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근주,오세규 대한건축학회 2001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correlational factors of space sections based on the fact that the exhibition space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medium of displaying art works. Then, comparing exhibition space's form and scale, exhibited genre, lighting system, and its correlation with an already established thesis on museum architecture, I will infe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space. From these studies, proper display conditions requested at the museum are different from the genre and property of the exhibited objects. The lighting system, display, and appreciation type affects the exhibition area. The shape of space classifies types of section, which causes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부유식물과 침수식물이 습지의 주요 수 환경에 미치는 영향
이근주,성기준 한국습지학회 2013 한국습지학회지 Vol.15 No.3
본 연구에서는 습지식물의 유형에 따라 습지의 주요 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부유식물로는 부레옥잠(Eichhornia crassipes)을 침수식물로는 붕어마름(Ceratophyllum demersum)을 인공습지 실험구에 도입한 후 pH, 용존산소, 수온, 산환환원전위, 영양물질 농도 등 주요 수 환경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수 표면에 주로 존재하는 부유식물은 빛이 수체내로 투과하는 것을 막아, 다른 처리구에 비해 수온이 낮게 나타났으며 주·야 모두 상·하층 수온의 차이도 관찰되었 다. 오염물 유입 후 모든 실험구에서 용존 산소가 일시적으로 감소하였다가 다시 회복되었는데 특히 수중에서 광합성을 하는 침수식물처리구에서 주기성을 가지면서 증가하였고 상승폭 또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pH 또한 침수식물 처리구에서 주 기성을 가지면서 변동하는 것으로 나타나 용존산소의 경우와 같이 광합성의 영향임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 습지토양의 산환환원전위가 수생식물의 유무나 유형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이 관찰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생지화학적 기작에도영향 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체 내 총질소와 총인의 농도는 물만 있는 대조구 <물과 토양이 있는 대조구 <부유식물 처리구 < 침수식물 처리구의 순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식물이 영양물질 제거에도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부유식물과 침수식물 모두 조류발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부유식물의 경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위공무원단 성과평가의 적정성 수준 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이근주・,백종섭・,권경득 한국인사행정학회 2007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6 No.2
이 연구는 고위공무원단 성과관리의 적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평가의 관대화 경향과 연공서열 경향을 진단할 수 있는 지수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현실적으로 평가결과의 관대화 수준을 직접적으로 측정하기 위해서는 실제 성과수준에 대한 정보를 확보해야 한다. 하지만 고위공무원의 성과 수준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파악하는 것을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평가결과 자료를 분석하여 관대화 경향을 파악할 수 있는 산식을 제시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고위공무원단 성과평가 점수의 평균과 분산을 활용한 지수를 제시하고 있다. 연공서열의 경우 연공을 결정하는 변인들과 성과평가 점수와의 상관관계를 활용하여 연공서열과의 관련성을 측정하고 있다.
해방이후 우리나라 중앙부처 공무원 교육훈련에 대한 추세분석
이근주 한국인사행정학회 2010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해방이후 공무원 교육훈련제도와 운영 실적을 시기별로 구분하여 통시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중앙정부의 대표적 공무원 교육기관인 중앙공무원교육원을 중심으로 해방이후 중앙정부 교육훈련을 제도변화와 운영 실적의 두 가지 차원에서 접근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찾을 수 있다. 첫째는 해방이후 지난 60년 동안 공무원 교육훈련이 예산, 연간 공무원 교육 규모 그리고 교과과정 등의 측면에서 모두 커다란 성장을 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대부분의 성장과 확대는 최근 10년 동안 이루어졌다. 두 번째는 교육훈련의 발전과 변화가 정치, 경제 및 사회적인 환경변화와 맥을 같이 한다는 점이다. 2000년대 이후 교육훈련의 전반적인 성장은 경제, 사회적 발전의 결과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그와 함께 정권의 변화도 교육훈련의 내용과 교육훈련의 규모를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였다. 정권이 바뀌거나 시대가 바뀌는 시점에 집중적으로 공무원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졌다. 세 번째 특징은 교과과정이 전문화되고 세분화되었다는 점이다. 교육훈련의 내용 측면에서 볼 때 업무 수행과 관련된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한 직무교육의 경우 과정이 세분화 되면서 고도화되었다. 마지막 특징은 교과과정의 다양화와 전문화 때문에 교과과정을 개발함에 있어 더 많은 시간, 노력 및 전문성을 요구하게 되기 때문에 교육훈련 관련 비용이 크게 증가하였다는 것이다. 앞으로도 교과과정의 전문화 및 세분화가 지속된 다면 비용 증가 경향은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교육훈련의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고 있다.
