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웹 사용 정보 마이닝 기반의 동적 사용자 프로파일 생성

        안계순,고세진,정준,이필규,An, Kye-Sun,Go, Se-Jin,Jiong, Jun,Rhee, Phill-Kyu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9 No.4

        동적 웹 컨텐츠 제공에서 고객을 위한 추천서비스에 이르는 인터넷 기반의 전자상거래 애플리케이션에서는 고객이 어떤 성향을 가지고 있는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웹 개인화의 대표적인 기술인 협력적 석과는 사용자의 정보를 정적인 프로파일 형태로 저장하여 사용자의 성향 변화를 빨리 획득할 수 없다. 또한 사용자의 명시적 평가 의존성, 확장성 부족, 다차원 공간 데이터에 대한 적용 어려움 둥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해결 방안으로 웹 사용 정보 마이닝(web usage mining)이 쓰이고 있다. 웹 사용 정보 마이닝은 서버에 축적된 웹 사용 데이터(web usage data)를 이용하여 패턴을 발견하는 기술이다. 특히 연관 규칙 생성 알고리즘으로 웹 사용 패턴(web usage pattern)을 찾고 패턴을 클러스터링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연관 규칙 생성 알고리즘은 많은 수의 패턴들을 찾고 또 유용하지 못한 패턴을 발견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검증된 웹 사용 패턴을 이용한 동적 사용자 프로파일 생성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패턴 발견을 위해 연관 규칙 생성 알고리즘인 Apriori를 이용하고 사용자 프로파일을 위한 클러스터를 생성하기 위해 ARHP를 채택하였다. 클러스터를 생성하기 전에 Dempster-Shafer 이론을 이용하여 유용하지 못한 패턴을 제거하는 패턴 검증 과정을 수행한다. 검증된 패턴을 이용하여 클러스터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현재 활성화된 세션에 따라 동적으로 사용자 프로파일이 생성된다 It is important that acquire information about if customer has some habit in electronic commerce application of internet base that led in recommendation service for customer in dynamic web contents supply. Collaborative filtering that has been used as a standard approach to Web personalization can not get rapidly user's preference change due to static user profiles and has shortcomings such as reliance on user ratings, lack of scalability, and poor performance in the high-dimensional data. In order to overcome this drawbacks, Web usage mining has been prevalent. Web usage mining is a technique that discovers patterns from We usage data logged to server. Specially. a technique that discovers Web usage patterns and clusters patterns is used. However, the discovery of patterns using Afriori algorithm creates many useless patterns. In this paper, the enhanced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dynamic user profiles using validated Web usage patterns is proposed. First, to discover patterns Apriori is used and in order to create clusters for user profiles, ARHP algorithm is chosen. Before creating clusters using discovered patterns, validation that removes useless patterns by Dempster-Shafer theory is performed. And user profiles are created dynamically based on current user sessions for Web personalization.

      • KCI등재

        사용자 입력 패턴 및 전자 금융 거래 패턴을 이용한 모바일 뱅킹 이상치 탐지 방법

        민희연 ( Hee Yeon Min ),박진형 ( Jin Hyung Park ),이동훈 ( Dong Hoon Lee ),김인석 ( In Seok Kim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4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5 No.1

