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교직수업에서 성장마인드셋, 숙달목표, 그릿, 자기주도학습 및 학습만족도의 관계

        이현경(李玄慶),김정민(金廷珉)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아시아교육연구 Vol.21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직수업에서 학생들의 성장마인드셋, 숙달목표, 그릿, 자기주도학습과 학습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고, 성장마인드셋과 학습만족도 관계에서 숙달목표, 그릿, 자기주도학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강원 지역 3개 대학교에서 교직수업을 수강한 23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후 직렬다중매개모형으로 변인들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장마인드셋은 숙달목표, 그릿, 자기주도학습을 매개로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만 직접적으로는 학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교직수업에서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성장마인드셋을 증진하는 것이 필요하며 성장마인드셋은 숙달목표, 그릿, 자기주도학습과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둘째, 학생들의 숙달목표, 그릿, 자기주도학습이 성장마인드셋과 학습만족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한 결과 성장마인드셋이 숙달목표를 거쳐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 성장마인드셋이 자기주도학습을 거쳐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 성장마인드셋이 숙달목표와 자기주도학습을 거쳐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 성장마인드셋이 그릿과 자기주도학습을 거쳐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 성장마인드셋이 숙달목표, 그릿과 자기주도학습을 통해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러나 성장마인드셋이 그릿을 통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 성장마인드셋이 숙달목표와 그릿을 통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직수업에서 성장마인드셋은 그릿과의 연계만으로는 학습만족도를 기대하기 어렵고 그릿과 함께 자기주도학습 능력 또한 고려될 때 보다 효과적인 수업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mastery goal, grit,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pre-service teacher classe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mastery goal, grit and self-directed learning between growth mindset and learning satisfaction.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from 239 students taking the classes at three universities in Seoul and Gangwon,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a serial multi-mediated model. As a result, first, growth mindset affects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mastery goal, grit, and self-directed learning, but does not directly affect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this, this study discussed that it is necessary to enhance students" growth mindset to improve learning satisfaction, and that mastery goal, grit, and self-directed learning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rather than dealing with growth mindset only.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whether the students" mastery goal, grit, and self-directed learning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and learning satisfaction, the indirect effect of growth mindset on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grit and the indirect effect of growth mindset on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mastery goal and grit are not significant. This suggests that growth mindset in pre-service teacher classes are difficult to expect learning satisfaction only by linking with grit and that more effective classes can be expected when consider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ith grit.

      • KCI등재

        항공관광전공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과 자기주도학습능력 관계에서 그릿(grit)의 매개효과

