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19 확산 속에서 손 씻기 교육 프로그램 적용이 지적장애 아동들의 손 씻기 빈도와 방법에 미치는 영향

        손성민,곽성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20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7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hand washing education program for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on hand washing frequency and methods during COVID-19 Pandemic. Subjects were 14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he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using visual video materials. Hand washing education program was consisted of introduction, theory education, and practice and it performed 2 times a week, total 16 sessions during 8 weeks. Hand washing theory education was consisted about the importance and application of hand washing, proper hand washing steps and methods, use of hand washing tools, use of hand sanitizers including characteristics, and prevention of skin damage from hand washing. Hand washing assessment was used by hand washing frequence and methods observation report. Hand washing frequency was measured by the hand washing frequency during the daily routine and it was analyzed by the items divided into day and month units. Hand washing methods was measured by the items divided into use of hand washing tools, time, areas, drying methods after hand washing. As the results, after hand washing education program, the hand washing frequence was increased and hand washing methods were improved. Hand washing is much important as a active method to prevent the infec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us, based on this findings, the application of hand washing education program should be considered to increase the hand washing frequency and improve the hand washing methods of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확산 속에서 손 씻기 교육 프로그램 적용이 지적장애 아동들의손 씻기 빈도와 방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지적장애 아동 14명이며, 시각적 영상 자료를 활용한 손 씻기 교육에 참여하였다. 손 씻기 교육 프로그램은 소개, 이론교육, 실습으로 구성되었으 며, 매주 2회로 16회기, 총 8주간 실시하였다. 손 씻기 이론교육은 손 씻기 중요성과 적응증, 올바른 손 씻기 단계와 방법, 손 씻기 도구 사용방법, 그리고 손 소독제 특성을 포함한 손 소독제 사용방법, 손 씻기로 인한 피부 손상 예방으로 구성되었다. 손 씻기 평가는 손 씻기 빈도와 방법 관찰 기록지를 활용하여 실시되 었다. 손 씻기 빈도는 일상생활의 일과 중에서 손을 씻는 빈도를 평가하였으며, 일별, 월별 빈도를 분석하 였다. 손 씻는 방법은 손 씻는 도구사용, 시간, 부위, 손 씻은 후 건조방법으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손 씻기 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대상자들의 손 씻는 빈도가 증가하였고, 손 씻는 방법도 향상되었다. 코로나-19 확산 속에서 적극적인 감염예방 방법으로 손 씻기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 로, 지적장애 아동들의 손 씻기 빈도를 증가시키고, 손 씻기 방법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손 씩기 교육의 적용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손 씻기에 의한 체화된 인지(EC)가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지숙,김지호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4 No.2

