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경제조직의 혁신활동 경험과 과제: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박희제(Hee-Je BAK),성지은(Ji-Eun SEONG) 한국과학기술학회 2019 과학기술학연구 Vol.19 No.3

        이 연구는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에 참여했던 세 사회적경제조직의 경험을 통해 한국의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 성공적인 시민참여가 이루어지기 위한 조건을 논의한다.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은 리빙랩과 더불어 사회적경제조직의 참여를 필수요건으로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형태의 시민참여를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도입하였다.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의 요구조건은 연구책임자가 사회적경제조직을 사업단에 초대하게 했으나, 이러한 초대는 서로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동반되지 못한 채, 갑작스럽고 우연히 이뤄졌다. 이러한 형식의 제도적 장치는 한편으로 사회적경제조직의 혁신활동 경험과 과제 사회적경제조직의 연구개발사업에의 참여를 유도했지만 다른 한편으로 이들이 과학기술전문가들이 주도하는 연구개발사업에 종속적으로 참여하도록 만드는 역할을 하였다. 한편 이들에게 사회문제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이 요구하는 과업인 리빙랩은 늘 해오던 활동의 연장선에 있는 익숙한 것으로 인식된 반면, 연구비처리 등 복잡한 행정절차가 가장 낯설고 어려운 경험이었다. 연구개발사업에서 주체별 지향의 차이도 분명했다. 사회적경제조직은 리빙랩에 참여하는 시민들이나 자신들은 개발된 제품의 실용화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과학기술자들은 상대적으로 연구에 초점을 맞춘다고 인식했다. 이러한 지향의 차이는 연구개발과정에서 마찰을 빚기도 했고, 과학기술자와는 달리 사회적경제조직이 자신이 참여했던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을 성공적이지 못한 사업으로 평가하는 핵심적인 이유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국가연구개발사업 경험은 개인에게나 조직에게나 혁신의 주체로 성장하는 데 중요한 학습기회를 제공했다. By examining the experiences of three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who participated in the social problem-solving R&D projects, we discuss the conditions which may encourage the participation of civil society in national R&D programs in South Korea. By calling for the inclusion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along with the living-lab, the social problem-solving R&D projects introduced a new type of civic participation in the national R&D programs. It is the requirement in the RFP of the social problem-solving R&D which led PIs to inviting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into their projects. But the invites occurred rather abruptly and accidently without adequat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scientific experts and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While helping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participate in R&D processes, this form of institutional arrangement also led them into a position in subordination to scientific experts.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were supposed to coordinate the living lab in the social problem-solving R&D projects which they felt familiar as an extension of what they have been doing. In contrast, they felt administrative work such as accounts following complicate administrative rules as the most unfamiliar challenge. The difference in their emphases between scientific experts and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was also evident.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viewed that, while they and ordinary people are primarily interested in a practical use of the developed products or services, scientific experts tend to focus on research and development. Not only did such difference produce a friction in the R&D processes but also it had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view the R&D projects they participated in as unsuccessful. Nevertheless, all these experiences provided a great opportunity for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for learning and growing as a new actor in the national R&D.

