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고전문학에 나타난 불륜의 사랑

        조혜란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6 일본학연구 Vol.49 No.-

        본고의 관심은 조선시대 소설에 나타난 불륜의 양상 및 그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조선시대에 사용된 ‘불륜(不倫)’의 용례를 살피고 당대의 법 제도 및 사회적 통념, 관습에 근거하여 협의의 불륜, 간통에 해당하는 경우를 고찰하였다. 조선시대 소설에는 남녀의 애정을 다룬 작품들이 매우 많으나 남녀 주인공들이 불륜 관계에서 애정을 키워나가는 경우는 찾아보기 어렵다. 조선시대 소설에서 불륜, 여성의 간통 사건이 등장하는 대표적 작품으로는 김만중(金萬重)의 <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를 들 수 있다. 이 작품에 등장하는 간부(奸婦) 교채란은 가부장제 혈통의 순수성을 위협하였기에 악인형 여성 인물의 전형이 되었다. 여성의 성적 욕망, 여성이 자신이 원하는 남성을 선택하여 주도권을 발휘하는 것 등은 여전히 여성형 악인의 표지로 작동하지만 18세기가 지나면서 <천수석(泉水石)>, <임씨삼대록(林氏三代錄)> 등의 국문장편소설에서는 여성의 불륜을 서술하는 태도에 변화가 생기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해당 여성 인물에게 결혼이란 대를 잇기 위한 행위보다는 남편과 친밀감을 나누기 위한 것이었으며, 이 같은 필요가 충족되지 않았을 때 불륜을 저지르는 것으로 그려졌다. 여성의 불륜에 대한 서술 태도가 확연하게 달라지는 경우는 19세기 한문소설인 <절화기담(折花奇談)>, <포의교집(布衣交集)>에서 볼 수 있다. 두 작품의 서술자는 불륜을 주도적으로 소화하는 여성 주인공들을 그려내고, 그녀들의 불륜 이유에는 남편도 포함된다는 것을 명확하게 서술한다. 그녀들은 더 이상 악녀의 전형이 아니다. <절화기담>과 <포의교집>은 19세기 조선의 유교 사회가 여성의 불륜을 재현해 내는 한 가지 방식을 보여준다. 불륜을 행한 여성들이 그로 인한 징치를 당하지 않고 삶을 이어간다는 두 작품의 결구는 하층 여성의 성(性)에 대한, 또 금기, 도덕률에 대한 당대인들의 인식의 한 면을 보여준다.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extramarital relationships are described in novels from Joseon dynasty’s and its meaning. Before analysis, various examples of the immoral relationship in documents have been examined from a broad-sense to a narrow-sense, based on the law, system, and customs of that time. Many of Joseon novels are about love stories, but there are rare cases of the extramarital relationship. Even so, those cases are notable. The extramarital relationship described in SassinamJeongki of Kim Man-jung, is a prime example. An immoral female character, Kyo Chae-ran, becomes a typical malefactress model because she threatens purity of patriarchal blood. In this way, female character’s sexual desire and her initiative to choose the man have labeled her ‘immoral’. However, passing through the 18th century, the description on extramarital relationships begin to shift. For female characters in Cheonsuseok and Imssisamdaerok, the marriage means sharing intimacy for a female, rather than merely perpetuating a family line. Therefore, they do have extramarital relationships only when their emotional needs are not satisfied. In contrast to the past two centuries, the 19th century adopts a different view of extramarital relationships. As narrators in Jeolhwakidam and Poyikyojip portraits heroins who actively lead the extramarital relationship, they claim that such immoral relationship is partly due to the husband’s fault. They are neither typical malefactress models. Both stories end up without any punishments for such adultery, and the female characters’ lives just go on. This ending shows one aspect of people’s thought of taboos, moral laws, and the sex of lower class women at that time. In this way, Jeolhwakidam and Poyikyojip show one way of representing woman’s extramarital relationships in the 19th century Joseon’s confucian culture.

