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조분해분석을 통한 국내산업별 에너지 소비 변화요인 연구

        김진수,허은녕 한국환경경제학회 2005 자원·환경경제연구 Vol.14 No.2

        Korean energy use in industrial sector has increased more rapidly than other sectors during 1980~2000 periods. Relatively higher increases in industrial sector energy consumption raise questions whether government policy of rationalization of industrial energy use has been effective. In this study, we use 80-85-90 and 90-95-00 constant price input-output table to analyze increases in industrial energy use. Using an adjusted version of structural decomposition model introduced by Chen and Rose(1990), we decompose changes of energy use into 17 elements. We classify entire industry sector into 32 sectors including four energy sectors(coal and coal products, refined petroleum, electricity and town gas). We then analyze changes of energy use by industrial level to check differences among industrial energy demand structures. Finally, we compare three industries, electronic product manufacturing, metal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that represent technology and capital intensive, energy and material intensive and labor and capital intensive industry. As results, we find that high energy using industries make the most effort to reduce energy use. Primary metal, petrochemical and mon-metal industries show improvements in elements such as energy and material productivity, energy and material imports, energy substitution and material substitutions towards energy saving. These results imply that although those industries are heavy users of energy, they put the best effort to reduce energy use relative to other industries. We find various patterns of change in industrial energy use at industrial level. To reduce energy use, electronic product manufacturing industry needs more effort to improve technological change element while construction industry needs more effort to improve material input structure element. 1980년~2000년의 기간 동안 우리나라의 산업부문 최종에너지 소비량은 수송․가정․상업․기타부문의 최종에너지 소비량에 비해 더욱 가파르게 상승하였으며 외환위기의 영향도 다른 에너지 소비부문에 비해 적게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꾸준한 증가추세로 나타난 국내 산업부문의 에너지 소비량의 변화 요인 및 산업계의 에너지 저소비형 산업구조 구축을 위한 노력 여부를 산업별로 분석하기 위하여 Chen and Rose(1990)의 two- tier KLEM모형형 구조분해분석(Structural Decomposition Analysis)모형을 확장하여 총 17가지 요인으로 1980년~2000년의 기간 동안의 국내에너지 소비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산업 분류는 2000년도 산업연관표에서 석탄과 석탄제품, 연료유, 전력, 도시가스의 에너지 부문과 대분류를 기준으로 한 28개 산업부문으로 분류하였으며 개별 산업별로 분석함으로써 산업별 에너지소비구조 변화 요인을 확인하고 의미있는 소비구조 변화가 있었던 전기․전자 제조업, 건설업, 제1차금속 제조업을 대상으로 비교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에너지를 많이 사용하는 산업인 제1차금속제품 제조업, 화학제품 제조업, 비금속광물제품 제조업 등이 1980년~2000년의 20년간 에너지 소비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가장 많이 했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들 산업은 에너지, 재료의 생산성이나 중간수요 수입, 에너지간 대체, 재료간 대체 효과 등에서 고루 에너지 저소비구조로의 개선 노력이 보이고 있으므로 산업의 특성상 에너지 사용량이 많기는 하지만 에너지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산업별로 에너지 소비량 변화요인의 패턴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전기전자산업과 1차금속산업, 건설산업을 비교했을 경우 전기전자산업은 생산성을, 건설산업은 투입 구조를 에너지 저소비구조로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에너지 다소비산업이 에너지 소비구조를 개선하기 위하여 에너지 생산성과 에너지원 대체 요인을 중심으로 상당한 노력을 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산업별로 에너지 소비량 변화요인의 패턴이 다르므로 에너지소비절약을 위한 정책 역시 산업별로 이루어져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산업연관분석을 통한 체코의 산업구조 변화 연구: EU 가입 전후(2000년~2009년) 핵심산업 변화를 중심으로

