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도권 주거빈곤계층의 공간적 분리패턴 변화양상에 관한 연구

        마강래(Ma, Kang Rae),강은택(Kang Eun Taek) 한국부동산학회 2008 不動産學報 Vol.35 No.-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cial distributions of the urban housing poor and their change pattern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based on the concept of dissimilarity and isolation. (2)RESEARCH METHOD There has been several trials extending the traditional methods over the last few decades and the extended version of regional segregation measures was used to decompose the global index into the local ones. (3) RESEARCH FINDING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degree of dissimilarity showed no clear-cut tendency whereas a decrease in the degree of isolation was drastic over the last ten years. 2. RESULTS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have employed aspatial measures of segregation which produced the global index. The newly developed measures could provide sufficient information on the segregation pattern at the local level, thus enabling to develop policies for the housing-poor.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자가보유 전,월세 가구의 특성과 주거이동성에 관한 연구

        마강래 ( Kang Rae Ma ),강은택 ( Eun Taek Kang ),김형태 ( Hyung Tai Kim ) 한국지역개발학회 2012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4 No.1

        Over the past few decades, there has been a considerable increase in the number of home-owning households who reside in the rental housing. It has frequently been mentioned in the previous research that the residential mobility of households is associated with the housing tenure. Moving costs increase greatly for the households who own housing, so they are trying to overcome the mobility restrictions by residing in the rental house while owning their home in other plac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ousehold characteristics that could affect the residential choice behaviors of home-owning renters. Both the 2% sample of 2005 Korean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data and 10 wav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urvey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home-owning renters. The empirical evidence revealed that factors such as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 age, education, marital status, occupation, etc.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transition to the tenure status of homeowners. It was also found that the transition to rental housing is under the influence of commuting modes, commuting time, dual-income family, and relocation experience.

      • KCI등재

        주택자산의 세대간 이동성에 관한 연구

        마강래(Kang-Rae Ma),권오규(O-Kyu Kwon) 한국주택학회 2013 주택연구 Vol.21 No.2

        주택의 소유는 부의 축적과 가처분 소득의 증대효과뿐만 아니라 소유자의 삶의 질을 제고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어왔다. 하지만, 주택소유에 대한 일반인들의 높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고가(高價)의 주택을 구매한다는 것은 개인의 의지와 노력만으로는 대단히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특히 사회에 첫 발을 내딛는 젊은 층들이나, 새롭게 가구를 구성하는 세대에게는 더더욱 어려울 수 있다. 고가 재화인 주택은 구매를 위한 준비기간이 매우 긴 특징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최근의 연구는, 다수의 젊은 계층이 결혼을 전후로 주택 소유자로 변화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집값이 빠르게 상승했던 현실과는 상반되는 이러한 현상은 주택자산의 세대 간 전이 현상, 즉 부모가 자녀세대에 가지는 영향력이 커지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영향력이 앞으로는 더욱 증폭될 수 있음을 짐작케 한다. 세대 간 이동성은 부모와 자식세대 간 사회적 지위의 변화를 의미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과정에서 부모와 자식 세대 간 사회·경제적 지위의 유사도가 높게 나타날수록 세대간 이동성은 낮다고 할 수 있다. 세대 간 이동성이 낮은 사회에서 부모의 자산이 자식에게 전이될 때 자식세대의 선발 이익(head-start advantage)을 발생시켜 자식세대의 사회·경제적 격차가 커질 수 있다. 특히 주택의 경우 전체 자산에서 부동산 자산 비율이 80%에 육박하는 상황에서 부의 대물림은 세대 간 이동성을 더욱 약화하고, 다음 세대의 불평 등을 심화 할 수 있다. 이처럼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는 주택소유의 세대 간 전이현상은 지금까지 심증으로만 논의되었지, 구체적 사례 분석을 통해 증명된 것은 거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대 간 주택자산의 사회적 전이현상에 대한 실증분석을 바탕으로 주거복지와 사회적 형평성 제고방안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세대 간 사회경제적 지위의 이동성에 관한 기존 문헌의 분석을 통하여 이동성 제약의 추세를 살펴보고, 그 파급효과가 가지는 의의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세대 간 경제력의 이동성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주택을 중심으로 세대 간 주택자산의 전이가 어떠한 요인에 영향을 받는지에 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부모세대와 자녀세대의 주택자산의 규모와 점유형태가 유사하게 나타나는 현상, 즉 주택 자산의 세대간 이동성이 낮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경제적 측면에 국한되어 왔던 세대간 이동성에 관한 논의를, 자산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주택의 영역에 적용함으로써, 부의 세대간 배분에 관한 보다 다양한 논의의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Becoming a homeowner has important socio-economic attainment as it is one of the major sources of wealth accumulation for most households. It has been argued in the previous literature that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one generation are quite similar to those of the next. It has been known that individuals who are well endowed with their parental supports tend to resemble their parents. As far as housing asset is concerned, parents may influence the amount of child's housing wealth through material or other types of aids, which is referred to as an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homeownership.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has been an intergenerational effect of homeownership in Korea using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The Multinomial logit models are used to find out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parents affect the housing wealth of younger generations.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property assets of child have a very close relation to those of previous generation. It is also found that there is a close association of housing tenure between generations.