        모바일 뱅킹을 이용한 거래 증가세가 지속되면서 모바일 금융 보안 위협 또한 증가하고 있다. 모바일 뱅킹은 금융사가 제작한 전용 앱을 통해 금융거래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인터넷 뱅킹에 준하는 대부분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모바일 뱅킹 전용 앱에서 저장하고 있는 신용카드 번호와 같은 개인정보는 해커의 악의적인 공격이나 모바일 단말 분실로 인해 2차적인 공격에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개인정보 유출에 의한 모바일 금융사고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에서 뱅킹 서비스 이용 시 사용자의 입력 패턴과 거래 패턴을 이용하여 올바른 사용자에 의한 거래 시도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이상치 탐지 방법을 제안한다. 사용자의 입력 패턴과 거래 패턴 데이터에는 특정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따라서 이를 적절히 이용 할 경우 올바른 사용자에 의한 금융 거래와 비정상 거래를 구분하기 위한 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을 위해 스마트폰에서 직접 사용자 입력 패턴 정보를 수집하였고, 국내 모 금융사에서 이상치 탐지에 사용하는 실험 데이터를 획득하여 거래 패턴 정보로 활용하였다.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입력 패턴 및 거래 패턴 기반의 탐지 실험을 진행한 결과, 효율적으로 이상 거래를 탐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s the increase of transaction using mobile banking continues, threat to the mobile financial security is also increasing. Mobile banking service performs the financial transaction using the dedicate application which is made by financial corporation. It provides the same services as the internet banking service.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credit card number, which is stored in the mobile banking application can be used to the additional attack caused by a malicious attack or the loss of the mobile devices. Therefore, in this paper, to cope with the mobile financial accident caused by personal information exposure, we suggest outlier detection method which can judge whether the transaction is conducted by the appropriate user or not. This detection method utilizes the user`s input patterns and transaction patterns when a user uses the banking service on the mobile devices. User`s input and transaction pattern data involves the information which can be used to discern a certain user. Thus, if these data are utilized appropriately, they can be the information to distinguish abnormal transaction from the transaction done by the appropriate user. In this paper, we collect the data of user`s input patterns on a smart phone for the experiment. And we use the experiment data which domestic financial corporation uses to detect outlier as the data of transaction pattern. We verify that our proposal can detect the abnormal transaction efficiently, as a result of detection experiment based on the collected input and transaction pattern data.

      • KCI등재

        한국 민간기업 근로여성의 육아휴직활용 패턴 영향요인 연구 : 고용보험 DB 분석을 중심으로

        이수영,이근주 梨花女子大學校 社會科學大學 社會科學硏究所 2011 사회과학연구논총 Vol.25 No.-

        여성인력의 지속적인 사회 참여가 국가경쟁력 확보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의 확산과 함께 결혼, 임신 및 출산 등 여성 인력의 사회 진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왔던 여건들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들이 도입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것으로 육아와 관련된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을 완화하여 여성이 퇴직의 불안 없이 지속적으로 사회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육아휴직제도를 들 수 있다. 육아휴직제도는 도입된지 20년이 지났지만 아직까지도 육아휴직제도가 활발하게 활용되어 정책 본래의 목적을 달성했는가에 대하여는 논란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육아휴직제도의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용보험 D/B를 분석하여 규명해 보고 있다. 육아휴직 사용여부, 육아휴직 사용기간, 육아휴직 사용 후 복직여부를 종속변수로 하여 각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육아휴직의 사용은 직업의 안정성과 경력개발 의지에, 육아휴직 사용기간은 직접양육 의지와 경력개발의지에, 육아휴직 사용 후 복직여부는 직업의 안정성과 직접양육 의지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용안정이 육아휴직의 사용, 사용기간 및 육아휴직 사용 후 복직 가능성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는 우리나라 육아휴직제도의 정책의 본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도적 개선 등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Concerns for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low fertility initiated many government policies and programs intended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women labor force. Parental leave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programs that allows women to take care of the family and maintain the employment at the same time. This research tries to underst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usage of parental leaves. The analysis of three regression models with parental leave, the duration of usage, and reinstatement as dependent variables respectively, showed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use of parental leave is mostly affected by the stability of employment and the person’s will of career development. Second, duration of parental leave is influenced by the person’s will of direct bringing and also the will of career development. Finally, reinstatement at the end of the leave is affected by the stability of employment and the will of direct bringing. The stability of employment and career development seem to play important roles in making parental leave decisions.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d policy suggestions are made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 KCI등재

        모바일 광고 다크패턴 디자인이 광고인지, 침입성, 광고회피, 불쾌감에 미치는 영향

        오 선 영,윤 재 영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3 한국디자인포럼 Vol.28 No.1