이근주,이수영 한국인사행정학회 2012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1 No.1
본 연구는 다양성의 유형화를 위한 시론적 연구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공부문의 다양성이 과거에 비하여 급속도로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다양성에 대한 기존의 연구가 ``편의적 설명``에 그치고 있어 개별 다양성 유형에 대한 이해는 높아지고 있으나 다양성 전반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이론적 설명과 처방에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다양성의 이론화를 위해서는 다양성의 유형화에 대한 논의부터 시작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성에 대한 기존 연구의 검토를 바탕으로 다양성의 유형화를 시도하고 있다. 즉각적으로 파악되는 정도를 의미하는 가시성과 다양성의 속성이 변화가 어느 정도 가능한가를 의미하는 변화가능성을 기준으로 기존에 연구되고 있는 다양성 요소들을 유형화하고 대표적인 4가지 유형에 대하여 각각의 특징을 논의하고 있다.
이근주 한국행정연구원 1999 기본연구과제 Vol.1999 No.-
민간이 공익을 추구할 목적으로 자발적으로 조직하여 운영하는NGO의 사회적 역할은 점점 확대되고 있다. 정부와 시장에 대한 견제, 대의제 민주주의를 보완하는 참여의 장 그리고 비시장적 · 비정부적 공공재의 공급 등의 다양한 역할을 하는 NGO는 현대 시민사회에서 정부, 시장과 함께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사회제도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사외를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기장의 이분법이 아닌 정부, 시장 그리고 시민사회를 포함하는 삼분법적인 사고가 필요하다. 우리는 진정한 NGO는 정부 지원 없이 민간의 자발적 참여와 민간재원에 의하여만 운영되어야 한다는 믿음을 갖고 있다. 이러한 믿음의 근원은 정부와 NGO의 조직과 활동의 특성상 정부와 NGO간에는 갈등관계만 존재하고 협조적 관계의 형성이 어렵다는 잘못된 가정이다. 정부와 NGO는 진공상태에서 독립적으로 활동하지 않는다. 사회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한다. 상호작용의 유형은 경쟁과 협력관계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당면하고 있는 문제의 성격, 사회적 분위기, 정부의 성격 등의 요인들이 정부와 환경NGO간의 관계를 정립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정부와 환경NGO의 협력관계에 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지 못하다. 일부에서는 정부의 NGO에 대한 지원이 NGO를 관변단체화 하려는 숨은 의도가 있다는 의심스러운 눈초리로 보고 있다. 하지만 선진국의 경험에서 알 수 있듯이 정부의 지원이 정당하고 공개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진다면 정부와 NGO는 부족한 공공대의 생산에 공동협력하는 관계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사회문제의 해결에 있어서 정부나 시장도 그 역할 및 기능에 있어서 한계가 있는 만큼 NGO 또한 역량의 한계가 있다. 이 연구는 환경NGO의 역량을 제한하는 자원의 부족, 전문성의 부족, 후원자의 영향력 및 봉사대상의 한계 등 네가지 요인에 관한 분석을 통하여 환경NGO가 사회적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조건과 여건을 분석하고 환경NGO와 정부와의 파트너십 관계의 형성가능성을 분석하고 있다. 특히 규범적으로 정부와 환경NGO는 어떠한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해야하는가, 정부와 환경NGO의 관계가 환경NGO의 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그리고 환경NGO의 자율적인 활동을 보장하는 정부와 환경NGO의 관계정립전략 등에 관하여 심도 있는 논의를 하고 있다. 본 보고서는 서론일 제 1 장을 포함하여 모두 6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장에서는 환경NGO의 개념과 특성 등 본격적인 분석을 위한 기본적인 개념에 관하여 약술하고 있다. 이미 여러 연구에서 논의된 것이기 때문에 간략하게 기술하고 있다. 제 3 장에서는 분석을 위한 이론적 모형을 이야기하고 있다. NGO의 생성과 역할에 관한 다양한 이론과 정부와 NGO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이론을 살펴본 후 Salamon의 NGO실패이론을 기반으로 이 연구에서 활용할 이론모형을 구성한다. 제 4 장에서는 이론모형을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새롭게 수집한 자료와 기존의 1,2차 자료를 활용하여 본격적인 분석을 하고 있다. 환경NGO와 정부간의 파트너십 형성의 가능성과 바람직한 관계정립을 위한 전략을 논의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제 6 장에서는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있다.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NGOs) are extending its social roles. Organized by the people who do not pursue benefits for their own, NGOs check the government of a state and the market, participate in public policy process, and help government produce public goods. They are now the major part of the modern state along with the government and the market. To understand the modem state correctly, we now need trichotomy of a state--the government, the market and the NGOs--instead of old, government-market dichotomy. We have a myth of voluntarism. It is a misbelief that real NGOs should be organized and run by the private using the resources mobilized by the private. It reflects the assumption that, due to the intrinsic