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채만식 소설과 미디어 테크놀로지

        서희원(Suh, Hee Won) 동악어문학회 2016 동악어문학 Vol.69 No.-

        이 논문은 채만식『태평천하』의 화자가 지닌 특징을 ‘판소리’와의 연관성에서 설명하는, 일종의 표준화된 한국문학 서술에 대한 회의를 담고 있다. 이주형은 『태평천하』에 대한 연구에서 아이러니와 풍자의 기법을 자유자재로 활용하는 이야기꾼으로 채만식을 고평하며, 채만식 기법의 원류를 전통적 판소리에서 찾아낸다. 고전문학과 근대문학의 연결성을 고심하는 내재적 발전론의 시각에서 이러한 해석은 한국문학의 연속성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학설로 수용되었다. 하지만 소설의 기법을 당대에 새롭게 등장한 미디어 테크놀로지의 감각 속에서 계발하고 발전시키려 했던 채만식의 경우를 생각할 때『태평천하』의 화자가 보여주는 특성은 무성영화의 변사, 뉴스영화의 내레이터 또는 유성기음반의 만담가에서 찾아지는 ‘소리의 기법’에 더욱 가깝다. 채만식이 태평천하를 통해 보여주고 있는 목소리의 합주는 인물들이 들려주는 욕설, 아이러니, 역설적 어투, 서로에 대한 비난과 멸시, 일방적인 청취와 의도적인 오역 등을 통해 당대 사회를 상징하는 불협화음으로 표출된다. This paper raises a question on a widely-spread view of Chae, Man sik"s Tae-Pyong-Chon-Ha. In relation to ‘Pansori’, Lee Joo-hyeong interprets Chae, Man sik as a storyteller who freely used irony and satire techniques in his influential research on Tae-Pyong-Chon-Ha. He traces back the origin of Chae, Man sik’s novel technique to Pansori. From the viewpoint of an intrinsic development theory, which seeks the connection between classical literature and modern one, this interpretation has been accepted as an effective doctrine to explain the continuity of Korean literature. However, considering the case of Chae, Man sik, who tried to develop novel techniques in the sense of media technology, the characteristic of the speaker is closer to the ‘talking voice’(technique of sound) of a silent film, narrator of a news movie or storyteller of a phonograph record, rather than Pansori performers. The voices of the characters of Tae-Pyong-Chon -Ha are symbols of his contemporary society through the use of oral techniques such as profanity, irony, paradoxical accusation, criticism and contempt for each other, unilateral hearing and intentional misinterpretation.