      • KCI등재

        1990년대 중반 이후 텔레비전드라마가 ‘불륜’을 전유한 방식과 그 의미―<애인>, <거짓말>, <내 남자의 여자>, <밀회>를 중심으로

        백경선 한국극예술학회 2020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68

        This study tried to look at the way of appropriating extramarital affairs which based on the genre of mini-series- romance and melodramas <Aein>, <Geojeenmal>, <Nae Namjaeui Yeoja>, <Milhoe>, that has been actively summoned and captured in a new way since the mid-1990s. In addition, I would like to consider the discourse created by the drama through the affair. The aim was to get rid of unconditional (negative) prejudice against an affair drama and to reconsider the value of the drama itself. The key point is, in order to look at the way of appropriating extramarital affairs, to look at the device of dramatic tolerance that was able to escape from criticism and attack by freeing itself from the morality and ethics of the drama while dealing with the problematic subject matter of affair.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four dramas were romance-melodramas that focused on the subject of the affair and approached it with love. Accordingly, the affair is described as a romantic life than a realistic one. Although the romance-melodrama didn’t reflect reality, these dramas gained emotional sympathy from viewers. The emotional empathy was granted through the motivation and story, character setting by breaking the boundary of good and evil, and natural narrative development by delicate inner portrayals. In addition, it suggests a matter of reason instead of using the affair as a stimulating materials, so it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the genre of romance-melodramas in the form of miniseries. 이 논문은 1990년대 중반 이후 불륜 소재를 적극적으로 소환하여 새로운 방식으로 담아낸 미니시리즈 형식의 로맨스-멜로드라마 <애인>, <거짓말>, <내 남자의 여자>, <밀회> 등을 중심으로 텔레비전드라마가 불륜이란 소재의 관습과 상투성을 넘어 그것을 전유하는 방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불륜을 활용하여 드라마가 생성한 담론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불륜 소재 드라마에 대한 무조건적이고 부정적인 편견을 지양하고 드라마 자체의 가치에 대해 재고하는 것이 본고의 목표이다. 로맨스-멜로드라마인 네 드라마는 불륜을 사랑과 등가로 보면서 낭만적으로 묘사하였다. 불륜이라는 문제적 소재를 사랑으로 다루면서도 드라마의 도덕성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었던 이유, 즉 도덕적 비난과 비판에서 벗어날 수 있었던 드라마적 관용의 장치를 살펴보는 것이 분석의 핵심이다. 분석 결과, 네 드라마는 불륜 주체에 초점을 맞추고 그들에게 동기와 사연을 세밀하게 부여하면서 선악의 경계를 초월하여 캐릭터를 설정하고, 섬세한 내면 묘사(마음의 플롯)를 통해 서사를 전개하였다. 이로써 이들 드라마는 비록 로맨스-멜로드라마의 자장 안에서 현실을 담아내지는 못하였지만, 시청자의 정서적 공감을 얻어내는 데 성공하였다. 또한 불륜을 자극적인 소재로 소비하지 않고 그것을 활용해 사유의 문제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불륜 소재 드라마의 진화에 기여하였다고 볼 수 있다. 텔레비전드라마에서 불륜 소재는 반복해서 소환될 것이며, 변화를 거듭할 것이며, 끊임없이 논쟁거리가 될 것이다. 불륜 소재에 대한 편견, 그로 인한 불륜 소재 드라마에 대한 일괄적인 평가를 지양하고 드라마 각각에 대한 차별적이고 객관적인 비판을 하는 데 이 논문이 일조하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자기 윤리의 서사로서 <포의교집(布衣交集)> 불륜 서사의 존재 양상과 현재적 의미 -근현대 불륜 서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정상원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3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99 No.-

