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징적 형식으로서 신화와 예술에 반영된 사유방식과 개념들에 관하여

        추정희 ( Jung Hee Chu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5 美學·藝術學硏究 Vol.43 No.-

        카시러(E. Cassirer, 1874-1945)의 철학을 대표하는 개념은 상징적 형식이다. 그는 문화를 연구할 수 있는 구체적이면서도 보편적인 개념을 찾아냈으며, 그것을 ‘상징적 형식’이라고 지칭하였다. ‘상징적 형식’ 개념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은 그의 문화에 대한 총체적 접근, 즉 문화 그 자체가 지니는 고유한 형식, 고유한 법칙, 나아갈 방향, 더 나아가서는 그 정신적 가치에 접근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상징적 형식들을 더 잘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무엇보다도카시러의 사유방식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그동안의 연구가 카시러의 사유방식에 대한 고찰이 부족하며 상징적 형식이라는 개념이 구체적이지 못하고 추상적으로만 이해되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 그에 따라 카시러의 철학적 방법론에 중점을 둠으로써, 이러한 사유방식이 나타나는 신화와 예술 형식의 구체적인 개념을 살펴보았다. 본 논문이 그의 철학적 방법론으로 제시한 것은 칸트와 헤겔적 사유방식이다. 칸트로부터는 각각의 상징적 형식들이 고유한 형식을 지닐 뿐만 아니라, 고유한 인식방법이 있음을 수용하고 있으며, 헤겔로부터는 그러한 상징형식들이 인간의 자기의식의 전개방식이 반영된 것이라는 점에 중점을 둠으로써 의식의 현상학적 방법론이 적용되고 있음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신화와 예술이라는 측면에서 각각의 고유한 형식을 드러내주는 특별한 개별 계기를 통해, 즉 예술과 문화 속에서의 ‘아페르쉬’, 신화 속에서의 ‘크리시스’로 표현되는 개별계기를 통해 이러한 방법론이 적용되고 있음을 보여줌과 동시에 상징적 형식의 의미를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개별계기들은 인간의 삶의 이해와 직결된다. 의식이 스스로를 전개하는 과정에서 정신이 객관화되는 특별한 개별 계기를 살펴봄으로써, 카시러의 ‘상징적 형식’이 의식의 자기 전개를 드러내는 것이자 정신의 전체상을 사유하고자 하는 그의 고유한 개념임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차후에 나타날 문화형식들의 변화와 미지의 새로운 문화형식들의 등장 속에서 인간의 삶, 특히 인간 정신의 삶을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을 추구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항상 생동하고 있고 변화하는 삶 속에서 인간을 이해 한다는 것, 그리고 더 나은 미래를 기대한다는 것은 문화에 대한 이해 속에서 가능하다. 무엇보다도 우리 문화를 구체적이면서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특별한 개별적 계기, 즉 정신과 전체적 삶이 응축된 단일한 시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인간문화의 이해는 그러한 계기와 그러한 시점에서 출발할 수밖에 없다. 카시러가 인간문화에 대한 이해를 논리적 사유방식에서만 찾지 않고 구체적인 감각적인 형식들에서 찾았다는 것을 감안할 때, 여전히 어둠에 묻혀있는 카시러 사상의 연구에 있어서 앞으로도 이러한 특별한 개별계기를 보여주는 지점들에 대하여 주목할 필요가 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도 그의 사유방식에 대한 고찰과 더불어 이러한 특별한 개별계기를 분석함으로써 상징적 형식을 고찰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바로 그와 같은 연구가 생동하는 인간의 정신의 삶에 대해 이해하고자 했던 카시러의 의도를 분명히 밝힐 수 있다고 생각한다. ‘Symbolic form’ is the concept of representing the philosophy of Ernst Cassirer(1874-1945). He used this concept to study the culture. To grasp the meaning of the concept makes possible total approach to culture, that is, its own form, its own way of understanding, further more its spiritual values. We need to understand symbolic forms and Cassirer``s way of thinking that appears in them. This thesis notes that previous studies have the least consideration the his way of thinking and ‘symbolic form’ as a his characteristic concept has been understood abstractly, not concretely. So noting on his philosophical methodolgy, this thesis tries to keep an eye out for concrete concepts of myth and art in that Cassirer``s way of thinking was expressed. First of all, along with influences of many different ways, Kant and Hegel have a great effect on Cassirer``s way of thinking. From Kant, it accepts that each symbolic form as language, myth, art, religion takes its own rule, its own form, and its own direction. From Hegel, it holds wholeheartedly phenomenology of spirit, namely, self-development way of consciousness. For this, trying to obtain all the totality of spiritual forms and individuality of each special province, Cassirer seeks a factor which recurs in each basic spiritual form but in no two of them takes exactly the same shape. This factor is the symbolic form, further on, the special individual components of it as for example artistic and mythic image that the forming ability of mind has converged. This thesis suggests ‘Apercu’ as the special individual components in the art, ‘Krisis’ in the myth. Searching ‘Apercu’ and ‘Krisis’, it demonstrates that the symbolic form shows the self-development way of consciousness and at same time Cassirer looked the totality of mind through the symbolic form. The understanding of human mind and the anticipating of the better future in always full of life and changing life are facilitated through insights into cultures. Above all, concretely and systematically to insight into cultures needs to look at these special individual components, that is, the single focal on that the nature of mind and its whole state were imprinted. In further work, the study of his way of thinking and these special individual components must go side by side of clarifying meaning of Cassirer``s symbolic form.

