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남지역 선비문화의 초등역사교육 활용 : '남명선비문화축제'를 중심으로

        박용국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7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1 No.-

        이 글에서는 영남지역 선비문화의 형성과 위상 변화를 살펴본 후 선비문화의 초등 역사교육 활용의 문제를 '남명선비문화축제'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士林派 중심의 영남학파의 형성은 영남지역 선비문화의 동질성을 낳은 사회 · 사상적 배경이었다. 따라서 영남지역 선비문화는 사림파의 성리학적 소양과 그 정치적 실천성으로서 志操 · 義理와 名分, 知行合一, 淸廉을 구성 요소로 한다. 治人은 반드시 실천해야 할 致仕의 길이 아니었다. 17세기 이후 江右地域의 선비문화는 江左地域과 달리 南冥學派의 현실 정치의 실패와 분열로 말미암아 진주권역 군현공동체와 그 선비 일상의 삶에서 위상 약화의 변화를 겪었다. 전통은 시 · 공간적으로 변화의 과정을 내포하고 재창조되는 역동성을 지니고 있다. 뿐만 아니라 현대 사회의 맥락에서 해석되거나 하나의 관점에 의해서 인식 · 이해되는 것이다. 전통문화로서 선비문화를 현대 사회에서 축제의 형태로 재창조하는 것은 선비의 삶과 정신, 그의 시대적 역할을 체험하여 사회·문화 · 교육의 가치로 재생산함을 의미한다. 南冥 曺植은 시대 맥락에서 보면 지식인의 새로운 존재양태인 처사로서의 삶을 확립하고 先賢의 저작을 통한 修己와 敬義의 정치 · 사회 · 교육적 실천에 철저했던 처사적 선비문화의 전형이었다. 이러한 삶에 초점을 둔 '남명선비문화축제'의 인물학습은 초등역사교육에서 효과적인 내러티브로 구성해야 한다. 이를 토대로 한 '남명선비문화' 체험은 초등 학습자에게 남명의 시대적 역할과 처사적 선비문화의 정체성을 이해하게 할 수 있다. 추모제와 전시행사는 초등 학습자에게 '남명선비문화축제'를 통한 지역상의 이해만이 아니라 남명의 정신과 삶을 추체험하여 그 이해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남명 유적지는 견학과 답사를 통한 학습자 스스로의 탐구활동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그것은 초등 학습자에게 다양한 역사 현장과 그 구성요소에 얽혀 있는 역사성을 통하여 공간에 얽힌 삶의 의미와 변화를 이해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남명선비문화축제'의 인물학습은 초등역사교육에서 살아있는 생생한 역사를 체험하고 이해하게 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This article has reviewed the issue of Sunbimunhwa in the utiliz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history education centering on 'Nammyeong-sunbimunhwachukie'. The formation of Yeongnamhakpa(嶺南學派) standing for Sarimpa(士林派) is considered as the social and ideal background bearing identities of Sunbimunhwa in Yeongnam province. Therefore, the Sunbimunhwa of Yeongnam province is composed of Jijo(志操) · Euri(義理) and Myeongbun(名分), JihanghapiI(知行合一), Cheongryeum(靑廉) with Sungrihak knowledge of Sarimpa(士林派) and its political practices. Chiin(治人) is not the subject for practice. Since the 17th century, the Sunbimunhwa of Gangwoo(江右) region unlike that of Gangjoa(江左) region has suffered from its weakness in Sunbi life of Jiniu community region due to failure and split of Nammyeonghakpa(南冥學派)'s real politics. Tradition tends to have dynamics of containing and recreating the process of change in terms of time and space. Also it is interpreted in line with modern society, and is recognized and understood in one way. From a perspective of traditional culture, recreation of Nammyeong Josik(南冥 曺植) in the form of festival in modern society means reproduction to social, cultural and educational value with the experience of life, spirit and social role of Sunbi. Nammyeong confirmed the life as Cheosa(處士), which was considered as the new existence form of intellectual in line with the times, and is a model of Sunbimunhwa as a Cheosa, a patriot to the practice of politics, society and education of Sugi(修己) and Gyeong-euj(敬義) through the books of Sunhyeon(先賢). In this regard, person and experience learning and searching activities seen by the 'Nammyeong-sunbimunhwachukje' should be composed in a supremely efficient narrative form in terms of elementary school history education, which brings the effect of experiencing and understanding vivid history in the education.

