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쇠퇴지표와 삶의 질 지표의 유사성에 관한 연구

        임보영(Im, Bo-Yeong),마강래(Ma, Kang-Rae),김찬호(Kim, Chan-Ho),허재완(Hur, Jae-Wan) 대한부동산학회 2016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4 No.2

        It has clearly been stated in the Urban Regeneration and Assistance Act that the main purpose of urban regeneration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citizens. A variety of measure of urban decline have actively been used to diagnose the degree of decline of cities and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However, compared with the extensive use of urban decline indicators, there has been little discussion of how measures of urban decline can be used to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quality of life. The purpose of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measures of urban decline and quality of life indicators. This study found that firstly, urban decline measures focus on particular aspects of macro indicators such as population and business growth, while quality of life indicators pay attention on measures that can be derived from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se indicators include life satisfaction, civil participation, and health status. This study argued that some of the quality of life indicators can be incorporated into the measures of urban decline in order to achieve the ultimate goal of urban regeneration. 「도시재생법」 제1조에서는 도시재생사업의 궁극적인 목적을 “도시경쟁력 제고와 지역공동체 회복을 통한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국가도 시재생기본방침에도 도시재생의 비전(vision)을 ‘국민이 행복한 경쟁력 있는 도시의 재창조’로 규정하며, 삶의 질 향상과 생활복지를 구현해야 함을 여러 목표중 하나로 설정하고 있다. 「도시재생법」과 국가도시재생기본방침은 도시쇠퇴지표의 적극적 활용을 강조하고 있지만, 지금까지는 도시쇠퇴지표가 도시재생의 궁극적인 목표인 삶의 질 향상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목적을 앞세운 또 다른 지표인 “삶의 질 지표”를 검토하여 ①도시쇠퇴지표들과 어떠한 유사점을 가지고 있는지, ②도시재생지표를 보완하는데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도시쇠퇴지표가 재생의 궁극적 목적인 삶의 질을 어떠한 방식으로 제고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를 지속해야 함을 역설하였다. 또한 도시쇠퇴지표에 삶의 질을 반영하는 지표들이 부족하기 때문에, 삶의 질 지표가 도시쇠퇴지표의 부족한 측면을 채워줄 수 있는 보완적 지표로서 활용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도시쇠퇴 수준 및 특성 유형화

        조진희,황희연,이동건 국토지리학회 2010 국토지리학회지 Vol.44 No.1

        도시의 쇠퇴로 인한 시회비용의 증가는 결국 국가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도시쇠퇴문제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쇠퇴한 도시의 쇠퇴수준이 객관적으로 파악되어야 하며, 쇠퇴특성의 유형화가 전제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다양한 쇠퇴지표를 분석하여 쇠퇴평가지표를 도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도시쇠퇴평가모형을 구축하였다. 또한 유형화모델구축 및 적용을 통해 쇠퇴도시의 유형화 및 현황 파악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연구와 도시쇠퇴 유발요소에 대한 검토를 통해 쇠퇴평가지표를 선정하고 이들 지표의 통계적 자료를 활용하여 쇠퇴순위 산정 및 쇠퇴유형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The depression of cities will act eventually as a factor for weakening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caused by the social cost increasement. The premise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city depression are the status analysis and identification of levels of depressed cities. This study focused on the analysis of the status and types of the depressed cities by deriving the depression assessment indexes and application of the established classification model for the levels of depressed cities. The methods were to analyze the phenomena and factors of depressed cities through checking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indexes for the depressed cities were derived. This research decides the order of depression by quantifying the degree of depression utilizing the statistical data and has the meaning for confirmation of the degree and classification of the characteristics for the depression.

