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대면 진료 및 치료를 위한 UX 디자인 기반 인공지능 헬스케어 로봇 시스템 개발 연구 -비대면 진료의 UX 디자인 개발을 중심으로-

        김지영,이병주,송지성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4

        2019년 12월 중국에서 최초 발견된 코로나 19가 전세계로 확산된 이후 모든 분야에서 바이러스 감염 방지와 격리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비대면(언택트)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비대면 서비스는 사회전반으로 확대되어 교육, 사회, 문화 등과 함께 의료 환경에 많은영향을 주고 있으며 특히, 감염 환경에 노출이 많은병원에 대한 비대면 진료에 대하 논의가 급부상 되고있다. 진료 또는 치료를 위해 병원을 내원 한 환자와의사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진료 할 수 있는 비대면진료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비대면 진료 및 치료를 위한 UX 디자인기반 인공지능 헬스케어 로봇 시스템 개발에 대한 연구로 공학대학, 디자인대학, 한양대학교 구리 병원의참여로 이루어진다. 연구기간은 2021년 6월부터 2024 년 5월까지 3년에 대한 연구이며, 본 논문은 1차 년도연구로 환자와 의사의 UX 디자인 기반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 개발을 중심으로 연구되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과 사례분석을 통하여 현재비대면 진료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고, 대학 병원의 이비인후과를 내원한 환자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후 비대면 진료에 대한 필요성 및 발전 가능성을탐색하고, 비대면 진료 및 치료를 위한 UX 디자인으로 여정 맵과 비대면 진료 및 치료를 위한 로봇시스템의 UX 디자인 개발 예상 프로토타입을 도출하였다. 기존의 비대면 진료 분야의 단일 기술에 집중하였다면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료진, 환자)의 경험을기반으로 한 UX 디자인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예약-내원-문진-진단-치료-처방까지 전 과정에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 UX 디자인 기반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 개발을 마련했다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비대면 진료 및 치료를 위한 UX 디자인 기반 인공지능헬스케어 로봇 시스템 개발 연구에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사용자 경험에 관한 UX 디자인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 KCI등재

        비대면수업의 학습효과와 강의만족도에 따른 연구

        김서연 대한산업경영학회 2021 산업융합연구 Vol.19 No.6

        교수자와 대학생의 학습효과 및 비대면 강의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2020년 10월 5일부터 10월 23일까지 J지역과 K지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348부 시행하였다. 통계프로그램은 SPSS win 22.o 을 이용하였다. 비대면수업 기대효익 중 시간적 기대효익은 3.69점, 학습효과 기대효익은 3.46점으로 나타났고, 기 술적 친숙도는 3.47점으로 나타났다. 비대면수업 강의만족도는 3.58점으로 나타났다. 비대면수업 강의만족도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습효과 기대효익, 대학 만족도, 기술적 친숙도, 시간적 기대효익, 다음 학기 희망하는 비대면 수업 과목 수이었다. 학습효과 기대효익이 높을수록, 대학 만족도가 높을수록, 기술적 친숙도가 높을수록, 시간적 기대효익이 높을수록, 다음 학기 희망하는 비대면수업 과목 수가 많을수록 비대면수업 강의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대면수업의 교수자와 대학생의 학습효과 및 강의만족도에 있어서 교수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the interaction between professors and university students and their satisfaction with non-face-to-face lectures. The subjects were 348 university student who attended from October 5 to October 23, 2020. The statistics program was SPSS win 22.o. Among the expected benefits of non-face-to-face classes, the temporal benefit was 3.69 points, the expected benefit of the learning effect was 3.46 points, and the technical familiarity was 3.47 points. Satisfaction with non-face-to-face classes was found to be 3.58 points.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lectures in non-face-to-face classes were expected benefits of learning effect, university satisfaction, technical familiarity, expected benefits over time, and the number of non-face-to-face classes desired for the next semester. Learning effect The higher the expected benefit, the higher the university satisfaction, the higher the technical familiarity, the higher the expected temporal benefit, the higher the number of non-face-to-face classes desired for the next semester,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 non-face-to-face class lectures.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role of the instructor was important 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structor and university students in the non-face-to-face class and the satisfaction of the lecture.