      • KCI등재

        근대의 영웅, 부자의 탄생-『재생』을 중심으로-

        서희원 ( Suh Hee-wo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0 No.34

        이 논문은 청빈과 같은 명예에 대한 존중이 금전추구에 대한 욕망으로 대치되고 그것이 인간 사회를 의미 있게 만드는 문제적인 열정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1920년대는 문제적이라고 볼 수 있다. 1919년 3ㆍ1운동으로 대표되는 민족주의적인 열망이 좌절된 이후 조선사회에서는 빠르게 서양의 물질문명을 흡수하여 내실을 쌓고 이를 통해 정치적 변화를 도모하자는 ‘실력양성론’이 주창되었다. 『재생』의 서사를 빌려와 말하자면 위험하고 파괴적인 정치적 열정을 처단하고 축출하는 것보다 의미 있는 것은 그 열정을 사회가 안전하게 흡수하는 것이다. 이렇게 보자면 『재생』에 등장하는 부르주아들은 문제적이다. 그들은 과도할 정도로 성에 집착하고, 인간관계를 오로지 돈의 논리로 파악하며 서사의 곳곳에서 소설의 주인공들과 충돌한다. 하지만 여기에는 주목할 만한 이율배반이 존재한다. 그것은 더러운 동시에 매혹적이며, 비난을 받지만 단죄되지는 않는다. 아니 다르게 말하자면 이 이율배반적인 성격 때문에 모든 사람의 열정이 여기에 집중된다. 『무정』의 서사에서 영채의 비극에 참여했던 인물들이 서사의 바깥으로 사라지거나 마지막에 어떻게든 처벌받는 것과는 달리『재생』의 서사에서 부자들은 오래도록 서사에 잔존한다. 비록 그들이 망각되는 방식으로 서사에서 사라질지언정 결코 심판 받지 않는다. 오히려 주인공들이 사회에서 축출되거나 스스로를 유폐시킨다. 그리고 그 이후의 역사가 알려주고 있는 것처럼 해방 후 부자들은 역사의 주인공이 되었고 축출된 청년은 돌아오지 못하거나 초라한 늙은이가 되어 쓸쓸하게 죽어갔다. 역설적이지만 이런 점에서 이광수의『재생』은 처음으로 근대의 영웅을 서사에 등장시켰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rocess in which the respect for honor, such as honest poverty, is replaced by the desire for pursuit of money and this pursuit imposes meaning on human society only to transform into problematic passion. In 1919, after the frustration of nationalistic aspiration which was represented by the March 1st Movement, 'Skill-Cultivation Theory' that advocated quickly absorbing the material civilization of the West and ensuring internal stability, and ultimately promoting political transformation has gained powers in the Joseon society. By quoting a narrative from The Revival by Yi Kwang-su, it is much meaningful for a society to safely absorb a dangerous and destructive passion of politics rather than to restrict and expel the passion from the society. In this sense, bourgeoisie who appeared on The Revival are problematical figures. They are excessively obsessed with sexuality, judge human relationships on the basis of money-oriented logic, and collide with characters throughout the novel. However, there exists a remarkable antinomy. This bourgeoisie appeared filthy but attractive at the same time and they were blamed but not punished at all. Rather, for this feature of antinomy, all the people's passion were converged on it. Unlike the characters in The Heartless who participated in the tragedy of Youngchae ended up being vanished from the narrative and being punished in one way or another, the rich survived and long remain in the narrative of The Revival. Although the rich disappeared into oblivion, being forgotten in the narrative, the punishment and judgment were never imposed on them. On the contrary to this wealthy, main characters are expelled by society or they constrained themselves from society. As history thereafter shows, after the Korean Liberation, rich people became main heroes in history, the expelled young never came back or met a sad and shabby death at last. Paradoxically, considering this point,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e Revival by Yi Kwang-su newly introduced a modern hero into the narrative.

      • KCI등재

        ‘조선의 미래’ 혹은 문명과 과학의 서사 : 이광수 초기 논설과 소설을 중심으로

        서희원 ( Suh Hee-wo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한국학연구 Vol.0 No.29

        1910년대 후반 이광수의 논설과 소설에서 발견할 수 있는 특징 중 하나는 조선 사회와 문화의 변혁을 추구하는 그의 논지가 과학의 법칙과 규율에 의거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는 조선의 미래를 상상하는 것이 문명을 먼저 접한 지식인의 중요한 책무임을 강조하였고, 이에 대한 전망과 기대를 텍스트의 결말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제시하였다. 이광수는 「용동」, 「농촌계발」, 『무정』의 결말에 경제적인 수치와 산업화된 도시의 경관, 문명화된 사회의 모습을 제시하며 이를 진보의 증거로 제시하였다. 진보를 견인하는 힘이 과학인 것은 말할 것도 없다. 그에게 과학은 우주의 새로운 질서 체계였다. 흥미로운 것은 『무정』에서 묘사된 근대적 인간의 독서열, 시간을 대하는 경제적 사유, 근면, 성실 등과 같은 생활 습관이다. 이광수에게 노동과 시간의 경제로 표현되는 문명인의 생활 태도는 미래의 꿈같은 성공을 기대하고, 견인할 수 있는 강력한 ‘기호’이며, ‘원인’이었다. In the late 1910s, one of the features found in Yi Kwang-Su's essays and novels is the fact that his claim of reformation in the Chosun society and culture is based on rule and order of science. Emphasizing intellectuals' imagination of the future of the Chosun society as their primary duty, he suggests this vision and hope via inserting it in the end of his texts. Yi Kwang-Su presents economic data, landscape of industrialized city, civilized society in the endings of Yongdong, The Enlightenment of the Farm Village, Heartless and suggest them as the evidence of social progres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ower pushing this progress is science; to Yi Kwang-Su science is new order of the universe. This paper points out interesting everyday habits described in Heartless such as modern people's enthusiasm in reading, economic thoughts about time, diligence, sincerity, etc. To Yi Kwang-Su, the civilized men's everyday habits mediated by economy of labor and time are potent ‘sign’ and ‘cause’ that expects to achieve rosy, successful future.

