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상재활운동을 병행한 수중재활운동이 만성 편마비 장애인의 일상활동체력과 하지 ROM에 미치는 영향

        이용희 ( Yong Hee Lee ),강서정 ( Suh Jung Kang ) 한국특수체육학회 2009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는 지상재활운동을 병행한 수중재활운동이 만성 편마비 장애인의 일상활동체력 및 하지 ROM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S시에 거주하는 뇌졸중 후 편마비 장애인 18명을 대상으로 수중·지상재활운동병행군과 수중재활운동군으로 구분하였으며, 수중·지상재활운동병행군(n=8, 50.87± 10.06세)은 12주간 주 2회 회당 60분간 편마비 장애인을 위한 수중재활운동 및 주 1회 60분간 지상재활운동을 실시하였으며, 수중재활운동군(n=10, 53.30± 9.36세)은 12주간 주 3회 회당 60분간 수중재활운동만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Version 1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반복 이원변량분석(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한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실험결과, 두 집단 모두 부분적으로 일상활동체력 및 하지 ROM에서 긍정적인 개선을 보였으며, 수중·지상재활운동병행군이 수중재활운동군에 비해 하지근지구력과 동적 균형능력 및 전신지구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따라서 수중·지상재활운동 병행은 뇌졸중 후 편마비 장애를 갖는 뇌병변 장애인의 일상활동체력 및 하지 ROM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하지의 근지구력과 동적균형능력 및 전신지구력에서 수중재활운동만 실시하는 것 보다 빠른 회복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with land rehabilitation exercise is a new promising therapy in recovery of functions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the disabled with Cerebrovascular accident(CV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with land rehabilitation exercise on physical fitness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range of motion of low limbs in hemiplegic disabled after strok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quatic·land rehabilitation exercise group(n=8,50.87±10.06years) and comparison(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group(n=10, 53.30±9.36years). The aquatic exercise program of aquatic·land rehabilitation exercise group was performed two times per week, sixty minutes per session for twelve weeks. The land exercise program was performed one times per week, sixty minutes per session for twelve weeks. And the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group was performed three times per week, sixty minutes per session for twelve weeks. All groups were evaluated at before and after 12-week program. For data analysis, a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was applied using SPSS WIN 14.0 program. As a result, Both groups improved physical fitness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range of motion of low limbs. Particularly, aquatic·land rehabilitation exercise group was better than comparison group on muscular endurance of low limbs (p<.05), dynamic balance(p<.05), and total endurance(p<.05). Therefore,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CVA disabled are able to improve their physical fitness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range of motion of low limbs from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with land rehabilitation exercise. However, the activities in their daily living may necessary in order to maintain the effects.

      • KCI등재후보

        대학 태권도선수의 수중운동이 등속성 근력에 미치는 영향

        최종운,조홍관 한국스포츠학회 2017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는 태권도 선수의 수중운동을 12주간 실시하였을 때 하지의 등속성 근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충청남도 H대학 체육학과에 재학 중인 남자 대학생 중 수중운동군 9명, 통제군 9명, 총 18명으로 하였으 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60゜/sec 슬관절의 평균파워 변화에서, 우측 슬관절 신근의 평균파워는 수중운 동 전후에 차이가 없었으며, 좌측 슬관절 굴근의 평균파워도 운동 전후에 차이가 없었다. 우측 슬관절 굴근의 평균파 워는 수중운동 전후에 차이가 없었으며, 좌측 슬관절 굴근의 평균파워는 수중운동집단에서 운동 전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 .05). 둘째, 180゜/sec 슬관절의 총운동량 변화에서, 우측 슬관절 신근의 총운동량은 수중 운동 전후에 차이가 없었으며, 좌측 슬관절 신근의 총운동량은 운동 전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 .05). 우측 슬관절 굴근의 총운동량은 수중운동 전후에 차이가 없었으며, 좌측 슬관절 굴근의 총운동량은 운동 전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 .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태권도 선수의 12주간의 수중 운동 시 하지 의 등속성 근력은 좌측 슬관절 굴근에서 평균파워가 증가하였고, 좌측 슬관절의 신근과 굴근에서 총운동량의 증가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look into the changes made to isokinetic muscle strength in the lower limbs of university taekwondo players after 12 weeks of aquatic exercise. The subject of the research is composed of 2 groups, aquatic exercise and control groups, each with randomly assigned 9 male students attending H University in Chungcheongnam-do and acquir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with regards to change in average power of 60゜/sec knee joints, the average power of both right and left knee extensor muscles displayed no change before and after aquatic exercise in both groups. However, even though the average power of the right knee flexor muscles displayed no change, that of the left knee flexor muscles display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p<0.05. Second, with regards to change in total momentum of 180゜/sec knee joints, the total momentum of the right knee extensor muscles displayed no change before and after aquatic exercise, but the left sides display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with p<0.05. Likewise, the total momentum of the right knee flexor muscles displayed no change before and after aquatic exercise, but the left sides display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with p<0.01. Overall, in terms of isokinetic muscle strength, the 12-week aquatic lower limb exercises performed by taekwondo players resulted in increased average power and total momentum in the left knee flexor muscles.