        이 논고는 근현대 불륜 서사와의 비교를 통해 자기 윤리의 서사로서 <포의교집> 불륜 서사의 존재 양상과 현재적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작품은 하층 유부녀임에도 포의지교라는 유가들의 이상적인 만남의 방식을 숭상하고 이를 실현하기를 희망하는 초옥의 적극적인 불륜을 다룬다. 불륜 서사는 시공간을 초월하여 다종다양하게 존재하지만, 한국 고전문학사에서 초옥처럼 독특한 인물은 드물기에 그동안 탈중세성 또는 근현대성 담론과 관련하여 논의될 수 있는 특징적인 면모와 의미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된 바 있다. 하지만 선행 논의는 대부분 이전 시대의 고전 서사문학 작품과 비교함으로써 <포의교집>이 갖는 특성을 규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왔기에 탈중세적이거나 근현대적인 면모를 발견하고 주장하면서도 그 구체적인 근거를 중세적인 인물이나 사상과의 차이로부터 제시할 수밖에 없었다. 때문에 논의가 다소 일면적이고 추상적인 수준에서 마무리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개화기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각 시대를 대표할만한 불륜 서사인 이광수의 <재생>과 <그 여자의 일생>, 박경리의 <표류도>, 정연희의 <고죄> 및 <비를 기다리는 달팽이>, 전경린의 <내 생애 꼭 하루뿐일 특별한 날>과의 비교 고찰을 통해 기존의 논의를 보완하고자 했다. 한편 초옥은 시종일관 자신이 발 딛고 있는 세계의 윤리가 아니라 자신이 스스로 기획한 윤리에 의해서만 행동한다. 이처럼 초옥이 자기 진정성에 기반을 둔 윤리를 구현하는 인물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본고는 <포의교집>의 불륜 서사를 자기 윤리의 서사로 규정하고 논의를 전개했다. 구체적으로는 불륜의 원인과 과정의 두 측면으로 나누어 자기 윤리가 구현되는 <포의교집> 불륜 서사의 존재 양상을 살피고, 이 작품이 갖는 현재적 의미를 자기 윤리에 관한 사유 실험의 장 및 독단성 구현과 미성숙의 서사의 두 측면에서 다루었다. 본고의 작업을 통해 <포의교집>의 연구사가 두터워질 뿐만 아니라 나아가 조선 후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 불륜 서사의 역사적 전변에 관한 연구에도 작은 보탬이 되기를 소망한다. 또한 비록 간통죄가 폐지된 이후 불륜의 문제가 사적 영역으로 전환되었지만, 불륜서사는 우리가 이 시대와 사회에서 지키고 떨쳐내야 할 바에 관한 물음을 던지게 함으로써 삶의 의미와 맥락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바, 본고의 논의가 지금-여기의 좋은 삶을 모색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할 수 있기를 기원한다.

      • KCI등재

        성적 사회화를 담은 TV 드라마 콘텐츠에 대한 문제의식 고찰 - 불륜 콘텐츠와 기혼 남녀를 중심으로 -

        이희진(Hee-Jin Lee)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1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5 No.8

        본 연구는 탈관습적인 ‘불륜’을 주제로 하는 불륜 드라마의 공급과 소비의 증가에 주목하면서, 기혼남녀의 성적 사회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불륜 드라마에 대한 기혼 남녀의 문제의식과 관련요인을 밝힌 실증연구이다. 본 연구는 기혼 남녀의 ‘불륜 드라마 비판의식 유무’에 부부간 성적 자기결정권, 개인심리특성(정서적 성숙, 정서적 소외감, 자기지각), 주변의 환경적 특성(혼외관계 만연성), 그리고 인구사회학적 배경(성별, 연령, 학력, 경제수준) 등을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기혼남녀(614명)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를, SPSS를 이용하여 이항 로지스틱 분석(binary logistic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밝혀진 내용은, 첫째, 불륜 드라마에 대해 비교적 양호한 수준의 비판의식을 가진 기혼 남녀는 46%이며, 전반적으로 불륜 드라마에 대한 기혼 남녀의 비판의식 수준은 다소 저조한 편이다. 둘째, ‘지나친 불륜미화’, ‘불륜(외도)를 부추김’, ‘가정의 가치훼손’등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에서는 성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노골적 성적묘사’에 관해서는 남성보다 여성이 훨씬 비판적인 성별특성에 따른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셋째, 기혼 남성들은 ‘자기지각’과 ‘부부간 성적 자기결정권’이, 기혼 여성의 경우에는 ‘부부간 성적 자기결정권’ 과 ‘정서적 소외’가 각각 불륜 드라마 비판의식 유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increasing supply and consumption of affair dramas on TV with the theme of unconventional ‘infidelity’, therefore, is an empirical study that reveals factors related to the problem consciousness of married men and women about infidelity dramas that can affect the sexual socialization of married men and wome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married men and women"s right to sexual self-determination between couples, person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emotional maturity, emotional alienation, self-perception), surrounding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prevalence of extramarital relationships), and demographic background (gender, age, educational background, economic level)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critical consciousness of infidelity dramas". For the data of this study, an online survey is conducted on married men and women(614 people), and binary logistic analysis is conducted using SPS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first, 46% of married men and women have a relatively good level of critical awareness of affair dramas, and overall, the level of critical thinking of married men and women about the infidelity dramas is rather low. Seco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s in the perception of problems such as ‘excessive beautification of infidelity’, ‘incitement of infidelity’ and ‘damage of family values’, however, married women are more critical than married men regarding ‘explicit sexual description’, indicating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characteristics. Third, for married men, the level of ‘self-perception’ and ‘marital sexual self-determination righ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ritical mind with infidelity dramas. In the case of married women, it is found that ‘the right to sexual self-determination’ between married couples and ‘emotional alienatio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critical consciousness of infidelity dramas’.