      • KCI등재

        헤겔의 상징적 예술 형식에서 숭고 개념에 관한 연구 - 칸트, 리오타르, 지젝과의 연관성과 차이를 중심으로

        김창준 대동철학회 2020 大同哲學 Vol.91 No.-

        숭고의 미학사에서 헤겔은 핵심 인물로 평가되지 않은 것은 물론, 현대로 올수록 그 반 대편 인물로 더 많이 언급된다. 그러나 헤겔 미학에서 숭고 개념은 의미와 표현의 불일치를 특징으로 하는 상징적 예술 형식의 주요 범주이고, 근년 들어 부정성이나 무 개념과 함께 재조명되고 있다. 숭고는 고대 그리스의 ‘탈아’나 ‘망아’ 등에서 기원하여 로고스적 합리성이나 고전주의의 한계를 보완하는 균형추 역할을 해왔다. 롱기누스의 수사학적 숭고를 거쳐 버크에 이르면, 숭고는 무질서하고 무형식적인 대상에서 촉발되는, 고통과 쾌락이 결합된 강렬한 감정으로 체계화되고, 칸트의 수학적․역학적 숭고로 이어진다. 칸트의 숭고는 ‘현시할 수 없는 것의 현시’로서, 오성의 범주를 벗어나는 대상을 상상력이 이성 개념과 연관시켜 일어나는 무규정적 이성 개념의 현시이다. 헤겔 미학에서 숭고는 상징적 예술 형식의 주요 범주를 이룬다. 헤겔은 예술을 이념의 구현으로서 가상으로 규정하고, 예술 형식 또한 이념(내용)과 형태(형식)의 통일(구현)인 가상의 정도에 따라 구분한다. 상징적 예술 형식은 내용과 형식이 일치를 이루지 못하는, ‘불완전’하고 ‘불충분’한 가상으로서 예술, 예컨대 이집트나 동방의 종교적 예술과 문학, 알레고리나 비유적 표현들이 전형을 이루며, 장르로는 재료적 특성이 정신성의 구현에 한계로 작용하는 건축이 대표적이다. 헤겔의 숭고개념은 상징적 예술 형식이 갖는 내용과 형식, 구현 이념과 질료적 형태의 불일치를 의미하므로, 예술 작품의 의미 내용과 표현 사이의 불일치를 주로 표현하는 현대예술 일반과 연관된다. 리오타르는 칸트의 숭고에 주목하여 묘사할 수 없는 것, 즉 인식 능력 밖에 있는 것을 묘사하고자 하는 모순적 시도의 가능성을 숭고에서 찾는 반면, 지젝은 헤겔의 부정성과 무 개념을 소환하여, 물자체가 실은 근본적인 부정성이라는 것, 즉 표상 너머에 존재하는 것은 물자체가 아니라 순수 무이므로, 주관과 대상의 불일치를 통한 물자체의 경험이라는 칸트적 숭고는 ‘무의 구현물’에 다름아닌 것이라 진단함으로써, 헤겔의 숭고를 재해석할 통로를 만든다. In the aesthetic history of sublime, Hegel is not the key, and as it comes to contemporary times, it is more often referred to as the opposite. However, in Hegel’s aesthetics, the concept of sublime is a major category of symbolic art-type characterized by a disharmony of meaning and expression, and recently it is newly considered with the concept of negativity and nothing. Sublime from ancient Greece has played a role in complementing the limits of logos or classicism. When it reaches Burke through the rhetorical sublime of Longinus, the sublime is organized into intense emotions combined with pain and pleasure, triggered by disordered and informal objects, and embodied by Kant’s mathematical and mechanical sublime. Kant’s sublime is a manifestation of the undefined concept of reason, which occurs when the imagination associates the concept of reason with an object outside the category of understanding. Hegel defines art as the unity of the idea (Idee) and the configuration (Gestalt), that is, appearance (Schein). The symbolic art-type is a step in which the content and form of art do not coincide. Here, art remains with an ‘incomplete’ or ‘insufficient’ appearance that has not fully realized the idea. Hegel seeks the typical models of symbolic art in Egyptian and Eastern religious arts and literature, allegories and allegorical expressions. The genre is an architecture in which material properties act as a limit to the realization of mentality. Hegel’s concept of sublime means the disharmony between the content and form, that is, the idea and expression of the symbolic art-type. Therefore, it is related to the general art of contemporary art, which mainly expresses the disagreement between the meaning content and the object of expression. Lyotard pays attention to Kant’s sublime and finds the possibility of contradictory attempts to describe what cannot be described, that is, beyond what he perceives. On the other hand, Žižek reinterprets Hegel’s concepts of negativity and nothing, revealing that ‘thing-in-itself’ is in fact a fundamental negativity, that is, what exists beyond the representation is ‘pure nothing’ rather than ‘thing-in-itself’. Through this, Kant’s sublime, that is, the ‘thing-in-itself’ experienced through the disagreement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is diagnosed as a composition of nothing, thereby creating a pathway to reinterpret Hegel’s sublime.