      • KCI등재

        전국 관광지 쇠퇴진단지표 설정과 적용 연구

        이순자,안소현,유현아 국토연구원 2021 국토연구 Vol.110 No.-

        While the economic growth of regions continues to shrink due to the waning of manufacturing industry, a lot of local governments have sought potential resources for strengthening the attraction of tourism sites. The problem is that many of tourism sites are not properly capable of responding to the diversification of tourists’ needs and changes in trend. Starting with 12 places in 1969, 228 sites have been designated as tourism sites, and about 69.8 percent of them were designated before the 2000s. It means that most of them are necessary to rebuild or remodel in terms of physical, functional and environmental aspects. In spite of necessity to regenerate tourist sites in decline, there are still insufficient academic progress and policy consideration. This study aims to develop indicators for diagnosing the decline of tourist sites and apply them to designated 228 tourist sites in order to analyze whether or not they are in decline and the severity of decline. Based on reviewing the cases to develop similar indicators and the measurability of data, five indicators for this study are finally extracted. The result shows that 85 of the total tourism sites are in decline and 39 of them are in severely declining stage. Local municipalities, in which 17 of 39 tourism sites in severe decline are located, are also experiencing serious decrease in overall conditions such as population, local income tax, and the number of companies and workers in the tourism sector. 이 논문은 기존 제조업 중심의 지역산업구조의 변화로 관광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이때, 도시 재생이나 산업단지 재생 못지않게 관광지 쇠퇴에 관한 이해와 매력적인 장소로의 탈바꿈이 요구되고 있으며, 따라서 전국의 쇠퇴관광지 실태 파악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문제인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여러 유사지표 개발사례 검토를 통해 5개의 관광지 쇠퇴진단지표(직접지표 1개, 간접지표 4개)를 도출하였고, 이를 분석대상 171개 관광지에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전국의 쇠퇴관광지는 모두 85개소였으며, 이 중 27개소가 쇠퇴 초기단계, 19개소가 쇠퇴 진행단계, 39개소가 쇠퇴 심화단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85개소가 위치한 59개 시・군・구의 전반적인 관광여건과 지역여건 분석결과, 관광여건과 지역여건이 모두 저하되고 있는 시・군・구는 26개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해당 시・군・구의의 관광 및 지역여건 분석결과와 쇠퇴 심화단계 관광지 분석결과를 종합한 결과, 쇠퇴 심화단계에 있으면서 그것이 위치한 지역의 관광 및 지역여건이 모두 저하되고 있는 지자체 내 관광지는 17개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관광지는 향후 관광지 재생정책 추진 시 지역 재활성화 차원에서 우선 고려가 필요한 관광지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번 연구는 다양한 지표(관광객수, 관광사업체수, 관광사업체 종사자수, 인구, 지방소득세 등) 발굴과 이들의 적용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를 통해 얻은 결과는 앞으로 전국 관광지 쇠퇴원인 규명과 재생요건 발굴 등 관련분야의 학술적・정책적 진전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관광지 방문객수를 제외한 나머지 지표들은 관광지 쇠퇴 여부와 정도를 판단하는 간접적인 기준으로만 활용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어 앞으로 관광지 쇠퇴와 지역의 쇠락 또는 관광지 기능 회복과 지역 활성화 간 연관성 규명을 위한 깊이 있는 연구들이 필요하다.

      • KCI등재

        수원시 도시쇠퇴의 공간적 패턴 및 도시재생

        조용호 ( Yong Ho Cho ),류연택 ( Yeon-taek Ryu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7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0 No.2

        수원시는 도시가 성장하면서 도심을 중심으로 쇠퇴 지역이 형성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원시 도시쇠퇴 실태를 계량적으로 분석하여 도시쇠퇴의 공간적 패턴을 규명하고, 도시재생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역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쇠퇴 지역을 파악하기 위해 도시쇠퇴 지표를 선정하고 복합쇠퇴지수를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수원시도시쇠퇴 분석 결과 도시재생의 우선순위 동으로 세류1동, 행궁동, 고등동, 연무동, 지동, 세류2동, 매탄4동의 순으로 나타났다. 보다 효과적인 도시재생 정책이 수립·집행되기 위해서는 도시쇠퇴 원인이 무엇이며, 쇠퇴 지역이 갖고 있는 자연 및 인문환경의 장소자산과 잠재적 역량을 발굴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끌어내고, 주민이 필요로 하는 그리고 주민 주도형의 도시재생 정책과 도시재생 사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향후 동 단위가 아닌 근린지구 또는 블록 단위에서의 보다 세부적인 도시쇠퇴 분석이 필요하며, 도시쇠퇴 지표의 적절성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n the city of Suwon, urban decline has significantly occurred in downtown area.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patial patterns of urban decline of Suwon by quantitatively and statistically measuring the actual situation of urban decline in Suwon. By doing so, this research aims to figure out which areas of Suwon have priorities in terms of the necessity of urban regeneration. The outcome of analysis shows that Seryu1- dong, Haenggung-dong, Godeung-dong, Yeonmu-dong, Ji-dong, Seryu2-dong, Maetan4-dong are a priority group in terms of the necessity of urban regeneration in Suwon. In order to devise and implement more effective urban generation policies,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enhancement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rough finding out place assets and potential capabilities based on localities. In addition, we should pursue urban regeneration policies and activities in which the real needs of local residents are achieved and local residents get the initiatives. More detailed analysis on urban decline at the geographical scale of neighborhood or block is needed. Furthermore, in-depth research into the adequacy of the urban decline indices is required.