      • KCI등재

        도스토예프스키의 『영원한 남편』에 나타난 상보적 의식의 테마

        백준현(Baik Joon Hyeon) 한국노어노문학회 2009 노어노문학 Vol.21 No.4

        본 논문의 주요 목표는 불륜(不倫)이라는 통속적 소재를 통해 인간 내면의식의 문제를 파헤쳐 보고자 했던 도스토예프스키(Ф. М. Достоевский)의 『영원한 남편(Вечныймуж)』의 궁극적 주제를 연구하는 것이다. 아내에 의해 배신당한 한 남성과 그녀의 정부였던 다른 남성 간의 갈등을 주요 구조로 하고 있는 이 작품은 상대적으로 별다른 주목을 받아오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현상의 근저에는, 불륜의 테마를 정면으로 다룬다는 특이성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다루는 과정에서 두 남성 인물 간의 갈등을 넘어서는 더 심오한 주제 의식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일반적 시각이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 시각에는 불륜이라는 표층 주제에 가로막혀 이 작품이 가지는 심층적인 예술적 완성도를 간과해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 작품의 완성도는 높은 평가를 받아온 외면적 형식과 아울러 ‘불륜과 관련된 갈등’을 단지 통속적 소재로서가 아니라, 인간의식 세계의 복잡한 상호 작용을 설명할 수 있는 틀로 훌륭하게 형상화한 것에서도 나타난다. 이 작품의 두 남성 인물들의 복잡한 심리 세계에는 『지하생활자의 수기(Запискииз подполья)』에서 출발한 도스토예프스키 인간 의식에 대한 관심이 그대로 담겨 있으며 그러한 모순적 내면세계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상보적(相補的) 의식으로 재형성되는 지가 본 논문을 통해 필자가 궁극적으로 규명해 내고자 하는 목표이다. 이 작품의 두 남자 주인공인 뜨루소쓰키(Трусоцкий)와 벨차니노프(Вельчанинов)가 빚어내는 갈등은 단순히 불륜을 사이에 둔 통속적 갈등이 아니라 왜곡된 의식세계를 가진 그들의 모습에서 더 큰 원인을 찾아볼 수 있다. 모순적 내면세계를 가진 두 남성이 자기가면을 쓴 상태에서 빚어내는 상황들은 그들을 더욱 상극적인 위치에 놓이게 만들고 이로 인해 그들의 화해는 일견 요원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도스토예프스키는 두 남성의 병적인 내면세계와 그로 인한 그들 간의 갈등을 그것을 극복하는 상호 이해의 장으로까지 연결시킴으로써 『지하생활자의 수기』에서 그려졌던 인간 내면의 문제를 좀 더 진지하게 접근해 보는 데 성공한다. 병적인 내면세계를 지녔던 두 남성이 상보적 인식과 상호 이해의 장으로 들어오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딸 리자의 모습은 까쩨리나가 보였던 부정적인 여성상을 단숨에 극복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불륜의 씨앗이었던 그녀가 오히려 두 아버지 남성을 구원하게 되는 구조에서 우리는 불륜 주제가 작품의 깊이를 떨어뜨린다는 피상적 시각을 거부할 수 있는 본질적인 근거를 찾을 수 있다. 이 작품에서 도스토예프스키가 통속적 주제인 ‘불륜으로 인한 갈등’을 상정했던 것은 인간이 처한 가장 비속한 상황 속에서도 왜곡된 정신의 극복과 그것을 통한 상호 화합이 가능한가를 묻고자 했던 그의 진솔한 태도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The main goal of this paper is to pursue the main idea of 『The Eternal Husband』 by F. M. Dostoevsky which is based on the conflicts between two man characters having adultery affair. Many critics have focused on this work on the problem of what had been called ‘failured work’ which is, they consider, provoked in relation to the bulgar theme of adultery. But a close reading of this work reveals to us many elements of artistic and well-balanced inner structure. Distorted psychology which is one of the main theme of this work can be already found in 『Notes from underground』 which was written five years earlier than this work. The shape of ‘underground man' who struggles to maintain his own human dignity with contradictory attitudes to others is reflected in the two man characters of this work, Trusotsky and Vel'chaninov. Having distorted and contradictory self-consciousness in common, such a psychological problem makes their conflicts even more incompatible. But in comparison with 『Notes from underground』, we see in this work far more elements of overcoming the personal psychological problems.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accumulated conflicts, they gradually realized their own inner problems through complementary consciousness and thus slowly approached to the stage of mutual understanding. Death of Liza, who is in herself the daughter of the adultress Katerina, plays an important role for the mutual understanding of her two fathers. The ultimate message which Dostoevsky wanted to express with the shape of conflicts between two man characters was that the mutual and complementary understanding between men is possible only through the overcoming of the personal distorted or contradictory psychology which can be truly found in any human situations, like in the conflicts related with adultery. In the shape of finding possibility of complementary consciousness through incompatible conflicts, we should realize not the literary paradox but a keen insight of Dostoevsky into human nature.