      • KCI등재

        E. Cassirer에 있어서 상징형식과 언어

        배상식(Bae, Sang-Sik) 새한철학회 2017 哲學論叢 Vol.87 No.1

        본 논문은 카시러의 사상에서 ‘상징형식’과 ‘언어’의 의미에 대해 해명해 보는 것을 근본목적으로 삼고 있다. 주지하다시피, 카시러는 훔볼트로부터 많은 학문적 영향을 받았으나, 그의 이론과 확연히 구별되는, 이른바 ‘상징’과 ‘상징형식’이라는 독자적인 개념을 사용하였다. 여기서는 우선 이들 개념이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것은 카시러가 주장하는 ‘상징형식’의 의미와 함께 ‘언어’를 하나의 ‘상징형식’으로 간주하는 이유를 이해하기 위함이다. 실제로 그는 언어, 신화, 예술, 종교와 같은 문화형식들은 인간의 삶을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이러한 문화형식들을 ‘상징형식’이라고 지칭하였는데, 이것은 인간 문화의 본질을 파악하는 중요한 열쇠가 되기도 한다. 이어서, 우리는 ‘언어의 기원’문제를 통해 그가 강조하는 ‘정동(情動)의 언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서는 특히 언어의 기원 문제를 깊게 탐구했던 비코, 하만, 헤르더 등의 언어사상을 간략히 소개할 것이다. 다음으로, ‘언어와 신화의 상관성’에 대한 카시러의 입장, 곧 언어와 신화가 공통의 근원에 근거하고 있으나 그 구조는 다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해 봄으로써, 신화와 구별되는 언어의 본질적 의미를 밝혀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그가 강조하는 언어의 ‘상징적 기능’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언어가 하나의 정신적 형식이자, 우리를 객관적 세계에 대한 이해로 이끄는 중요한 요소임을 해명해 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lucidate meaning of symbolic form and language in Ernst Cassirer’s thought. As you may well notice, despite the many scientific influences of Humboldt, Cassirer used a unique concept of symbols and symbolic forms, which is distinct from his theory. In this section, we first look at what these concepts mean. Through this, we will be able to explain why Cassirer regard language as a symbolic form. In fact, Cassirer argued that cultural forms such as language, myth, art, and religion make a holistic understanding of human life. He calls this forms ‘symbolic forms’. His symbolic form is the key to understanding the nature of human culture. Then, we will look at the "language of emotion(Affekt)" that he emphasizes through the question of "origin of language". Especially, we will examine the language thought of Vico, Hamman, and Herder, who have deeply searched for the origin of language. Next, I will elucidate the essential meaning of language, which is distinct from myth, by examining Cassirer"s position on the relation between language and myth. According to him, language and myth stand in an original and indissoluble correlation with one another, from which they both emerge but gradually as independent elements. Finally, by exploring the "symbolic function" of the language he emphasizes, we try to explain that language is a mental form and an important factor leading us to an understanding of the objective world.