      • KCI등재

        사회복지법인의 고유목적사업 부동산에 대한 지방세 감면

        윤현석(Yoon, Hyun Seok) 사회복지법제학회 2021 사회복지법제연구 Vol.12 No.2

        그동안 「지방세특례제한법」에서는 사회복지법인의 고유목적 사업인 사회복지서비스 제공에 사용되는 시설, 즉 부동산에 대해 공익성 등을 고려하여 취득세와 재산세를 면제하여 왔다. 하지만 정부는 최근 「지방세특례제한법」에 최소납부세제를 도입하였고, 이에 따라 사회복지법인의 고유목적사업 부동산에 대하여도 재산세 등이 일부 부과되었다. 이와 같이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를 대신하여 사회복지서비스 제공하는 시설인 부동산에 대해 일부이더라도 과세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먼저 사회복지법인은 어떤 성격을 지닌 단체인지이다. 사회복지법인은 사회복지사업법상 사회복지사업을 행할 목적으로 설립된 법인으로서 그 법적 성격은 사법인이면서 비영리 공익법인이며, 재단법인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사회복지법인이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운영하는 사회복지시설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복지사무를 위탁받아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복지사무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복지법인의 고유목적사업에 해당하는 시설인 부동산에 대해서는 그동안 취득세, 재산세를 비과세 또는 완전면제를 하여 왔던 것이다. 그런데 2020년부터 사회복지법인이 고유목적사업에 사용하는 부동산에 대해서도 최소한이지만 과세하게 됨에 따라 사회복지법인의 고유목적 사업수행에 필요한 재정감소를 초래하게 되었다. 그리고 유사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이더라도 「지방세특례제한법」상 감면특례의 제한에 대한 예외에 해당하는 시설과 해당하지 않는 시설로 구분하여 과세되는 등 조세형평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그러므로 사회복지법인이 고유목적사업에 해당하는 복지서비스를 제공시설인 부동산에 대해서는 재산세 또는 취득세를 면제받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입법적인 해결이 필요한바, 장기적으로 사회적 상황을 감안하여 비과세 또는 영구면제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지금 현재 시점에서는 「지방세특례제한법」상 최소납부세제 적용대상의 예외규정에 포함시키는 것이 시급하다고 본다. In the mean time, the Act on Restriction of Special Local Taxes has exempted acquisition tax and property tax for facilities used to provide social welfare services, which is the original purpose of social welfare foundation, in consideration of public interest, etc. However, the government recently introduced a minimum tax payment system in the Restriction of Special Local Tax Act, and as a result, some property taxes were imposed on real estate for the purpose of social welfare foundations. As such,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tax even a part of real estate, which is a facility that provides social welfare services on behalf of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s. First, what kind of character is a social welfare foundation? A social welfare foundation is a foundation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conducting social welfare work under the Social Welfare Work Act. In addition, social welfare facilities operated by social welfare foundations to provide social welfare services are entrusted with welfare services from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s.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welfare affairs of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s. Acquisition tax and property tax have been exempted from or completely exempted from real estate, which is a facility that falls under the intrinsic purpose of social welfare foundations. However, from 2020, real estate used by social welfare foundations for their own purposes is also subject to a minimum taxation. Also, even if a facility provides similar social welfare services, the issue of tax equity is being raised, such as being taxed separately for facilities exempted from and not exempted under the Restriction of Special Local Tax Act. Therefore, social welfare foundations should be exempted from property tax or acquisition tax on real estate, which is a facility that provides welfare services that fall under its own purpose. As a legislative solution is required, it is desirable to promote non-taxation or permanent exemp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ocial situation in the long term. However, at the present time, it is urgent to include it in the exceptions to the minimum payment tax system under the Restriction of Special Local Taxation Act.

      • KCI등재

        지역자활센터의 사회적협동조합 전환과정과 변화에 대한 연구

        백학영(Hakyoung Baek),김경휘(KyoungHuy Kim),한경훈(Kyounghoon Han) 한국사회정책학회 2018 한국사회정책 Vol.25 No.4