      • KCI등재

        TV 드라마에 나타난 가족 해체 위기와 치유의 미학

        김영성(Kim, Young-sung) 한국비평문학회 2015 批評文學 Vol.- No.57

        TV 드라마는 대중들의 선호도와 관심이 꾸준하기 때문에 현재 가장 광범위한 시간과 채널에서 방영되고 있다. 따라서 TV 드라마는 당대 대중의 욕망과 사회 현실을 가장 잘 반영하는 동시에 보편적이며 도덕적인 관습과 규칙을 희구하는 ‘현대식 도덕적 주제’를 담고 있다. 이러한 현대식 도덕적 주제를 가장 극명하게 형상화하는 소재는 바로 ‘불륜’이다. 지금까지 한국 TV 드라마의 단골 소재이자 주제로 활용되고 있는 불륜을 단순히 윤리적 측면에서 살펴본다면 대다수 텍스트는 ‘막장’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그러나 최근 들어 한국 사회의 가족에 대한 인식 변화를 불륜이라는 소재를 통해 이끌어 내며 진정한 가족의 의미를 묻는 TV 드라마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불륜과 가족 해체 위기는 필연적 인과 관계에 있다. 2000년대 이후 방송된 드라마에서는 불륜으로 인한 가족 해체 위기를 크게 세 가지 방식으로 극복한다. 첫째, 회개와 용서를 통한 전통적 가족 이데올로기로의 봉합이다. 둘째, 이혼이란 제도를 통한 가족의 해체이다. 이 과정에서 불륜의 피해자들 은 배우자가 아닌 이성의 낭만적 사랑을 쟁취하거나 주체적 삶을 선택하며 가족 이데올로기에 함몰된 정체성을 회복한다. 마지막으로 『따뜻한 말 한마디』에서 구현된 실존적 관계 맺음을 통한 이상적 가족 복원이다. 현재까지도 불륜은 TV 드라마에서 끊임없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를 단순히 대중의 말초신경을 자극하기 위한 소재로 설정하거나 받아들인다면 한국 TV 드라마는 제자리에 머물 수밖에 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TV 드라마의 문제점을 극복해내는 동시에 장르적 특성 가운데 일부를 규명해내는 동시에 한국의 가족 문제와 해법까지 함께 도출해내리라 기대한다. Since TV dramas has steadily had public preference and interest among the various television genres, they are being broadcast with the widest range of time and channels at present. Thus television dramas best reflects desire of the public and reality of society of the day and at the same time they include ‘the modernized moral theme’ that desiring the universal and moral customs and disciplines. ‘Adultery’ is the material that illustrates such modernized moral theme most extremely. Recently more and more television dramas are asking the true meaning of family by drawing the change of attitude in the perception of family in Korean society through the material of adultery. Adultery and the crisis of family disorganization has an inevitabl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In the television dramas that have been broadcast since the 2000s, the family disorganization crisis is overcome in three ways largely. Firstly, it is the way of mending the cracks in the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family ideology through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Secondly victim of adultery achieves romantic love with another person that is not his or her spouse and recover his or her own identity which was collapsed by family ideology. The limitation of this resolution can be overcome by the characters who choose to live a independent life focusing on themselves. Lastly, it is the ideal family restoration through building an existential relationship, which was realized in <One Warm Word>. Even now, adultery continues to be used constantly in television dramas. But, Korean television dramas cannot help remaining standstill if they simply set or take this as a subject matter for stimulating the peripheral nerve of public audience.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overcome the problems of television dramas, find som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and suggest Korean family problems and the solution for them simultaneously.