      • KCI등재

        현대 숭고 개념의 헤겔적 기원 연구

        권정임 ( Jeong Im Kwon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2 美學·藝術學硏究 Vol.35 No.-

        오늘날 포스트모던 담론들은 J.-F. 리오타르(Lyotard)를 대표로 하여 사회, 문화, 예술의 본질을 ‘표현될 수 없는 것’의 표현 내지는 제시에서 찾으며, 이러한 사태의 성격을 ‘숭고’로 규정한다. 이러함에 있어 ‘숭고’는 칸트의 개념을 인용한 것으로, 칸트가 크기(‘수학적 숭고’) 혹은 양적 거대함(‘역학적 숭고’)으로 인해 일차적으로 우리의 인식능력인 구상력으로 ‘파악될 수 없는 대상’에서 숭고감이 유발된다고 서술한 바를 기초로 하는 것이다. 특히 이 규정에서 한편으로는 대상의 ‘파악(표현)할 수 없음’이라는 특성과 다른 한편으로는 주체의 인식능력의 무기력함의 계기가 포스트모던의 숭고 담론에서 확장되었다. 이에 따라 그간 리오타르가 인용한 칸트 숭고 개념 및 이에 영향을 미친 버크의 숭고 개념의 해석과 수용에 관해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었으며, 특히 칸트의 숭고 개념이 포스트모던의 숭고 담론의 주된 근간으로 이해되어왔다. 하지만 리오타르를 중심으로 한 포스트모던 담론에서 의미되는 ‘표현할수 없는 것의 표현(Darstellung des Undarstellbaren)’이나, 더욱 엄밀하게는‘표현할 수 없는 것의 표현불가능함의 제시’라는 숭고 개념의 보다 적절한 근원은 G.W.F. 헤겔의 ‘숭고’ 규정에서 찾을 수 있다. 왜냐하면 칸트의 숭고 개념의 주된 측면이 인식능력의 한계를 순간적으로 넘어서는 거대한 대상이 마침내 우리 내부의 이성이념을 환기시켜 유발하는 ‘감정’을 가리킨다면, 헤겔이 규정하는 숭고는 리오타르와 포스트모던 담론에서 강조되는 내용과 형식, 즉기의와 기표의 ‘불일치’와 이러한 불일치의 근거가 되는 대상의 ‘무규정성(Unbestimmtheit)’의 특성을 핵심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연구는 오늘날 리오타르를 중심으로 한 논의들에서 현대 문화와 예술의 주요미적 범주로 부각되고 있는 포스트모던 ‘숭고’ 개념의 ‘표현할 수 없는 것의 표현’ 내지 ‘표현될 수 없는 것의 표현불가능함의 제시’라는 규정의 의미론적 근원을 헤겔 미학에서 찾고, 이에 대한 타당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헤겔의 베를린 미학강의 필기록들을 살펴보면, 그는 초기 사유와 달리상징을 더 이상 내용과 형식의 동일성이 아닌, 양자의 ‘불일치’로 규정하며, 이를 토대로 하는 상징적 예술형식의 특성을 ‘숭고’로 규정한다. 이러한 헤겔의 숭고 개념은 ‘상징적 예술형식’에 구성되어 있는 ‘의식적 상징론(bewußteSymbolik)’, 즉 알레고리, 은유 등의 언어적 수사법들을 대상으로 하는 ‘비유적 상징론(vergleichende Symbolik)’도 포괄한다. 이러한 사실을 기초로 하여 본 연구는 헤겔의 숭고 규정이 고대 오리엔트 예술이나 유대교적 직관과 시문학에 한하지 않고 근현대 예술의 특성으로 확장될 수 있다는 것과, 헤겔의 숭고 개념이 현대 문화와 예술에 관한 기호론적 논의들을 포괄하는 개념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렇듯 본 연구는 포스트모던 숭고 개념의 근원을 헤겔의 숭고 개념에서 찾는 단순한 추적에 머물지 않고 이 개념과 연관되는 ‘상징’, ‘알레고리’ 개념에 대한 새로운 해석 가능성을 탐구하며, 이러한 개념들이 P. 드 만(deMan)과 S. 지젝(Zizek)의 헤겔 숭고 규정에 대한 독창적인 해석들과 더불어 오늘날 문화와 예술에 관한 사유에 중요한 추동력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헤겔 미학의 현재적 의미를 재조명한다. In der heutigen Diskussion um die Politik, Kultur und Kunst geht es um den Begriff der ‘Erhabenheit’, die hautptsachlich J.