      • KCI등재

        지방 대도시권 소득격차의 변화 패턴에 관한 연구

        마강래(Ma, Kang-Rae),강은택(Kang, Eun-Taek),이원빈(Rhee, Won-Vin) 한국지역개발학회 2013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5 No.2

        The unequal distribution of regional income in Korea has been apparent since early 1960s. The regional income inequality has been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not only fostering conflicts between regions, but also impeding social harmony. Per capital income, which is measured as "GRDP/population",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indices to measure the degree of regional income inequality in the previous literature. However, there have been criticisms on the use of this measure because in general there is a mismatch between the residents and employees in the reg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evel of economic inequalities between four major metropolitan areas outside the capital region of Korea (Seoul Metropolitan Area) using both GRDP/population and GRDP/employees indices. The Gini index of overall income inequality was decomposed in the between-region and within-region components. The empirical finding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overall incomes of Busan and Daejun are higher than those of Gwangju and Daegu over the period bewteen 2005 and 2009. Moreover, The widening income gap has been identified among the metropolitan areas outside the capital region of Korea.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공간적 분산화 과정에서 고용과 인구이동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마강래(Ma, Kang-Rae) 한국지역개발학회 2008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0 No.4

        고용의 공간적 재애치는 인구의 공간적 이동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국내외 수요도시들에서 직장지와 주거지를 잇는 통근통행의 소요시간이 수년 혹은 수십 년간 그다지 큰변화를 보이지 않았다는 사실은 공간구조와 분산화 및 교외화 과정 속에서 인구와 고용이 긴밀한 연관관계 하에 재배치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인구주택총조사 2%표본의 네시점자료(1990,1995, 2000, & 2005)를 이용하여 수도권에서 고용과 인구의 용산화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확인하고, 인구와 고용의 재배치 속에서 나타나는 역동적 인과 관계성에 대해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고전적 단일중심모형을 인구와 고용으로 나누어 추정하여 공간구조 용산화의 대략씩 예턴에 대한 이해용 도요하였다. 두 번째 인구와 고용외 인과 관계성용 와인하기 위해 그헨져 인과관계 검정 (Granger Causality Test)융 이용하여 싱충용석융 수행하었다. 분석경과, 과거 15년간외 수도권 해외의 거대 도시률이 보여왔던 것 처럼 괄목할 만한 인구고용의 분산화가 진행되어 왔융을 알 수 있었으여 인구외 교외화가 고용외 교외화를 주도하고 있음을 확인힐 수 없었다. 수도권의 직장과 인구의 분산화에 관한 현상적 이해를 도모한 본 논문의 연구결과용 기안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상에 판한 액락잭 해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지역간 PIR 편차의 시간적 변화에 관한 연구

        마강래(Ma, Kang Rae),안아림(Ahn, Ah Rim) 한국부동산학회 2012 不動産學報 Vol.49 No.-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It has been widely believed that the rise in the house Price to Income Ratio (PIR) implies the increasing difficulty for the first time buyers, thus leading to the social problems such as the labour shortages in areas of high house prices and the future crash in housing pr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gional and income disparities of the PIR using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2) RESEARCH METHOD In this study, the PIRs are calculated during the period between 1998 and 2008. Regional disparities are interpreted using not only the concept of PIR measures, but also the Gini coefficients of income and housing price inequalities which were decomposed into between-regions and within-regions contribution. (3) RESEARCH FINDINGS The empirical analyses showed that the difference of the PIR between the low-income and high-income households in Korea has increased from 14.0 in 1998 to 20.2 in 2008. 2. RESULTS The PIR of low income group has shown a drastic increase over the last 10 years. Another empirical investigation revealed that there has been a considerable regional variation of PIR. In contrast to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MA) there has been a gradual decrease in the PIR in regional areas outside of SMA. The results indicate that future housing policy should put more emphasis on the affordable housing for the low-income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