      • KCI등재

        196, 70년대 감성-규율-프레임과 젠더 -정연희 자전소설에 나타난 불륜 담론 연구-

        송인화 한국여성문학학회 2013 여성문학연구 Vol.30 No.-

        In this paper we explore the way of affair in jung yeon-hee’sautobiographical novei, 『confess』 and 『Waiting for the rain snail』. We want to investigate how to reconstruct affairs’ story from women‘s perspective impeached as a Socially deviant behavior. Stories in these novel did not follow conservative discourse’s moral punishing passion as inappropriate or Compelling women to come back home. Instead of that , these novel reconstruct the situation logically Justifiable reason for divorce and new love. That emphasized divorce is a proper decision of wife owing to the husband’s unusual affair and irresponsible debauchery. This exempted divorced women from the ethical punishment blaming for the negative destruction of homes. That was a basically problem of patriarchal and sexist violence structured in 196,70's romantic love. And that repeated in the samemanner in love affair. Men recognize women as their personal belongings and compulsive forces the purity of the flesh. As a result they inevitably suffer tragic collapse. That showed external accordance with the governing conservative discourse in a regard that the cause of the tragedy in terms of emotion. But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the way that It attacks not women's bodies but emotions of blindness could not recognize oppression. Woman escaped from a moral remorse and damage through blooding and then reconstructed themselves with social activity as the subject. This can be see a device borrowing a Christian symbol of bloodshed narrative. However It is not the same in that strongly express anger and protest rather than adaptive regression succumb to the will of the Absolute by confession of sin. Blooding in these novel means protest against the contradictions of the dominant structure. Therefor adultery story in these novel attacks discrimination inherent in the structure of love itself and destructs discriminative moral discours by representing woman-subject’s maturity. 본고는 정연희 자전소설인 『고죄』와 『비를 기다리는 달팽이』를 대상으로 ‘불륜’ 문제를 담론화하는 방식을 탐구하였다. 1960, 70년대 사회적 일탈 행위이자 사회적 혼란의 주범으로 탄핵받았던 ‘불륜’이 여성의 시각에서 어떻게 재구성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작품의 담론은 여성의 불륜을 부적절한 정념으로 처벌하거나 가정으로 회귀할 것을 강요하는, 일반적 불륜 담론의 훈육적 계몽성을 따르지 않는다. 그보다는 이혼의 정당한 사유와 새로운 사랑을 추구할 수밖에 없었던 상황을 논리적으로 재구성하고 있다. 남편의 비정상적인 외도와 무책임한 방탕으로 인해 이혼은 아내의 정당한 선택적 결단이었음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이혼녀를 가정 파괴의 부정녀로 비난하는 윤리적 처벌로부터 스스로를 구제한다. 60, 70년대 낭만적 사랑에 구조화되어 있는 성차별과 가부장적 폭력성이 문제가 되는 것인데 불륜의 사랑에서도 동일하게 반복된다. 남성은 개인적 소유물로 여성을 인식하고 육체의 순결성만 강박적으로 강요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비극적 파탄을 맞게 된다. 여기에서 비극성의 원인을 감성에 둠으로써 정념을 단속하는 보수적 규율 담론과의 외연적 일치를 보여주기도 하지만 그것이공격하는 대상을 여성의 육체나 정념이 아닌 억압성을 바로 인식 못하는 맹목성에 둠으로써 분명한 차이를 보여준다. 작품은 피흘림을 통해 도덕적 자책감과 훼손에서 벗어나게 함은 물론 사회적 활동을 통해 주체적 자아 성취의 길을 제시한다. 이러한 피흘림의 장치는기독교적 상징 서사를 차용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죄의 고백을 통해 절대자의 시선으로 들어가는 순응적 회귀보다는 분노와 항의를 강하게 표출함으로써 지배적 구조의 모순에 대한 항의를 표현하고 있다. 이들 작품의 혼외 사랑이야기는 사랑의 구조에 내재된 차별성을 공격하고 고난을 통해 자아 정체성을 회복하는 여성 주체의 성장을 재현함으로써 보수적 불륜담론의 훈육성을 훼파하고 있다.