      • KCI등재

        GIS 기반 빈집과 도시쇠퇴지역 간 상관성 분석

        이재홍,양성철 한국지적학회 2020 한국지적학회지 Vol.3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urban decline area and abandoned house by comparing the urban decline area and the current state of abandoned house. This study derived 14 indicators for deriving urban decline areas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analyzed the degree of urban decline by indicators in Daegu Metropolitan C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omprehensive urban decline area, the highest degree of urban decline was found in the first grade area with 1.1%, second grade 75.9%, third grade 14.9%, and fourth grade 6.5%. In addition, the 5th grade with the lowest urban decline area accounted for 1.5%. The indicators show that the aged population, five-year population growth rate, five-year household growth rate, the number of workers per thousand population, the number of workers in higher industry (services), the rate of increase in business, the deterioration of old detached house, and the old house are correlated with the percentage of abandoned house distribution.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urban decline degree and the ratio of abandoned houses in Daegu showed that 77.0% of abandoned houses in Daegu were distributed in the decline area where the urban decline was the most severe. 도시쇠퇴지역의 기준과 이에 따른 빈집 현황을 비교 및 분석하여 도시쇠퇴지역과 빈집의 상관성을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도시쇠퇴지역 도출을 위한 14개 지표를 도출하였고, 이를 기준으로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지표별 도시쇠퇴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14개의 개별 지표를 종합한 대구광역시 종합 도시쇠퇴 등급 분석 결과를 보면, 도시쇠퇴의 정도가 가장 높은 순으로 1등급 지역이 1.1%, 2등급이 75.9%, 3등급이 14.9%, 4등급이 6.5% 그리고 도시쇠퇴의 정도가 가장 낮은 5등급이 1.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노령인구, 5년간 인구증감률, 5년간 가구증감률, 인구 천명당 종사자수, 고차산업(서비스) 종사자수, 사업체 증감률, 노후단독주택 그리고 주거불량주택이 빈집분포 비율과 상관성을 보여주는 지표로 나타났다. 또한 대구광역시 종합 도시쇠퇴등급도와 빈집 분포 비율과의 상관성을 종합해 보면, 도시쇠퇴의 정도가 가장 심한 쇠퇴등급지역에 대구광역시 빈집의 77.0%가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그 상관성에 대한 신뢰성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도시쇠퇴 현황과 도시재생 정책의 동학 : -강원도 접경 및 폐광지역 등 지역특성을 중심으로-

        김승희(Kim, Seung Hee),이한나(Lee, Han Na),이선향(Lee, Sun Hyang) 대한부동산학회 2020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8 No.1

        도시는 지역적 맥락에서 시·공간적인 연속성을 가지고 변화하므로 쇠퇴의 양상 역시 지역적 차원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시기가 동일하더라도 도시의 규모에 따라 쇠퇴원인 및 재생방향이 다르므로 쇠퇴지역의 범위와 지역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러한 쇠퇴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강원도를 공간적 범위로 설정하였다. 강원도는 현재 고령인구 증가에 따른 인구·사회적 쇠퇴를 겪고 있으며 남북한 군사적 대치로 인한 접경지역의 물리·환경적 쇠퇴와 폐광지역의 경제적 쇠퇴를 모두 경험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강원도 18개 시·군을 대상으로 접경지역, 폐광지역 등 지역에 적합한 지표를 선정하고 쇠퇴유형을 분류하여 유형별 재생방향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지역적 맥락에서 도시재생 방향을 설정하고 주민주도의 지역발전기회를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The pattern of decline also needs to be reviewed at the regional level, as cities change with time and spatial continuity in the regional contex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cope and region of the area of decline, as the causes of decline and the direction of regeneration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city, even if the period is the same. To analyze this decline, Gangwon Province was set to a spatial range. This is because Gangwon Province is currently suffering from demographic and social decline due to an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physical and environmental decline in the border area caused by military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Koreas, and economic decline in the abandoned mining area. The study selected suitable indicators for areas such as border areas and abandoned mining areas in 18 cities and counties in Gangwon Province, and divided the types of reduction into types to derive playback directions. Through this, the government intends to set the direction of urban regeneration in the future regional context and provide it with basic resources to establish community-led regional development opportunities.