      • KCI등재

        유가 문인예술에 나타난 선비정신의 특질 - 조선조 유가 문인의 문인화를 중심으로 -

        권윤희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1

        유가의 문인은 자신의 성정을 수양하고 학문을 바탕으로 한 인본주의를 예술로 승화시켰다. 그들은 지고 와 지선의 삶을 추구하며 예술을 통하여 열락의 경계에서 삶을 향유하였다. 유가 문인의 예술은 주로 문인화를 중 심으로 나타났다. 시서화가 어우러진 문인화는 문인의 인품과 학문을 전제로 한다. 이는 보통 餘技와 墨戱·惜墨으 로 인한 神似의 기법을 바탕으로 한다. 유가 문인예술의 지향은 寫意性의 追求·精神性의 追求·유·도가미학의 혼융 추구에 있다. 이는 유가 문인예술이 존재하는 이유가 학문을 바탕으로 한 그들의 고매한 정신세계에 있었기 때문 이다. 조선조 유가 문인의 선비정신은 우선 절의는 절개와 의리 그리고 충절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또한 의병활동 과 구국을 위한 강학활동, 성정을 자연과 함께 한 풍류에서도 살펴볼 수 있다. 즉, 선비의 節義·忠節·義兵·講學·風 流등이 조선조 선비들의 정신경계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이다. 이를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문인화에 담겨진 화제이다. 여기에 유가 문인의 흉중을 바로 읽어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선비정신의 미의식은 풍류·충절·실학· 애민·의리·사랑 등에서 그 미학을 새겨볼 수 있다. 선비정신의 예술적 구현을 위한 예술의 심미체험은 주로 감성지 능에 의한 심미의 체험과 개인의 성향에 따른 심미체험이 있다. 이는 우리의 여러 문인화에서 살펴볼 수 있다. 따 라서 조선조 유가 문인예술에 드러난 선비정신은 정신 지향성이었으며 여유 지향성이었다. 나아가 사의 지향성과 실득 지향성이 있어 선비정신의 특질이 다양하게 구비되어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The art of the Confucian literati‘ was mainly centered on literati‘ painting. Literary paintings combined with poem-writing-painting are based on the literary characters and studies. This is usually based on the technique of Shensi(神似) caused by a hobby accomplishment, enjoying the chinese painting and cherishing with chinese painting. The Confucian literati‘ cultivated their own character and sublimated humanism to art based on studying. They sought the life of supremacy and supreme gentleness, and enjoyed life on the boundary of pleasure through art. The aim of the Confucian literati‘ arts lies in the pursuit of expressing the artist's inner world, spirit, and the combination of the Confucian and the Taoism, Because of literati‘s spirit based on learning, the Confucian literati‘ arts still exist. The aesthetic of Sunbi Spirit is mainly in the customs of Sunbi, the loyalty of Sunbi, the Silhak(實學) of Sunbi, and loving of the people of Sunbi. We can find honor and loyalty in the Sunbi spirit of the Confucian literati‘ of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observe the loyal troops, the hard work for the country, and the Pung-ryu with nature. In other words, the Sunbi honor, loyalty, loyal troops, pursuit of study and the Pung-ryu show the spirit of the Confucian literati‘ of Joseon Dynasty. The aesthetic of the Sunbi spirit is in Pung-ryu, loyalty, Silhak, loving of the people etc. The aesthetic of experience of art is mainly based on the aesthetic experience by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aesthetic experience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inclination. The aesthetic sense actually shows Pung-ryu, loyalty, Silhak and love etc. We can see it in many of our literary paintings. Therefore, the Confucian literati‘ painting in Chosun Dynasty were the intentionality of the mind and the intentionality of the spare. Furthermore, it has directivity of expressing the artist's inner world, directivity of substance, so it is possible to se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nbi spirit are diverse.