        정영미 한국항공경영학회 2023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21 No.5

        코로나 팬데믹으로 전 세계가 사상 초유의 비상사태를 겪으며 교육 현장은 혼란 속에서 어려움에 직면하였다. 특히 일반 교육기관에서 쉽게 접할 수 없었던 비대면 수업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면서 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self-directed learning)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높아졌다. 교육부가 2022년 교육과정 개정을 앞두고 창의력, 인성, 자기주도성을 미래 사회의 핵심 인재 역량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코로나 팬데믹과 4차 산업혁명으로 교육 환경이 급격히 변화하고 있으며 미래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학습자의 역량을 강화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 엔데믹으로 항공산업도 재도약을 준비하며 지식, 정보, 기술을 바탕으로 스스로 지식을 창조하는 능력을 갖춘 인재가 요구된다. 새로운 변화의 자각은 학습자 스스로 학습에 책임을 지고 학습을 주도하는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주목받고 있다. 자기주도학습은 타인의 도움 없이 스스로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학습 실행 및 결과를 평가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21세기 평생학습 시대에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검토하고 자기주도학습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관광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성장마인드셋, 그릿과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영향 관계와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충남소재 H대학교 항공관광전공 대학생 21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통계분석은 SPSS 25.0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항공관광전공 대학생의 지능-성장마인드셋과 성격-성장마인드셋이 그릿의 구성요소 관심의 일관성과 노력의 꾸준함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항공관광전공 대학생의 지능-성장마인드셋과 성격-성장마인드셋이 자기주도학습능력의 구성요인 인지적 능력, 정의적 능력, 행동적 능력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쩨, 항공관광전공 대학생의 그릿 관심의 일관성과 노력의 꾸준함은 자기주도학습능력 구성요인 인지적 능력, 정의적 능력, 행동적 능력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항공관광전공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는 성장마인드셋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의 인지적 능력, 정의적 능력, 행동적 능력에서 그릿 관심의 일관성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장마인드셋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의 인지적 능력에서 그릿 노력의 꾸준함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성장마인드셋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의 정의적 능력과 행동적 능력에서는 그릿 노력의 꾸준함은 부분매개하고, 지능-성장마인드셋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의 정의적 능력과 행동적 능력에서 그릿 노력의 꾸준함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항공관광전공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에 그릿을 매개로 성장마이드셋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항공관광전공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제고를 위해 성장마인드셋과 그릿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운영과 교수법 활용이 요구된다. As the world experienced an unprecedented emergency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e education field faced difficulties amidst chaos.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has increased as the curriculum is operated as non-face-to-face classes that are not easily accessible in general educational institutions. Ahead of the curriculum reorganization in 2022,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proposed creativity, character, and self-direction as key talents in the future society. In addition, a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s rapidly changing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easures to strengthen learners’ capabilities are required to advance into the future society. Awareness of new changes is drawing attention to the 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in which learners take responsibility for learning and lead learning. Especially as the aviation industry prepares for a leap forward due to the coronavirus endemic, talent with the ability to create knowledge on their own based on knowledge, information, and technology is required. Self-directed learning refers to the process of setting learning goals and evaluating learning practices and results without the help of others. It can be said that it is a core competency to be equipped in the era of lifelong learning in the 21st century. In this regard, the necessity of reviewing specific measures to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researching variables that affect self-directed learning is emerging.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gri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f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tourism.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19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tourism at H University in Chungnam, and SPSS 25.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intelligence-growth mindset and personality-growth mindset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tourism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consistency of interest and persistence of effor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intelligence-growth mindset and personality- growth mindset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tourism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cognitive ability, affective ability, and behavioral ability, which are component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ird, it was found that the consistency of interest and persistence of effort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tourism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abilities, which are component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ourth,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effect of growth mindset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tourism is the consistency of interest in grit in cognitive ability, affective ability, and behavioral ability of growth mindse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t has been shown to be partially mediated. Also, in the cognitive abilities of growth mindse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persistence of grit efforts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Perseverance in grit efforts partially mediates the affective and behavioral abilities of the personality- growth mindse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t was found that persistence of grit effort completely mediated in the affective and behavioral abilities of intelligence-growth mindse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growth mindse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tourism through the medium of grit.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tourism, it is required to operate a curriculum and use teaching methods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growth mindset and grit.

      • KCI등재

        도덕교육에서 그릿(grit)과 성장 마인드셋(mindset) 기반 발문 활용 전략

        박형빈 한국윤리학회 2019 倫理硏究 Vol.126 No.1

        Grits and Growth mindsets are key components of social-emotional learning that can help students grow morally. Self-realization, flow, positive psychology, self-efficacy, self-control, etc. act as the main motives of behavior and are concepts related to grit and growth mindset. Grit means an indomitable will to set a specific goal for the future and not bend it. Growth Mindset is a belief that you can grow. Grit and growth mindset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Grit and growth mindset also affec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Grit and growth mindset are applicable to the area of moral growth. People with growth mindsets generally promote self-efficiency and are positive about pro-social motivation and behavioral tendencies. Efforts such as ritual repetition and habits are important for improving grit and growth mindset. Therefore, the Socratic questioning with Grit and Growth Mindset can be devised in the moral education field. Strategies for the use of questioning could suggest the preparation of (1) questioning considering class and student characteristics, (2) provision of individual and group statements, (3) analysis of individual and group questioning responses and feedback, (4) process and reflection of results. Students should be able to think for themselves, choose for themselves and respond autonomously to an epilogue. 그릿과 성장 마인드셋은 사회정서 학습의 핵심 구성 요소로서 학생들을 도덕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자아실현, 몰입, 긍정심리학, 자기효능감, 자기통제 등은 행위의 주요한 동기로서 작용하며 그릿 및 성장 마인드셋과 관련되는 개념들이다. 그릿은 미래에 대한 특정한 목표를 세우고 그것을 굽히지 않는 불굴의 의지를 의미한다. 성장 마인드셋은 성장할 수 있다는 믿음이다. 그릿과 성장 마인드셋은 상호 긴밀한 관련성을 갖는다. 그릿과 성장 마인드셋은 대인관계에도 영향을 주기에 도덕적 성장이라는 영역에 적용 가능하다. 성장 마인드셋을 가진 사람들은 전반적으로 자기효율을 촉진하고 친사회적 동기부여와 행동 경향에 긍정적이다. 그릿과 성장 마인드셋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의식적인 반복, 습관들이기와 같은 노력이 중요하게 거론된다. 도덕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의 도덕적 성장과 이를 위한 동기부여를 위해 그릿과 성장 마인드셋 기반 소크라테스식 발문을 구안할 수 있다. 발문 활용 전략으로 (1)수업 및 학생 특성을 고려한 발문 준비, (2)개별 및 집단별 발문 제공, (3)개인 및 집단 발문 반응 분석과 피드백 제공, (4)과정 및 결과 발문 반성을 제안할 수 있다. 학생들은 각각의 발문 소주제에 해당하는 발문에 대해 스스로 생각하고, 선택하여, 자율적으로 반응하면서 도덕적으로 성장할 수 있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 긍정심리자본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성장마인드셋의 조절된 매개효과