        2015년부터 보건복지부는 지역자활센터 법인 형태를 사회적협동조합으로 전환하여 지역자활센터의 자활근로사업 위주 사업에 다양성 및 자율성을 부여하고, 자활사업 대상자 확대 및 근로빈곤층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자 지역자활센터 유형다변화 시범사업을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자활센터 유형다변화 사업이 점차 확대되는 상황에서 지역자활센터의 사회적협동조합의 전환과정과 변화 분석을 통해 긍정적인 요소를 강화하고 부정적인 요소는 제거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자활센터가 시범사업 참여, 즉 사회적협동조합으로의 전환은 지역자활센터의 주도적인 변화라기보다 조직의 지속가능성을 모색하는 하나의 선택이었다. 그리고 이사회와 조합원 구성에서 생산자나 소비자의 참여는 저조하였고, 사회적협동조합으로의 전환은 종사자의 적극성과 책임성의 증가라는 긍정적 효과를 보였다. 또한 사회적협동조합 지역자활센터에 대한 운영비 활용의 자율성 확대로 매출 증가를 위한 적극적인 영업 활동과 전문성 제고의 결과를 낳았다. 사회적협동조합 설립 후 지역자활센터의 가장 큰 변화는 지역사회 내에서 자활사업의 인지도 향상과 지역사회 협력의 증가였다.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통해서 지역자활센터가 새로운 사업에 참여하고 지자체의 우선 지원사업 대상이 되는 기회가 확대되었다. 그렇지만 사회적경제 조직이 활성화되지 않은 지역에서는 큰 변화가 없는 한계도 있었다. 지역자활센터의 사회적협동조합으로의 전환은 긍정적인 요소도 있지만 자활사업 참여자의 감소와 근로능력이 저하되는 상황을 고려한 유형다변화 사업의 방향과 내용 설계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The pilot project for type diversification of self-sufficient support center that convert the centre corporation into social cooperative was introduced in 2015. That aimed to increase the number of participants of self-sufficient programmes and to create more jobs for the working poor through expanding the center’s autonomy of usage of budget and arrangement of self-sufficient programmes. This study analyzed the organization transmitting processes and changes of the centers took part in the pilot project, then aimed to suggest the improvement schemes to be helpful for reinforcing positive efforts and removing obstacles in the process converting. The results show that converting into social cooperative is a choice for the sustainability of the centers led by surroundings rather than self-initiated plan. There are some positive changes that are increasing the enterprising spirit and obligation of the center staff. Further more, the cooperation with other community organizations is enhanced based on achieving regional recognition, and support of local governments and the opportunity for new businesses are expanded. However, these are very limited in the regions where social economy is undeveloped. Eventually, we should seek the development schemes of the pilot project considering the reduction of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self-sufficient programmes and decreasing of their ability to work, even if some positive aspects are revealed.

      • KCI등재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품질평가 현장조사방법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김민정,김윤정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7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issues on the methodologies of field research for the investment project of the community services by the reviews of quality assessment system and process on the existing the investment projects in the consumers’ point of view, and to establish the field research process on the investment project of the community services so as to contribute the enhancement of its quality. Hence, the literature reviews were performed on the quality assessment system and the field research for the existing the investment project of the community services in this study. To analyze the practices of the field research, the issues on the methodologies were defined upon face to face in-depth interviews to the project support team which was the main body of the investment project of the community services and service providers, diagnosing first paper research focusing on survey; second, face to face interview as a supplement way; third, users’ satisfaction research as an indirect way; fourth, physical environmental research by paper work; fifth, quality assessment focusing on the providers; sixth, the problems of research vendor selections, and establishing 11 steps of assessment process mainly for field research. It was suggested to be required of 1) preparation of legal system guideline for the organization of field research team, 2) strengthening the education for field research team, and 3) separate manual development of field research for the team, with respect to the quality assessment system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investment project of the community services as the policy. 본 연구는 기존의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품질평가 체계 및 절차를 수요자 중심의 관점에서 검토하여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현장조사의 방법론적 쟁점을 분석하고,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현장조사 절차를 수립하여 궁극적으로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품질향상에 기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품질평가 체계와 현장조사를 위한 문헌을 검토하고, 현장조사의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주체인 지원단과 서비스제공기관의 현장방문 심층면담을 통하여 현행 현장조사의 방법론적 쟁점으로 첫째, 서면조사 중심의 서면조사, 둘째, 부수적 방법으로서의 면접조사, 셋째, 간접방법으로의 이용자 만족도 조사, 넷째, 서류확인 물리적 환경조사, 다섯째, 제공기관 중심의 품질평가, 여섯째, 현장조사 기관 선정의 문제점 등을 진단하고 현장조사중심의 평가 업무 절차 11단계를 수립하였다. 정책적으로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품질향상을 위한 품질평가체계와 관련하여 첫째, 현장조사단 구성의 법적 제도적 지침마련, 둘째, 현장조사단의 교육 강화, 셋째, 현장조사단을 위한 별도의 현장조사 매뉴얼 개발이 필요하다는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중국 사회사업(Social Work)의 특징 및 형성과정에 대한 소고

        ( He Zhifeng ),류동 ( Liu Dong ),이준영 ( Lee Jun You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保健社會硏究 Vol.41 No.4