        김종욱 한국유럽학회 2023 유럽연구 Vol.41 No.1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of the Czech Republic through industry-related analysis. The process of the EU continuously expanding its member states can be seen as a process of economic integration. The effect of such economic integration is a dynamic effect, showing the phenomenon of industrial relocation in Europe, and the case of the Czech Republic can be foun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In order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of the Czech Republic, this study used an analysis method called industry linkage analysis. In particular, the industrial characteristic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through the use of impact analysis and sensitivity analysis, which are made with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s, in the industry-related analysis, and in this process, the core industries of the Czech Republic were classified. The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of the Czech Republic were examined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core industrie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ndustrial structure of the Czech Republic, especially the manufacturing industry, is changing and focusing on high value-added industries. Second, within the manufacturing sector, existing core industries are changing into high-tech industries. Third, the fact that the construction industry still plays a large role in the Czech industrial structure proves that the Czech economy is an emerging developing country. 본 연구는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체코의 산업구조 변화를 분석하였다. 유럽연합이 지속적으로 회원국들을 확대하는 과정은 경제통합의 한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제통합의 효과는 동태적 효과로서 유럽의 산업 재배치 현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체코의 사례를 찾을 수 있다. 체코의 산업구조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이라는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특히 산업연관분석 중 생산유발계수로 만들어지는 영향력 분석과 민감도 분석의 활용을 통해 산업의 특징을 4가지로 분류하였고, 이 과정에서 체코의 핵심산업을 분류하였다. 핵심산업 분류를 통해 체코의 산업구조 변화를 살펴보았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코의 산업구조, 특히 제조업 산업구조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변화 및 집중되고 있다. 둘째, 제조업 분야 내에서 기존 핵심산업이 첨단산업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셋째, 체코 산업구조에서 건설업의 역할이 여전히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체코 경제가 현재 진행형인 신흥 개발도상국이라는 점을 반증하고 있다.

      • KCI등재

        우편 및 택배업의 산업연관분석과 네트워크 특성 및 구조에 대한 연구

        박성민(Park, Sung-Min),박찬권(Park, Chan-Kwon) 한국물류학회 2022 물류학회지 Vol.32 No.2

        본 연구는 산업연관분석을 활용하여 우편 및 택배업이 전체 산업 활동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산업연관분석을 응용한 단위구조행렬과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해 우편 및 택배업 관점에서 다른 산업들과의 네트워크 연결성과 네트워크시각화 분석을 시행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우편 및 택배업의 현재 위치와 현황 및 전체 산업들과의 관계를 확인하며, 어떠한 산업들과 전략적 관계를 가져야 하는가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9년에 발표된 가장 최신의 실측 자료인 2015년 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물류산업을 중분류 기준으로 수정 작성하였으며, 우편 및 택배업의 투입계수, 생산유발계수, 부가가치유발계수, 산업간 연쇄효과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였다. 또한 산업연관분석과 단위구조행렬 매트릭스를 활용한 사회연결망 분석으로서 연결중앙성, 인접중앙성, 사이중앙성의 내용과 함께 네트워크 시각화 분석으로써 총 37개의 산업들 중 우편 및 택배업과 밀접하게 연관된산업들과 그렇지 않은 산업들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이로써 우편 및 택배업이 전체 산업에 미치는 영향 효과로서 각종유발계수 분석 결과에 따르는 대응방안, 네트워크 특성 및 구조 분석 결과에 따르는 발전방향, 전략적 제휴 및 파트너십을 강화하여야 하는 산업들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postal and courier services on overall industrial activities by using industry linkage analysis. In addition, the network connectivity and network visualization analysis with other industri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ostal and parcel delivery industry is carried out through unit structure matrix and social network analysis applied with industry linkage analysis. Through this, the current position and current status of the postal and parcel delivery industry and the relationship with all industries are confirmed, and the strategic relationship with which industries should be suggested. To this end, the logistics industry was revised based on the middle classification criteria using the 2015 industry association table, which is the most recent actual measurement data published in 2019. content was presented. In addition, as a social network analysis using industry linkage analysis and unit structure matrix, it is a network visualization analysis along with the contents of connection centrality, adjacent centrality, and inter-centrality. Industries that do not are clearly classified and presented. Accordingly, as the effect of the postal and parcel delivery services on the overall industry, countermeasur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various trigger factors, the development direction according to the network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and results, and industries in which strategic alliances and partnerships should be strengthened were presented.