        Background As the supply of smartphones has increased recently, the mobile advertising market is also expanding. However, mobile advertisements use reckless dark pattern designs to generate profits, and damage is also increasing raising the need for directions for the use of dark pattern designs in mobile advertisemen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effect of the dark pattern design type on the user experience in the overall mobile advertising design. Methods In this study, the types of mobile advertisements were identified, and the types of mobile advertisements and the types of dark pattern design functions were classified into 11 types. After that,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user experience in mobile advertisements, the survey was conducted by establishing a definition of advertisement perception, perceived intrusion, advertisement avoidance, and discomfort/decep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mobile advertisement. Resul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user experi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mobile advertisement, and the user experience according to the dark pattern detailed function in the pop-up banner typ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user experience excluding advertisement avoidance. It was found that the user experience according to the detailed functions of the dark pattern in the embedded and native typ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advertising awareness and discomfort/deception. Conclusion This study classified mobile advertising types using dark patterns, and verified differences in user experience of dark pattern functions by deriving detailed functions using dark pattern design for each mobile type, and thus derived the most positive mobile advertising types and functions. 연구배경 최근 스마트폰 보급량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광고 시장 또한 확장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모바일 광고는 무분별한 다크패턴 디자인을 활용해 사용자 경험을 고려하지 않아 피해 또한 증가하고 있어 모바일 광고 내 다크패턴 디자인 활용에 대한 방향성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체적인 모바일 광고 디자인 내 다크패턴 디자인 유형이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광고의 유형을 알아보고, 다크패턴 디자인 기능이 활용된 유형을 재수정하여 모바일 광고 유형을 분류하고 그에 따른 다크패턴 디자인 기능 유형을 11가지로 정리한다. 이후 모바일 광고 내 사용자 경험에 대한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모바일 광고 유형에 따른 사용자 경험을 광고인지, 지각된 침입성, 광고회피, 불쾌감/기만감에 대한 정의를 정립하여 설문을 진행한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모바일 광고 유형에 따라 사용자 경험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팝업배너형 내 다크패턴 세부기능에 따른 사용자 경험은 광고회피를 제외한 사용자 경험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베디드형과 네이티브형 내 다크패턴 세부기능에 따른 사용자 경험은 광고인지와 불쾌감/기만감에서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다크패턴이 활용된 모바일 광고 유형을 분류하고, 각 모바일 유형별 다크패턴 디자인 활용 세부기능을 도출하여 다크패턴 기능에 대한 사용자 경험에 차이를 검증하였으며, 이를 통해 가장 긍정적 반응을 얻은 모바일 광고 유형과 유형별 기능을 도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협업적 여과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한 장르 패턴 기반 사용자 클러스터링

        최자현(Ja-Hyun Choi),하인애(In-Ay Ha),홍명덕(Myung-Duk Hong),조근식(Geun-Sik Jo)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6 No.11

        협업적 여과 시스템은 사용자에 대한 클러스터링을 구축한 후, 구축된 클러스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아이템을 추천한다. 그러나 사용자 클러스터링 구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사용자가 평가한 아이템이 피드백 되었을 경우 재구축이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영화 추천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클러스터링의 재구축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서 빈발 패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장르 패턴을 추출하고, 추출된 패턴을 통해 사용자 클러스터링을 구축한다. 구축된 사용자 클러스터링을 협업적 여과에 적용하여 사용자에게 영화를 추천한다. 사용자 정보가 피드백 될 때, 전통적 협업적 여과는 사용자 클러스터링을 재구축하기 위해 모든 이웃 사용자를 재탐색하여 클러스터링 한다. 하지만 빈발 패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장르 패턴 기반의 사용자 클러스터링을 적용한 협업적 여과는 사용자 클러스터링을 재구축시 사용자 탐색 공간을 국한시킴으로써 탐색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제안하는 장르 패턴기반의 사용자 클러스터링을 통해 사용자 정보가 피드백 된 후 사용자 클러스터를 재구축시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전통적인 협업적 여과 시스템과 유사한 성능의 추천이 가능하게 되었다. Collaborative filtering system is the clustering about user is built and then based on that clustering results will recommend the preferred item to the user. However, building user clustering is time consuming and also once the users evaluate and give feedback about the film then rebuilding the system is not simple. In this paper, genre pattern of movie recommendation systems is being used and in order to simplify and reduce time of rebuilding user clustering. A Frequent pattern networks is used and then extracts user preference genre patterns and through that extracted patterns user clustering will be built. Through built the clustering for all neighboring users to collaborative filtering is applied and then recommends movies to the user. When receiving user information feedback, traditional collaborative filtering is to rebuild the clustering for all neighbouring users to research and do the clustering. However by using frequent pattern Networks, through user clustering based on genre pattern, collaborative filtering is applied and when rebuilding user clustering inquiry limited by search time can be reduced. After receiving user information feedback through proposed user clustering based on genre pattern, the time that need to spent on re-establishing user clustering can be reduced and also enable the possibility of traditional collaborative filtering systems and recommendation of a similar performance.