        탁정화(Jeonghwa Tak) 인지발달중재학회 2020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1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비인지적 요소인 성장마인드셋의 역할에 주목하여,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 긍정심리자본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지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서울, 경기, 부산, 경북 등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245명이며,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SPSS 21.0과 SPSS macro process 3.4 프로그램을 통해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 교수효능감, 긍정심리자본, 주관적 경력성공은 보통보다 높은 인식수준을 보였다. 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과 교수효능감, 성장마인드셋과 긍정심리자본, 성장마인드셋과 주관적 경력성공은 정적상관이 있었다.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 긍정심리자본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장마인드셋은 조절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은 긍정심리자본을 매개하여 주관적 경력성공을 증진하며 성장마인드셋은 교수효능감이 긍정심리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절변인으로 역할을 하였다. 하지만 성장마인드셋이 낮을 때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유아교사의 주관적 경력성공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수효능감,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심리적 향상과 더불어 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 수준을 관리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by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growth mindset in the noncognitive el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s: 245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eoul, Gyeonggi, Busan, Gyeongbuk province were surveyed about their teacher efficacy, subjective career succes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growth mindset.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SPSS macro process 3.4 program. The mediating, modulating,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s were analyzed.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growth mindset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 efficacy, subjective career succes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co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eacher efficacy predicted subjective career success not only directly, but also throug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addition, Lastly, growth mindset relationship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towar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it also had a main effect on teacher efficacy toward subjective career success. Conclusions: We discuss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presented its limitations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 KCI등재

        초등학생의 운동에 대한 성장 마인드와 인내력, 회복탄력성 간의 구조적 관계

        송춘현 한국초등체육학회 2017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 No.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운동에 대한 성장마인드를 외생변인으로 하고 인내력과 회복탄력성을내생변인으로 한 이론적 구조모델을 설정하고 이의 검증을 통해 운동에 대한 성장마인드가 인내력과 회복탄력성에미치는 효과와 인내력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521명(남: 292, 여: 229)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분석하여 첫째, 기술 분석에서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운동에 대한 성장마인드, 인내력과 회복탄력성의 유머가 높은 것으로, 방과 후 운동참여집단은 비 참여 집단에 비해 운동에 대한 성장마인드와 회복탄력성의 유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변인 간 관계를 분석한 결과 회복탄력성의 대인관계는 성장마인드, 인내력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머는 인내력 및 대인관계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조모델은 분석한 결과 운동에 대한 성장마인드를 외생변인으로 하고 인내력과 회복탄력성을 내생변인으로 한 구조모델은 이론모델로 양호한(χ2=84.68, CMIN/df = 1.80, RMR=.03, GFI=.97, NFI=.97, CFI=.98, RMSEA=.04)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구조경로는 성장마인드 → 인내력, 인내력 → 회복탄력성의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에 대한 성장마인드는 인내력을 매개하여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casual relation among growth mind about exercise , endurance and resilience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is study set up a casual relation model which was composed of exogenous variable as growth mind about exercise and endogenous variables were endurance, and resilience of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521 children(boys: 292, girls: 229) who were more 5th grade. This study used growth mind about exercise scale, endurance scale and resilience scale for children. This study used t-test, correlation a analysis, and structure equation. In analysis of description, the boys showed higher growth mind, endurance, and humor than those of girls, the participator activities after school class showed higher growth mind and humor than those of non-participators. In analysis of correlation,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growth and endurance, and resilience, endurance and personal relationship, and humor. In analysis structure equation, this model can be used as theoretical model because general indexes were proved more than critical state. In analysis details index, there were significant paths of growth mind ⟶ endurance, → resilience, endurance → resilience. In this study define there were causal relationships among growth mind about exercise, endurance, and resilience. In this study, growth mediated between endurance and resilience.