      • KCI등재

        수중운동의 형태가 스트레스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정미경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에서는 12주 동안의 수중복합운동과 수중유산소운동이 코티졸,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과 같은 스트 레스호르몬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K 스포츠센터에서 운영 중인 수중운동 프로그램에 등록한 이들 중, 운동으 로 위험도가 높을 수 있는 내과·외과적으로 특정 질환이 없으며 실험 변인인 코티졸,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이 모두 정상범주에 있는 59세 이상 장년 여성 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12명 중 6명은 수중복합운동집단, 6명은 수중유산 소운동집단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45~60% 운동강도를 적용하였다.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2주간의 수중복합운동과 수중유산소운동은 60대 장년 여성의 코티졸 수준을 운동 전보다 감소시켰으며,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은 운동 전보다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결론적으로 12주간의 수중복합운동과 수중유산소운동 형태에 따 른 차이는 없었지만 코티졸 수준 개선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카테콜라민의 유의한 증가를 통해 교감신경계 자극 에 따른 부신수질능력의 개선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aquatic combined exercise and aerobic exercise for 12 weeks on the levels of stress hormones such as cortisol, epinephrine, and norepinephrine were investigated. For this purpose, among those enrolled in the aquatic exercise program operated by the K Sports Center, those over 59 years of age who do not have specific medical or surgical diseases that may be at high risk from exercise and whose experimental variables cortisol, epinephrine, and norepinephrine are all in the normal range. Twelve elderly women were included. Six out of 12 people were divided into aquatic complex exercise group and 6 people aerobic exercise group, and 45-60% exercise intensity was applied. The resulting results are as follows. Water combined exercise and aerobic exercise for 12 weeks decreased the cortisol level of elderly women in their 60s compared to before exercise, and epinephrine and norepinephrine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before exercise. In conclusion,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water combined exercise and aerobic exercise for 12 weeks, It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cortisol level, and it was found that the adrenal medulla ability was improved by stimulation of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through a significant increase in catecholamines.

      • KCI등재

        수중복합운동이 여성노인의 혈중지질, 동맥경화지수 및 아밀로이드-베타에 미치는 영향

        최윤정,하수민,김정숙,고수한,김도연 한국여성체육학회 2020 한국여성체육학회지 Vol.34 No.2

        본 연구는 만 65~75세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12주간 수중복합운동 실시 후 혈중지질, 동맥경화지수 및 아밀로이드-베타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중복합운동군 11명, 대조군 11명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수중복합운동은 주 3회, 회당 60분으로 수중 유산소성 운동은 1-4주는 최대여유심박수의 40-50%(주관적운동 강도 척도 11-12), 5-8주는 최대여유심박수의 50-60%(주관적 운동 강도 척도 13-14), 9-12주는 최대여유심박수의 60-70%(주관적 운동 강도 척도 14-15)의 강도로 설정하였고, 수중 저항성 운동은 1-4주는OMNI-RES 3-4, 5-8주는 OMNI-RES 5-6, 9-12주는 OMNI-RES 7-8 강도로 점진적으로 증가시켰다. 운동 전과후의 측정 변인의 상호작용 검증을 위해 이원배치 반복측정 분산분석, 그룹 내 차이는 대응표본 t검정, 그룹간 차이는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각 항목별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수중복합운동은 여성노인의 고밀도지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증가 및 동맥경화지수가 감소되었다. 혈중 아밀로이드-베타는 대조군에서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운동군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여성노인의 심혈관질환과 치매 예방 및 관리를 위해 효과적인 운동으로 수중복합운동이 권장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combined aquatic exercise program for 12 weeks on blood lipids, atherogenic index and amyloid-beta in elderly women aged 65-75 years by dividing them into a combined aquatic exercise group(n=11), and control group(n=11). The combined aquatic exercise program was conducted for 60 minutes per session three times a week at the following intensities: 40-50%HRR(RPE 11-12) for 1-4 weeks, 50-60%HRR(RPE 13-14) for 5-8 weeks, and 60-70%HRR(RPE 14-15) for 9-12 weeks. Aqua resistance exercise intensity was set at 3-4 in OMNI-RES for 1-4 weeks, 5-6 in OMNI-RES for 5-8 weeks, 7-8 in OMNI-RES for 9-12 weeks.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was used to verify interaction between times and groups for measurement variables, a paired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within groups of differences, and an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test differences between the exercise and control groups. The alpha level of .05 was set for all tests of significance. Combined aquatic exercise improved elderly women`s HDL-C levels and decreased atherogenic index,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plasma amyloid beta levels. Therefore, combined aquatic exercises to effectively prevent cardiovascular diseases and dementia is recommended among elderly women.