      • KCI등재

        오픈 소스 기반의 니팅기 패턴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사용성 연구

        박지훈,남원석,장중식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4

        최근 현대사회는 소비자의 개성과 개인 맞춤형 의류에 대한 니즈가 늘어가고 있다. 저비용으로 사용자가 직접 의류를 생산하는 니팅기는 소비자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좋은 수단이다. 하지만 사용자는 니팅기의 조작과는 별개 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인 니팅기 패턴 프로그램의 사용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는 실증연구에 앞서 문헌조사를 진행하였고, 사용빈도가 높은 세 가지 니팅기 패턴 프로그램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전문가 집단토론을 통하여 도출한 9가지 사용성 평가 원칙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 9가지 평가 원칙인 가시성, 간결성, 조작성, 일관성, 정확성, 유연성, 직관성, 오류인지, 보충 설명에 대한 사용자의 니즈(Needs) 파악을 통하여 니팅기 패턴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성 개선의 방향성과 대안을 확인하고자 한다. In recent years, the needs of consumers for personality and personalized clothing are increasing. Knitting machines, which produce clothing by the user at low cost, are a good way to meet consumer demand. However, the user is having difficulty in using the knitting machine pattern program, which is a software program, independently of the operation of the knitting machine.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prior to the empirical research and evaluated the usability by selecting three kinds of frequently used knitting machine pattern programs as research subjects. Based on the nine usability evaluation principles derived from expert group discussions, the study found that the needs of users for nine evaluation principles: visibility, conciseness, operability, consistency, accuracy, flexibility, intuition, error recognition, and supplementary explanation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rection and alternatives of usability improvement for the interface of the knitting machine pattern program.

      • KCI등재

        근 미래 스마트 홈 사용자의 공간별 사용 패턴과 스마트 허브 시나리오 제안

        박지원,연명흠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9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8 No.3

        Background: Data generated when using multiple electronic products in a smart home environment is controlled by a smart hub that collects the data and transmits it to the cloud. The current smart home user is a speaker-type smart hub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allows the home device to be controlled with Voice User Interface. With VUI, an artificial intelligence can identify the user's product usage pattern and build a linkage between various products that can satisfy the user's purpose in a smart home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product usage pattern collecting method of the near future smart home users and to propose the near future smart hub. Methods: The researcher placed 59 product cards on living room, bedroom, kitchen, bathroom, and front door space of living environment blue print. The role-play of each space of the near future smart home was performed using the card arranged by the participant. Participants were provided with seven contexts of waking up (07:30), leaving the house (09:00), returning to the house (19:30), communication (22:00), work out (21:30), shopping (22:30), and bedtime (23:30) in 2025. Before the role-play,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identify a smart hub suitable for the role-play of each space and context, and the researcher conducted a role of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at smart hub, A participant and researcher exchanged one-on-one speech. Result: In the living room, bedroom, and kitchen space, the usage pattern data of four role-playing participants were collected; the result of the front door where three participants did not place cards were excluded. The utterance generated in role-playing were textualized, and the products mentioned were extracted according to the order of usage of the product appearing in the speech and converted into the user's product use pattern data. The number of times that participants identified a certain product as smart hub in role-play in each space also became the evidence data to support the future smart hub scenarios proposal. Conclusion: The data of 112 product usage patterns according to the time context and space of the near future smart home were collected. Based on the process of voice interactive system, a researcher has approached for the method of finding product usage patterns and has derived the near future smart hub and smart hub scenario through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연구배경: 스마트 홈 환경에서 여러 전자 제품들을 사용할 때 발생하는 데이터는 해당 데이터들을 수집하고, 클라우드로 전송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스마트 허브에 의해 통제된다. 현재의 스마트 홈 사용자는 인공지능이 적용된 스피커 형태의 스마트 허브로 집안의 기기를 발화 명령 방식을 통해 통제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제품 사용 패턴을 인공지능이 파악하고, 스마트 홈 환경에서 사용자의 목적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다양한 제품들 간의 연동을 구축하고 있는 중이다. 해당 연구를 통해 근 미래 스마트 홈 사용자의 제품 사용 패턴 발굴방법을 모색하고 근 미래의 스마트 허브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실험자는 롤플레잉 참가자가 59가지 제품카드를 거주 환경 도면의 거실, 침실, 주방, 욕실, 현관 공간 위에 배치하게 하였다. 참가자가 배치한 카드를 사용하여, 근 미래 스마트 홈의 각 공간별 롤플레잉을 진행하였다. 참가자에게는 2025년의 기상(07:30), 외출(09:00), 귀가(19:30), 의사소통(22:00), 헬스(21:30), 커머스(22:30), 취침(23:30)의 7가지 상황 시간 맥락이 제공되었다. 롤플레잉에 앞서 참가자가 각 공간과 맥락의 롤플레잉에 적합한 스마트 허브를 지목하게 하였으며, 해당 스마트 허브에 탑재된 인공지능 역할인 실험자와 1대1 발화를 주고받는 방식으로 실험이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거실, 침실, 주방 공간에서 총 4명의 롤플레잉 참가자들의 사용 패턴 데이터가 수집되었다. 참가자 3명이 카드를 배치하지 않은 현관의 결과는 제외되었다. 롤플레잉에서 발생한 발화는 텍스화하였으며, 그 중 제품명을 발화에서 등장한 제품 사용 순서에 따라 추출하여 사용자의 제품 사용 패턴 데이터로 변환하였다. 각 공간의 롤플레잉에서 참가자들에게 스마트 허브로 지목된 횟수 또한 근 미래 스마트 허브 제안을 뒷받침하는 근거 데이터가 되었다. 결론: 근 미래 스마트 홈의 시간 상황 맥락과 공간에 따른 112가지 제품 사용 패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음성 대화형 시스템의 프로세스를 근거로 제품 사용 패턴의 발굴 방법을 모색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근 미래 스마트 허브와 스마트 허브 시나리오를 도출했다.