      • KCI등재

        보험소비자의 비대면채널 선택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곽민주,김민정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20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6 No.2

        보험가입 시 비대면채널은 대면채널에 비해 소비자의 보험료 부담을 경감시켜 소비자의 편익을 제고할 수 있으 며, 중․소형 보험회사의 차별적 마케팅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해 상품 에 대한 정보가 쉽게 공유되고, 디지털기기 사용에 익숙한 새로운 소비계층이 등장하면서 비대면채널의 이용 비 율이 증가하고 있지만 대면채널에 비해서는 여전히 미비한 수준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3년 이내에 보험에 가 입한 소비자 486명을 대상으로 판매채널별 소비자 특성 및 만족도를 살펴보기 위해 대면채널(340명, 70.0%) 집단과 비대면채널(146명, 30.0%) 집단으로 구분하여 보험가입시 채널 선택 결정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험가입 특성으로 대면채널 가입자는 상품경쟁력을, 비대면채 널 가입자는 비용(보험료)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매월 평균적으로 대면채널 가입자는 45만원, 비대면채널 가입자는 30만원을 보험료로 지불하고 있었다. 둘째, 보험소비자역량 중 대면채널 가입자는 위험관리에 대한 태 도 및 활용능력이, 비대면채널 가입자는 보험상품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았다. 셋째, 소비자만족도는 보험금 지급 서비스(대면채널 3.86점, 비대면채널 3.88점), 보험상품 및 보험회사의 신뢰성(대면채널 3.67점, 비대면채널 3.63점), 고객관리 및 부가서비스(대면채널 3.56점, 비대면채널 3.48점)의 순으로 나타나 고객관리 및 부가서 비스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판매채널에 따라 ‘상품설명서 및 약관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구비하고 있다’와 ‘고객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한다’라는 문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모두 대면채널 가 입자의 점수가 높았다. 넷째, 비대면채널 선택 결정 요인을 살펴본 결과, 배우자가 있는 경우, 보험상품을 가입하 는 동기가 아는 보험설계사의 권유가 아니라 위험관리나 자산 증식 수단인 경우, 정보수집 경로가 인터넷인 경 우, 매월 납부하고 있는 보험료가 적을수록, 보험소비자 기능 점수가 낮을수록 비대면채널을 선택할 확률이 높았 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보험소비자의 합리적 선택을 위해 비대면채널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마케 팅과 보험소비자역량 교육의 함의를 제공하였다. The advantages of non-face-to-face channels(NFFC) are that it can be used as a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y for small and medium-sized insurance companies and the convenience of consumers due to less of a premium burden compared to face-to-face channels(FFC).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nformation about products is easily shared, and as the number of consumers familiar with using digital devices increases, the use rate of NFFC is increasing, but it is still lower than FFC.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of consumers by sales channel were analyzed for 486 consumers who had insurance within the last three year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a characteristic of insurance purchase, users of FFC valued product competitiveness, and users of NFFC valued insurance premiums. Users of FFC were paying an average of 450,000 KRW per month, and users of NFFC were paying 300,000 KRW as insurance premiums. Second, according to an analysis of insurance consumer capacity, consumers using FFC had a high level of attitude and utilization capacity for risk management, and consumers using NFFC had a high level of knowledge of insurance product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customer satisfaction according to channels, insurance payment services ranked first (3.86 for FFC, 3.88 for NFFC), followed by the reliability of insurance products and insurance companies (3.67 for FFC, 3.63 for NFFC), and customer management and additional services (3.56 for FFC, 3.48 for NFFC) It was found that both FFC and NFFC require improvement in customer management and other services. Depending on the sales channe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atements such as “The company prepared product descriptions and terms to make the consumer easy to find,” and “The company is trying to protect customers' personal information,” and both scored high in FFC consumer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behind consumers' decision to use NFFC, it was found that if they have a spouse, when the motivation for signing up for insurance products is not the recommendation of an financial planner, if they collect information on the Internet, the lower the monthly premium paid, and the lower the score of insurance consumers' functions, the more likely they are to choose NFFC.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vided implications of marketing and insurance consumer competency education to promote the use of NFFC for rational choice of insurance consumers.