      • KCI등재

        연구논문 : 전라남도 이산화탄소의 배출구조와 배출격차 -산업연관분석을 중심으로-

        나주몽 ( Ju Mong Na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11 지역개발연구 Vol.43 No.1

        본 연구에서는 지역경제의 관점에서 전남의 산업구조의 특성과 산업연관분석을 통한 이산화탄소 배출구조과 배출격차를 분석하여, 이산화탄소배출구조와 배출격차와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지자체의 기후변화대응과 녹색성장이 지역경제차원의 환경 및 경제정책에서 중요시되고 있는 상황에서 전남의 에너지소비에 의한 이산화탄소배출량은 호남광역경제권 산업전체에 78%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전남을 대상으로 한 이산화탄소배출구조와 이산화탄소 배출격차의 분석은 호남광역경제권 차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에 대한 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남의 산업구조 특성은 기초소재형 제조업에 심하게 편중되어 있었으며, 전남의 이산화탄소 배출비중이 높은 주요산업은 제1차금속제품, 비금속광물제품, 화학제품이, 석유및석탄제품, 운수및보관 산업이었다. 둘째, 이산화탄소배출 비중과 경제파급효과와의 관계에 있어 생산유발효과가 큰 산업은 운수및보관 산업을 제외하면 모두가 기초소재형 산업에 해당되어 있다. 전남에서는 이산화탄소배출이 큰 산업이 지역경제에 유발효과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산화탄소 배출비중 및 생산유발효과가 높았던 제1차금속제품은 이산화탄소 영향력 계수가 여타산업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았다. 셋째, 이산화탄소 배출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한 변수(부가가치비중, 생산유발액, 이산화탄소배출비중, 이산화탄소 영향력계수)와 이산화탄소 배출격차와의 관계에 대해 상관분석을 한 결과, 이산화탄소 영향력계수를 제외한 부가가치비중, 생산유발액, 이산화탄소배출비중의 변수들은 이산화탄소배출격차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산화탄소배출격차에 대해 생산유발액을 단순회귀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전남은 산업구조적 측면에서 경제성장과 더불어 이산화탄소 배출격차가 커질 것으로 추정된다. Recently, green growth is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al issue for regional economic activity in terms of the global warming.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are closely related to the public life and economic activities. JeollaNamdo industries in the Grand Economic Regions(GER) have generated 78% ratio of the CO2 gas emissions from oil, coal and natural gas in 2005. They are closely related to the public life and economic activities. This paper provides an empirical analys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industrial structure of the carbon dioxide(C02) emission and emission disparity in the JeollaNamdo region of Korea. This paper use input-output method for analysis of the industrial structure between the CO2 emission and emission disparity. The empirical study has revealed that the basic material sectors in manufacture of JeollaNamdo are major factor caused to increases in CO2 emission in industri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analysis by the industrial structure of CO2 emission, The factors of the CO2 emission structure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output, added value, CO2 emission and environmental DPG value in JeollaNamdo. Especially, Emission disparity by the environmental DPG value has a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output in industrial structure of JeollaNamdo.

      • KCI등재

        연구 논문 : 구조분해분석을 통한 국내 산업별 에너지 소비 변화요인 연구

        김진수 ( Jin Soo Kim ),허은녕 ( Eun Nyeong Heo ) 한국환경경제학회 한국자원경제학회 2005 자원·환경경제연구 Vol.14 No.2