        최근 한국과 중국에서는 사회복지 및 사회사업 발전을 위한 양국 간 사회복지 교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중국과의 교류를 위해서는 중국 사회사업의 특징을 파악하고 양국 간 공통점과 상이점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국의 사회사업은 20세기 초반부터 시작되어 서구 복지국가들과는 다른 길을 걸어왔다. 본 연구는 중국 사회사업의 특징과 그러한 특징들이 형성되는 데 영향을 미친 역사적 과정을 분석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사회사업의 전문화 측면, 제도적 측면 그리고 행정체계 측면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국의 사회사업은 첫째, 전문화 측면에서는 실천 현장이 성숙하지 않은 상황에서 학교를 통한 교육이 먼저 진행되었으며 둘째, 제도화 측면에서는 사회보장제도에 상당히 의존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고, 마지막으로, 행정적 측면에서는 민간 주체들의 역할이 미흡하여 국가주도형 행정구조라는 특징들을 갖게 되었다. 그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사회사업 전문교육 인력을 더 많이 확보해야 하며 중국의 상황에 적합한 지식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또한, 사회사업의 제도적 기반을 강화하고 하나의 독립된 전문분야로서 사회적 영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무엇보다, 국가주도형 서비스 전달체계를 개선하여 민간의 역량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제시된 틀에 기초한 분석을 통해 중국의 사회사업 변천과정 및 제도 형성에서 한국과의 유사점과 상이점이 발견되었으며, 그 결과는 향후 사회사업의 발전을 위한 양국 간의 학술적, 정책적 교류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e fields of social policy and social work,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have recently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Given this situation, it is important for both countries to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each other’s social policy and social work to achieve desired outcomes through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Thus,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 in China, considering that the country has established its own welfare systems in a different way compared with advanced capitalist countries. This paper examines the Chinese case focusing on professionalization, institutionalization, and administrative system.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rofessional education programs for social workers in school were first launched before the field of social work practice was well-developed. Second, in terms of institutionalization, social work in China still depends considerably on the social security system. Finally, when it comes to administrative system, the ‘state-led’ administrative operation is still dominant, while non-public sectors have a marginal role. These features of Chinese social work may be obstacles to developing social work in the country. To overcome these problems, to begin with, it is required to foster professionals who can train social workers and build a knowledge system related to social policy and social work in the Chinese context. In addition, it is recommended that the institutional foundation for social work should be strengthened, and the professional field of social work should have their own well-established domain. Most importantly, the state-led service delivery system needs to be reformed and the competence of private actors is required to be gradually improved. As the findings imply that there are many similarities in the process of social work transform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it seems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help facilitate the exchange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academic and practical fields of social work in the future.

      • KCI등재

        청년사회서비스사업의 운영실태와 개선과제: 사업관계자 FGI와 설문조사 중심의 고찰

        유태균,이재원,서재호,김경휘,김다희,배지윤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022 한국사회복지행정학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시행 3년 차를 맞은 보건복지부 청년사회서비스사업의 전반적인 운영 현황을 점검하여 이를 토대로 사업 발전을 위한 개선방안 및 향후 발전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2021년 청년사회서비스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사업담당자 및 서비스 제공인력 대상으로 문헌고찰, FGI 인터뷰 및 설문조사의 세 가지의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폭넓은 정보와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했다. 연구 결과, 사업담당자들은 청년사회서비스 사업에 대해 정체성 혼란을 겪고 있으며, 몇 가지 개선이 필요한 쟁점 사항들이 발견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사업 확대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첫째, 청년 사회서비스사업의 서비스 제공인력의 근로조건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청년 사회서비스사업단을 확대하고 제공 서비스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지원체계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화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보건복지부 청년사회서비스사업의 내용과 운영체제를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주요 항목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 냉전기 미국의 사회사업