      • KCI등재

        수중운동이 자폐성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기능 및 상동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규진,김용환 한국초등체육학회 2019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aquatic exercise on communication skills and stereotypical behaviors in children with autism. 29 children (age 8-12 years) with autism were recruited and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n aquatic exercise group (n=10), a conventional exercise group (n=10), or a control group (n=9). Communication skills and stereotypical behaviors were evaluated using a videotape recorder (VTR) before and after each intervention. One-way ANOVA, paired t-test, and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were conducted for data analysis. Paired t-test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skills and stereotypical behaviors for the aquatic exercise group and conventional exercise group.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between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intervention and time regarding communication skill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reported in stereotypical behaviors. In conclusion, the aquatic exercise intervention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communication parameter which was evaluated, suggesting that aquatic exercise may be effective in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among children with autism. 본 연구는 수중운동이 자폐성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기능 및 상동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A지역에 위치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고자 하는 만 8∼12세 자폐성장애 아동 29명으로 수중운동 참여군 10명, 일반운동 참여군 10명, 통제군 9명으로 무선할당 되었다. 수중운동 참여군은 수중운동 프로그램에 12주간 주 1회 참여하였으며, 일반운동 참여군은 기본적인 움직임 기능을 향상하기 위한 운동발달 프로그램에 동일한 기간에 참여하였다. 통제군은 다른 집단의 운동중재 기간 중에 학교 정규 체육수업에서 제공하는 수업 이외에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았다. 의사소통 기능과 상동행동은 비디오 녹화를 통하여 해당 변인의 지속시간을 학교생활과 운동중재 상황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수중운동 참여군, 일반운동 참여군, 통제군의 동질성 검증을 위하여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집단 내 사전, 사후 변화를 검증하기 위하여 종속 T검증(paired T-test), 수중운동 집단, 일반운동 집단, 통제군 간의 효과를 그룹과 시기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반복이 있는 이원 분산분석(Two-way ANOVA for repeated measures)을 실시하였다. 집단 내 사전-사후 검증 결과 수중운동과 일반운동 그룹에 참여한 자폐성장애 아동 모두 운동 참여 전에 비하여 의사소통 기능 및 상동행동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통제군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운동 집단 간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수중운동이 일반운동에 비하여 의사소통 기능에는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지만 상동행동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수중운동이 의사소통 기능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추후 자폐성장애 아동의 사회성 관련 수중운동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운동중재를 구성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노인의 수중운동 참여가 운동정서, 심리적 행복감 및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김아름,최종인 한국스포츠학회 2017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5 No.3

        이 연구는 16주간의 수중운동이 60대 노인의 운동정서, 심리적 행복감 및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알 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피험자는 60대 노인 10명으로 하였으며, 수중운동은 1일 70∼80분, 주2회, 16주간 실시하였다. 수중운동 프로그램은 준비운동 10분, 본 운동 50∼60분, 정리운동 10분을 실시하였다. 운동정서와 심리 적 행복감 측정은 설문지로 하였으며, 신체적 자기개념은 심층면담을 하였다. 운동정서와 심리적 행복감의 변화는 t-test로 하였다(α=.05). 신체적 자기개념의 변화는 심층면담 분석을 하였다. 운동정서의 재미, 긍지, 활력에서 수중 운동 전보다 수중운동 후에 높게 나타났다. 심리적 행복감의 자신감과 즐거움은 수중운동 전보다 수중운동 후에 높게 나타났다. 신체적 자기개념은 수중운동의 동기유발, 체력향상, 건강증진, 신체적 유능감, 자신감에 긍정적 변화가 있었 다. 따라서 수중운동은 노인의 운동정서, 심리적 행복감과 신체적 자기개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노인의 수중운동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기대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16 week Aquatic Exercise on Exercise Emotion, Psychological Happiness and Physical Self-Concept in the 60s elderly. The subject of this study 10 elderly people in their 60s. The aquatic exercise was performed for 70∼80 minutes per day, twice a week for 16 weeks. The aquatic exercise program was 10 minutes of warm up exercise, 50∼60 minutes of main exercise and 10 minutes of warm down exercise. Exercise Emotion and Psychological Happiness were measured by questionnaire method, physical self-concept was in-depth interview. The changes in Exercise Emotion and Psychological Happiness were measured by t-test(α=.05). Changes in physical self-concept were analyzed in depth interviews. The Fun, Pride, Vitality in Exercise Emotion were higher after aquatic exercise than before aquatic exercise. Confidence and pleasure of Psychological Happiness were higher after aquatic exercise than before aquatic exercise. Physical self-concept showed positive changes in motivation of aquatic exercise, increased physical strength, health promotion, physical competence, and self-confidence. Therefore, aquatic exercise is believ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lderly's Exercise Emotion, Psychological Happiness and Physical self-concept. In the future, various studies of the elderly's aquatic exercise are expected.