      • KCI등재

        傳統的 선비精神에 대한 一考察

        權文奉 한국한문교육학회 2004 한문교육논집 Vol.23 No.-

        본고는 시대의 격변과 혼란 속에서 진정한 선비가 그리워지는 때에 부정부패로 얼룩진 현대사회를 밝혀줄 선비정신의 역사적 의의를 재조명하는 데에 그 중점을 둔다. 그 작업의 일환으로 먼저 전통적 선비의 淵源과 성립과정을 역사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선비精神의 典型을 분석하기 위하여 선비의 性向과 指向目標·價値觀, 그리고 선비의 特徵을 중심으로 논술 하고자 한다. 필자는 이를 통하여 현재 우리가 직면한 精神文化的 危機론 극복하고 民族文化 暢達을 위한 선비정신의 現代的 意味를 導出해 보고자 하였다. 선비란 유가사상의 전통 가운데 사회를 주도해 온 지식인 문화 집단에 대한 총칭이다. 즉 유가적인 이상적 지식인으로 經典에 대한 일정한 지식과 藝術에 대한 조예를 갖춘 사람으로, 조선조 士大夫 문화 즉 선비문화를 모방하고 실천한 지식인이며, 학문을 바탕으로 행동하는 사람이라 하겠다. 우리 민족은 인간 중심적 사고의 전통 속에서 수양과 극기 및 학문 탐구를 추구하는 聖人政治를 이상으로 하는 전통을 중시하였다. 이에 '선비'라는 개념을 儒敎的 素養에 의해 형성된 지도자만으로 보는 관점에서 탈피해서 포괄적으로 볼 때 선비정신이 보편성을 띤 지조 정신, 의리 정신의 표현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선비정신에는 先公後私와 抑强扶弱의 정신이 있다. 公的인 일을 우선하고 私的인 일은 뒤로하는 것을 先公後私라 하고, 강한 자를 누르고 약한 자를 부추기는 것을 抑强扶弱이라고 한다. 外柔內剛의 개성은 선비 인간형의 典型이다. 겉으로는 부드러워 누구에게나 잘 대해 주고 예의 바르지만 속으로는 강하고 심지 깊은 유형을 외유내강형이라고 한다. 위기에 처해서는 지조와 절개를 지키는 투철한 기개와 강인함을 갖고 있지만 사생활에서는 한없이 부드럽고 온화한 사람, 이것이 선비의 인간형이었다. 즉, 조선시대 지식인들이 추구한 이상적 인간형은 감성의 발현인 人情과 인간으로서 지켜야할 도리인 義理를 잘 調和시키는 사람이었다. 선비정신은 시대적 사명감과 책임 의식으로 대변되는 정신이다. 또한 선비정신은 淸廉과 淸貧을 우선 가치로 삼으면서 日常 생활에서 儉約과 節制를 美德으로 삼는 정신이다. 이러한 정신은 유학의 開祖인 孔子의 사상에 잘 나타나 있다. 인격의 모범이요 사회의 良心으로 시대를 이끌어 가는 선비의 구실이 절실히 요구되는 현 시대상황에서 선비정신은 우리가 계승해 나가야 할 精神的 遺産이다. 이 정신은 앞으로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와 그 후손까지 구원할 훌륭한 理念이 라고 확신한다. 우리가 훌륭한 선비정신의 전통을 발전시켜 나간다면, 우리 나라의 무궁한 발전에 필요한 건전한 批判精神을 함양할 수 있으며, 특히 그 시대의 선비와 같은 위치에 서있는 현대의 지식인 계층을 각성시키는 성과를 이룰 수 있다고 본다. 또한 선비정신의 現代的 意味가 여기에 있다고 하겠다. 선비에 대한 고찰을 통해 가장 주목할 수 있었던 특징은 유교적 인격의 배양을 통해서 發現되는 非理에 대한 抵抗精神이라 하겠다. 선비는 오늘날의 왜소한 지식인과 곧잘 비교된다. 특히 꼿꼿한 지조와 목에 칼이 들어와도 두려워하지 않는 강인한 기개, 불굴의 정신력, 항상 깨어 있는 淸淨한 마음가짐으로 특징 지어진 선비상은 아직도 많은 이들의 共感을 불러일으키게 된다. 일제 강점기와 광복 후 현대사의 전개 과정에서 소위 지식인들이 보여 주었던 체질적 한계와 현실 타협적 처신은 傳統時代의 知識人인 선비와 비교되면서 선비정신에 대한 現代的 再照明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Seonbi Spirit or Great Scholarship is the noble sentiment representing the sense of mission and responsibility of the times. It further signifies the virtue of frugality and temperance in daily life based primarily on the value of purity and honest poverty. The essence of this spirit is strikingly reflected in the philosophy of Confucius, father of Confucianism. Seonbis or classical scholars have been highly regarded as the model of conscience,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in the Korean society, or even as the source of energy for the life of Korean people. Although there had been some varying aspects of the times from the era of Three Kingdoms through Chosun Dynasty, Seonbis have unshakably kept their stands as intellectuals responsible for leading each period. They have never been involved in the sensual or materialistic desires of the world but have exclusively pursued after the lofty value toward the elevated sense of scholarship. Seonbi was not simply a symbol of status but the norm of personality and conscience of the times firmly rooting morality in the personal inner world or social order. In the global village which is getting more and more shrunken thank to the progress of communications, transportation and mass media, Korea might only find its meaning of existence and potential for development through reviving and modernizing the wisdom of Seonbi spirit. In the flood of news about the scandals of corrupted of Seonbi these days, it is extremely hard to find any honest and righteous people who are ready to sacrifice themselves for the cause of our nation and citizens. In the contemporary society which badly demands for the initiative of Seonbis to lead the nation, Seonhi spirit seems definitely to he the genuine inheritance we have to keep cherishing. It surely will be the grand ideology to save us and our offsprings, too. It should be added that the current politicians have to follow the examples of Seonbis who have devoted their whole lives to cultivating their minds and endeavoring for the welfare of the country and people by subduing themselves and seeking for their own completeness. A little deeper investigation of the Seonbi spirit may immediately show us that it comprehends the intelligence and justice to rectify on society and put our history on the right track. If we continue to inherit and develop our exemplifying Seonbi spirit, we will be not only able to foster healthy criticism necessary for eternal progress of our country but also qualified to give a stimulus to the intellectuals of our days who stand equivalent to Seonbis of the old days. Here lies the real significance of Seonbi spirit for the modem society, I think. The most characteristic of the Seonbi spirit may be the resistance against irregularities. Such spirit can be demonstrated from the cultivation of Confucian personality. The unshakable integrity, rigid courage braving the threat of sword, unyielding mentality and incessantly awakening pure mental state of Seonbis are only some that most of us still vividly share in memory. They are frequently compared to the contemporary petit intellectuals. The physiological limit and compromising attitudes of the so-called intellectuals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in the process of modem history after the liberation are in sharp contrast with those of the scholars or Seonbis in the traditional age, which is what our times require to review again seriously.