-F. Lyptard auf der Basis des Kantischen Begriffs entwickelt hat. Demdach wurden inzwischen viele Forschungen zu Lyotards Interpretation und Rezeption von Kants und Burkes Begriff der Erhabenheit durchgefuhrt, insbesondere wurde Kants Begriff der Erhabenheit als der wesentliche Wurzel der postmodernen Diskussion um das Erhabene verstanden. Aber man kann in G.W.F. Hegels Bestimmung der Erhabenheit den angemesseneren Ursprung vom Begriff des Erhabenen finden, der in der posmoderen Diskussion wie von Lyotard als ‘Darstellung des Undarstellebaren’, genauer ‘Anspielung auf Nicht-Darstellbarkeit des Undarstellbaren’ bestimmt wird. Denn Hegels Begriff der Erhabenheit hat den Charakter der Unubereinstimmung von Form und Inhalt bzw. von Zeichendem und Gezeichnetem, und der darin grundliegenden Unbestimmtheit, die in Lyotards Bestimmung der Erhabenheit wesentlich ist. Daher wird in der vorliegenden Arbeit versucht, den sinngemassigen Ursprung der Bestimmung der ‘Darstellung des Undarstellbaren’ bzw. ‘Anspielung auf die Undarstallbarkeit des Undarstellbaren’, die in der postmoderen Diskussion wie von Lyotard als vorzugliche asthetische Kategorie auftritt, in Hegels Asthetik zu finden, und wird zugleich die Gultigkeit dafur bewiesen. Ausserdem wird man in der Betrachtung der ‘symbolischen Kunstform’ wissen, dass Hegels Begriff der Erhabenheit, der als der Charakter der symolischen Kunstform im allgemeinen bestimmt wird, ‘die bewusste Symbolik’, d.h. die die Sprachfigur wie Allegorie und Methapor enthaltende, ‘vergleichende Symbolik’ umfassen kann. Aufgrund dieser Tatsache wird in der vorliegneden Arbeit hervorgehoben, dass sich Hegels Bestimmung der Erhabenheit nicht auf die judische Anschuung und Poesie beschrankt, sondern auf das Charakteristikum der modernen Kunst erweitert, und dass sie derjenige Begriff, der die zeichentheoretische Diskussion uber die gegenwartige Kultur und Kunst umfassend ist, sein konne. Mit diesem Versuch wird in der vorlienden Arbeit nicht bloss der Ursprung des Begriffs des postmodernen Erhabenen verfolgt, sondern damit wird auch die Moglichkeit der neuen Interpretation von Hegels Begriff der Erhabenheit sowie dem Begriff des Symbols und der Allegorie, die im Zusammenhang mit diesem Begriff stehen, untersucht. Und der Sinn der vorliegnen Arbeit lasst sich dann darin finden, die gegenwartige Bedeutung der Hegelschen Asthetik ins neue Licht zu bringen und zu aktivieren, indem sie zeigt, dass die Hegelschen Begriffe wie Erhabheit, Symbol und Allegorie besonders mit P. de Mans und S. Zizeks eigenartigen Interpretationen von Hegels Bestimmung der Erhabenheit ein wichtiger Triebfeder des Denkens von der heutigen Kultur und Kunst werden konnen.