      • KCI등재

        장르의 회전 : 소설, 영화, 음악의 테크놀로지

        서희원(Suh Hee Won)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서강인문논총 Vol.0 No.44

        채만식이 개작에 가까운 퇴고를 거쳐 쓴『탁류』의 결말에는 유행가〈글루미 선데이〉가 삽입되어 있다.〈글루미 선데이〉는 계봉의 입에서 발화되어 초봉의 귓가로 흘러들어가며『탁류』의 끔찍한 결말을 환기시키는 배경음악처럼 장면에 흐른다. 채만식이 자살을 암시하는 노래로 당대에 유명했던〈글루미 선데이〉를 사용한 이유는 그 곡이 지닌 화제성과 함께 영화의 기법을 소설에 활용하려는 창작자의 전략이 담겨 있다. 채만식은 문학의 물려받은 유산뿐만 아니라 경쟁하고 있는 다른 장르에서도 소설을 혁신시킬 기교를 발견하려고 끊임없이 노력하였다. 채만식의 대표 장편인『탁류』와『태평천하』에는 영화에서 고무되었음이 분명한 장면의 구성, 편집, 음악의 활용, 실제의 목소리를 듣는 것처럼 생동감을 강조한 대화의 사용 등이 담겨 있다. 소설이 다른 장르의 기법을 흡수하며, 이를 장르적 생명력으로 사용한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주제적인 측면에서도 그렇지만 기법의 측면에서도 근대 한국소설을 논할 때 채만식을 반드시 언급해야 할 중요점도 여기에 있다. A popular song〈Gloomy Sunday〉was included at the end of The Muddy Stream (Tak-Ryu)which was elaborately polished to the proportion of adaption by Chae, Man Sik. The song conveyed from Gye-Bong’s mouth to Cho-Bong’s ear sounds like background music to call the attention to the dreadful ending of the work. He uses 〈Gloomy Sunday〉s the music foreshadowing suicide because of the popular issue of the song and his purpose to utilize cinematic style for writing novel He made a constant effort to develop the technique to reform novel in not traditional literary legacy but also other competitive genres. In his major novel The Muddy Stream and Peace Under Heaven(Tae-Pyong-Chon-Ha ), there are many remarkable styles which are clearly driven by film such as the scene construction and editing, the use of music and the use of realistic dialogue that make us feel as if it is real voice. It is widely accepted that novel takes the style of different genres and makes use of it as own life force. I think that here is the important point that we must explore and mention Chae Man Sik in discussing Korean modern novel on both thematic and stylistic elements.

      • KCI등재

        ‘나쁜 피’ 혹은 매독과 광기의 서사

        서희원(Suh, Hee Won) 동악어문학회 2014 동악어문학 Vol.62 No.-

        『탁류』의 서사를 전체적으로 조망할 때 중요한 것은 일종의 상품으로 물화된 초봉의 이동과 그녀의 병든 육체를 따라 움직이는 매독의 전염이다. 매독은『탁류』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인물들이 걸리게 되는 질병이자 그들의 육체와 정신을 훼손하는 근원이기도 하다. 매독은 ‘탁류’로 표현되는 식민사회의 혼돈된 징후성에 대한 일종의 알레고리이며, 그들의 육체와 정신, 사회적 관계를 심각하게 파괴하는 실재의 질병이다.『탁류』에서 매독을 일종의 은유로 해석하는 것은 그것이 작품에서 기능하는 서사적 의미의 절반만을 읽어내는 방식이라고 판단한다. 이 소설에서 매독은 단순한 사회적 욕망과 광기의 상태를 징후적으로 표현하는 은유가 아니라 실제 등장인물의 육체를 파괴하고 아울러 정신까지 훼손하여 주변의 인물들을 파멸시키고 살해하는 근본적인 병인으로 작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채만식은 매독에 대한 상당히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 질병이 개인의 육체적 죽음과 정신적 파괴, 그리고 사회적 몰락에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사정에 대해 잘 알고 있었다. 채만식의『탁류』를 전체적으로 읽을 때 중요한 것은 초봉(정주사 일가)의 서사가 식민지적 공간에 대한 정밀한 축도(縮圖)로 작용하고 있는가, 그리고 초봉의 몰락을 확장했을 때 그것이 식민지적 실재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가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확대와 심화를 연결하며 소설과 사회를 서사적으로 밀접하게 연관 맺고 있는 것이 물화된 육체(돈)와 병든 육체(매독)이다. When overviewing the narrative of Tak-Ryu, one of the most important keys is to grasp how Cho-bong reified as a commodity is moving and how her contaminated body is spreading syphilis to others over the course of her moving. Syphilis is the cause itself that does fatal damage to their bodies and minds, as well as a contagious disease that most characters become infected with. Futhermore, syphilis acts as an allegory for the chaotic symptoms of a colonized society as the expression Tak-Ryu indicates, beyond the fact that it is a real disease destroying the bodies, minds and social relationships of the colonized people. I think that seeing syphilis as a metaphor is not enough because such interpretation can, at most, illuminate only half of the narrative meaning which it assumes in this work. Rather, syphilis is not just a metaphor that represents the desire and madness of the society, but a real and physical condition that makes the bodies and minds of the characters break down, destroying and killing others surrounding them. The author Chae Man-sik, in reality, had a lot of knowledge about this illness and was fully aware of the complicated ramifications in which it brings about the break-down of one society as well as the madness and deaths of the infected. In short, when reading Tak-Ryu, two key questions are to be answered. One is how much the narrative of Cho-bong becomes the concise epitome of the colonized space. The other is how much the downfall of Cho-bong leads readers to gain insight into the colonial reality. In trying to answer the two questions, I finds out that it is at once the reified body (money) and infected body (syphilis) that makes it possible to weld this novel and the society narratively.