      • KCI등재

        선비들의 임란 倡義精神과 의병 활동

        우인수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5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6 No.-

        This study identified the spirit behind raising militias by analyzing the appeals and circular letters seonbi, or virtuous Confucian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wrote to raise militia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and regarded in them the spirits of seonbi. Furthermore, the study examined seonbi’s militia activities based on the spirits of seonbi and tried to attach meaning to the activities. The materials used for the analysis here included a total of 41 written appeals and circular letters carried in Nanjung Jabrok. Out of the 41 works, 34, or about 83 percent of the entire works, were created in the year 1592 alone. This confirms that in the early days of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militias were actively raised, performing positive func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key words in the written appeals and circular letters, the motive for raising militias could be guessed, and, based on the motive, the spirits of seonbi, which affected the raising of militias could be identified. The identified spirits of seonbi consisted of great cause, loyalty, serving one’s country, responsibility and revenge. These five spirits were not different but correlated. Seonbi’s raising militias was a manifestation of their spirits. That is, their militia activities were the realization and application of their spirits in reality. The militia activities, which showed a right direction for the community to follow, were what leaders were required to perform. Although the cause of raising militias was reasonable, one was required to have a good reputation to raise and lead militias composed of ordinary people. Seonbi had such reputation as they always tried to lead a studious and virtuous life. Seonbi’s militia activities in the early days of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gave a glimmer of hope to the nation going into decline. Being aware of the importance of militias, the Joseon government encouraged the raising of militias to wage all out war against Japanese forces and overcome the national crisis. That is, seonbi’s militia activities became a hope that could save the falling nation. Their militia activities served as momentum uniting all the people who were estranged from the government. In addition, they reversed the flow of the war, which was developing favorably for Japan. Thanks to militia activities, the Joseon government was able to have time to improve its military system and collect and rearrange government troops on land. Although militia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ly for a short period and did not achieve much in terms of military aspects, it is certain that they played a crucial role for the survival of the nation. 본고는 선비들의 임란 창의 격문이나 통문의 분석을 통해 창의 정신을 추출하고, 그를 선비정신으로 간주하였다. 그리고 선비정신에 입각한 그들의 의병 활동상을 살피면서 의미를 부여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자료는 『난중잡록』에 실린 총 41편에 달하는 격문과 통문이었다. 그 중 임진년인 1592년 한 해 동안에 작성된 것이 34편으로 전체의 약 83%에 달할 정도로 집중되어 있었다. 이는 의병이 활발하게 일어나면서 긍정적인 기능을 수행한 때가 역시 임란 초기였음을 확인케 해준다. 격문과 통문에 나타난 핵심어의 분석을 통해 창의의 동기를 짐작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창의에 영향을 미친 선비들의 정신을 추출할 수 있었다. 추출된 선비 정신은 大義, 忠誠, 爲國, 責任, 復讎 등 다섯 가지였다. 선비들의 창의는 평소 자신들이 가지고 있던 바로 그 선비정신의 발로였다. 선비들의 의병 활동은 선비정신의 현실 세계에서의 구현이자 적용이었던 것이다. 이는 위기를 맞은 공동체가 나아가야 할 올바른 방향성을 부여한 행위로서 지도자의 마땅한 역할이었다. 창의의 명분이 합당하다고 하더라도 많은 백성들을 의병 휘하에 모우고 거느리기 위해서는 높은 명망이 요구되었는데, 이는 평소 학문을 닦으면서 인격 도야에도 힘쓴 선비이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임란 초기 선비들의 의병 활동은 꺼져가던 국운에 희망의 불씨를 살리는 행위였다. 의병의 중요성을 인식한 조선 정부도 의병 창의를 독려하여 총력전을 펼침으로써 위기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무너져가는 나라를 지탱시킬 수 있는 힘인 희망을 선비들이 행동으로 이끌어 낸 것이다. 이들의 활동은 백성들의 인심이 더 이상 이반되지 않고 하나로 결집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일본군에게 일방적으로 우세하게 전개되던 전쟁의 흐름을 바꾸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의병의 활약으로 체제 정비를 위한 시간을 번 조선은 차츰 육지의 관군을 수습하여 재정비할 수 있었던 것이다. 비록 의병의 긍정적 활동이 단기간에 그쳤고 전투적인 측면에서는 크게 성취한 바가 없었다고 하더라도 국가의 명맥이 의병 덕분에 유지될 수 있었음은 분명한 사실이다.