      • KCI등재

        규칙적인 수중운동이 성인 지적장애인의 건강 체력에 미치는 효과

        윤석민 ( Seok Min Yun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6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규칙적인 수중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들의 체중과건강체력 변화를 알아보고 통제집단을 설정하여 수중운동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 참여한 20대 성인 지적장애인 13명을 실험집단(n=6)과 통제집단(n=7)으로 분류 후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15주 동안 주1회, 90분의 수중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수중운동 프로그램 적용시 수중운동 참가자들을 위하여 매주 목표거리를 계획하고 수영영법과 수중 걷기를 통한 동일한 거리를 이동하도록 지도 하였다. 이러한 목표를 바탕으로 체중을 비롯하여 PAPS-D에서 제시한 건강 체력의 다섯 가지 항목인심폐기능, 근기능, 유연성, 순발력과 신체구성의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한 측정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규칙적인 수중운동 프로그램은 성인지적장애인의 심폐기능(p<.01)과 근기능(p<.01) 증가와 체지방 감소(p<.05)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규칙적인 수중운동 프로그램은 성인지적장애인의 건강체력 항목 중 유연성과 순발력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규칙적인 수중운동 프로그램은 성인지적장애인의 체중감소에 영향을 주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규칙적인 수중운동 프로그램은 성인 지적장애인들의 건강체력 향상에 매우 효과적인 운동이라고 할 수 있으며, 비만 지적장애인들의 체중 감소를 위해 운동프로그램 구성시 효과적인 식이요법의 구성 또는 부모 혹은 보호자에게 일일 섭취량에 대한 이해와 설명을 통하여 자율적으로 통제하는 방법 또한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15-week aquatic program on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 in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Ds). Thirteen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20 years old) were assigned to perform a aquatic program (n=6) or control group (n=7) one day per week (90 min per session) for 15 weeks. All the participants trained with the same weekly goal (e.g., distance) and instruction method to ensure intervention fidelity. Physical fitness test named as 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PAPS-D) was used to measure 5 components of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 cardiorespiratory endurance, muscular function (strength and endurance), flexibility, power, and body composition. The test took place before and after the aquatic program and the results from the aquatic group wer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dults with IDs who regularly participated in the aquatic program significantly improved cardiorespiratory endurance (p<.01) and muscular function (p<.01) and reduced body composition (p<.05). Second, adults with IDs with the regular aquatic program increased flexibility and power; but no statistical difference was found. Third, adults with IDs with the regular aquatic program reduced their body weight. Thus, a regular aquatic program had the positive effects on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