        1980년~2000년의 기간 동안 우리나라의 산업부문 최종에너지 소비량은 수송·가정·상업·기타부문의 최종에너지 소비량에 비해 더욱 가파르게 상승하였으며 외환위기의 영향도 다른 에너지 소비부문에 비해 적게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꾸준한 증가추세로 나타난 국내 산업부문의 에너지 소비량의 변화 요인 및 산업계의 에너지 저소비형 산업구조 구축을 위한 노력 여부를 산업별로 분석하기 위하여 Chen and Rose (1990)의 two-tier KLEM모형형 구조분해분석(Structural Decomposition Analysis)모형을 확장하여 총 17가지 요인으로 1980년~2000년의 기간 동안의 국내에너지 소비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산업 분류는 2000년도 산업연관표에서 석탄과 석탄제품, 연료유, 전력, 도시가스의 에너지 부문과 대분류를 기준으로 한 28개 산업부문으로 분류하였으며 개별 산업별로 분석함으로써 산업별 에너지소비구조 변화 요인을 확인하고 의미있는 소비구조 변화가 있었던 전기·전자 제조업, 건설업, 제1차금속 제조업을 대상으로 비교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에너지를 많이 사용하는 산업인 제1차금속제품 제조업, 화학제품 제조업, 비금속광물제품 제조업 등이 1980년~2000년의 20년간 에너지 소비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가장 많이 했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들 산업은 에너지, 재료의 생산성이나 중간수요 수입, 에너지간 대체, 재료간 대체 효과 등에서 고루 에너지 저소비구조로의 개선 노력이 보이고 있으므로 산업의 특성상 에너지 사용량이 많기는 하지만 에너지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산업별로 에너지 소비량 변화요인의 패턴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전기전자산업과 1차금속산업, 건설산업을 비교했을 경우 전기전자산업은 생산성을, 건설산업은 투입 구조를 에너지 저소비구조로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에너지 다소비산업이 에너지 소비구조를 개선하기 위하여 에너지 생산성과 에너지원 대체 요인을 중심으로 상당한 노력을 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산업별로 에너지 소비량 변화요인의 패턴이 다르므로 에너지소비절약을 위한 정책 역시 산업별로 이루어져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 Korean energy use in industrial sector has increased more rapidly than other sectors during 1980~2000 periods. Relatively higher increases in industrial sector energy consumption raise questions whether government policy of rationalization of industrial energy use has been effective. In this study, we use 80-85-90 and 90-95-00 constant price input-output table to analyze increases in industrial energy use. Using an adjusted version of structural decomposition model introduced by Chen and Rose (1990), we decompose Changes of energy use into 17 elements. We classify entire industry sector into 32 sectors including four energy sectors (coal and coal products, refined petroleum, electricity and town gas). We then analyze changes of energy use by industrial level to check differences among industrial energy demand structures. Finally, we compare three industries, electronic product manufacturing, metal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that represent technology and capital intensive, energy and material intensive and labor and capital intensive industry. As results, we find that high energy using industries make the most effort to reduce energy use. Primary metal, petrochemical and mon-metal industries show improvements in elements such as energy and material productivity, energy and material imports, energy substitution and material substitutions towards energy saving. These results imply that although those industries are heavy users of energy, they put the best effort to reduce energy use relative to other industries. We find various patterns of change in industrial energy use at industrial level. To reduce energy use, electronic product manufacturing industry needs more effort to improve technological change element while construction industry needs more effort to improve material input structure element.

      • KCI등재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중국의 산업 및 기술구조 변화요인 분석