differences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NGOs, the only possible and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NGOs is based on conflict and competition. No governments and NGOs work in vacuum. They interact constantly to solve social problems. The types of the relationship depend on various factors such as the nature of the problems in hand, social atmosphere, and the morality of the government. Still, we tend to suspect the motivation of the good working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NGOs. Our history provides us with ample evidence that supports the view. However, as many examples of the developed countries show, it is possible to develop sustainable, good working partner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NGOs to solve many social problems. This study evaluate the factors that prevent environmental NGOs from performing at their best. They are insufficiency of the resources, lack of specialty, influence of patron, and limited scope of service provision. We analyze these factors to find a way to build partner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NGOs. Special foci are on the normative government-NGO relationship, the effects of the relationship on environmental NGOs, and the strategies to secure NGOs` autonomy from the relationship. The report is composed of 6 chapters including the introductory Chapter 1. Chapter 2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NGOs and its social roles. Chapter 3 carries on the theoretical model for the analysis. Based on critical evaluation of several theories explaining NGOs formation and operation, we decided to conduct the analysis based on Salamon`s voluntary failure theory. Chapter 4 looks into the survey data and other second hand data to evaluate the status of environmental NGOs in terms of 4 criteria discussed in Chapter 4. Chapter 5 develops strategies for NGOs and the government. Strategies for NGOs deal with various ways to secure autonomy of its operation while those for the government includes programs to guarantee accountability. Final Chapter briefly summarizes the study.
이근주 한국인사행정학회 2022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21 No.4
This paper presents the major issues of govern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based on a relatively long-term prediction of the future society. The impacts of key environmental variables such as science and technology, low birth rate, aging society, and multi-cultural society were briefly discussed. Government needs to respond to those challenges effectively and strategically. The paper identified major government human resources management issues and discussed how to manage them. In conclusion, the importance for govern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to effectively respond to those issues based on a long-term perspective and direction was mentioned.
공사부문 종사자간의 동기요인의 차이 분석: PSM을 활용하여
이근주 한국행정연구원 2005 韓國行政硏究 Vol.14 No.2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공공부문과 사부문 종사자 사이에 존재하는 동기요인의 차이와 그 특징을 경험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PSM (Public Service Motivation) 개념을 활용하고 있다. Perry (1990, 1996, 1997)에 의하여 개념화 되고 조작화된 PSM은 민간부문 종사자와는 차별적인 공공부문 종사자 특유의 동기요인으로 정의된다. 이 연구는 PSM 개념 및 척도를 활용하여 한국적인 맥락에서 실제로 공무원 특유의 동기요인이 존재하는지 그리고 그 특징은 어떤 것인지에 대하여 경험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특히 Perry & Wise가 제시한 PSM 수준이 높은 사람들이 공공부문에 진출할 가능성이 높다는 가설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있다. 분석 결과 공공부문 종사자들이 민간부문 종사자들에 비하여 특징적으로 갖고 있는 동기요인이 존재하고 있으며 PSM은 공공부문에 참여한 이후 조직 내 사회화의 결과로 강화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