      • KCI등재

        조선시대의 선비그림, 儒畵: 용어의 유래와 함의

        박은순 미술사학연구회 2018 美術史學報 Vol.- No.50

        조선시대 중 사대부와 선비, 또는 사인 계층은 회화 분야에서 화가로서, 수장가 및 후원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들은 대부분 유학을 공부한 유학자로서 우리 말로 선비라고 불리었다. 조선시대의존경받는 지식인을 대표하던 선비는 한자로는 유(儒), 또는 사(士), 사림(士林)으로 기록되었고, 선비로서 그림을 그린 사람들은 선비화가, 유화라고 하였다. 그런데 현재 미술사에서는 선비화가라는 용어보다오히려 문인화가라는 용어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문인화가가 그린 그림을 문인화라고 하는 경향이 보편화되고 있다. 필자는 이러한 용어와 개념에 대해서 재고를 하기 위해 논의를 진행하였다. 조선시대 중 중국 문인화와 남종화에 대한 적극적인 수용과 모방은 18세기 이후 진행되었는데, 그 즈음에는 선비그림, 유화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이는 조선의 선비그림이 중국의 문인화, 남종화와는 여러 가지 조건이 달랐기 때문에 중국 문인화와 남종화를 동경하면서도 그 용어를 직대입하여 사용하지않았던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일본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일본에는 우선 문인계층이 존재하지 않았다. 일본에서도18세기 중엽 이후 중국 문인화와 남종화에 대한 관심과 수용이 진행되었지만 역시 여러 가지 조건이 중국과는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일본에서는 근대 이후에는 일본 문인화 또는 남화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하면서 중국 문인화 및 남종화와 차이가 있음을 드러내고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 선비그림, 유화라는 용어가 있었음에도 근대기에는 문인화, 남종화, 또는 남종문인화, 남화라는 용어를 혼용하였다. 이는 조선시대의 전통을 의식하지 못하였기 때문이거나 일본 식민사관의 영향 혹은 일본 미술 및 미술사의 영향이 스며들었기 때문이다. 아쉽게도 해방 이후에도 그러한 영향이 지속되었고 근래에까지 조선적인 문인화와 남종화도 문인화, 또는 남종화 혹은 남종문인화로 지칭하는 일이 지속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조선시대 동안 사용된 용어이자 개념인 유화라는 용어의 용례와 의미 등을 살펴보았다.유화라는 용어의 검토와 제시는 일제시대를 거치면서 왜곡, 변화된 미술용어와 개념을 재고한다는 의미가 있고, 그 결과 한국 미술의 정체성과 특수성을 회복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데 회화사적 의의가 있을 것이다. 조선시대의 선비그림, 유화는 한편으로는 신분적인 배경을 의미하고, 한편으로는 선비계층이 그린 그림이 가지는 양식적인 특징을 의미하는 등 다소 혼란스러운 요소가 있다. 동기창의 남북종론에서 정리된 남종화와 문인화의 개념이 때로는 계층적인 맥락에서, 때로는 양식적인 맥락에서 정리되어 개념 상의 혼란이 있었던 것과 비슷한 상황인 것이다. 그러나 궁중의 화원이나 직업화가의 그림과는 다른 의식과 양식을 지향한 그림으로 인식되었던 것은 분명하다. 선비그림, 유화의 개념과 정의에 대해서는 앞으로 학계의 논의가 진전되기를 기대한다. 본고에서는 우선 조선시대 회화의 중요한 국면을 차지하였던 양반과 사대부, 선비들에 의하여 제작, 향유된 그림을 지칭하는 용어로서 선비그림, 유화라는 용어를 제시하고, 이를 통해 중국, 일본의 문인화와 차별되는, 한국적인 회화로서의 정체성과 의의를 고찰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두려고 한다. In the Joseon period, the nobility and literati class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world of painting, producing painters, collectors and patrons. Most of these individuals were Confucian scholars, known in Korean as seonbi. Joseon’s most esteemed intellectuals, seonbi were recorded in Sino-Korean documents as yu(儒), sa(士) or sarim(士林). Seonbi who painted were referred to as seonbi hwaga or yuhwa. But in contemporary art history, the term munin hwaga (“literary painter”) is more universally used than yuhwa, while the universal tendency is to refer to their paintings as muninhwa (“literary paintings”). This study is my attempt to reconsider such terms and concepts. In the Joseon period, active adoption and imitation of Chinese wenrenhua (“literati paintings”; the Chinese pronunciation of muninhwa) and the works of Southern School painters began in the 18th century. It was around this time that the term yuhwa came into use. At this time, the term muninhwa was not used in Joseon because paintings by Joseon seonbi differed in several ways from those of Chinese literati and Southern School painters, so that the former attempted to both respect the latter and avoid using a directly equivalent term for describing their paintings. The same phenomenon manifested itself in Japan. Korea’s eastern neighbor had no literati class of its own. In the mid-18th century it also developed an interest in and embraced Chinese literati and Southern School paintings, but, like Korea, differed from China in several respects. Therefore the terms Nihon bunjinga (bunjinga being the Japanese pronunciation of muninhwa) and nanga are are used in Japan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refer to its own literati paintings, demonstrating a difference from Chinese literati and Southern School paintings. In Korea’s modern period, a mixture of the terms muninhwa, namjonghwa (“Southern School paintings”), namjong muninhwa (“South School literati paintings”) and namhwa (“Southern paintings”; the Korean pronunciation of the Japanese term nanga) was used, despite the existence of the term yuhwa. This was either because of a lack of awareness of the traditions of Joseon or because of influence from the Japanese colonial view of history or from Japanese art and art history. Unfortunately, this influence persisted even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 and Joseon-style seonbi and Southern School paintings are still referred to as muninhwa, namjonghwa or namjong muninhwa today. In this study, I consider the way seonbi artists who painted were known as yuhwa, and how the paintings they produced were known by the same term. I attempt to describe the circumstances in which later 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term yuhwa disappeared and was replaced by indiscriminate use of words such as muninhwa, namjong muninhwa and namhwa. When used to denote Joseon seonbi paintings, the term yuhwa was not based on a specifically defined concept: on one hand, it related to social status; on the other, it was linked to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paintings produced by seonbi. This is similar to the way Tung Chi-chang’s concept of Southern School paintings and literati paintings was used sometimes in the context of social class and sometimes in the context of style in his theory of the Southern and Northern schools. But it is clear that yuhwa were oriented toward different concepts and styles to those of the works of court painters or professional painters. In this study, I propose the use of “seonbi paintings” and “yuhwa” as terms to denote paintings produced and appreciated by the literati class, who were responsible for an important phase in painting in the Joseon period. These term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serve to emphasize the identity and meaning of a Korean painting style different to those of Chinese and Japanese literati paintings.