        본 연구는 손 씻기 행동을 통해 신체적으로 경험한 청결함이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사람들은 신체적으로 지각할 수 있는 객관적인 감각(신체적 거리, 청결함, 온도, 무게 등)을 이용하여 비교적 추상적인 개념(사랑, 도덕성, 사회적 관계 등)을 이해하는데, 이를 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on: EC)라 한다(Lakoff, & Johnson, 1999). 본 연구에서 알아보고자 하는 청결함에 관련한 체화된 인지의 선행연구는 대부분 도덕성에 대한 평가와 관련된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나(e.g., Liljenquist Zhong, & Galinsky, 2010; Zhong, & Liljenquist, 2011), 본 연구에서는 연구 1에서 일반적인 소비맥락에서의 손 씻기가 소비행동(구매만족, 실제구매금액과 예상구매금액의 차이, 평균구매금액, 가격수용범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보고자 하였으며, 연구1의 결과를 바탕으로 손 씻기의 효과가 다른 영역(인지적 경직성)에도 적용되는가를 추가적으로 검증하였다(연구 2). 먼저 연구 1을 검증하기 위해 49명의 남녀 대학생 참가자를 모집하였으며, 손 씻기 유무와 성별에 따른 소비행동의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손 씻기는 소비자의 소비행동 중 평균구매금액에 영향을 미쳐 손을 씻은 참가자의 경우 손을 씻지 않은 집단의 참가자와 비교하여 평균적으로 구매한 금액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손 씻기 조건과 성별에 따라 가격수용범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 2에서 손 씻기가 인지적 경직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22명의 참가자를 추가적으로 모집하였으며 손 씻기가 인지적 경직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손을 씻은 집단이 손을 씻지 않은 집단에 비해 인지적으로도 경직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추후 연구의 보완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mpact of washing hands on consumption behavior. People make use of objective physical sensation(physical distance, cleanliness, temperature, weigh, etc) to understand relatively abstract concepts(love, morality, social relations, etc.), and it called embodied cognition(Lakoff, & Johnson, 1999). Regarding Cleanliness, the precedent studies were related to evaluation of morality. But in the current study, study 1 had focus on the context of a general consumption behavior(purchase satisfaction,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anticipated purchase price and actual purchase price, average purchase price, and range of willing to pay). And based on the result of study 1, study 2 demonstrated the effect of washing hands was applied to other area(e.g., cognitive rigidity). Study 1 was with 49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2(washing hands condition)×2(gender) between-subject design. As a result, there was a main effect about average purchase price.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washing hands and gender to range of willing to pay. Especially, people who wash their hands had less average purchase price compared to control. And study 2 was to verify the effect of washing hands on cognitive rigidity. So 22 participants were additionally recruited. As a result, people who washing hands showed cognitive rigidity. In the end, based on this results further study's supplement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손 씻기 후 손 건조방법에 따른 세균 제거 효과 비교

        박정숙,김단비,민홍기 기초간호학회 2011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3 No.1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서로 교류하는 일이 잦아진 이래로 각종 세균 감염자나 보균자로부터 식중독, 유행성 각결막염, 감기, SARS, 독감, 콜레라, 이질, 무균성 수막염, 결핵 등의 많은 감염성질환이 주변에 확산될 우려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근래 신종플루(H1N1)가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여 인류를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된 바 있다. 대부분의 감염성질환은 공기를 통해 코나 입으로 병균이 직접 침입하기보다는 균이 묻은 손을 눈, 코, 입에 갖다 댐으로써 감염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이러한 감염성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으로 손 씻기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었다(The National Center of Hand Washing Campaign, 2010). 손은 신체부위 중 유해세균과 일차적으로 가장 많이 접촉하는 부위로 손 씻기를 통해 감염성질환의 70%는 예방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소변을 본 후, 외출에서 돌아온 직후, 재채기를 할 때 손으로 입을 가린 경우, 애완동물을 만진 후, 음식물을 먹거나 요리하기 전, 상처를 만진 후, 특히 돈을 만진 후에는 반드시 손 씻기를 수행해야 한다. 또한 손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음식물을 조리해서는 안 되고, 기저귀를 간 후, 콘택트렌즈를 끼거나 빼기 전, 책이나 컴퓨터를 만진 후에도 손을 씻어야 한다(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P], 2010).

      • KCI등재

        운 경험과 손 씻기의 상호작용이 다양성 추구 행동에 미치는 효과

        양덕모 ( Deok-mo Yang ),이국희 ( Guk-hee Lee ),이병관 ( Byung-kwan Lee ) 한국감성과학회 2017 감성과학 Vol.20 No.2

