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랑스어 학습자의 동화산출 사례에서 나타나는 연계와 분할 표지에 의한 담화의 선적 구조화

        백경선 한국프랑스학회 2015 한국프랑스학논집 Vol.91 No.-

        Notre travail a pour objectif d’analyser les marqueurs de l’organisation discursive du point de vue de la linéarisation du discours en production écrite du conte. Les données du discours narratif du conte ‘Cendrillon’ produites spontanément par les apprenants coréens du français L2 ont été recueillies en deux étapes : en avril(données A) et huit mois après, en décembre (données B). Tous les apprenants étaient étudiants qui étaient en train de suivre le cours de la grammaire française niveau intermédiaire pendant un an dans une université en Corée du sud. Les résultats d’analyse de A et B se sont comparés. Notre hypothèse était que si les apprenants se développent en grammaire française, ils vont produire plus grand nombre de marqueurs discursif de la linéarisation. A travers notre analyse, les marqueurs discursifs de la linéarisation du conte se sont classifiés en trois groupes : marqueurs de la connexion du discours (connecteurs reliant deux contenus sémantiques et pronominalisation des noms de personnages), marqueurs de la segmentation du discours(points et alinéa), et marqueurs de la connexion et en mê̂me temps de la segmentation du discours (virgules et marqueurs de la macrostructure du commencement et de la fin de la production du discours). Concernant tous les items d’analyse, les sujets de B ont produit plus grand nombre de marqueurs que le A, sauf les marqueurs de macrostructure du commencement et de la fin de la production du discours. A ce troisième niveau, les résultats d’analyse de A et B s’étaient diversifiés et ne se sont pas montrés une grande différence l’un à l’autre. Ceci dit, il est susceptible de supposer que la gestion des marqueurs de la linéarisation de la connexion et en mê̂me temps de la segmentation du discours se montre un degré de difficulté plus élevé que les autres classes de marqueurs pour les apprenants coréens du français L2. Afin d’appliquer ces résultats au domaine de la didactique du français, il nous faudrait développer et diversifier des activités de la production écrite du discours narratif en prenant en compte les fonctions des marqueurs de la linéarisation du discours, par exemple les activités de compléter les discours sans connecteurs ni signes de ponctuation en insérant les marqueurs appropriés de linéarisation du discour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프랑스어 학습자의 작문활동에서 시간성과 인과성의 텍스트 처리와 분석사례

        백경선 한국프랑스학회 2016 한국프랑스학논집 Vol.96 No.-

        Cet article vise à explorer la diversité au processus textuel dans l’activité rédactionnelle des apprenants de FLE. A la production écrite du récit, les énoncés s'ordonnent chronologiquement selon les événements relatés, et présentent l'enchaî̂nement causal des énoncés. Plusieurs études précédentes sur le développement du langage montrent que dans les récits produits par des enfants français, les énoncés sont reliés initialement par une succession temporelle et que le processus textuel de la relation causale est considéré comme une acquisition tardive. Par contre, les apprenants adultes de FLE possèdent déjà la connaissance discursive pour l'organisation du récit. Dans ce cadre, notre question est de savoir si les apprenants de FLE se développent de la mê̂me façon que les enfants français en L1 dans l’expression de la causalité et de la temporalité dans l’activité rédactionnelle, et également si leurs niveaux du français jouent un rô̂le au processus textuel de la causalité et de la temporalité. Pour ce faire, nous nous appuyons sur la catégorisation de processus textuel de la causalité et de la temporalité de Trabasso et al.(1985) et de Benazzo(2004). Notre travail est un exemple d'analyses sur les 48 apprenants coréens de FLE. Notre résultat nous montre que le processus textuel était explicité selon l'ordre suivant: causalité motivationnelle > causalité psychologique >causalité physique, et simultanéité > succession > antériorité. Le nombre total des expressions de la causalité est plus grand que celui de la temporalité chez les apprenants de FLE. Quand nous distinguons les apprenants d’après le niveau du français en deux groupes A (niveau supérieur) et B (niveau inférieur), le groupe A a montré plus grand nombre de moyennes que le groupe B dans toutes les catégories au processus textuel de la causalité et de la temporalité. En plus, les deux groupes ont suivi le mê̂me ordre à la fréquence d’occurrences des catégories de la causalité et de la temporalité. Il est remarquable que le groupe A a montré une plus grande différence par rapport au groupe B au processus de la temporalité qu’au processus de la causalité. Si nous prenons en compte que la temporalité chronologique s’évolue plus tô̂t que la causalité chez les enfants, il est inférable que le processus textuel de la temporalité est plus facile à acquérir pour les apprenants de FLE. Quand nous analysons les différents modes au processus textuel de la causalité, les apprenants de niveau supérieur du français ont montré une grande diversité à l'aide des expressions de la causalité inverse de l’ordre temporel et des expressions implicites de la conséquences, à la différence des apprenants de niveau inférieur.