      • KCI등재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를 위한 사용자의 선호도 및 이동 패턴을 이용한 친구 추천

        이충희(Chunghui Lee),유재수(Jaesoo Yoo),복경수(Kyoungsoo Bok),박용훈(Yonghun Park),임종태(Jongtae Lim) 한국정보과학회 2013 정보과학회논문지 : 데이타베이스 Vol.40 No.1

        최근 사용자들의 궤적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성향에 적합한 정보를 추천해 주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여행지 추천, 친구 찾기 등과 같은 응용 서비스를 위해서 클러스터링 기법과 패턴 매칭 기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클러스터링 기법은 추천 받는 사용자의 선호도가 반영되지 않고, 다른 사용자들의 선호도에 따라 추천을 해주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패턴 매칭 기법은 다른 사용자와의 POI(Point of Interest)의 유형과 거리를 비교하여 추천을 수행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세부적인 선호도를 반영할 수 없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기존 연구들을 보완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POI의 속성 정보와 사용자의 이동 패턴을 고려한 친구 추천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크게 사용자의 속성 정보를 이용해서 선호도를 계산하여 선호도가 다른 사용자를 필터링하는 부분과 패턴 매칭 기법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궤적과 근접하게 이동한 궤적을 찾는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성능 평가를 통해서 친구로 추천된 사용자들의 POI 궤적과 사용자 POI 궤적이 유사함을 확인하였고, POI 궤적의 유사도를 기존 기법과 비교함으로써 제안하는 기법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Recently, it has been studied to recommend the proper information of user’s tendency through the trajectory analysis of moving objects. The existing works often used clustering and pattern matching schemes for application services such as itinerary recommendation and finding friends. However, the clustering scheme has problems that it does not reflect the preference of users and recommend the information through the preference of other users. Since the pattern matching scheme is also performed by comparing the Point of Interests(POI) type and distance of other users, it does not reflect the detailed preference of users. We propose a friends recommendation system that considers the attributes of POIs and the moving patterns of users in order to alleviate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schemes. The proposed scheme is divided into two parts. One is to compute the preference using the attributes of users. Therefore, it filters users that have different preference. The other is to find the trajectories closer to the user’s trajectory using the pattern matching scheme. In order to verify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scheme, it is clear through performance evaluation that it shows the high similarity of the recommended two moving patterns by the POI trajectories of users and user’s trajectory. The proposed scheme outperforms the existing scheme in terms of the similarity of POI trajectories.