        기존의 선행연구들에서 사람들의 다양성 추구행동에 미치는 요인들에 많은 관심을 가져왔음에도 불구하고, 행운과 불운 그리고 체화된 인지의 상호작용이 다양성 추구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는 없었다. 행운과 불운의 경험은 소비자의 정보처리에 영향을 미치며, 손 씻기에 의한 체화된 인지는 행운 · 불운의 경험을 역전시키는 요인으로 두 요인이 다양성 추구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이해하는 것은 소비자의 선택과 제품구매를 포함한 전반적인 소비자 행동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운 경험 (행운 vs. 불운)과 손 씻기 여부 (있음 vs. 없음)의 상호작용이 다양성 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참가자들은 행운과 불운을 경험한 후, 손을 씻거나, 씻지 않았고, 떠먹는 요구르트의 맛을 얼마나 다양하게 선택하는지에 대한 과제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운 점화와 손 씻기의 상호작용효과가 발견되었다. 구체적으로, 행운 조건의 경우, 손을 씻은 참가자와 손을 씻지 않은 참가자의 다양성 추구 행동에는 차이가 없었다. 반면에 불운 조건에서는 손을 씻은 참가자가 손을 씻지 않은 참가자보다 다양성 추구 행동이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비자심리와 마케팅 분야에 폭넓은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emphasized factors affecting people`s variety-seeking behavior, research has not been performed to examine the interaction effect of good-bad luck and embodied cognition (hand washing) on variety-seeking behavior. Experience of good and bad luck affects consumer information processing and hand washing is known to reverse the experience of luck. Understanding the interaction effect of good/bad luck and hand washing on variety seeking behavior will shed important light on consumer behavior including choice and product purchase. To do this, a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ood/bad luck priming and hand washing on variety seeking behavior. Participants were primed with good or bad luck and then were asked to either wash their hands or not. After that, they were led to choose yogurt for the next seven days and the dependent measure was the number of different tastes of yogurt participants picked up. An interaction effect of luck priming and hand washing was found. Results indicate that, in good luck condi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variety seeking behavior between hand washing participants and non-hand washing participants. However, in bad luck condition, hand washing participants chose less diverse tastes of yogurt than non-hand washing participants. Implications of the study findings for the field of consumer psychology and marketing are discussed.

      • KCI등재

        연하재활 영역에서의 감염관리 실태 연구

        손영수,장기연,원성윤,우희순 대한작업치료학회 2015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3 No.4

        목적 : 본 연구는 연하장애재활치료를 수행하고 있는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손 씻기와 개인 보호 장비 사용에 대한 영역에서 감염관리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조사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연하장애재활치료를 직접 시행하고 있는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시행하 였으며 설문 작성 시 목적을 충분히 설명하고 설문에 대한 동의를 얻었다. 총 423부의 설문지를 배부하 였으나 356부가 회수 되었고 결측지가 많은 11부를 제외하고 총 345부의 자료를 가지고 분석하였다. 결과 : 전체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손 씻기와 같은 손 위생 활동은 잘 수행되고 있었으나 성 인 및 소아와 같은 치료분야와 임상경력에 따른 손 씻기 수행률에서도 일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전체적으로 개인 보호 장비 사용여부에서 마스크 및 보호복의 착용이 가장 소홀히 시 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연하재활 영역에서의 감염관리에 있어 손 씻기는 대체적으로 잘 이루어지는 실정 이나 기관별로 손을 씻을 때 사용하는 비누 및 건조방법에 대한 차이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하장애 재활치료 시 보호 장비 사용에 대한 인식이 저하되어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작업치 료사들의 감염관리 실태를 인식하고 기관 내 감염관리를 위한 보다 체계적인 노력들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perceptions and practices in infection control among occupational therapists who perform dysphagia rehabilitation. Methods : This study was to surveys were implement occupational therapists who perform dysphagia rehabilitation. Before filling up the questionnaire, respondents were given the explanation about the aim of the survey, and they agreed to it. In total, 423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356 copies were collected, and 345 copies were used in the analysis excluding 11 copies on which respondents omitted to answer many questions. Results : The result of the survey to targeting the overall occupational therapists were found to perform hand hygiene activity like washing hands well, but, there a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fferent treatment areas like child rehabilitation and adult rehabilitation, and depending on clinical careers. And, in the use of private protective gear, they were found to be the most negligent in wearing masks and private protective clothing. Conclusion : While hand-washing is performed well in general. Bu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kinds of soap used, and hand-drying methods. In addition, the consciousness on using protective gear in performing dysphagia rehabilitation was found to have declined. Such findings seem to the results of declining frequency of infection control education on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institutions.