        왕춘뢰(Chun-Lei Wang),최용재(Yong-Jae Choi) 한국아시아학회 2021 아시아연구 Vol.24 No.4

        본 연구에서는 1987년부터 2017년까지 중국의 산업연관표를 이용해 산업구조 현황과 특징을 살펴보고, 산업 및 기술구조 변화요인을 소비, 투자 및 수출로 구성된 최종수요 항목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기간 동안 전 산업을 대상으로 산업 및 기술구조 변화요인을 분석한 결과, 산업구조 변화요인은 소비가 72%를 차지하여 산업구조 변화는 대부분 소비 변화로부터 기인하였다. 그러나 2000년대 전후 소비의 설명력이 약화되었는데, 그 이유는 경기침체로 인한 민간소비 둔화와 중국 정부의 수출주도형 성장전략과 투자 활성화 정책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산업별 산업 및 기술구조 변화요인을 분해한 결과, 제조업은 소비가 약 2,541억 위안으로 산업구조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출 역시 약 2,451억 위안으로 산업구조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업은 약 2,206억 위안의 소비 변화가 산업구조 변화에 기인하고, 투자와 수출은 각각 709억, 871억 위안의 변화가 산업구조 변화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산업 특성상 서비스업은 중간투입보다는 최종 소비재로 사용되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산업별 기술구조 변화요인을 최종수요 항목별로 분해한 결과, 제조업의 경우 소비의 405억 위안 증가가 기술구조 변화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출보다는 투자가 기술구조 변화를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구조 변화에 있어서도 소비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제조업 보다는 서비스업에서 소비의 역할이 중요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세부 산업별로 산업 및 기술구조 변화요인을 최종수요 항목별로 분해한 결과, 최종수요 변화요인 중 소비의 기여도가 특히 큰 산업으로는 농림어업, 음식료품, 화학제품, 운수 및 보관, 도소매업, 교육 및 보건 등을 들 수 있으며, 투자의 역할이 중요했던 산업으로는 일반 및 특수장비 제조업, 교통운송장비, 전기기계 및 장비, 운수 및 보관, 도소매업, 교육 및 보건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수출의 기여도가 큰 산업으로는 화학제품, 일반 및 특수장비 제조업, 도소매업 등을 들 수 있다. 기술구조 변화 요인에 대한 최종 수요 항목별로 살펴보면 산업구조 변화와 마찬가지로 소비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나, 산업구조 변화요인과 달리 수출 보다는 투자의 역할이 중요하였다. This paper aims to analysis characteristics of the China’s industrial structure and to analyze the structural decomposition of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changes for the period of 1987-2017 based on input-output tables. We tried to disentangle and quantify the source of China’s industrial growth.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 decomposition analysis for the total industry shows that the one of final demand, consumption accounts for mos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change. It accounts for 72% of industrial change implying that most industrial change is due to the increase of consumption. Second, the decomposition analysis for the technological change of total industry shows that for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e consumption accounts for 2,541 billion yuan implying that the technological change comes from consumption as well. In addition, for the service industry, the 2,206 billion yuan of consumption explains the technological change. Third, the decomposition by sub-industries analysis shows that for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e 405 billion yuan accounts for the technological change. Furthermore, the investment is more important than export in explaining the change.

      • KCI등재

        산업지수별 구조변화 시점과 선도지연 관계에 관한 실증분석

        김태혁,강종민,박종해 한국자료분석학회 2014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lead-lag relationship among industry indices in Korea Exchange. The idea about that relationship is motivated by interindustry analysis of BOK (Bank of Korea). For the purpose of this paper, we designed structural change model suggested by Zivot, Andrew (1992) and Granger-causality model. The data used in this paper is 9 industry indices generated from KRX database. From the empirical analysis we found 2 major results. First, finance shows the earliest structural change by 10 months but, it didn't show the evidences which lead other indices from Granger-causality analysis. Second, the steel and shipbuilding industry show earlier structural change than other industry and also show that they lead other indices. Through these result we expect that we will be able to build new investment strategy. 본 연구는 산업지수간 선도지연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산업지수간 선도지연관계분석에 관한 아이디어는 산업연관분석에서 보여지는 산업간 영향력관계로부터 출발하였다. KRX 14개 섹터지수 중 9개 지수를 대상으로 구조변화 분석과 그랜저 인과관계 분석을 통해 각 산업별 구조변화시기와 선후행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를 발견하였다. 구조변화 분석결과 분석기간 중 구조변화 시점이 가장 빠른 업종은 금융업종이었다. 그러나, 분석기간 전반에 걸쳐 다른 산업에 선행하는 결과는 보이지 못함으로 인해 앞선 구조변화를 보였지만 다른 산업을 주도적으로 선행한다는 증거는 되지 못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반해 철강업종과 조선업종은 다른 산업보다 상대적으로 빠른 구조변화와 함께 다른 산업을 선행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점을 종합해 보면 주식시장의 환경변화에 따라 각각의 산업지수들이 서로 선후행관계를 가지며 변화하는데, 철강업종과 조선업종이 다른 산업을 선행하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선행하는 산업지수를 지표로 한 투자전략과 포트폴리오 전략의 개발에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울산광역시 3대 주력산업의 구조변화와 성장요인 분석