      • KCI등재

        중학생의 마인드셋 프로파일과 내재동기, 행동 및 인지전략, 학업성취와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의 매개효과 검증

        정윤경 한국청소년학회 2022 청소년학연구 Vol.29 No.6

        To explore adolescents’ actual response patterns of growth and fixed mindsets, the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the KELS2005 dataset which included 2nd middle school graders’responses for the mindset items. It was also examined whether the profile showed any differences in the year after assessed achievement goals, intrinsic motivation, behavioral- and cognitive strategies, and achievement, and whether the achievement goal mediates these differences. As a result, a model with three latent profiles seemed to fit the data best. The‘high growth mindset(43.5%)’perceived growth mindeset high, but fixed mindset low. The‘average growth mindset(44.7%)’showed a similar profile pattern as before, but the level was low. The‘mixed mindset(11.9%)’showed that both mindsets were at a low level. The‘high growth mindset’profile showed the most adaptive patterns, followed by the‘average growth mindset’which showed the limited adaptive features. Moreover, these differences between profiles were mediated by mastery goals or performance-approach goals. Based on this,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마인드셋에 대한 청소년들의 실제 응답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2005에서 조사한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성장 및 고정 마인드셋 응답 자료를 기초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도출된 프로파일이 1년 뒤의 성취목표, 내재동기, 행동·인지전략, 학업성취에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성취목표가 해당 차이를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그 결과, 3가지 유형의 프로파일이 자료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성장 마인드셋(43.5%)’은 지능이 노력에 의해 변할 수 있다는 성장신념을 매우 높게 인식하는 반면, 고정신념은 매우 낮았다.‘중 성장 마인드셋(44.7%)’은 앞서와 유사한 프로파일 패턴을 보였으나 그 수준이 낮았다. 마지막‘혼합 마인드셋(11.9%)’은 두 가지 마인드셋이 모두 낮은 수준에서 나타났다.‘고 성장 마인드셋’은 동기, 행동·인지전략, 학업성취 면에서 가장 적응적인 특징을 보였으며 ‘중 성장 마인드셋’도 ‘혼합 마인드셋’에 비해 제한적이나마 적응적인 특징을 보였다. 또한 이러한 프로파일들 간의 차이는 숙달접근목표나 수행접근목표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마인드셋과 관련한 추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마인드셋(mindset), 학업성취도 및 리더십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오미경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2

        앞으로 다가올 미래사회는 급변하는 사회가 될 것이다. 예측하기 어려운 시대의 가장 효율적인 교육방법으로 심리학자인 Dweck은 마인드셋 개념을 제시하였다. 마인드셋은 성취를 요구하는 상황에서 학습자가 자신의 능력과 지능에 대해 갖고 있는 신념으로, 고착 마인드셋(fixed mindset)과 성장 마인드셋(growth mindset)으로 나뉜다. 고착 마인드셋은 능력과 지능이 이미 고정되어 있어 노력해도 바꿀 수 없다는 신념을, 성장 마인드셋은 경험과 노력을 통해 능력과 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신념을 뜻한다. 해외에서 이루어진 기존의 몇몇 연구들은 성장마인드셋을 가진 사람은 학업성취도가 높고 리더십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마인드셋의 개념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그리고 마인드셋과 리더십과의 관계를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성장마인드셋 점수가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고, 리더십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마인드셋과 학업성취도 및 리더십은 상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Future society to come will be a rapidly changing society. Dweck, a psychologist, presented the concept of mindset as the most effective way of teaching in an age of unpredictability. Mindset is a belief that learners have about their ability and intelligence in situations requiring achievement. The mindset is divided into a fixed mindset and a growth mindset. Fixed Mindset means the belief that ability and intelligence are already fixed and can not be changed even if you try, and the growth mindset means the belief that you can improve your ability and intelligence through experience and effort. Some existing studies from overseas have reported that those with a set of growth minds have high academic achievement and leadership.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 of mindset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set and leadership i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higher the score of growth mindset, the higher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higher the leadership score.