      • KCI등재

        한국 근대유행가에 표상된 ‘신라’ 담론

        서희원 ( Suh Hee-won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7 한국문학연구 Vol.0 No.33

        이 글은 유성기음반(Standard Playing, SP)이 대중오락의 주된 향유 대상으로 자리매김하기 시작한 1930년대부터, 음원저장 및 생산방식이 LP(Long Playing)로 전환되며 유성기음반의 생산이 중단되기 시작하는 1960년대 초까지 발매된 음반을 대상으로, 유행가에 나타난 ‘신라’ 담론의 재현양상을 고찰하고 있다. 신라의 달밤, 전우야 잘자라, 전선소야곡 등 이 시기에 제작되고 유행한 대중가요들은 대단위로 유포된 민족의 감각을 바탕으로 민족정신을 대표했던 ‘신라’와 ‘화랑’을 사용하여 제작되었다. 유행가 속에 등장하는 ‘신라’ 담론은 근대화를 통해 대단위로 양산된 향토적/정신적/역사적 ‘실향민’을 위한 고향의 생성 방식으로, 일제 말기 총동원 체제를 위한 징병의 논리로, 해방 이후 국민국가 형성과 수호를 위해 필요한 국민(특히 군인)의 집단적 자아의식을 고양하는 방식으로, 유행가 속에서 재현되었다. In this study, the reappearance of ‘Shilla’ discourses in popular songs was research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records, which had been released from the 1930s when Standard Playing (SP) began to be established as the main method for entertainment to the early 1960s when the method for saving and producing sound sources was changed to Long Playing (LP) and the manufacturing of SP started to discontinue. Pop songs produced and popular in this period such as < A Moonlit Light of Shilla >, < Good Night, Comrade >, and < Front Serenade > were produced based on ‘Shilla’ and ‘Hwarang’ that represented the national spirit based on the sentiments of the Korean people, which were being spread widely. The ‘Shilla’ discourses reappeared in pop songs as a method for creating hometowns for folk, mental, and historical ‘people who lost their hometowns’, who occurred in a large amount during modernization. They also reappeared in pop songs as the means of conscription for the general mobilization system at the end of Japanese imperialism and as a method for enhancing the sense of self of the Korean public, in particular soldiers, which was needed to form and protect a nation-state after the independence.