      • KCI등재

        압력 센서 기반 스마트 기기 사용자 인증 기법

        조영주,최동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3

        In this paper, we analyze robustness of existing pattern lock based user authentication scheme against emerging social engineering. Then we propose pressure sensing pattern based user authentication scheme that is robust against social engineering. Our method is pattern lock based which conduct user authentication according to recognition process of user’s pattern shape and it’s pressure data at the same time on pressure sensor embedded smart devices. Proposed scheme shows higher reliability against shoulder surfing, recording, smudge attack compare to the existing pattern lock and layered pattern based, because the information appeared on the smart device screen has no relationship causing exposure of secret information. Moreover, our scheme shows similar usabilities compare to existing pattern based scheme. Therefore, it would be applied as an alternative schem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s, proposed method is more secure compare to pattern lock and layered pattern lock methods. Moreover, proposed Method is non-complex compare to existing 2 methods. 본 연구에서 우리는 기존의 스마트 기기에서 사용되는 패턴 락 기반 사용자 인증 기법의 보안 안전성을 최근의 사회 공학 공격에 대해 분석하며 사회 공학 공격에 강인한 암력 감지 패턴 기반 사용자 인증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압력 센서가 적용된 스마트 기기에서 사용자의 패턴과 패턴 입력 구간의 압력 정보 인식을 동시에 수행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패턴 락에 기반한 인증 기법이다. 이 기법은 디바이스 화면에 노출되거나 입력되는 정보가 비밀정보 유출과 연관되지 않아 기존의 패턴 락 및 레이어 패턴 기법에 비해 엿보기, 레코딩, 스머지 공격에 대해 보다 높은 안전성을 보인다. 또한 사용자 편의성 면에서도 기존의 패턴 락 기반 기법과 유사한 수준의 사용 편의성을 보여 기존 기법의 대체 수단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성능 평가 결과, 제안하는 방법은 기존의 패턴 락 및 레이어드 패턴락 방법에 비해 보안상 안전하다. 또한 사용자 편의성에 있어서도 기존의 두 가지 방법에 비해 보안 정보 입력 절차가 복잡하지 않다.

      • KCI등재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고 방해하는 다크패턴 UX디자인에 관한 리뷰 분석

        신민아,윤재영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2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9 No.-

        With the recent increase in new types of damage caused by ‘dark pattern design’ on online platforms, studies of the actual condition, type, and ethical discussions of dark pattern design are underway in overseas academia. However, previous studies do not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the principle of dark pattern design changing user's behavior, making it difficult to understand how each strategy interferes with users. Plus, there is a limit in presenting a theoretical basis for strategies that users should be aware of. Therefore, in this study, dark pattern design strategi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elements of Fogg's behavior model, and strategies that users hardly recognize and that users may perceive maliciously were introduced based on theoretical evidence. As a result, the dark pattern design was appeared to use motivation, ability, and trigger to 'induce' or 'obstruct' user's behavior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user's motivation and ability relatively, and use the trigger to induce or obstruct the user's certain behavior. Based on this, dark pattern strategy that users hardly recognize could be predicted as one that 'hides' or 'makes it difficult to find' the important information to users, and the strategy that users may perceive maliciously makes the task achieving process 'difficult' or forces 'unnecessary task' to users. The derived discussions we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further research on dark pattern design. 최근 온라인 플랫폼에서 ‘다크패턴 디자인’으로 인한 신유형 피해 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해외 학계에서는실태, 유형, 윤리적 논의 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다크패턴 디자인 연구는 초기 단계로각 전략들이 사용자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원리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찾아보기 어렵고, 사용자가 보다 주의해야할 전략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Fogg의 행동 모델 요소를 토대로 다크패턴 디자인 전략을 분석하고,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인식하기 어렵고, 악의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다크패턴 디자인은 동기, 능력, 트리거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기도 하고, 그 반대로 활용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방해’하는데, 행동을 ‘유도’할 경우 사용자의 동기와 능력을 높여주고, 트리거를 개입하여 행동을 촉발시킨다. 행동을 ‘방해’할 경우 사용자의 동기와 능력을 저하시키며, 트리거는 행동을 제한하는 작동을 한다.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보다 인식하기 어려운 전략들은 중요한 정보를 ‘은닉’하거나 ‘어렵게’ 제시하는 전략을, 악의적으로 인식할수 있는 전략들은 과업 과정 자체를 ‘어렵게’ 만들거나 ‘불필요한 추가 과업들을 수행’하게 만드는 전략으로 예측해볼 수 있었다. 도출된 논의 사항들은 향후 다크패턴 디자인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되기를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