        니시자키 미도리,전종숙 한국사회복지역사학회 2019 사회복지역사연구 Vol.2 No.-

        제2차 세계대전 후 미국은 급격한 경제발전을 거둬 많은 미국인이 풍요로운 생활을 향수하게 되었으나 동시에 핵전쟁을 전제한 냉전 때문에 사람들의 불안은 증폭되었다. 사회사업도 여기에 호응하기 위해 가 족치료와 가족사회사업에 중점을 두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사업의 변화의 배경에는 사회경제적 요인 외 에도 사회사업에 요구된 전문성이 변화되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사회사업가들이 전시중 남은 가족의 케어를 수행한 것, 징병제도에 따른 부적응 병사의 급증에 대응하기 위한 정신의학 사회사업이 발달한 것, 퇴역군인에 대한 상담원조가 직장으로 확립된 것 등, 보다 심리면의 지원이 필요하였다. 한편 전통적인 사회사업의 역할이었던 빈곤자 구제와 빈곤의 사회구조적 원인탐구에는 관심이 멀어졌 다. 여기에는 백인남성 실업자가 감소한 원인도 있지만 사회주의 국가와의 대립구조의 격화로 정부에 의한 극단적인 빨갱이사냥이 벌어져 사회변혁을 지향하는 운동이 억압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냉전기 가족사회사업으로의 경사와 빈곤자와의 거리는 이윽고 60년대 빈곤자 스스로의 복지권운동의 고양으로 이어졌다. Majority of the Americans enjoyed the economic development after the WWII. However, they constantly had to worry about the nuclear war. The professional social work in this era shifted towards the family therapy/social work in order to help the families to adjust this nuclear age. Another aspect should be mentioned. Professional social work experienced the great demand to help soldiers’ families and to give psychiatric social work services to the soldiers with mental problems during the war. And also, social workers found another job opportunity because the Veteran’s Administration installed social work services after the war. As a result, professional social work stopped taking care of many poor families as well as seeking the socio-structural causes to produce poverty. This lead the upsurge of the Welfare Rights Movement in the 1960s.

      • KCI등재

        사회보험의 사각지대에 관한 고찰 - 두루누리 사회보험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

        김태환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4 법학논고 Vol.0 No.46

        Most of the Korean people are enjoying the benefits of social insurance. However, some are still excluded from the social insurance benefits eventhough they are facing with diverse social risks, such as childbirth, childcare, unemployment, old age, disability, disease, poverty and death. Againstthis background, the Korean Government started to implement a projectfor eliminating the blind spot of the social insurance, as a part of the socialinsurance subsidy program. From July 1, 2012, Durunuri Social InsuranceSubsidy Program was introduced as a project for subsidizing contributionsof the National pension and the employment insurance at a differentialrate, up to 50 percent, to employers who have employees with averagemonthly wage of 1.25 million won, among businesses with less than 10employees, and their employees. Recently, the Program is expanded to theemployers who have employees with average monthly wage of 1.35 millionwon, among businesses with less than 10 employees, and their employeesand provides subsidies at a fixed rate of 50 percent. Durunuri Social Insurance Subsidy Program aims at eliminating the blindspot of the social insurance as well as encouraging people to find jobs asa compensation policy of work incentives. Still, the Program has someproblems. First, the Program provides subsidies only to wage workers. Second, it is difficult to meet requirements for applying for the subsidy ofthe social insurance. Third, the Program provides subsidies at a fixed rate. The last is the Program is limited to the employment insurance andthe National Pension among the social insurance systems. Based on such problems, this study deals with the history and thecurrent status of Durunuri Social Insurance Subsidy Program, which wasintroduced by the Government in order to eliminate the blind spot in thesociety, and then presents the limits of the Program and the recommendationsto improve it. 우리나라 대부분의 국민들은 사회보험제도의 혜택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일부 국민들은여전히 출산, 양육, 실업, 노령, 장애, 질병, 빈곤 및 사망 등의 사회적 위험에 처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보험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에 놓여있다. 이에 정부는 사회보험료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사회보험사각지대해소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두루누리 사회보험 지원사업은 2012년 7월 1일 부터 국민연금과 고용보험에 한하여 10인 미만의 소규모 영세사업장 중 월 평균 보수가 125만원 미만 근로자를 고용한 사업주와 근로자에게보험료를 최대 50%까지 차등 지원해주는 사업으로, 2014년 현재는 지원 대상이 확대되어 10인 미만의 소규모 영세사업장의 월 평균 보수 135만원 미만 근로자를 고용한 사업주와 근로자에게 보험료 50%를 정률로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두루누리 사회보험 지원사업이 사회보험 사각지대를 해소할 뿐만 아니라 근로유인보상정책으로서 취업 유인을 제고하는 유용한 제도라는 데는 이견이 없을 것이다. 하지만 동 사업은 첫째 임금근로자만을 지원하고 있다는 점, 둘째 사회보험료 지원 요건이 까다롭다는 점, 셋째 사회보험료를 정률로 지원하고 있다는 점, 넷째 사회보험 중 고용보험과 국민연금의 보험료만을 지원하고 있다는 점 등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중심으로 이 논문에서는 정부의 사각지대 해소 사업의 일환으로 시작된 두루누리 사회보험 지원사업의 연혁 및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통해 동 사업이 갖는 한계와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겠다.