      • KCI등재

        도시 구시가지 쇠퇴현상에 따른 도시재생방안에 관한 연구- 구 마산 도심지를 중심으로 -

        정삼석(Chung, Sam-Seok),신동훈(Shin, Dong-Hun),정상철(Jeong, Sang-Cheol) 한국부동산학회 2016 不動産學報 Vol.64 No.-

        본 연구는 대표적 공업도시에서 구시가지 노화․쇠퇴현상이 진행된 구마산시가지의 주요지표들을 분석ㆍ연구하여 지역에 특화된 연구를 통해 구시가지 쇠퇴현상을 초래한 원인과 정책적 대안을 시함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결과는 구시가지 쇠퇴현상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는 지역은 구시가지 단독주택지대로 나타났다. 그리고 구시가지 문제는 물리적 노후화로 인한 시가지환경의 악화문제가 장 핵심이고, 상주인구 감소에 따른 활력저하와 주거기능과 상업업무 기능․용도간 상충문제이다. 그러나 구시가지 쇠퇴양상에서 급속한 경제적 침체와 슬럼의 집중과 같은 극심한 빈곤층 집중현상이 없다는 점 등의 측면은 영․미 도시의 구시가지 쇠퇴문제와는 다른 현상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마산 구시가지의 도시재생을 위해 기존 도시외부지역의 신개발 정책과 물리적 정비 정책 기조를 탈피하여 ‘갱신형’으로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 구시가지 정비와 도시재생정책의 실효성을 제고함으로써 구시가지 도시재생방안의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s to explain the causes and propose a solution to the fall of downtown Masan which once was a representative industrial area by analyzing the main indices/indicators of Masan. (2) RESEARCH METHOD This thesis is the study on the analysis of inner city decline and renewal method of the city.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this follows : 1. Because of the study on the analysis of inner city decline and renewal method of the city, The substantial solution plan makes an alternative plan strategy by residents participation, self-regulation of communal society, and strategical location selection. 2. The study on the analysis of inner city decline and renewal method of the city are the case focusing on the old downtown in Masan City by instrumental planning of urban planer and natural resources lawyers. 3.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at moral principles and political factor are more effective to resolve the study on the analysis of inner city decline and renewal method of the city than scientific method. (3) RESEARCH FINDINGS To revitalize Masan's old downtown area, the policy focus must shift away from the ongoing developments of outer-city areas and into the maintenance and renovation of the inner-city. 2.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deterioration is prominent in old downtown residential areas. The problems of the old downtown areas of Masan are 1)physical deterioration of downtown structures 2)loss of vibrancy due to the declining number of residents 3)concentration of lower and lower-middle class.

      • KCI등재

        도시특성별 법적 쇠퇴기준에 따른 도시쇠퇴 특징과 효과적인 도시재생정책을 위한 시사점

        곽희종 한국지역개발학회 2022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34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lications for effective policy implementation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decline. For this purpose, correlation and frequency analysis between urban characteristic variables and the degree of decline were conducted, an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opulation size, urbanization rate had no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decline, and population density, fiscal independence showed a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declin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decline according to the division of the metropolitan area, the Special Metropolitan City/a Metropolitan City/Do, and Si/Gun/Gu. In particular, the degree of decline of Gun and Gu was higher than that of Si. Third, in terms of decline characteristic, large cities with a high urbanization rate showed a high degree of the building decline indicator, and in the provincial cities with a low urbanization rate, the degree of the population decline indicator was high. And industrial indicator showed a high decline in the Special Metropolitan City and a Metropolitan Cit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mplications for effective urban regeneration policy implementation in terms of performance management and budget support were proposed. 본 연구는 도시재생법에 따른 도시쇠퇴 진단 결과가 지방자치단체 단위의 도시특성별로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도시특성 변수의 양적, 명목적 특성에 따라 상관분석, 독립표본 T검정, 분산분석,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도시쇠퇴도는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관련 지표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수도권 여부나 광역지자체 구분 특성, 기초지자체 구분 특성에 따라서도 쇠퇴도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區)와 군(郡)의 쇠퇴도가 심각하고 시(市)는 상대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쇠퇴유형별로는 대도시의 건축물 관련 지표와 지방 중소도시의 인구 관련 지표의 쇠퇴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는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지원정책을 마련할 때 지자체의 재정자립도를 우선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도시특성별 쇠퇴특성에 맞는 맞춤형 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셋째, 도시화율이 낮은 지방 소도시를 고려한 별도의 도시재생 모델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이단계 군집분석을 활용한 쇠퇴지역 도출에 관한 연구 - 충청권을 대상으로-