      • KCI등재후보

        예비 교원의 비대면 수업 역량 강화에 대한 소고

        신원정(Won Jeong Shin),김종연(Jong Yeon Kim)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21 한국교육논총 Vol.42 No.3

        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산으로 학생들의 학교 등교가 정지되거나 제한되면서 학교의 교실수업은 비상 비대면 수업으로 급격히 전환되었다. 이에 따라 교원들의 비대면 수업 역량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었으며, 특히 예비교원과 교원들에게 원격교육의 기능과 기법을 교육할 필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수업 역량 강화와 관련된 제반 사항들을 살펴보고, 비대면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비대면 수업의 준비와 진행 과정을 비대면 교육 내용의 선정, 비대면 교육 자료의 제작, 비대면 수업용 미디어 형성, 비대면 전달의 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에서 필요한 기술과 장비 등을 소개하였으며, 각 단계에서 필요한 기술적 측면, 수업 내용과 기술의 결합 측면, 기타 고려 사항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해당 모형을 적용하여 예비 교원들의 비대면 교육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수업 콘텐츠 사례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비대면 수업 콘텐츠에서의 저작권 문제, 수업 질 격차 해소, 비대면 수업을 위한 예비 교원 양성 시스템 구축 등과 같이 예비 교원 양성의 관점에서 비대면 수업에 대한 시사점과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COVID-19 pandemic has led to dramatic changes in school education. Classes were suspended or students were restricted from attending school, and classroom instruction shifted toward distance learning. Accordingly, teachers’ teaching abilities related to non-face-to-face education have become very important. In particular, there is a growing need for education on various non-contact methods for prospective and present teachers. Therefore, this study introduced the preparation and progress of non-face-to-face classes. It has five stages: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 production of educational materials, making of educational materials, media production for non-face-to-face classes, and non-face-to-face delivery. This study introduces the necessary technologies and equipment required for each stage. In addition, we provide a case class that can strengthen the capacity of non-face-to-face teaching of pre-teachers. In addition, we discuss topics such as bridging gaps in class quality, copyright issues, and preparing teacher training systems for non-face-to-face education.

      • KCI우수등재

        외식업체의 비대면서비스 사용성, 고객만족, e-Wom, 브랜드몰입 간의 구조관계 - 비대면서비스 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박지원,이형룡 한국관광학회 2021 관광학연구 Vol.45 No.4