      • KCI등재

        사회복지사업법 제정사 연구

        심재진 ( Jae Jin Shim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1 사회보장연구 Vol.27 No.2

        한국 사회복지법제의 특징은 첫째로 국가책임의 미흡과 민간에의 의존, 둘째로 공적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부족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제정 사회복지사업법의 입법사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한국사회복지법제의 특징의 형성에 초점을 맞추어 제정사회복지사업법의 입법배경과 법안 그리고 국회논의과정을 추적하는 것을 연구의 주안점으로 한다. 사회복지사업법은 1960년대 두 가지 배경에서 탄생했다. 우선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민간단체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와 감독의 필요했다는 점이다. 당시 국가는 거의 사회복지사업을 수행하지 않고, 외국원조단체의 지원을 바탕으로 민간단체들이 사회복지서비스의 대부분을 제공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를 효과적으로 구축하고 관리할 필요가 있었다. 특히 민간영역에서 사회복지사업을 행하는 주체로서 ``법인``에 대한 규율을 일반화할 필요가 있었다. 두 번째로 1960년대 후반에 외국원조단체가 철수하기 시작하면서 사회복지사업법 제정이 직접적으로 촉진되었다. 당시 사회복지사업의 재정은 국가가 아니라 대부분 외국원조단체에 의존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외국원조단체 중 일부가 철수하게 되자 당시의 정부는 위기의식을 크게 느끼고 민간단체의 공동모금을 통해 사회복지사업의 재정을 충당하기 위해 사회복지사업법을 제정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제안된 사회복지사업법안은 사회복지법인과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조항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공동모금``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항을 도입하였다. 반면에 사회복지사업법안에는 사회복지사업에 대한 국가책임에 대한 규정이 완전히 부재하였고, 그 연장선상에서 공적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에 대한 규정이 전혀 없었다. 이 법안이 국회에서 논의되는 과정에서도 의미 있는 토론이 진행되지 못했고, 사실상 정부가 제안한 법안이 거의 그대로 통과되었다. 사회복지의 국가책임과 이에 따른 재정문제는 전혀 토론되지 않았고,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의한 공동모금의 관할부서에 관한 의견대립이 법안의 국회논의과정에서 실질적으로 논의된 내용의 전부이었다. 또한 공적 사회복지전달체계의 하나로서 사회복지사무소를 설치하자는 민간단체의 청원은 완전히 무시되었다. 결국 현재 한국 사회복지법제의 특징적인 2가지 측면은 1960년대의 제정 사회복지사업법에서 그 연원을 찾아볼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1960년대 이래 한국사회복지법제는 그 기본적 성격의 면에서 크게 바뀌지 않고 현재에 이르렀다고 볼 수 있다. 한국사회복지법제의 특징을 제정사회복지사업법이 제정된 과정에서 확인한 이 글은 사회복지사업법의 제정을 사회복지서비스 규율체계의 확립이나 혹은 외국원조단체의 철수에 따른 대응의 측면에서 바라보는 관점과 비교하면 더 종합적이라고 할 수 있다. Current Korean legal system on social welfare is characterized by two distinguishing features: lack of state responsibility and dependency on private sphere; insufficiency of public infra structure on social welfare. This article explores their origin by means of socio-legal analysis of the introduction of the Social Welfare Services Act (SWSA) of 1970. The SWSA of 1970 was introduced in the two socio-legal contexts. The first was that the then Government sought to regulate non-profit incorporated organizations which, funded by foreign voluntary agencies, carried out most of the social welfare services needed for poor people, orphans, and so on. Although the Government did not play any meaningful role in funding such organizations or directly subsidizing those people, it had to monitor and supervise those organizations. In particular, terms and conditions under which the organizations were to be established and run had to be regulated given their significance for social welfare services. The second context behind the introduction of the SWSA of 1970 was that foreign voluntary agencies started to withdraw from Korea in the late 1960s. The amount of the fund that they donated for social welfare services comprised most of the budget actually spent in the 1960s for social welfare services. In preparation of their withdrawal, the then Government sought for an alternative to such foreign aid instead of financially taking the charge of social welfare. In these contexts, provisions on corporations for social welfare, accounting for 16 of 25 sections of the SWSA of 1970 in total, mainly constitutes the Act. Under the Act, all charitable organizations would have to be chartered as a corporation for social welfare in order to perform social welfare services. Consitutional rules for a newly created corporation for social welfare were provided for in the Act. Furthermore a provision in which all charitable organizations were entitled to jointly raising funds for social welfare was made in the Act. However there were no provision for state responsibility for social welfare and the establishment of local administrative offices for social welfare. The then government ignored the petition by a main body representing all non-profit organification for social welfare services for the establishment of such offices. This legislative stance is contrasted with the Japanese SWSA of 1951 from which the Korean Act borrowed its legislative framework. The Japanese Act clearly provided that the state had the responsibility of providing social welfare services and was obliged to establish local administrative offices for social welfare. Overall it is certain that the two main features regarded a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Korean legal system on social welfare is dated back to the 1960s when the SWSA of 1970 was introduced. The features, although gradually modified over last four decades, since have not changed. These findings will go further than previous studies on the legislative history of the Act in the sense that the former approaches the introduction of the Act more thoroughly both in a socio-legal context and in systemic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law.