      • KCI등재

        성장마인드셋, 고정마인드셋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잡크래프팅의 매개효과 및 조직기반자긍심의 조절효과

        서정욱,박지환 대한경영학회 2024 大韓經營學會誌 Vol.37 No.2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은 기업들에게 도전과 실천을 요구함과 동시에 조직구성원들에게는 변화에 유연하고 빠르게순응할 수 있는 학습능력을 강조하고 있다. 기업들은 구성원들이 변화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직무소진을예방하여 심리적 웰빙을 향상시키고, 조직 내에서 개인의 목표를 달성하여 번영감을 느끼게 함으로써 조직의지속가능성을 높이고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마인드셋은 학습자가 자신의 능력과 지능의변화 가능성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신념으로 다양한 연구가 되고 있다. 마인드셋은 변화 가능성에 대한 신념에따라 성장마인드셋과 고정마인드셋으로 구분되며 성장마인드셋은 도전을 수용하고 어려움에 처해도 포기하지않으며 높은 성취를 이루는 반면, 고정마인드셋은 도전을 회피하고 어려움을 겪을 때 쉽게 포기하며 일찍 정체되고잠재력을 발휘하지 못한다. 본 연구는 직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마인드셋 유형에 따라 느끼는 심리적 웰빙 상태및 마인드셋과 심리적 웰빙 사이에서 잡크래프팅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마인드셋과 잡크래프팅사이에서 조직기반자긍심의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조직에서 개인의 신념 변화와 더불어조직기반자긍심을 고취시키는 효과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다양한 산업에 종사하는 직장인24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다. 직접효과는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고 매개효과는 부트스트래핑을통해 분석하였으며 조절효과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성장마인드셋과 고정마인드셋이 심리적웰빙에 미치는 영향이 각각 정(+)적으로, 부(-)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잡크래프팅은 마인드셋과 심리적웰빙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조직기반자긍심의 조절효과는 성장마인드셋과 잡크래프팅의관계에서만 정(+)적인 관계를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정마인드셋과 잡크래프팅 사이에서는 조직기반자긍심의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조직기반자긍심은 잡크래프팅이 매개하는 마인드셋(성장, 고정)과 심리적 웰빙 간의간접효과를 조절하는지 검증한 결과, 성장마인드셋에서는 조직기반자긍심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나, 고정마인드셋에서는 조직기반자긍심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실무적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demands continuous challenges and adaptation from companies while emphasizing the need for organizational members to possess flexible learning abilities to respond quickly to changes. Concurrently, companies are making efforts to prevent job burnout during the process of adapting to changes, aiming to enhance psychological well-being, boost individual goal achievement, and increase organizational sustainability for competitive advantage. Mindset, a belief in the potential for change in one's abilities and intelligence, has been the focus of various studies. Mindsets are categorized into growth mindset and fixed mindset based on beliefs about the potential for change. A growth mindset accepts challenges, perseveres through difficulties, and achieves high accomplishments, while a fixed mindset tends to avoid challenges, easily gives up in the face of difficulties, and experiences early stagnation, failing to realize full potential.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tate experienced by workplace employees based on their mindset types. Additionally, it sought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rafting between mindse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urthermore, the study aim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based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set and job crafting, examining both direct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s to understand how organizational beliefs contribute to individual belief changes and boost organizational members' self-esteem. For empirical analysi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242 employees from various industries. Direct effects were analy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was employed for the medi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imple slope tests were conducted for moderation effec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firmed that growth mindset and fixed mindset hav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respectively, on psychological well-being. Job crafting was validated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se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based self-esteem was found to strengthen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and job crafting. However, this moderating effect was not obser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ixed mindset and job crafting. The study also examined whether organizational based self-esteem regulates the indirect effects of job crafting as a mediator between mindset (growth, fixed)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s showed that in the case of a growth mindset, there was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based self-esteem, while in the case of a fixed mindset, this effect was not observed. Based on thes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erived.