        The trend of contact-free consumption is expected to continue into the future along with the COVID-19 pandemic, especially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This paper aims to fi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restaurant self-service usability, customer satisfaction, e-Wom, and brand commitment. The samples mainly targeted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d kiosk and mobile food ordering apps within the latest month in Korea. Hypotheses were test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service usability, its contribution to customer satisfaction and e-Wo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four factors of self-service usability (ease of use, accessibility, learnability, and scalability)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However, only two factors (accessibility and scalability)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e-Wom. Additional findings from this study demonstrate the role of moderating variables. The result implies that not only kiosk user’s satisfaction, but also mobile app user’s e-Wom is practically important and it has to be preceded by in order to expect customer’s brand commitment.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different marketing strategies will be needed for customers’ self-service adoption and successful experience with usability. This study draws scholarly interest by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about which of self-service usability’s factor should be preceded by strengthening high levels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e-Wom.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oposes practical implications on how to carry the customer’s brand commitment out effectively by using self-service, and suggests operational decision making tips for considering self-service marketing strategies especially in food service industry. 코로나19 팬데믹과 더불어 외식업의 비대면서비스 문화는 일상의 문화로 자리매김할 것이 예상된다. 비대면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이후 나타나는 고객의 반응은 비대면서비스를 사용할 때의 경험으로부터 시작되므로 비대면서비스 사용성을 통해 고객의 태도를 검증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이다. 이에 이 연구는 최근 1개월 이내 외식업체의 비대면서비스(예: 키오스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등)를 이용하여 주문과 결제를 직접 진행한 경험이 있는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비대면서비스 사용성, 고객만족, e-Wom, 그리고 브랜드몰입에 간의 구조관계를 확인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빈도분석, 확인적요인분석, 구조모형분석, 다중집단분석 등을 진행하였으며, 고객만족과 e-Wom에 영향을 미치는 비대면서비스 사용성 요인을 밝히고 각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비대면서비스 사용성의 모든 요인(사용용이성, 접근성, 학습성, 확장성)은 고객만족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대면서비스 사용성의 두 개 요인(접근성, 확장성)만이 e-Wom에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추가로 비대면서비스 유형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키오스크 사용자 집단일수록 고객만족을 통한 브랜드몰입의 형성이 중요했고, 모바일 어플 사용자 집단일수록 e-Wom을 통한 브랜드몰입의 형성이 중요하였다. 종합하면 이 연구의 결과는 외식업체 비대면서비스 사용성 요인 중 어떤 요인을 강화하였을 때 고객만족과 e-Wom의 높은 수준을 기대할 수 있는지 확인함으로써 고객의 태도 및 행동과 관련된 학문적 관심을 제고하였으며, 외식기업이 고객만족과 e-Wom을 위한 전략을 수립할 때 실무적으로 살펴야 하는 요인이 다를 수 있음을 밝혔다.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비대면서비스 유형의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의사결정 및 마케팅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효과적인 비대면 로봇 진료를 위한 환자 중심의 UX 접근 방법에 관한 연구 -이비인후과 내시경 진료 경험을 중심으로-