      • KCI등재

        선비정신의 개념 정립을 위한 試論

        김광민 한국도덕교육학회 2009 道德敎育硏究 Vol.21 No.1

        There seems to be no doubt about the view that the spirit of Sunbi could be conceived of as an ideal mentality which has been established through our tradition. However, the view requires clarification. Sometimes it leads us to the thought that what is important is not to know the spirit of Sunbi but to practice the spirit of Sunbi. This thought provides an obstacle to the right understanding of the spirit of Sunbi in that the spirit of Sunbi is assumed to include all of the virtues which are desirable in our society today. The spirit of Sunbi must be understood in relation to Sunbi who has it, and seen to be based on, or derived from, the academic studies which underlie it. Judging from this point of view, it becomes possible to suppose that the concept of the spirit of Sunbi could be made more clear by examining the nature of the task which teachers perform in their classrooms today. This essay is only an initial account. More precise account will be achieved only when questions including the following are taken seriously: whether the concept of the spirit of Sunbi still remains acceptable even when the Confucianism or Neo-Confucianism from which it originates has been replaced by the modern academic studies, what the relation between the pursuit of knowledge and the cultivation of mind is, and w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spirit of Sunbi and other similar mentality such as gentlemanship is. 선비정신을 ‘우리의 전통에서 확립된 이상적 정신상태’로 규정하는 데에는 별 무리가 없는 듯하다. 그러나 이 정도의 규정으로 선비정신의 개념이 명확해진 것은 아니며, 자칫 이 규정은, ‘선비정신을 아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선비정신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견해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견해는 현재 우리 사회에서 통용되는 모든 바람직한 덕목을 선비정신으로 간주하게 한다는 점에서 선비정신의 실체를 드러내는 데에 오히려 장애가 된다. 선비정신은 그것을 지닌 선비와의 관련에서 모색되어야 하며, 나아가 그것이 바탕으로 하고 있는 학문의 의미와 성격에 의하여 그 실체가 철저하게 한정되어야 한다. 이 관점을 견지하면, 선비정신의 실체는 오늘날 교사가 하는 일의 성격에 의하여 분명하게 드러날 수 있다. 이 글에서 제시한 선비정신의 개념에 관한 탐색은 문자 그대로 시론으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선비정신은, 그것의 바탕이 된 학문(유학 또는 성리학)을 오늘날의 학문으로 대체해도 의미상의 변화가 없게 되는지, 학문과 인격은 어떤 관련을 맺는지, 나아가 선비정신은 紳士道 등과 같은 유사한 정신자세와 어떻게 구분되는지 등의 질문을 심도 있게 다룸으로써 보다 분명해질 수 있다.