      • KCI등재

        수중 강제유도운동치료가 편마비를 가진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

        천승철,오덕원 대한작업치료학회 2010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8 No.2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중 및 지상에서 시행된 강제유도운동치료의 효과를 비교함으로써, 수중에서 시행된 강제 유도운동치료가 편마비를 가진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운동기능 및 일상생활동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 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개별사례 연구 설계 중 대상자간 다중기초선을 이용한 교차설계를 이용하였으며, 편마비를 가 진 뇌성마비로 진단받은 아동 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초선 측정은 대상자 1이 4회, 대상자 2가 7회, 그리고 대 상자 3이 10회였으며, 치료회기는 대상자 1이 14회, 대상자 2가 11회, 그리고 대상자 3이 8회였다.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동작의 평가는 Box and Block Test(BBT)와 Pediatric Motor Activity Log(PMAL)를 사용하여 시행되 었다. 결과 : 강제유도운동치료가 수중에서 적용되었을 때 대상자 1, 2, 3의 BBT 점수는 각각 27%(21.5점에서 27.3점으 로), 14%(33점에서 37.5점으로), 7.6%(46점에서 49.5점으로)로 증가되었으며, 지상에서 적용되었을 때 각각 16%(21.5점에서 25점으로), 6%(33점에서 35점으로), 0%(46점에서 46점으로)로 증가되거나 유지되었다. 대상 자 1, 2, 3의 PMAL 점수는 수중에서 적용되었을 시 각각 38%(0.8점에서 1.1점으로), 31%(1.3점에서 1.7점으 로), 17%(1.8점에서 2.1점으로)로 증가되었으며, 지상에서 적용되었을 시 각각 25%(0.8점에서 1.0점으로), 15%(1.3점에서 1.5점으로), 11%(1.8점에서 2.0점으로)가 증가되었다. 수중 강제유도운동치료와 지상 강제유도 운동치료 후 측정된 BBT와 PMAL의 측정값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결론 : 치료과정 동안 강제유도운동치료를 수중과 지상에서 교차 적용한 결과, 강제유도운동치료가 수중에서 시행 될 때 상지운동 기능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무릎관절 수중운동이 중년여성의 등속성 근력과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김기홍,김병관,최종인 한국스포츠학회 2017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8주간의 무릎관절 수중운동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등속성 근력과 신체조성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피험자는 50대 중년여성, 수중운동군 8명, 통제군 8명으로 하였다. 8주간 무릎관절 수중운 동 전후 등속성 근력과 신체조성을 측정하였다. 무릎관절 수중운동은 28℃의 수온에서 1일 40∼70분, 주 2회, 8주간 실시하였다. 수중운동 프로그램은 준비운동 5∼10분, 본 운동 30∼50분, 정리운동 5∼10분간 수행하였다. 자료처리 는 mixed design two-way ANOVA로 분석하였다. 통계학적 유의수준은 α=.05로 결정하였다. 8주 무릎관절 수중 운동 후 중년여성의 등속성 근력은 양쪽무릎의 굴곡과 신전 모두 높게 나타났다. 8주 무릎단련 수중운동 후 중년여성의 체중은 감소하고, 제지방량은 증가되어, 체지방률은 낮아졌다. 따라서, 8주간의 무릎단련 수중운동은 무릎 근력 향상에 효과적이며, 신체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수중운동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기대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8week knee joint aquatic exercise program on isokinetic strength and body composition of middle aged women. Subjects in this study were 8 aquatic exercise group and 8 control group among middle aged women in their 50s. We measured isokinetic strength and body composition before and after 8weeks of knee joint aquatic exercise. Knee joint aquatic exercise wa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28゜C for 40∼70 minutes per day, twice a week for 8 weeks. The aquatic exercise program was 5∼10 minutes(warm up exercise), 30∼50 minutes (main exercise), 5∼ 10minutes(warm down exercise). Data were analyzed by mixed design two-way ANOVA.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termined as α= .05. The isokinetic strength of middle aged women after 8week knee joint aquatic exercise was higher in both flexion and extension of both knees. After 8 weeks of knee joint aquatic exercise, body weight was decreased, fat free mass was improved, and %body fat was lowered.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8week knee joint aquatic exercise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knee strength and positively affecting the body composition. In the future, various studies on aquatic exercise are expected.

      • 초공동 수중운동체의 동역학적 특성 연구

        정한균,김낙완 대한조선학회 2011 대한조선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1 No.11

        초공동 기술은 수중운동체의 마찰저항을 줄이는 방법으로 하나의 큰 기포로 수중운동체를 완전히 덮어 마찰저항을 공기 중의 마찰저항과 비슷하게 만드는 기술이다. 초공동 기술은 수중운동체의 속력을 증가시키지만 유체와 완전한 접촉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운동을 하므로 기존의 수중운동체와 다른 복잡한 동역학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초공동 수중운동체의 유도제어 시스템 설계를 위한 선행 연구로써 초공동 수중운동체의 동역학 특성를 고려하여 6자유도에서 동역학 모델링 연구를 수행하였고 유도된 비선형방정식을 여러 트림점에서 선형화하여 안정성해석을 수행하였다. 안정성해석 결과 종축 모드와 횡축 모드 모두 안정하였다. 운동 특성을 살펴본 결과 공동의 크기는 초공동 수중운동체의 운동 특성에 영향을 주고 공동의 크기는 공동 수에 의해 결정이 되는데 공동 수가 증가하면 공동의 반지름이 작아져 댐핑효과가 커지고 반대로 공동 수가 감소하면 공동의 반지름이 커져 댐핑효과가 작아짐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