      • KCI등재후보

        『신들의 주사위』에 나타난 성장과 좌절

        서희원(Suh Hee Won) 동악어문학회 2008 동악어문학 Vol.51 No.-

        근대 이후 소설의 서사를 발생시키는 역할은 권위를 가진 아버지에서 자신의 권력을 찾아 ‘여행’을 떠나는 아들로 옮겨간다. 서사의 중심이 아들로 옮겨감과 동시에 아버지와 아들이 서사를 일정하게 담당하는 ‘가족 로망스’의 형식은 ‘성장소설’이라는 젊은 아들의 서사로 넘어간다. 젊음이 가진 불안정함은 이 서사를 이루는 중요한 속성이다. 성장소설의 서사는 여기서 발생하며, 젊음의 속성은 다양한 플롯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성장소설은 “근대성의 상징적 형식”으로 불린다. 황순원의 마지막 장편 소설 『신들의 주사위』 역시 전반적인 서사가 주인공 ‘한수’를 통해 진행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가족사소설보다는 성장소설이라는 방식으로 분석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작가는 이 소설 속에서 ‘고향’이라는 공간을 전통적이고 전근대적인 공동체의 애정과 결속, 안정이 넘치는 장소로 표현하지 않고 적자생존의 살벌한 투쟁이 가득한 공간으로 사용하였다. ‘고향’과 ‘가정’이라는 목가적 인식의 공간에 침투한 근대의 소용돌이는 이 소설을 젊은 주인공 한수가 보다 기민하고 능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서사적 배경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근대라는 공간에서 시도되어지는 성숙은 근대가 지니고 있는 불안정하고 유동적이고 예측하기 힘든 속성 때문에 쉽게 좌절되거나 비극적인 결말을 맞는다. 작가 황순원이 이 소설을 통해 형상화하고자 한 것은 희망이 사라져버린 사회에서 맞이하는 성숙의 불가능성이다. In the novel since the modern age, the hero weaving the epic story was changed from a father with authority to a son starting on his travel to find out his own authority. The "family romance" format that a father and a son played each one's role in the epic story became the story about a son, that is, "Bildungsroman", at the same time as the hero of the epic story was changed from a father to a son. The uncertainty of the youth is the critical element in this epic story. The epic story in the Bildungsroman is created from the uncertainty and the property of youth brings about a variety of plots. Due to such a reason, the Bildungsroman is called "symbolic format of modernity." It is also effective to analyze the 『God's Dice』, the last feature-length story of Hwang Sunwon, in the aspect of the initiation novel rather than the general novel on the family history because the story is led by the hero "Hansu." The writer interpreted the space "the hometown" as the space filled with the combative conflict of survival of the fittest, not as the space filled with the affection, the unity and the stability of the traditional and premodern community. The swirl of the modernity penetrated into the space of idyllic recognition, the "hometown" and the "family", became the epic background that makes Hansu, the hero, act more cleverly and actively. However, the maturity attempted in the space "modern age" encounters easily ruined or tragic conclusion because of the unstable, fluctuating and unpredictable property of the modernity. What the writer Hwang Sunwon tried to embody through this novel is the impossibility of maturity that we have to meet in the society where the hope disappears.

      • KCI등재
      • KCI등재

        용서하지 못한 자들의 사회 : 채만식 그리고 용서와 공동체

        서희원 ( Suh¸ Hee Won ) 국제비교한국학회 2020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8 No.3

        「민족의 죄인」에 대한 그동안의 연구는 텍스트에 기술된 ‘나’의 회고가 민족에게 사죄를 표하는 진정한 반성인지, 아니면 자기변명에 불과한 것인지에 대한 이분법적인 구분에 중점이 놓여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이분법에 의거한 연구의 지속은 의미있는 담론을 생산하기보다는 각자의 입장만을 반복적으로 주장하는 논쟁의 연속만을 만들어낼 뿐이다. 채만식은 「민족의 죄인」이란 단편을 통해 스스로 밝힌 것처럼 ‘반민족행위자’이다. 채만식은 이를 부인하지 않았고 솔직히 시인하였다. 그렇기에 보다 중요한 것은 이 사과의 다음 단계인 ‘용서’를 진행하는 것이라고 판단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민족의 죄인」에 대한 보다 세밀한 읽기를 통해 태평양전쟁 시기와 해방기를 살아간 인간들의 정념, 그중에서도 분노를 세밀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분노는 반민족행위자를 향해, 그리고 속죄하거나 용서받을 수 없다는 반민족행위자들의 앙갚음을 이해하는데 있어 중요하게 사유될 수 있는 정념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용서’라는 사회적 화해의 개념을 통해 채만식을 한 번 더 사유하려는 과정을 진행한다. Previous research on The sinner of the Nation has focused on the dichotomous division of whether Chae Man-sik’s repentance described in the text was a true reflection of an apology to the people or just a self-evident excuse. However, the continuation of research based on this dichotomy only creates a series of arguments that repeatedly assert their respective positions rather than produce meaningful discourse. Chae Man-sik is an ‘anti-national activist’, as he revealed himself through The sinner of the Nation. Chae Man-sik did not deny it and admitted it honestly. Therefore, what is more important is to proceed with the next step of the apology, ‘forgiveness’. To this end, through a more detailed reading of The sinner of the Nation, we will examine in detail the sentiments of humans who lived during the Pacific War and the liberation period, especially anger. Because anger is a spirit that can be considered important to the anti-nationalist and to understand the revenge of the anti-nationalists that they cannot be punished or forgiven. And through the concept of social reconciliation, ‘forgiveness’ the process of trying to think of Chae Man-sik once m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