      • KCI등재

        선비[士]와 리더십의 관계 : 대학생에게 필요한 선비 리더십

        金載京(Kim Jack Young) 한국동양철학회 2015 동양철학 Vol.0 No.43

        이 논문은 선비[士]라는 유교적 지식인과 리더십의 연관성을 연구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 다루는 선비는 주로 『논어』에 나오는 ‘士’를 중심으로 한다. 이 논문은 먼저 선비와 리더십의 관계를 정립하기 위해 기존의 통념에서 벗어나 선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선비는 ‘있어야 할 것’이 없는 현실세계에서 그것을 있게[十] 하고, ‘없어야 할 것’이 있는 현실 세계에서 그것을 없게[一] 하는 사람으로 재정립되었다. 이 아이디어는 ‘士’자가 하나[一]와 열[十]로 구성되어 있다는 『설문해자』의 해석에서 착안하였다. 선비에 대한 이러한 재해석은 ‘도에 뜻을 둔’ 선비와 ‘리더십’의 연관성을 밝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세상을 바루고자[匡] 했던 춘추시대의 선비들 역시 리더십 역량을 기르면서[修己]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얻고자 노력했던[治人] 리더들이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선비와 관련된 『논어』 및 四書의 용례를 조사하여 현대의 리더십 이론에서 말하는 리더십 항목에 따라 그것들을 분류하였다. 다시 말해 존 맥 스웰의 ‘21가지 리더십 불변의 법칙’에 해당하는 선비 관련 구절들을 추려내 그것들을 비전 설정, 소통을 위한 자기 계발, 목표를 향한 몰입, 책임감 등 네 가지 항목으로 분류하고 해석하였다. 그렇게 함으로써 현대적 의미에 맞는, 특히 대학생들에게 필요한 선비 리더십의 윤곽을 그릴 수 있었다. 이로써 2천5백년 전에 공자학파가 설파한 선비의 품성과 행동양식이 오늘날에도 리더십의 법칙으로써 유용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 of Seonbi, a Confucian intellectual and that of leadership, one of the most popular topics of the present time. The concept of Seonbi in this paper is centered on that of Shi(士), in the Four Chinese Classics, including Confucian Analects. It also includes the concepts of Ru(儒) in the chapter of “Ru-xing (儒行)” in the Record of Courtesy (禮記) and of Junzi(君子) in Confucian Analects on condition that they provide this paper with contextual supplement. This paper mainly attempts to re-interpret the concept of Seonbi, breaking away from its conventional interpretation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s of Seonbi and leadership. The new interpretation indicates that Seonbi is the person who makes ‘what is not in this world in spite of its necessity’ exist, making ‘what does exist in spite of its unnecessariness’ not exist. Such an interpretation derives from the illumination of Seolmunhaeja, which insists that the Chinese character of Shi(士) is composed of two characters, minus(一) and plus(十), respectively meaning ‘one’ and ‘ten’ in Chinese. The re-interpretation of Seonbi as such becomes an important clue to manifest the relationship between Seonbi as a scholar who pursues Tao, the way, and the current concept of leadership. For the people called Seonbi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of ancient China, who longed to correct the world, were those who exerted themselves to achieve opportunities for their leadership while training themselves strictly. In the next part, on the basis of the usages in the Four Chinese Classics mentioning Seonbi, the current concept of leadership is classifi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items in John Maxwell’s The 21 Irrefutable Laws of Leadership. That is to say, the conditions of Seonbi is categorized into four main concepts of the current leadership, including ‘Setting up of Vision,’ ‘Self-development for Communication,’ ‘Immersion for the Goals,’ and ‘Responsibility.’ In so doing, the leadership of Seonbi that fits the present times can be outlined. Thus it is well identified that the attributes and modes of behavior of Seonbi, which was preached by Confucius about 2,500 years ago can be valued as the laws of leadership of the present times.

      • KCI등재

        선비(鮮卑)의 ‘백색(白色)’ 숭상 고찰 -초기 선비와 모용선비 관련 기록을 중심으로-

        강준영 백산학회 2022 白山學報 Vol.- No.12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n the Mongolians began to preference and reverence 'white', one of the important and holy color to date. For this research, i analyze the symbolism of white in Xianbei, one of the main origins of the Mongolians. Specially, this paper focuses on the historical material to Early Xianbei and Murong Xianbei.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white color symbolized such as ‘most powerful’, ‘supreme’, ‘heaven’, ‘strong’, ‘divine’ and ‘auspicious’ in Xianbei. Also, this result shows that Xianbei had preferenced and reverenced white early on.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Murong Xianbei’s enemies, including Former Qin, disparaged Murong Xianbei as ‘White babarians(白虜)’ also stems from their preference and reverence for white. In chapter Ⅲ analyzed the ethnic name Xianbei. The results show that this name is likely to be a transliteration of ‘sʌrb()’ with the meaning of white. And this suggests that it is highly possible that Xianbei was originally a people who reverenced white. In other words, when they used the name Goguryeo, they already preferenced and reverenced white. 본 연구의 목적은 몽골 민족이 오늘날까지도 중요하고 신성시하게 여기고 있는 색상 중 하나인‘백색’을 언제부터 선호하고 숭상했는지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몽골 민족의 주요 원류(源流) 중 하나인 선비(鮮卑)에서 ‘백색’이 어떠한 상징성을가진 색상이었는지 고찰하였다. 특히, 초기 선비와 모용선비(慕容鮮卑)와 관련된 기록을 중점적으로 분석해보았다. 분석 결과, 선비에서 백색은 ‘최강(最强)’, ‘최고(最高)’, ‘하늘(天)’, ‘건장(健 壯)’, ‘신성(神聖)’, ‘길상(吉祥)’ 등을 상징하는 색상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일찍이 선비에서부터 백색을 선호하고 숭상했음을 보여주며 전진(前秦)을 비롯한 모용선비의 대척점에 있던 이들이 모용선비를 ‘백로(白虜)’라고 비하했던 사실 역시 이들의 백색 선호와 숭상에서 비롯되었음도 알 수 있다. Ⅲ장에서 선비(鮮卑)라는 족명(族名)을 분석해 본 결과, 선비가 ‘백(白)’이라는 뜻을 지닌 ‘’의음역으로 파악된다. 이는 선비라는 민족이 본래부터 ‘백(白)’을 숭상하던 민족이었을 가능성이크다는 것을 시사한다. 즉, 늦어도 선비(鮮卑)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던 시기부터는 이들 민족이백색을 선호하고, 숭상했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선비풍류(風流)가 빚어낸 문인화의 이상향(理想鄕) - 풍죽(風竹)의 문인화(文人畵) 경계(境界) -