      • 하상락의 사회사업 교육관

        최원규 한국사회복지역사학회 2019 사회복지역사연구 Vol.2 No.-

        이 글은 서울대학교 사회사업학과(현 사회복지학과) 교수를 역임한 몽산(夢山) 하상락(河相洛) (1915-2001)의 사회사업 교육관을 탐색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사회사업 교육관이란 사회사업 교육의 필요성과 목표, 사회사업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 등에 대한 생각들을 의미한다. 사회사업 교육에 대한 몽 산의 저작과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역사편찬을 위해 수집된 자료들을 활용하였다. 해방과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응급구호, 시설보호 중심으로 형성된 한국 사회사업을 전문사회사업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대학 교육을 강조했던 몽산은 서울대학교 사회사업학과, 한국사회사업학회, 한국사회사업교육협의회 및 한국 사회사업가협회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였을 뿐 만 아니라 스스로 사회사업조직을 만들어 전문사회 사업실천에 나선 실천가이기도 하였다. 사회사업 교육목표에 대한 몽산의 생각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학부 사회사업 교육은 필드웤을 통해 현장감각을 익힌, 그리고 사회사업의 기초 이론과 기술을 갖춘 사 회사업가 양성에 목표를 둔다. 반면 대학원 사회사업교육은 이론을 기반으로 한 정책계획가 혹은 교수요 원 양성에 목표를 둔다. This article is an exploratory study on the thoughts on social work education of Ha Sang-Nak who was a professor of the department of social work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Thoughts on social work education means ideas on the necessity, goals, contents and methods of social work education. Professor Ha’s articles on social work education and some collections for the writing of the history of the department of social work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are reviewed. Ha had emphasized professional social work education to cope scientifically with the social problems since the Korean War of 1950. Beyond the mere emergency relief and institutional care, he had stressed on the development of college education to develop Korean social work into a profession. Besides he was a professor of the department of social work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e did play central roles in the formations and developments of major social work organizations in Korea. He was also served as a professional social worker in his own social work organization. Ha's ideas on the goals of social work educat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Undergraduate social work education has to aim at training social workers who have learned the field sense through field studies and have basic theory and skills in social work. On the other hand, graduate school social work education has to aim to cultivate policy planners or social work professors who have theoretical bases of social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