      • KCI등재

        초등학생의 손 씻기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

        류승희,권혜진,백경아 한국자료분석학회 201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5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understand the indicators that affect the practice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about hand washing, and then to provide effective basic information about hand washing program that befits this life stage. 824 male and female students in grades 1-6 were given questionnaires at public elementary school in S-si, Gyeonggi-do. The final results of the survey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0.0 program. Difference in knowledg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related hand washing were as follows: gender, educated on hand washing. And difference in attitud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related hand washing were as follows: grade, gender, economic status. The practice of hand wash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grade, mother's education level, economic status. Hand washing knowledge and attitude: knowledge and practice: attitude and practice all showed unvarying statistical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of hand washing practice as the dependent variable showed that: economic status, the mother’s education, hand washing knowledge and attitude influenced hand washing practice. these variables showed explanatory power of 27.4%. We saw that the more hand-washing knowledge one had, the better the hand-washing attitude was; and that the more hand washing knowledge one had, in combination with a better hand washing attitude, the higher the instances of hand washing practice were. Therefore, it is needed to develop education programs for increasing hand washing practice.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손 씻기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 수준을 조사하고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손 씻기 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경기도 S시에 소재하고 있는 공립초등학교 1개교에 재학 중인 남, 여 초등학생 8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기술통계, t-검정, ANOVA, Pearson's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초등학생의 손 씻기에 대한 지식은 평균 17.36점, 손 씻기 태도는 20.26점, 실천은 27.63점이었고, 각 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손 씻기에 대한 지식정도가 높으면 손 씻기 태도가 좋고, 손 씻기에 대한 지식이 높고 태도가 좋을수록 손 씻기 실천에 적극적이었다. 손 씻기에 대한 지식은 성별, 손 씻기 교육경험, 손 씻기 태도는 학년, 성별, 가정경제상태, 손 씻기 실천은 학년, 어머니의 교육수준, 가정경제상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특히 손 씻기의 교육경험 유무에 따른 손 씻기에 대한 지식은 차이가 있었으나 손 씻기 태도, 실천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손 씻기 태도나 실천의 어려움이 확인되었다. 초등학생 가정의 경제수준, 어머니의 교육수준, 손 씻기에 대한 질병예방 효과 지식, 손 씻기 태도는 손 씻기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고, 설명력은 27.4%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손 씻기 실천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응급구조(학)과 대학생의 임상 실습 경험에 따른 손씻기의 인식도와 실천도

        유영건,김성령,이남종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5 No.8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hand washing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of paramedic students and provide basic data of education on hand washing that can be practically applied. 335 students in paramedicine department in P city and J city were the study subjects and we distributed URL to those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o carry out untact survey using questionnaire. The study results were analyzed by using SPSS/WIN 23.0.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number of hand washing per day was 5~8 times (142 students, 42.4%) and average time for washing hands was 24.34 seconds. We could fi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hand washing to wrist' and 'it is necessary to completely dry after hand washing' in terms of difference on awareness of hand washing according to the clinical experiences (p<0.05). In terms of differences in hand washing performance according to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before touching equipment for clinical practice' and 'before taking foods such as drinks during practice' (p<0.05). The correlation between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hand washing showed that if awareness of hand washing is high, its performance is increased, too (p=0.001). We try to provide basic data of education on hand washing that can improve awareness and performance on hand wash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본 연구는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의 임상 실습 경험 여부에 따른 손 씻기에 대한 인식도와 실천도를파악하고,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한 손 씻기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자는 P 시, J 시의 응급구조(학)과 학생 33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에 동의한 대상자에게 URL을 배포하여설문지 폼을 이용한 비대면 설문조사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SPSS/WIN 23.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1일 평균 손 씻기 횟수는 5~8회 142명(42.4%)이 있었으며, 평균 손 씻기 시간은 24.34초이다. 임상경험에 따른 손 씻기 인식도의 차이에서는 ‘손목까지 손 씻기’와 ‘손 씻기 후 완전히 물기를 건조가필요하다’에서 통계학적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p<0.05). 임상 실습 경험에 따른 손 씻기실천도의 차이에서는 ‘임상실습 장비를 만지기 전’과 ‘실습 중 음료와 같은 음식물을 섭취하기 전’에서통계학적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p<0.05). 손 씻기의 인식도와 실천도의 상관관계에서는손 씻기의 인식도가 높을수록 실천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01).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손 씻기에 대한 인식도 및 실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손 씻기 교육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군인의 손 씻기 지식, 태도 및 실천 조사