        송동원,송지성,이병주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9 No.3

        COVID-19를 경험하고 감염병 확산에 대한 우려가깊어지면서 새로운 시대적 요구사항으로 비대면 진료에 대한 관심과 함께 국내외 다양한 비대면 진료 로봇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비대면 진료 로봇의 동작 시스템에 집중되어 로봇의 구동과 활용에 관한 연구만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다. 로봇에게 진료를받고 로봇으로 진료를 하게 될 환자와 의료진, 즉 인간중심의 로봇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논문은 국내외 로봇 진료 사례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다학제적 과제로 진행 중인 이비인후과 비대면 로봇 진료 시나리오 중에서 진료 로봇과 환자의HRI를 범위로 환자의 로봇 진료 경험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과 함께 인터랙션 시스템들의 구성과 설계를 명확히 제시하여 환자중심의UX를 개발하고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진행은 첫째, 선행연구와 문헌을 통해 비대면 로봇 진료의 환자-진료 로봇 인터랙션(HRI)과 생리적 반응을통한 사용자 경험 변화를 이해한다. 둘째, 이비인후과로봇 진료 여정을 바탕으로 진료 과정 단계별 심박변이도를 측정하고 분석하여 비대면 로봇 진료에서의환자 진료 경험을 확인한다. 셋째, 환자 중심 비대면로봇 진료 인터랙션 시스템을 설계하여 환자 중심 비대면 로봇 진료 UX 구조와 하드웨어, 시각 정보를 제시한다. 넷째, 후속적인 연구가 진행될 수 있도록 임상시험용 비대면 로봇 진료 구조 시스템을 제시한다. 이번 연구를 통해 비대면 진료의 로봇 기술과 더불어 환자의 입장에서 환자 중심의 비대면 로봇 진료경험의 개선을 위한 시스템을 제안하고 이를 현실화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연구의 가치를 찾을 수 있다. 이는 진료 로봇의 외형적 디자인과 더불어 환자가 진료를 받는 동안 활용할 수있는 환자 중심의 UI, 의료진이 진료 로봇을 조작하기 위한 진료적 UI 디자인 개발에도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한다. 모든 기술은 사람 즉, 사용자 중심으로개발되어야 한다. 다양한 방면으로 개발될 비대면 로봇 진료 기술 논의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에서 환자 중심의 비대면 로봇 진료 경험 개선을 고찰한 연구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As the experience of COVID-19 and concerns abou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deepen, research on various non-face-to-face treatment robots is being conducted at home and abroad along with interest in non-face-to-face treatment as a new requirement of the era. However, there are various studies on the operation and utilization of robots, focusing on the motion system of non-face-to-face medical robots.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human-centered robots, that is, patients and medical staff who will be treated by robots and treated by robots. In this paper, based on domestic and foreign robot treatment cases and preceding studies, specific measures that can positively affect the patient’s robot treatment experience within the scope of the HRI of the patient and the treatment robot among the ENT non-face-to-face robot treatment scenarios that are ongoing as multidisciplinary tas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propose patient-centered UX by clearly presenting the configuration and design of interaction systems. The research progress is first, to understand the patient-care robot interaction (HRI) of non-face-to-face robot treatment and the change in user experience through physiological responses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Second, based on the otolaryngology robot treatment journey, the patient’s treatment experience in non-face-to-face robot treatment is confirmed by measuring and analyzing the heart rate variability at each stage of the treatment process. Third, by designing a patientcentered non-face-to-face robot treatment interaction system, the patient-centered non-face-to-face robot treatment UX structure, hardware, and visual information are presented. Fourth, a non-face-to-face robot treatment rescue system for clinical trials is presented so that follow-up research can proceed. Through this study, along with robot technology for non-face-to-face treatment, the value of the study can be found by proposing a system for improving the patient-centered non-face-to-face robot treatment experience from the patient’s point of view, and presenting specific plans to realize it. . In addition to the external design of the medical robot, this is expected to help develop a patient-centered UI that can be used by patients during treatment and a medical UI design for medical staff to operate the medical robot. All technologies must be developed with people in mind, that is, users. It is hoped that research that considers the improvement of patient-centered non-face-to-face robot treatment experience will be helpful in discussing non-face-to-face robot treatment technology to be developed in various fields and developing user interfaces.

      • KCI등재

        서비스 생태시스템 관점에서의 비대면서비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조호현 ( Hohyeon Cho ) 한국항공경영학회 2021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9 No.1