      • KCI등재

        주변 불륜 만연성이 기혼자의 성인식에 미치는 효과

        이희진,이원준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The Effect of the Prevalence of Infidelity in the Surroundingson Sexual Perception of Married PeopleHeejin Lee & Wonjune Le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arried people’s intention to practice extramarital sex,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he prevalence of infidelity, sexually explicit online materials and the perception of extramarital relationships. The research data is obtained through an online survey from 614 people, and data analysis is performed based on SEM. The more both men and women perceive that infidelity is prevalent around them, the higher their intention to practice extramarital sex and the less critical they are of online pornography and extramarital affairs. The individual mediating effect of the perception of the online materials or extramarital relationship affe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valence of infidelity and intention to engage in extramarital sex has been proven each. It is necessary to intervene to have a more critical awareness of Internet pornography and extramarital relations, in addition, It is concluded that understanding and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he prevalence of infidelity in the surroundings is very important. Key Words: Extramarital Relationship, Sexually Explicit Online Materials, Prevalence of Infidelity, Extramarital Sex 주변 불륜 만연성이 기혼자의 성인식에 미치는 효과이 희 진*ㆍ이 원 준**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기혼 남녀의 혼외성관계 실행의도를 평가하고, 주변의 불륜 만연성, 인터넷음란물, 혼외관계인식 등이 미치는 직간접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연구자료는 전국 단위의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얻었으며, 표본수는 614명으로 자료분석은 구조방정식모형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연구내용: 남녀 모두 주변에 불륜이 만연하다고 인식할수록, 혼외성관계 실행의도도 높고, 인터넷 음란물과 혼외관계에 덜 비판적이었다. 주변의 불륜 만연성과 혼외성관계 실행의도와의 관계에 영향을 주는 인터넷 음란물인식 혹은 혼외관계인식의 개별매개효과가 각각 입증되었다. 결론 및 제안: 인터넷 음란물 및 혼외관계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높이는 방안과 함께, 주변 불륜 만연성과 같은 환경적 요인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와 분석이 매우 중요한 사안이라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핵심어: 혼외관계, 인터넷 음란물, 불륜 만연성, 혼외성관계 □ 접수일: 2022년 11월 10일, 수정일: 2022년 12월 1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주저자, 한동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First Author, Professor, Handong Global Univ., Email: hjlee@handong.edu)** 교신저자, 창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Changshin Univ., Email: wjlee@cs.ac.kr)

      • KCI등재

        TV 드라마에 나타난 불륜과 육아의 상관성 고찰 - <공항 가는 길>과 <베이비시터>를 중심으로

        김금숙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과학연구 Vol.0 No.59

        본고는 TV 드라마 <공항 가는 길>과 <베이비시터>에 나타난 불륜과 육아의 상관성을 비교 분석하여 유의미한 해석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두 드라마에서 불륜은 공통적으로 육아와 인접한 지점에서 일어난다. 육아와불륜 모두 어떤 움직임을 전제로 하는데 각각의 움직임은 매우 미묘하고 복잡하게 얽히고설키어 있다. 왜냐하면 그 움직임은 운동능력, 지각 그리고 감정의복합적인 작용이기 때문이다. <공항 가는 길>은 서로의 딸 유학 문제로 알게 된 두 남녀가 불륜으로 시작한 만남을 새로운 사랑으로 완성해 가는 전형적인 로맨스 드라마이다. 이 로맨스의 완성은 ‘육아 현실에 인접한 불륜’에서 ‘실패한 육아 대신에 선택한 새로운 사랑’으로의 전환과 맥을 같이한다. <베이비시터>는 상류층 부부가 자녀 육아를 위해 베이비시터를 집에 들이면서 전락의 길을 걷게 되는 아이러니의 서사 구조에 따라 전개된다. 로맨스로시작된 둘의 사랑은 남편이 베이비시터와 불륜에 빠져 헤어 나오지 못하면서파국을 맞는다. 그 과정에서 아내는 육아 대신에 온실 속에서 식물 기르기에집중하는데 이는 부부의 사랑이 새롭게 움직일 수 있는 운동능력을 상실했음을 의미한다. 육아에 대한 비유의 관점에서 보면 <공항 가는 길>의 로맨스는 모험의 단계마다 육아 현실과 인접해 있고, <베이비시터>의 아이러니한 패배는 힘겨운출산과 육아 현실을 은유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affair and child-care and to deduct significant interpretation by comparing <The Way to the Airport> and <Babysitter>. Affairs happen at the adjacent point to child-care in both dramas. Both affairs and child-care are done on the premise of certain movements, which are very delicately and complicatedly entangled. That's because the movements are complex action of motility, sense and emotion. <The Way to the Airport> is a typical romance drama in which a man and a woman who meet through their daughters studying abroad start affair and complete their love. The completion of the romance in this drama is that 'the affair adjacent to child-care reality' is switched into 'new love replacing failed child-care'. <Babysitter> is unfolds according to the ironic narrative structure that the upper class couple is in crisis as they have a babysitter in their house for their kid. The love of the couple that starts with romance ends when the husband falls in love with the babysitter. In this process, the wife focuses on growing plants in the greenhouse instead of raising her kid, which means she has lost the motility that can ignite the love of the couple. From the point of view of child-care, I can understand that the romance of <The Way to the Airport> is adjacent to the reality of child-care every stage of adventure, and that the ironic defeat of <Babysitter> is a metaphor of the hard childbirth and child-care reality.