        한선임(SunIm Han),권중목(Joongmok Kwon),안보영(Bo-yeong Ahn),안재훈(Jaehoon An),이승훈(Seung Hoon Lee),임현정(Hyunjung Yim),김현주(Hyeonju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8

        본 연구는 군인들의 손 씻기 실태와 지식, 태도 및 실천 정도를 조사해 보고 상호 관련성과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군대에서의 손 씻기 및 보건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병사 42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활용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R과 SAS를 이용하였으며 베타회귀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손 씻기 지식과 태도 및 실천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였고 손 씻기 교육이수 정도는 지식, 태도, 실천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관련 홍보물 노출 정도는 지식, 태도, 실천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군인의 손 씻기 실천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홍보물의 지속적인 노출이 보건 교육보다 효과적이며, 홍보물에 반복적으로 노출됨으로써 손 씻기 지식, 태도, 실천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rrelations and influence factors of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soldiers on hand washing. This is expected to be basis for hand washing and health education in the army. Total of 420 soldiers were randomly selected and survey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beta regression model through R and SAS program. As a resul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hand washing, and the degree of health education was analyzed as having no effect on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However, the exposure degree of related health promotional materials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m.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the practice of hand washing in the army, continuous exposure of the publicity materials is more effective than the health education. It can be also positively influenced all on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hand washing.

      • 일부 초등학생의 손 씻기 교육의 효과

        김경란 ( Gyoung Ran Kim ) 한국보건교육학회 2015 한국보건교육학회지 Vol.1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손 씻기 관련 지식을 형성하고 실제 일상생활에서 손 씻기의 실천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참여자 지향적 교육과 피드백을 적용한 후 그 효과를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 결과 손 씻기 습관은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학습된 행위로서 어렸을 때 교육 할 수 록 효과가 높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연구기간은 2008년 10월 20일부터 2009년 2월 21일까지이며, 본 연구결과로 손 씻기 교육과 피드백을 받은 학생들은 손 씻기 관련 지식과 실천률이 증가되었으며, 일회성의 교육보다는 지속적인 교육과 피드백이 그 효과를 지속시켜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손 씻기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방법 및 교육매체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정규 교육 과정 속에서 지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방안과 이론과 실천을 병행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WHO asks every people in the world to wash their hands to prevent the spread of Influenza A(H1N1) that has broken out in 2009. The outbreak of contagious diseases and food poisoning often forces many students to miss classes and takes a huge toll on socioeconomy. And that also affects the health of local residents. Proper hand washing is one of the most integral and primary actions to ensure the prevention of infectious diseases. The first-grade days of elementary school are important for the acquisition of lifelong health-related habits, and a habit of thorough hand washing cannot be taken on in a natural manner. That is a learned behavior, and students find it easier to get accustomed to hand washing when they are educated about that from childh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ticipant- oriented hand washing education geared toward first graders and of feedback in a bid to help first-grade school children to get the right understanding of hand washing and put it into practice in daily routine lif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90 students in six first-grade classes at two different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the city of Siheung, Gyeonggi Province. Three classes each were selected from the schools. 97 students from one of the schools were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93 students from the other were grouped into a control group. This study was implemented from October 20, 2008 through February 21, 2009. Three surveys were conducted to gather data. The first was a pretest, and the second was carried out after they took the sixth lesson. The third was conducted after feedback was provid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 17.0 program, and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Besides, x2(Chi square) test, ANOVA and Scheffe post hoc analysis were utili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group gap in hand washing knowledge scores after hand washing education and feedback were offered( P=.000) 2.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group disparity in hand washing scores after hand washing education and feedback were offered(P=.000). 3.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group in hand washing knowledge scores even after the education and feedback were no longer offered(P=.000). 4.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group in hand washing practice scores even after the education and feedback were no longer offered(P=.000)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llustrated that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received hand washing education and were given feedback got to know more about hand washing and put it into practice better, and that a supply of sustained education and feedback produced more prolonged effects than temporary education. Given the findings, future research efforts should be directed into seeking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s and efficient educational media from diverse perspectives so as to boost the effects of hand washing education, and appropriate measures should be taken to keep on conducting that education as part of the regular curriculum in order for students to have the right understanding of hand washing and get used to that.