        최근 COVID-19의 영향으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비대면서비스는 포스트코로나 시대에서도 뉴노멀로 자리잡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비대면서비스 확산을 단편적인 시대적 유행이라기보다는 서비스 패러다임 전환의 징후로서 이해하고 비대면 현상의 본질과 영향의 분석을 통한 향후 서비스 연구의 흐름을 가늠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비대면서비스를 COVID-19 등 환경적 요인과 4차 산업혁명의 급속한 기술 변화 영향에 의한 새로운 서비스의 등장이라는 시각에서 벗어나, 최근 사회과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하고 있는 ‘물질적 전환’이라는 흐름에 기초한 서비스 생태시스템의 재구성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대면서비스를 대면서비스를 대체하거나 보완하는 대립적 개념으로 보기보다는, 인간-인간 상호작용 중심의 대면서비스와 동등한 수준에서 인간-비인간 또는 비인간 간 복수행위자들의 동태적ㆍ관계적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즉 행위자-네트워크 아상블라주의 구성요소로 개념화함으로써 서비스 생태시스템의 관점에서 비대면서비스에 대한 포괄적인 이론적 접근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항공서비스에서의 부분적인 비대면서비스 도입현황과 함께 비대면서비스를 가능케 하는 인지기술을 중심으로 한 기술진보 현황을 살펴보고, 이러한 현상을 종합할 수 있는 비대면서비스를 포괄하는 서비스 생태시스템 관점을 설명한다. 지금까지 서비스 연구는 서비스 기업 또는 종업원과 소비자 간의 인간 중심 상호작용에만 초점을 맞추어 왔으나, 비대면서비스의 비인간 요소들을 행위능력을 갖는 서비스 시스템 구성요소로 인정함으로써 서비스 생태시스템 개념을 보다 포괄적인 인간과 비인간의 아상블라주로 확장하여 서비스 연구의 새로운 전환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서비스를 서비스 삼각형의 한 요소로 끼워넣는 기존의 미시적ㆍ기술결정론적 관점과 비인간 요소를 행위능력을 갖는 하나의 행위자로 간주하는 행위자-네트워크 아상블라주를 비교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의 배경이 되는 행위자-네트워크 및 아상블라주 개념은 서비스 연구에서는 다소 생소한 개념이지만 사회과학의 다른 분야에서는 최근 활발히 논의되고 있으며, 서비스 연구에서도 뉴노멀이 되고 있는 비대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이러한 개념을 적극적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비대면서비스를 인간 행위자와 비인간 행위자를 위치나 행위능력 측면을 동등한 입장에서 다루는 행위자-네트워크, 아상블라주 등 신유물론적 시각을 통해 개념화한다. 그리고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의 번역 개념을 기초로, 비대면서비스 확산과정을 서비스 생태시스템의 중심행위자인 서비스 기업이 비대면서비스를 관여시키는 새로운 행위자-네트워크 아상블라주의 형성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서비스 기업의 입장에서 뉴노멀이 되고 있는 비대면서비스는 이제 자동화, 비용절감 등 부분적인 경쟁우위 요소로서가 아니라 새로운 비인간 행위자의 적극적 관여를 통한 새로운 서비스 생태시스템 구축을 위한 전략수단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The non-face-to-face service, which is rapidly spreading due to the recent COVID-19, is expected to become a new normal even in the post-corona er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pread of non-face-to-face service as a symptom of a service paradigm shift rather than a fragmentary trend, and to grasp the flow of future service research through analysis of the nature and impact of the non-face-to-face phenomena. This study aims to move the non-face-to-face service from the viewpoint of the emergence of new service due to the impacts of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COVID-19 and rapid technological change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o approach it from the perspective of reconstruction of service ecosystem based on the so-called ‘material turn’ flow, which is emerging as a new paradigm in social science. Also, this study does not consider non-face-to-face service as a confrontational concept that replaces or supplements face-to-face service, but rather, conceptualizes it as a constituent element of assemblage including the dynamic and relational interactions between human-non-human or multiple non-human actors on the same level as human-human interaction-centered face-to-face services, and in doing so, seeks a comprehensive theoretical approach to non-face-to-face servi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ervice ecosystem. Accordingly, we look at the current status of introduction of partial non-face-to-face service in aviation services, as well as the technological progress centered on cognitive technologies that enable non-face-toface service, and then explain the service ecosystem perspective that encompasses non-face-to-face service that can synthesize these phenomena. Service research so far has focused only on human interactions centered on service companies or employees and consumers, but by acknowledging the non-human elements of nonface- to-face service as service system components with agency, the concept of the service ecosystem can be extended to a more comprehensive assemblage of human and non-human actors to seek a new transformation of the service research. In this study, we are going to compare the existing micro-technolgy deterministic viewpoints that incorporate non-face-to-face service as an element of service triangle to an actor-network assemblage that considers nonhuman elements as an actor with agency. The concepts of actor-network or assemblage, which are the background of these discussions, are somewhat unfamiliar in service research, are being actively discussed in other fields of social science recently, and so it will be necessary to actively introduce these concepts in service research as well to explain new normal non-face-to-face phenomena. This study conceptualizes non-face-to-face service from the new-materialistic perspectives such as actorsnetwork and assemblage that treat human actors and non-human actors equally in terms of their location and agency. And, based on the ‘translation’ concept of the actor-network theory, the process of spreading non-face-to-face service is explained as the formation of a new actor-network assemblage, in which service companies, the central actors of the service ecosystem, engage non-face-to-face service. Therefore, from the standpoint of service companies, non-face-to-face service, which is becoming a new normal, should be understood as a strategic means for building a new service ecosystem through active involvement of new non-human actors, not as partial competitive advantage elements such as automation and cost reduction.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소방공무원의 비대면 실시간 교육에 관한 의식조사연구