      • KCI등재

        초등학생의 체육에 대한 성장마인드, 열정, Grit과 운동수행의 구조적 관계

        김인수 한국초등체육학회 2017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3 No.2

        이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의 운동에 대한 성장마인드와 열정, 그릿, 운동수행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힘으로서 초등학생의 운동수행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경험적 증거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G 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생 521명(남: 292, 여: 229)을 대상으로 성장마인드, 운동에 대한 열정, 그릿과 운동수행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기술분석에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성정마인드, 열정, 그릿의 일관성, 운동수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운동수행능력이 우수한 학생(상위 10%)은 그렇지 않는 학생에 비해 성장마인드, 열정, 그릿에서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론모델의 검증에서 성장마인드와 열정을 외생변인으로 하고 그릿과 운동수행을 내생변인으로 한 연구모델은 이론모델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성장마인드 → 그릿, 성장마인드 → 운동수행, 열정 → 그릿, 열정 → 운동수행, 그릿 → 운동수행의 경로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 검증에서 성장마인드 → 그릿 → 운동수행의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성장마인드는 그릿을 매개하여 운동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casual relation among growth mine, passion about physical activities participation, Grit, and performance. This study set up a casual relation model which was composed of exogenous variables as growth mind and passion, and endogenous variables as Grit and performance. The subjests were 521 children(boys: 292, girls: 229) who were more 5th grade in G city. This study used growth mind scale, passion scale, Grit scale, and performance scale. This study used t-test and structural equation. In descriptive analysis, boys showed higher growth mind, passion, consistency of Grit, and performance than those of girls. Higher performance group(upper 10 % performers) showed higher growth mind, passion, and Grit than those of lower group. I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this model can be used as theoretical model because general indexes were proved more than critical state. In analysis details index, there were significant paths of growth mind ⟶ Grit, performance, passion, → Grit, performance, Grit → performance. In analysis mediator effect, path of growth mind → Grit → performance was significant. This meant Grit mediate between growth mind and performance.

      • KCI등재

        성장마인드 셋, 끈기(tenacity)와 운동수행의 구조적 관계

        최정아 한국체육교육학회 2019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3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tructural relation among growth mind set, tenacity, and athletic performance. This study constructed theoretical model which was growth mind sets as a exogenous and tenacity and athletic performance as endogenous variables. Methods: The subjects were 164 university students(men : 62, Women : 102) who were attended J university. This study used growth mind sets scale, tenacity scale and double jump in jump rope as a athletic performance. Data was analysed by description analysis, corelation, and structure equation. Results: Analysis of description, all of subjects showed average level of growth mind sets(3.0), showed high level of tenacity(4.0). and there were no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levels of growth mind sets and tenacity. But, the level of athletic performance showed by men were higher than that of women. Factor analysis, tenacity scale confirmed validity through explanatory and confirmed factor analysis and there were ‘tenacity related general daily’ factor and ‘tenacity related task’ factor. Analysis of structure equation, this study model confirmed as a theoretical model because general index are proved(χ2=16.401, CMIN/DF=1.025, RMR=.043, GFI=.976, NFI=.960, TLI=960, CFI=.999, RMSEA=.012). In analysis details index, there were significant paths of growth mind sets→ tenacity, tenacity → athletic performance. Conclusion: There ar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 sets, tenacity, and athletic performance and tenacity fully mediated between growth mind sets and athletic performance. 이 연구는 외생변인으로 운동에 대한 성장마인드 셋을 내생변인으로 끈기와 운동수행으로 한 이론 모델을 구축하고 성장 마인드 셋, 끈기, 운동 수행능력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18년 현재 J대학교에 재학 중인 164명을 대상(남학생62명, 여학생102명)으로 하였다. 이 연구는 운동수행으로 줄넘기의 2중 뛰기 점수를 사용하였다. 측정 척도로는 성장 마인드 셋, 끈기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기술 분석, 상관분석 및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전체 대상자의 성장마인드 셋은 보통 수준을 보였고, 끈기는 높음 수준을 보였다. 이를 변인에 대한 성별 집단 간 비교결과 성장마인드 셋과 끈기에는 집단 간 차이가 없었으나 운동수행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끈기척도를 타당화 한 결과 끈기 척도는 ‘일상관련 끈기(6문항)’, ‘과제관련 끈기(4문항)’ 총 10문항의 하위 척도로 구성된 끈기 척도가 타당화 되었다. 셋째,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성장마인드 셋은 운동수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끈기는 직접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성장마인드 셋 → 끈기, 끈기 → 운동수행 경로 유의함), 끈기는 성장마인드 셋과 운동수행을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