      • KCI등재

        정형외과 수술에서 외과적 손 씻기의 효과

        장호진(Ho-Jin Chang),남준호(Jun-Ho Nam),김동영(Dong-Young Kim),김희수(Hee-Soo Kim),박성현(Sung-Hyun Park),이상욱(Sang-Wook Lee),김태훈(Tae-Hoon Kim),조명래(Myung-Rae Cho)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9 No.1

        목적: 두 가지 소독액을 사용하여 균 감소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이 연구는 2011년 8월 2일부터 9월 2일까지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에 내원한 총 38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Povidone iodine (3.75%) 단독으로 소독한 군과 povidone iodine (3.75%) 사용 후 Softa-Man®을 추가한 군으로 나누어 손 씻기 전, 손 씻기 후, 수술 후에 균 배양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소독약의 종류에 따라 그람양성구균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34) 그람양성간균의 경우에는 차이가 없었다(p=0.838). 손 씻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균 양성비가 감소하였고(p=0.000) 120초 이상에서 저명한 감소를 보였다. Povidone iodine만을 사용할때 300초 이후부터는 그람양성구균의 양성률이 오히려 높아졌다(p=0.014). 수술 시간은 균감소 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사용된 소독약제에 따른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p=0.143). 결론: Povidone iodine만 사용한 경우 균 양성률을 기준으로 판단한다면 4분에서 5분 사이의 손 씻기 시간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두 가지 제재를 같이 사용한 경우는 적어도 2분 이상의 손 씻기 시간이 필요하다. Purpose: Two antiseptic solutions were investigated for their effect on bacterial growth inhibition.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38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who visited Daegu Catholic Medical Center from August 2, 2011 to September 2, 2011. Bacterial culture was performed at the pre-scrub, post-scrub, and postoperation;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use of povidone iodine (3.75%) and povidone iodine with Softa-Man<SUP>®</SUP> as antiseptic agents at the surgical. Results: Comparison between the antiseptic solution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presence of gram positive cocci (p=0.034), however, no difference was observed for the presence of gram positive bacilli (p=0.838). As the scrub time increased, the positive detection ratio of bacteria decreased (p=0.000), and decreased significantly at more than 120 seconds. However, positive detection ratio of bacteria increased significantly at more than 300 seconds in cases with povidone iodine only (p=0.014). Glove wearing time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ositive detection ratio of bacteria,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antiseptic solutions (p=0.143). Conclusion: Considering the positive detection ratio of bacteria when using povidone iodine only, the appropriate scrub time should be between 4 and 5 minutes. When using both antiseptics, at least 2 minutes of scrub time is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