        박진찬,백민호 한국재난정보학회 2021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7 No.4

        연구목적: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 펜데믹으로 인해 모든 교육기관은 전면 비대면 실시간 교육 을 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하였고 이에 소방공무원에게도 비대면교육을 적용하여 소방교육을 운영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펜데믹 상황에서 중앙소방학교가 소방공무원에게 실시한 비대면 실시간 교육에 대한 실 태조사를 통해 비대면 실시간 교육의 방향을 찾고 개선방안을 제시 하려한다. 연구방법: 소방공무원을 대상 으로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의 질적 향상 및 전문화를 위한 의식조사’ 라는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심층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 첫째, 교수자 혹은 교육운영자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교육특성에 맞는 원격교육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비대면 교육을 위한 전용노 트북을 제공하여 모든 학습자들이 교육 참여에 어려움 없는 교육환경을 제공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소방공무 원 교육훈련 특성상 장비 활용이 필요한 교육훈련의 경우에는 각 소방서에 교육 장비를 배치하여 비대면 실습교육 장소로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넷째, 실습교육은 이론교육으로 대처하는 것은 만족스러운 교육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그렇기에 비대면 실 시간 실습교육이 가능한 시설과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져야한다. 그러한 비대면 실습교육이 가능해지기 전까지는 사회적 거리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대면교육을 적절하게 병행하는 것도 고려해볼만 하다. 다섯째, 비대면 교육은컴퓨터 화면의 불빛과 전자파로 인하여 눈의 피로도가 높고 시간이 흐 를수록 집중도가 많이 떨어진다는 의견으로 보아 적절한 수업시간과 휴식시간을 통해 학습자의 눈의 피로를 줄이고 집중력을 높일 수 있는 교육시 간을 구성해야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교수자는 일방적인 지식전달을 하는 교육보다는 교수자와 학습자가 상호작용할 수 있는 학습자 참여 중 심의 교육을 운영해야할 필요가 있다. 또한 비대면 원격교육 기술적인 문제는 사전시스템 점검을 통해 교육에 차질이 없도록 철저한 준비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Due to the coronavirus infection-19 (COVID) pendemics, all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required to provide full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and fire officials were required to provide fire-fighting education by applying non-face-to-face education. In this difficult situation, the National Fire Service Academy tries to find the direction of the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and suggest ways to improve it through a survey of the status of non-face-to-face real-time education conducted by the NFSA to fire officials.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on fire officials under the theme of “Consciousness Survey for Improving the Quality and Specialization of Non-face-to-face Real-Time Remote Education” and an in-depth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Result & Conclusion: First, professors or educational operators shall actively utilize remote education programs suitable for educational characteristics by utilizing various programs. Second, a dedicated notebook for non-face-to-face training should be provided to provide an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 all learners can participate in the training without difficulty. Third, in the case of education and training that requires the use of equipment due to the nature of fire officials' education and training,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t as a non-face-to-face training place by arranging educational equipment at each fire station. Fourth, it is hard to expect a satisfactory educational effect to cope with practical education with theoretical education. Therefore, facilities and programs that enable non-face-to-face real-time hands-on training should be developed. It is worth considering the proper combination of face-to-face education while maintaining the social distance as much as possible until such non-face-to-face training is possible. Fifth, non-face-to-face education is considered to have high eye fatigue due to the light and electromagnetic waves of the computer screen, and as time goes by, the concentration level decreas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rm an education time to reduce the eye fatigue of learners and increase concentration through proper class and rest time. Finally, professors should operate a learner participation-oriented education that allows professors and learners to interact rather than one-sided knowledge transfer education. In addition, technical problems of non-face-to-face remote education should be thoroughly prepared through preliminary system checks to ensure that education is not disrupted.

