출을 억제한 것으로 판단된다.

      • 실험실 조건에서 소택지, 연못형 습지의 영암염류 제거효율 평가

        송근예,강호정 한국습지학회 2005 한국습지학회지 Vol.7 No.4

        습지는 생산성이 높고, 오염물질의 제거능력이 뛰어난 생태계로 이를 이용한 수질정화 방법에 대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습지의 영양염류 제거는 유기물의 침전·흡착등의 물리적 기작, 수중 이온물질과의 결합·침전되는 화학적 기작, 식물의 흡수, 미생물에 의한 영양염류의 전환 등의 생물학적 기작의 복합적 반응으로, 물리, 화학, 생물학적 기작이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 본 실험은 서로 다른 형태인 소택지형습지와 연못형 습지의 수질정화효과를 비교, 확인하여 영양염류 제거에 효과적인 습지의 형태와 조건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실험결과, 소택지형과 연못형 습지는 호기조건과 혐기조건이 모두 상층부와 하층부로 구분도어 나타나 소택지형과 연못형 습지 모두에서 호기성 유기물 분해과정과 탈질과정이 진행되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질산성 질소의 제거효율은 소택지와 연못형 습지에서 모두 97%, 94% 로 나타났으며, 인산염인의 제거효율도 95% 이상 높게 나타나, 습지 형태에 따른 수질정화 효과는 습지 형태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