      • KCI등재

        상징적 형식에 의한 공간의 매개에 관하여

        임성훈(Lim, Sung-Hun) 대한건축학회 201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9 No.1

        Symbol is not simply to create a lock-in to a rudimentary concept. It has several different meanings, as well as makes possible other expressions to be done. In this regard, the symbol is a very misunderstood and undervalued. Such characteristic of the symbol is the same in the case of urban and architectural space. Symbol is especially important in being able to shape the intangible urban space. This article is chased the problems of symbol and proposed the concept of symbolic format, looking through Aldo Rossi and David Chipperfield’s architecture.

      • KCI등재후보

        『신들의 주사위』에 나타난 성장과 좌절

        서희원(Suh Hee Won) 동악어문학회 2008 동악어문학 Vol.51 No.-

        근대 이후 소설의 서사를 발생시키는 역할은 권위를 가진 아버지에서 자신의 권력을 찾아 ‘여행’을 떠나는 아들로 옮겨간다. 서사의 중심이 아들로 옮겨감과 동시에 아버지와 아들이 서사를 일정하게 담당하는 ‘가족 로망스’의 형식은 ‘성장소설’이라는 젊은 아들의 서사로 넘어간다. 젊음이 가진 불안정함은 이 서사를 이루는 중요한 속성이다. 성장소설의 서사는 여기서 발생하며, 젊음의 속성은 다양한 플롯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성장소설은 “근대성의 상징적 형식”으로 불린다. 황순원의 마지막 장편 소설 『신들의 주사위』 역시 전반적인 서사가 주인공 ‘한수’를 통해 진행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가족사소설보다는 성장소설이라는 방식으로 분석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작가는 이 소설 속에서 ‘고향’이라는 공간을 전통적이고 전근대적인 공동체의 애정과 결속, 안정이 넘치는 장소로 표현하지 않고 적자생존의 살벌한 투쟁이 가득한 공간으로 사용하였다. ‘고향’과 ‘가정’이라는 목가적 인식의 공간에 침투한 근대의 소용돌이는 이 소설을 젊은 주인공 한수가 보다 기민하고 능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서사적 배경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근대라는 공간에서 시도되어지는 성숙은 근대가 지니고 있는 불안정하고 유동적이고 예측하기 힘든 속성 때문에 쉽게 좌절되거나 비극적인 결말을 맞는다. 작가 황순원이 이 소설을 통해 형상화하고자 한 것은 희망이 사라져버린 사회에서 맞이하는 성숙의 불가능성이다. In the novel since the modern age, the hero weaving the epic story was changed from a father with authority to a son starting on his travel to find out his own authority. The "family romance" format that a father and a son played each one's role in the epic story became the story about a son, that is, "Bildungsroman", at the same time as the hero of the epic story was changed from a father to a son. The uncertainty of the youth is the critical element in this epic story. The epic story in the Bildungsroman is created from the uncertainty and the property of youth brings about a variety of plots. Due to such a reason, the Bildungsroman is called "symbolic format of modernity." It is also effective to analyze the 『God's Dice』, the last feature-length story of Hwang Sunwon, in the aspect of the initiation novel rather than the general novel on the family history because the story is led by the hero "Hansu." The writer interpreted the space "the hometown" as the space filled with the combative conflict of survival of the fittest, not as the space filled with the affection, the unity and the stability of the traditional and premodern community. The swirl of the modernity penetrated into the space of idyllic recognition, the "hometown" and the "family", became the epic background that makes Hansu, the hero, act more cleverly and actively. However, the maturity attempted in the space "modern age" encounters easily ruined or tragic conclusion because of the unstable, fluctuating and unpredictable property of the modernity. What the writer Hwang Sunwon tried to embody through this novel is the impossibility of maturity that we have to meet in the society where the hope disappears.

      • KCI등재

        주권 개념의 본질과 근대주권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법철학적 주권론을 향하여 -

        이현경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法學論集 Vol.27 No.2

        소위 ‘탈-주권’과 ‘주권 과잉’의 모순적 공존 현상 속에 주권의 문제는 오늘날 여러 차원에서 또 다시 중요한 주제로 부상한다. 근대법질서와 공법학의 근본개념인 주권은 근대국가형성기에 특수한 시대적, 정치사회적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사회적 구성물이다. 근대적 산물로서 주권 개념은 최고성, 절대성, 최종성, 영속성 등을 특징으로 하며 ‘항구적인 최고 지배 권력’으로 정의되어왔다. 하지만 오늘날 전지구적 차원에서 이러한 절대주의적 주권관에 도전하는 다양한 현상들이 출현하였고 이에 따라 주권 개념과 근대 주권론의 운명을 두고 열띤 논쟁이 전개된다. 그런데 주권 논쟁은 대부분 근대적 주권관이 여전히 타당하고 유용한 것인지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필자는 이에 더하여 주권 개념을 갖는다는 것 자체가 갖는 잠재적 위험성이나 해악에도 주목해야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배경과 문제의식 하에 본고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우선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제2장에서는 ‘주권’이 ‘본질적으로 다투어지는 개념’이자 ‘군집 개념’이기에 그 자체로 모호성을 갖는다는 점을 규명한다. 이를 통해 주권 논쟁은 사실 주권 개념에 대한 상이한 의미에 기반하거나 잘못 겨냥되어 ‘애매성의 오류’를 범할 수 있음을 지적하면서, 그 해법도 복합적일 수밖에 없음을 밝힌다. 제3장에서는 주권 개념을 정치적 사실로 바라보는 입장과 오롯이 법률적 개념으로 다루려는 법규주의적 입장 양극단의 환원주의를 논하면서, 결론적으로 주권은 정치적-법적인 복합 개념이라고 주장한다. 제4장에서는 근대 주권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수행한다. 그 과정에서 ‘주권의 역설’과 ‘주권론의 역설’을 제기하면서, ‘주권자 없는 주권론’의 가능성과 필요성을 논구한다. 대안 모색의 차원에서 주권론의 세 가지 이론 모델-전통적 이해방식을 대변하는 ‘주권 실체설’, 그에 대항하는 ‘통치 정당화 원리설’, 그리고 관계적 접근을 결합한 ‘주권 신탁설’-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주권에 대한 가치-관계론적 접근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이런 문제의식을 담아내기 위한 또 하나의 틀로 ‘상징적 형식으로서 주권’을 제안한다. 이는 주권 개념과 근대주권론에는 근본적으로 지배-복종관계와 부정의 문제가 잠재되어 있음을 보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권 개념의 사유화’ 현상까지도 포괄할 수 있는 유용한 관점이다. 제5장에서는 오늘날 주권 논쟁의 양상이 결국 근대 주권 개념과 이론에 대한 수정주의적 변용의 틀 안에 갇혀있음을 지적하면서 이런 현상을 ‘주권주의의 독침’이라고 부른다. 요컨대, 본고에서 필자는 주권의 본질에 관하여 ‘정치적-법적 개념으로서 주권’(논제1), ‘가치-관계적 함수로서 주권’(논제2), ‘상징적 형식으로서 주권’(논제3) 테제를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완전하고 대안적인 주권론은 ‘법철학적 주권론’으로 발전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그 주제와 범위를 제시하면서 글을 맺는다.