      • KCI등재

        이론 및 실습, 대면 및 비대면 교육 방식이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에 미치는 효과 차이 연구: 코로나 펜데믹 상황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박미정,이철규,황보윤 한국벤처창업학회 2024 벤처창업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코로나 펜데믹 상황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론교육과 실습교육, 대면교육과 비대면교육으로 구분하여 교육 방식에 따라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에 미치는 효과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기존연구의 대상과 달리 전면 비대면 강의를 경험한 대학생들의 기업가정신 교육효과가 높은 강좌 운영형태를 도출하고, 기업가정신교육의 효과를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충청도 소재 종합대학의 재학생 552명을 대상으로 기업가정신 교육을 시행하고 표본을 이론교육과 실습교육, 대면교육과 비대면 교육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이원 반복측정 ANOVA를 실시하여 교육 전·후 시점에 따라 기업가정신 교육 강좌 운영형태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이론 및 실습교육의 교육 전·후 기업가정신 교육의 효과 차이는 유의적으로 나타났으며, 교육 후 이론교육보다 실습교육의 기업가정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의지의 교육 전후 차이 검증에서는 실습교육에서만 효과 차이가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 전·후 시점 차이에 따라 이론-실습의 강좌 운영형태의 반복측정 ANOVA 분석 결과는 교육 시점에 따라 이론-실습 강좌의 기업가정신 효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면 및 비대면교육에 따른 기업가정신 교육의 효과 차이는 유의적으로 나타났고, 창업의지에서 비대면 교육의 효과만 교육 전·후 차이가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육 전·후 시점 차이에 따라 대면-비대면 강좌 운영형태의 반복측정 ANOVA 분석 결과는 교육 시점에 따라 대면-비대면의 기업가정신의 효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의지 효과는 비대면교육에서만 교육전·후 차이가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대학생의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대상이 적극적으로 창업과 관계된 활동에 참여하는 실습수업의 양적확대가 필요하다. 또한 창업의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메타버스 공간을 활용하여 수강생 각자의 역할 비중이 높은 비대면 교육 방식이 창업의지 효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 KCI등재

        대면/비대면 수업을 이용한 영어작문 교육의 효과

        박미숙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23 지식과 교양 Vol.- No.11

        본 연구는 코로나전염병의 세계적 확산으로 인해 실행했던 비대면수업과 현재의 대면수업을 통해 영어작문 지도가 학생들에게 얼마나 효과적으로 시행되었는지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영어전공자를 대상으로 하는 영어작문 전공수업에서 실제로 실시한 대면/비대면 수업의 효과를 기반으로 학생들의 작문능력 향상과 효과적인 첨삭지도가 대면과 비대면 수업형태에서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루어졌는지 분석하였다. 두 수업형태에서 학습자가 느끼는 학습효과와 교수자가 분석한 교육적 효과를 고려할 때 통제작문, 유도작문을 주로 다루었던 비대면수업에서는 학습자 개인별로 즉각적인 수정지도가 잘 이루어졌으며 자유작문과 그룹워크 활동은 대면수업에서 효과적으로 이루어졌다는 결과를 얻었다. 결론적으로 대면/비대면 수업을 적절히 활용하는 교수자의 지도전략이 영어글쓰기 지도의 교육적 효과를 향상시키는데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것은 앞으로 비대면수업 형태를 통해서도 작문지도는 어느정도 효과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는데 기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