        윤정미 충남연구원 2010 충남연구 Vol.3 No.1

        지방도시는 지속적인 인구감소와 도시기능 약화로 많은 도시들이 쇠퇴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국가는 도시쇠퇴에 대한 재생연구를 본격화하였고, 특히 지방도시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하여 본격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현 단계에서 본 연구는 도시쇠퇴지표를 이용하여 충청권의 도시쇠퇴지역을 도출하고자 한다. 쇠퇴지역 도출을 위해 이단계 군집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도시를 유형화하고 2000년과 2005년 쇠퇴지역을 도출하였다. 이는 연속형 변인과 범주형 변인이 포함된 다속성 자료를 통해 유사특성 지역 군집해를 제시하기에 지역의 쇠퇴요인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고, 또한 도시쇠퇴지역을 도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도시재생정책 수립의 기초연구로서 충청권 시군의 쇠퇴지역을 도출함으로써, 향후 도시재생정책 결정을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하고자 한다. The local cities have been declined according to a decrease in population and weaken urban function. The government has begun the serious study on the urban regeneration at this point of time. Especially, it recognizes the necessity of the program application toward the local cities, and the research is progressing. This study is for deciding the urban deprivation area in ChungCheong Areas by the urban deprivation index. It decides the urban deprivation for 2000 and 2005 by the two-step cluster analysis method. This study is the basic analysis for the urban regeneration establishment and it would support the regeneration plan establishment in the future.

      • KCI등재

        주민지향적 도시재개발 및 재생정책을 위한 실증연구: 쇠퇴지표에 의한 지각차이를 중심으로

        이세규 ( Se Kyu Lee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1 地方行政硏究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주민지향적 도시재생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나주시 지방자치단체 공무원과 지역주민 간의 도시쇠퇴지각에 대한 차이의 양상과 정도를 검증하는 데 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무원과 지역주민의 쇠퇴지각을 측정하기 위한 도시쇠퇴지표를 구성하기 위해 이론고찰과 선행연구를 실시하였다. 또한, 분석모형을 설정하기 위해 구조 방정식모형의 확증적 요인분석을 고찰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결과, 지방자치단체 공무원과 지역 주민이 경제적 쇠퇴요인을 제외한 모든 부문에 대해 지각의 양상과 정도가 상당히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특히, 공무원의 쇠퇴지각에서는 환경부문과 교육·복지의 쇠퇴지각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검증되고 있어, 주민들이 체감하는 쇠퇴와는 차 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주민지향적인 도시재 생정책마련을 위해서, 지방자치단체는 우선 지역주민의 의견수렴과 참여를 위한 제도적 장치와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지방자치단체는 지역특성과 주민수요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공공고객관리(PCRM)와 같은 주민맞춤형 행정서비스 개념의 체계를 도입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the perception of the urban decline between the citizens and the local bureaucrats in Na-ju city, and to find policy implications on successful local urban regeneration`s strategie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s the existing literatures about the peculiarity of urban decline index a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verifies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using a high-order factor model within SE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Except the economic decline, Na-ju city local official recognize differently every local decline perception compared with resident`s. In the local civil servants case, even the environmental decline and the education & the well-fare decline perception are not proved statistically.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eses finding is as follow. In order to make successfully the resident-oriented urban regeneration strategy of local small-median city, the local government should make the PCRM system and make the partnership with the citizens. In other words, the public servants should be changed their administrative service by the customer satisfaction sty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