      • KCI등재

        학문성의 새로운 정초시도로서의 카시러의 상징철학 :카시러의 언어이해 및 상징 개념을 중심으로

        최성환,노영환 한국하이데거학회 2018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48

        The debates on philosophy as a scientific character have always been an important issue, which has largely been developed around the conflict between subjectivism and objectivism In the early 20th century this was manifested in the dispute between Lebensphilosophie and logical Positivism. Cassirer, in this period, attempted to overcome the confrontation through his symbol philosophy. He thought that human spirit interprets life indirectly through the mediating function of ‘symbolization’ and that this can resolve the conflict. Subjectivity is objectified through symbolization, and objectivity is understood as a result of the composition of subjectivity. So objectivity is understood at a new level, and Cassirer finds its specific principle in the concept of ‘symbolic forms’ and ‘symbolic pregnancy’. A similar conflict and resolution can also be found in Cassirer’s philosophy of language. He begins by critically examining the methodology of empirical science in the 19th century. At that time, the task of linguistics was mostly concerned with the origin of language. Hence language was limitedly understood as either an subjective expression of excitement or onomatopoeic imitation of an objective things. But he maint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is mediated by symbolism in human language. His view on this interrelationship owes much to Wilhelm von Humboldt who developed the idea of the objectification of human mind. However, Cassirer took this idea further and suggested the idea of linguistic expression of ‘metaphorical thinking’ as a specific method of human activity of objectification. Therefore, language, through metaphorical thinking, is what secures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the objective world. Through these discussions, Cassirer not only presents us a resolution to the conflict between subjectivism and objectivism but also a possible way of understanding life. 철학의 학문성 논의는 항상 중요한 문제로 제기되어 왔으며, 크게 보면 주관주의와 객관주의 간의 대립의 양상으로 전개되어 왔다. 20세기 초반에는 생철학과 논리실증주의가 각각 주관주의와 객관주의라는 양 극단을 대표하는 사조로서 서로 마주하고 있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카시러는 자신의 상징철학을 통해 주관성과 객관성의 대립을 극복하고자 시도하였다. 그는 인간 정신이 ‘상징화’라는 매개적 활동을 통해서 삶을 간접적으로 이해하며, 이러한 이해방식 하에서 주관성과 객관성의 대립이 해소된다고 보았다. 상징화를 통해서 주관성은 객관화되고, 객관성은 주관성의 구성활동에 의한 결과물로서 파악됨으로써, 객관성은 새로운 차원에서 이해된다. 그리고 카시러의 철학에서 이러한 이해의 구체적인 방식은 ‘상징 형식들’과 ‘상징적 함축’이라는 개념과의 관련 속에서 해명된다. 이러한 주관성과 객관성의 대립과 결합은 카시러의 언어 철학에서도 동일하게 발견된다. 이와 관련된 그의 논의는 19세기 경험과학적 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에서 출발한다. 이 당시 언어에 대한 탐구는 그것의 발생적 기원을 묻는 문제였으며, 이때 언어는 그 기원적 측면에서 주관적인 정동을 표출하는 ‘흥분음운’ 혹은 객관적인 대상을 모방하는 ‘모방음운’으로 이해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카시러는 기원적 차원에서부터 이미 인간 언어에서는 상징화를 매개로 한 주관성과 객관성의 상호연관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상호연관에 대한 그의 언어 철학적 논의는 W. v. 훔볼트(Wilhelm v. Humboldt)의 언어관이 보여주는 인간 정신의 객관화 활동에 근거하고 있다. 그는 이러한 단초에서 출발하여, 자신의 언어 철학에서 인간 정신의 객관화의 구체적인 방식으로서 ‘은유적 사유’에 근거한 언어적 표현을 이야기한다. 따라서 인간의 언어는 은유적 사유를 매개로 객관적 세계 이해의 가능성을 확보한다. 카시러는 이러한 일련의 논의를 통해서 주관성과 객관성의 대립에 대한 해소와, 더 나아가 삶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지에 대한 하나의 가능성을 우리들에게 제시해준다.