        김소연 ( So-youn Kim ),류수열 ( Suyeol Ryu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7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는 2005-2013년간 울산지역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는 3대 주력산업(석유화학산업, 조선산업, 자동차산업)이 어떠한 요인에 의해 성장하였는지를 투입산출 구조분해분석법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은행에서 공표한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3대 주력산업의 구조변화를 살펴보고, 각 산업의 요인별 성장기여율을 최종수요, 수출수요, 최종재수입대체, 중간재수입대체, 기술변화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울산의 3대 주력산업 중 석유화학산업과 자동차산업의 총산출과 총수요 증가율은 2005-2010년에 비해 2010-2013년에 증가하였지만, 조선산업의 총산출과 총수요 증가율은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3대 주력산업의 총산출 증가에 대한 요인별 성장기여율 분석한 결과, 수출수요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석유화학산업은 수출수요 성장기여율이 2005-2010년에 209.23%, 2010-2013년에 113.78%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자동차산업은 수출수요 성장기여율이 2005-2010년에 258.72%, 2010-2013년에 72.69%의 비중을 차지하였고, 기술변화 성장기여율은 2005-2010년에 -115.36%에서 2010-2013년에 16.91%로 크게 증가하였다. 반면 조선산업은 2005-2010년에 수출수요 성장기여율이 94.4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나 2010-2013년에는 -255.32%로 크게 감소하였고, 최종수요 성장기여율도 2005-2010년에 1.75%에서 2010-2013년에 -502.65%로 급감하였으나, 최종재수입대체와 기술변화 성장기여율은 280.68%와 492.21%로 크게 증가하였다. 울산의 3대 주력산업의 성장요인 분석은 관련 산업정책을 재정리하고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analyzes empirically how the three main industries (petrochemical industry, shipbuilding industry, automobile industry) that are driving the growth of Ulsan region in 2005~2013 have grown by what factors. For this purpose, we investigate the structural changes of the three main industries by using regional input-output tables announced by the Bank of Korea and examine the growth contribution rate of each industry that is divided into domestic final demand, export demand, import substitution for final goods, import substitution for intermediate goods and technological change, respectively. The growth rate of gross output and aggregate demand in petrochemical and automobile industries increased in 2010-1013 compared to 2005-2010, but the growth rate of gross output and aggregate demand in shipbuilding industry slowed down. As a result of analysis of factors contributing to the increase in gross output of the three main industries, export demand has the greatest effect. By industry, the rate of growth contribution of export demand in petrochemical industry is recorded as 209.23% in 2005-2010 and 113.78% in 2010-2013, respectively. The rate of growth contribution of export demand in automobile industry is recorded as 258.72% in 2005-2010 and 72.69% in 2010-2013,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rate of growth contribution of export demand in shipbuilding industry is recorded as 94.47% in 2005-2010, but it decreased to -255.32% in 2010-2013. Analysis of growth factors of Ulsan`s three main industries is expected to serve as the basis for reorganizing related industrial policies and establishing them.