        권윤희 ( Yun Hee Kwon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6 동양예술 Vol.31 No.-

        풍류(風流)는 ‘바람이 정체되거나 막히지 않고 흐르는 것’으로 ‘자유’, ‘자연스러움’, ‘변화’, ‘움직임’, ‘아름다움’ 등의 개념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므로 풍류는 자연과인생과 예술이 혼연일체가 된 미적 표현으로 자연·멋·음악·예술·여유·자유분방함·즐거움을 본질로 한다. 또한 풍류는 자연친화적인 것이며 동시에 자연과의 교감이며 나아가서는 자연과의 합일, 자연으로 회귀를 의미한다. 그러나 풍류를 즐기는 방향은 사람마다 그의 개성과 기호에 따라 서로 다양하고 복잡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선비의 풍류는 노는 것이지만 정신적인 영역까지 포함하고, 예술적·심미적 요소가 함께하고 있다. 즉, 선비풍류의 본질은 자연 속에서 ‘자연’과 ‘나’를 합치시키는 근원적인 미적 체험이 선비가 지향한 풍류의 본질이다. 선비풍류가 이루어지기 위한 조건은 선비정신의 추구와 자연과 친화의 추구에 있다. 풍죽은 선비풍류를 담고 있는 대표적인 문인화로서 바람과 맑음의 선비풍류적인 요인을 가지고 있다. 즉, 바람과 맑음은 풍죽 문인화가 선비풍류를 문인화라는 장르에서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인자이다. 따라서 바람은 기운생동한 기세의 미학으로, 또한 맑음은 俗除淸至한 신채의 미학으로 심미된다. 이러한 경계의 풍죽 문인화는 강암의 풍죽 등에서 심미하여 볼 수 있다. 특히 강암의 풍죽에는 선비풍류의 본질과 조건이 담겨 있으며 견정의 미감·광일의 미감 등 다양한 미감으로 표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이는 문인화 장르 가운데 선비풍류를 대표하는 풍죽의 이상경계이면서 상징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풍죽의 심미경계를 고찰하여 보면 선비풍류가 빚어낸 문인화의 이상향이 풍죽의 문인화에 구현될 수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이는 결국 선비정신의 추구와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자연과 함께하는 삶과 철학의 결과에서 나오는 예술경계이며 선비풍류가 빚어낸 이상향의 구현이라 살 수 있다. Pungryu is a kind of taste and wisdom that make people calm and happy with nature. Pungryu means ‘wind or water flows without clogging’ and it involves the concept, ‘freedom, being natural, change, moving, beauty’ But pungryu has very complicated meaning, because it is not the simple flowing wind and water but the nature must be understood in the relation with human. So pungryu is a kind of amusement culture based on esthetic cognition, the original of amusement culture, and the original of artistic culture. Pungryu developed as a religion·religious ritual in the thinking world and as a poem·caligraphy ·painting ·go·kayag?m that enjoy culture and art as time goes. Pungryu is nature friendly, and at the same time a mutual response with nature, and further it is a union with nature. Therefore pungryu is a esthetic expression of the state of whole unity with nature, life, and art involving the concept of nature·taste·music·art·free spirit·joy. The spirit of pungryu pursues natural harmony without artificial skill. So pungryu is freedom and ideal thing. But the direction of enjoying pungryu is various depending on human’s individuality or taste. Especially a confucian literati enjoyed pungryu in the groups named, sisa·sigye·gyehyue. writing poem, doing caligraphy, and drawing painting. One of the best among them can be windy bamboo. A windy bamboo is a literati painting symbolizing literati’s spirit and that can express esthetic state when all three of poem, caligraphy, and painting are making harmony. A windy bamboo contains a symbol of literati’s spirit as a metaphor and interaction, flowing, and sympathy. Like this a windy bamboo basically contains characteristics of pungryu. A windy bamboo is a literati painting containing literati’s pungryu esthetics. Therefore it is a utopia and symbol of pungryu that ex presses a noble style and dignity. I studied esthetic state of Gangam’s windy bamboo based on pungryu esthetic side. Gangam’s windy bamboo esthetics showing strongness became incarnation of literati spirit and showed various esthetic state such as stable & solidityi, rush about & deviation. This is ideal state and symbol representing literati’s pungryu. And the pungryu of Gangam’s windy bamboo is ‘sound of pure bamboo- leaves’ So my ‘sond of pure bamboo-leaves’ is another symbol of windy bamboo that is a utopia created by pungryu. Therefore I think joyful windy bamboo esthetic state depends on pursuing one and appreciating one as the utopia created by pungryu became a windy bamboo of ‘sound of pure bamboo-lea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