      • KCI등재

        홍애수건춤의 미적 특성 연구 - 수잔 K. 랭거의 미적 상징론을 중심으로 -

        김영숙 ( Kim Youngsuk ),송미숙 ( Song Misuk ),이상우 ( Lee Sangwoo ) 한국무용연구학회 2022 한국무용연구 Vol.40 No.1

        본 논문은 안성향당무를 대표하는 홍애수건춤의 미적 특성을 수잔 K.랭거의 미적 상징 이론으로 살펴보는 데 연구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무보는 2017년 6월23일 공연된 ‘한국예인의 명작명무전’ 공연자료를 토대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홍애수건춤은 여인들의 애절한 심정을 표현하고 고난을 극복한 후 삶의 새로운 각오와 다짐으로 승화시킨 춤이다. 둘째, 홍애수건춤의 신화성, 한과 멋, 무속성, 흥과 신명의 표현적 특징을 춤사위에서 밝혔다. 이로써 무용은 ‘의미있는 형식’ 곧 ‘상징적 형식’임을 알 수 있다. 도출된 홍애수건춤의 미적특성 및 미적 상징은 홍애수건춤의 정체성 확립과 그 창조적 계승을 위한 학문적 모색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Hongae Sugun Chum, which represents Anseonghyangdangmu, through Susan K. Langer's aesthetic symbol theory. The motion picture analyzed in this study was based on the performance data of ‘Korean Artist’s Masterpiece Dance’ that was performed on June 23, 2017.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ongae Sugun Chum is a dance that expresses the sorrowful feelings of women and sublimates them into a new resolution and resolution for life after overcoming hardships. Second,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myth of the Hongae Sugun Chum, the cool and the cool, the non-attributes, and the fun and the divine were revealed in the dance move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dance is a 'meaningful form', that is, a 'symbolic form'.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symbol of Hongae Sugun Chum derived through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n academic search for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Hongae Sugun Chum and its creative succession.

      • KCI등재

        구조적 결정 인자로서의 인용 기법 - 이자이 《무반주 바이올린 소나타》 제2번을 중심으로 -

        최고은,송무경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16 음악이론포럼 Vol.23 No.1

        본 논문은 이자이의 《무반주 바이올린 소나타》 제2번 1악장에 대한 분석이다. 바흐의 《파르티타》 제3번 ‘프렐류드’와 그레고리성가 ‘진노의 날’에서 인용한 선율을 특징으로 하는 이 곡은 과감한 화성과 혁신적인 연주 기법으로 인해 독창적이며 동시에 실험성 짙은 작품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이 악곡이 취하는 소나타 형식의 구조와 디자인은 전통적인 틀 안에서 실험적 요소를 성공적으로 녹여낸 이자이를 절충주의 작곡가로 평가하게 한다. 바흐의 E장조 프렐류드는 이자이에 의해 a단조의 딸림화음으로 재맥락화되어 제1주제로 기능하고 있으며, 선법성 짙은 그레고리성가 역시 그 명맥을 유지한 채 딸림조성인 e단조에서 제2주제로 기능한다. 바흐와 이자이 사이 나타나는 다층적 대조는 유려한 성부진행을 만들며 쉔커가 말하는 소나타 형식의 제시부 조건을 충족시킨다. 거시적 버금딸림화음을 연장하는 발전부는 쉔커가 말한대로, 딸림화음을 향해 진행하지만 46화음을 통한 이례적 접근은 작품이 갖는 독창성을 확보해준다. 으뜸화음의 복귀와 함께 이루어지는 ‘진노의 날’은 재현부의 시작을 알리며, ‘뒤바뀐 소나타 형식’의 디자인을 제안한다. 원조성인 a단조 위에서 펼쳐지는 주제 요소들의 재배열은 바흐와 이자이 사이의 첨예한 대조를 죽음을 향한 비극으로 승화시킨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