      • KCI등재

        정책논문 : 경북지역 주력산업의 지역간 산업연관구조 분석

        이춘근 ( Choon Keun Lee ) 한국경제통상학회 (구 한국경상학회, 한국국민경제학회) 2012 경제연구 Vol.30 No.1

        이 연구는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2005년 지역간 산업연관표(interindustrial table)를 이용하여 경북지역 주력산업의 지역간 유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16개 권역을 대구와 경북, 수도권, 동남권, 충청권, 기타권 등 6개 권역으로 재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경북지역 주력산업은 제조업 중에서 부가가치 비중, 입지계수 등을 기준으로 볼 때 전자산업과 철강제품, 섬유산업 등이었다. 따라서 이들 주력산업을 기준으로 보다 자세히 연관구조를 분석하였다. 경북지역의 교역구조를 보면, 이출액은 수도권에 36.1%, 동남권에 33.9%, 충청권에 11.8%씩 이출되고, 이입액은 수도권에서 38.5%, 동남권에서 28.0%, 충청권에서 10.9%씩 많이 이입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북지역 섬유산업의 부가가치유발계수는 수도권이나 대구에 비해서는 낮았으나, 충청권이나 동남권, 기타권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높았다. 경북지역의 철강산업은 감응도계수와 영향력계수가 모두 높았고, 섬유산업은 영향력계수가 전산업 평균에 비해서 높았으며, 전자산업은 감응도계수가 전산업 평균에 비해 약간 높았다. 경북지역 철강산업의 전?후방 연관성을 보면, 경기, 경남, 전남지역과의 연관성이 높았고, 전자제품의 전?후방 연관성을 보면, 경기, 서울지역과의 연관성이 높았다. 섬유산업의 전?후방 연관성을 보면, 서울과 경기지역과의 연관성이 상당히 높고, 경남이나 부산, 울산 등과도 비교적 높으며, 대구지역과는 후방성이 높았다. 그리고 경북지역 철강산업과 전자산업의 타지역, 타산업에 미치는 생산유발효과를 보면, 수도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그 다음 동남권에 영향을 미쳤다. 섬유산업은 자기지역과 동남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그 다음 수도권, 대구지역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경북지역의 주력산업은 대구지역과 연관성이 높은 것이 아니고, 수도권이나 동남권과의 전·후방 연계성이 높으므로 이들 지역과의 산업협력방안을 적극 모색해야 한다. 분석결과로 볼 때, 경북지역 산업의 발전전략을 수립할 때 타 지역간, 타 산업관 연관구조를 고려하여 분석하는 것이 산업의 시너지효과를 배가시키는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ructure of industrial linkage for Gyeongbuk region using an intra-regional input and output analysis, which is originally based on the regional input and output table published by the Bank of Korea in 2005. The study areas is divided into six regions : Daegu-Gyeongbuk region, Capital zone, South-Eastern zone, Chungchoeng region and the rest of South Korea. The main findings are as it follows. First, electronics, iron and steel and textile industries are identified as a leading industry for Daegu-Gyeongbuk region when looking into value-added ratio and location quotient(LQ). Thus, the further study is carried out for these main industries. Second, when investigating the trade structure of Gyeongbuk region, exportable rate is 36.1, 33.9, and 11.8 per cent for Capital zone, South-Eastern zone and Chungchoen region, respectively, whereas importable rata is 38.5, 28.0 and 10.9 per cent for Capital zone, South-Eastern and Chungchoeng region, respectively. In terms of the trade structure of Daegu-Gyeongbuk region and Capital zone shows the most largest importable amounts, whereas South-eastern has the largest exportable amounts. Third, although value added inducement coefficients of textile industry in Gyeongbuk are lower than those of Capital zone and Daegu, they are greater than those of Chungchoeng, South-Eastern zone and the rest of South Korea. In terms of iron and steel industries, they are slightly higher than the rest of the regions, whereas those of electricity industry are relatively lower than all the regions to the exclusion of the rest of Korea. Forth, the indices of the sensitivity dispersion and the power dispersion in Gyeongbuk are greater than the others, whereas the index of effects in textile industry is higher comparing the average values for whole industry. Finally, the index of the sensitivity dispersion in electricity industry is greater than the average values for whole industry. Fifth, investigating forward and backward linkage of iron and steel industries, Gyeongbuk is highly correlated with the provinces of Gyeonggi, Gyeongnam and Junnam. In addition, although forward and backward linkage is low, it is relatively highly associated with the provinces of Gyeonggi and Seoul. In terms of textile industry, they are highly associated with Seoul and Gyeonggi, and slightly related with Gyeongnam, Busan and Ulsan. Its backward linkage with Daegu is also apparent. Sixth, in terms of product inducement coefficient of iron, steel and electricity industries, Gyeongbuk imposes on the greatest economic impact on Capital zone and next South-eastern region. Regarding on textile industry, Gyeongbuk imposes on the greatest economic impacts on itself and South-eastern region, and next Capital zone and Daegu city. The policy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are as it follows. The leading industries of Gyeongbuk region are not highly correlated with those of Daegu city, whereas they are more associated with Capital zone and South-eastern region. This suggests that Gyeongbuk should look into an adequate and desirable way to cooperate with Capital zone and South-eastern region. In addition, when addressing a development plan of a specific industry,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industrial linkage structures between regions in order to enhance its synergy effects.