      • KCI등재

        ‘불륜’ 드라마에 내재된 여성인물의 정념 고찰 -TV드라마 <부부의 세계>를 중심으로

        김윤서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0 리터러시 연구 Vol.11 No.5

        This paper examines “The World of the Married,” which brought renewed attention to the subject of “immoral intimacy” through the medium of a TV miniseries, wherein it is difficult to escape the institutional context of society and culture. This paper reconsiders the presentation of the affair and the passion of the female character in the TV show. To this end, this paper highlights the criticism, social perception, and changes in the conventional representation of female characters noted in discussions about the moral values portrayed in the TV show based on the dominant ethical standard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discourse on infidelity and the violation of taboos, it has been noted that anger is a neurotic passion. Second, the simultaneous existence of love and hatred in a relationship (i.e., an unstable passion) is captured in modified conventions and commercialized drama. Finally, the reconstruction of the maternal myth, family ideology, and motherhood, which represent a moral passion, is noted in the aforementioned character. Therefore, based on the dominant moral compass, this paper examines the criticism, social perception, and changes in the conventional representation of women, which is discussed in relation with the moral value of the TV show. The analysis of passion, combined with feminist theory, destroys the old customs and norms regarding infidelity and shows both the changes and regressions in the family system, which remains influential. In “The World of the Married,” hegemony sharply collides with realistic female perspectives and familism. The infidelity, betrayal, enmity, and the simultaneous existence of love and hatred depicted in the TV show are connected with the delicate passion of the female character, who uncovers the truth. Therefore, it is worth examining the changes and transformations of the factors that seek a return to maternal mythology and premodernity by highlighting the family ideology of the female character, who has survived turbulent experiences of structural change in a situation where some male privileges remain secured. 본고는 사회와 문화라는 제도적 맥락을 벗어나기 어려운 TV 드라마가 ‘불륜(immorality)’ 소재를 새롭게 소환한 미니시리즈 <부부의 세계>를 대상으로 불륜을 전유하는 방식과 드라마에 내재된 여성인물의 정념화를 문맥화하였다. 이에 본고는 기존의 지배적인 윤리적 잣대를 기반으로 드라마의 도덕적 가치에 대해 논의된 여성의 상투적 재현에 대한 비판과 사회적 인식, 변화를 추적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불륜을 전유한 담론과 금기의 위반에서는 신경증적 정념인 분노를 발견할 수있다. 둘째, 관습화의 변형과 드라마의 상품화에 담긴 불안정한 정념인 애증을 포착할 수 있다. 셋째, 모성신화와 가족이데올로기의 재구를 통해서는 도덕적 정념인 모성을 발견할 수 있다. 페미니즘과 접목한 정념의 분석은 ‘불륜’에 대한 오랜 관습과 규범을 파괴하며 견고하게 유지된 가족제도에 대한 변화와 회귀를 동시에 보여준다. 드라마 <부부의 세계>를 통해 현실적·여성적 시각과 가족주의가 첨예하게 부딪친 힘의 역학이 작용하는 장(場)을 바탕으로 드라마 속에 호출되는 불륜과 배신 증오와 애증 등은 진실을 투척하는 여성인물의 섬세한 정념에 유기적 연관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아직도 남성의 특권이 일정 지분 확보된 현실에서 구조 변동의 격랑 속을 표류하는 여성인물에게가족 이데올로기를 강조하며 모성신화와 근대성의 회귀를 보이는 드라마적 장치의변화와 변용을 살펴보는 것은 사랑과 결혼에 대한 보다 다양한 모습을 조망하는 가치있는 분석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