      • KCI등재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한국경제의 산업구조변화와 성장요인 분석: 1995-2008

        조병도,정준호 한국산업경제학회 2011 산업경제연구 Vol.24 No.6

        본 논문은 1995∼2000∼2005∼2008년 접속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1995∼2008년 중을 대상기간으로 산업구조변화를 살펴보고 Miller and Blair(2009)에서 제시된 산업연관모형을 활용하여 수요변화와 기술구조변화의 각 요인들이 우리나라의 산업성장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그 결과를 보면 산업성장에 대한 기여율은 수출(55.4%), 소비(40.1%), 투자(4.6%), 생산유발계수변화(-0.1%) 순으로 나타났다. 수출이 가장 큰 산업성장 요인으로 나타난 것은 1995∼2008년 중 수출증가액이 소비나 투자의 증가액에 비해 훨씬 크고 또한 수출의 생산유발계수가 평균적으로 소비나 투자의 생산유발계수 보다 높았기 때문이다. 소비가 수출 다음으로 산업성장에 큰 기여율을 보인 것은 수출이나 투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생산유발계수는 낮으나 1995∼2008년 중 소비증가액이 수출증가액 다음으로 높았는데 기인한다. 투자가 수출 및 소비에 비해 낮은 기여율을 나타낸 것은 수송 장비와 건설투자의 부진으로 투자의 증가액이 수출이나 소비의 증가액에 비해 너무 낮았기 때문이다. 기술구조변화인 생산유발계수의 변화는 1990년대 후반에는 생산을 증가시킨 반면 2000년 이후에는 생산의 감소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특히 외환위기가 포함된 1995∼2000년 중에는 투자의 기여율은 건설투자 감소 등으로 마이너스 기여율인 -13.0%를 나타냈으며, 글로벌 금융위기의 발생에 따라 2005∼2008년 중에도 건설 등 투자부진으로 투자의 기여율은 2.1%에 머물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한국경제가 지속적으로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첫째, 전기 및 전자기기, 수송장비, 철강 등의 제조업을 중심으로 경쟁력 향상을 통한 수출의 지속적인 증대, 둘째, 생산자서비스부문(부동산 및 사업서비스, 금융 및 보험, 통신 및 방송 등)의 육성 및 사회서비스부문(교육 및 보건, 공공행정 및 국방 등)의 육성을 중심으로 경제의 서비스화를 통한 서비스업의 질적 성장이 요구되며, 셋째, 수송장비에 대한 투자 부진 및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주택건설에 대한 투자 부진의 개선, 넷째, 수출 증대와 전산업의 전방연관효과를 상승시키는 데 필요한 부품·소재의 국산화와 이를 위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공동기술개발 등의 상생협력이 필요하다. This paper examines changes in industrial structure for the period of 1995-2008 based on the consolidated 1995~2000~2005~2008 industrial input-output tables and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s of the factors of changes in demand and technological structure on industrial growth in Korea capitalizing upon the input-output model suggested by Miller and Blair (2009).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rate of contribution to industrial growth is respectively followed by export (55.4%), consumption (40.1%), investment (4.6%), and the change in the coefficient of production inducement (-0.1%). Both the increasing amount in export and its average coefficient of production inducement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consumption and investment. Increasing amount in consumption was higher than that of investment, but the average coefficient of production inducement of consumption was lower than that of both export and investment. The increasing amount in investment and its average coefficient of production inducement were much lower than those of export and consumption. In addition, the change in the coefficient of production inducement allowed production to increase for the late 1990s, but to decrease after the 2000’s. Based upon these above findings, for the Korean economy to sustainably develop, it is needed to continuously increase the export of manufacturing industries such as electricity and electronic equipments, automobiles and vehicles and steels through the enhancement of competitiveness; to qualitatively promote the development of service industries, in particular producer services industries and social services industries sectors; to encourage more investments in particular automobiles and vehicles industry and construction industry; and finally to make diverse collaborations between large and small and firms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local firms producing materials and parts, which leads to an increase in exports and forward linkages effects across indus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