      • 간호학생의 보육교사 실습경험

        백경선,김효빈,최경숙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간호과학연구소 2003 중앙간호논문집 Vol.7 No.2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patterns of child-care experience in nursing students using the Q methodology. The purpose is to serve as a fundamental data for the improvement of child-care training. Using the 32 Q-samples selected, 20 nursing students in J college were selected as the P-samples.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based on the individual interviews from October to December 2002. The first type is the "positive strivers": they respond positively to the strain and difficulties in the experience, and do their best and overcome difficulties. The second type is the "realistic accepters": they accept and adapt quickly to the strain and difficulties in the experience based on their positive beliefs in the child-care teaching practice. The third type is the "affective endurers": they overcome the strain and difficulties in the experience and feel a joy of taking care of young children with love. They participate in the training keeping in mind the significance of protection and nurturing. The above result shows that there are three characteristic patterns in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concerning their child-care teaching practice. They seem to have many difficulties in connecting the theory and the practice, and in the process the students are classified into those who make efforts and overcome the challenges, those who accept and overcome the difficulties, and those who feel affection, in which they find compensation. The strain of trainees could be relieved by assigning them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Based on the finding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made: 1. It is recommended that their actual experiences be investigated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the nursing interventions that relieve the strain of nursing students in the child-care teaching practice. 2. It is recommended that child-care teaching practice programs appropriate to nursing students be developed.

      • KCI등재

        텔레비전드라마 <거짓말> 연구─거리두기 방식을 중심으로

        백경선 한국극예술학회 2019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63

        본고는 <거짓말>이 불륜이라는 진부한 소재를 가지고도 진부한 드라마가 되지 않은 이유가 무엇일까, 라는 문제제기에서 시작된다. 그리고 그 문제제기의 해답을 거리두기에서 찾았다. 본고는 다양한 인물이나 상황을 객관적이고 균등하게 접근함으로써 시청자들이 한 인물에 동일시하는 것을 차단하는 방식을 (브레히트의 연극적 거리두기와 구분하여) 노희경과 표민수식 텔레비전드라마의 거리두기라고 명명하였다. 이를 전제로 <거짓말>이 거리두기를 확보하는 방식을 노희경 작가의 극작법과 표민수 PD의 연출법 두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먼저 극작법 측면에서는 결핍을 지닌 선한 인물들의 내면을 치밀하고 균형 있게 묘사하되, 인물의 시점이 이동하는 방식을 통해 어느 한 인물에 머물러 동일시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인물 모두에 대한 다중적 이해를 확보하였음을 알았다. 연출 기법 측면에서는 카메라의 시점에 주목하였다. 인물을 향한 카메라의 시점이 이동하고, 또한 카메라의 각도 및 거리 등을 통해 카메라가 인물들을 객관적으로 균형 있게 담아내면서 시청자가 한 인물에만 동일시하는 대신 인물과 상황 모두를 관망하도록 유도하였다. 극작술과 연출법 측면에서 확보된 거리두기는 인물 모두에 대한 다중적이고 객관적인 이해를 형성하였고, 이는 다시 불륜을 도덕적 응징의 대상이 아닌 사랑으로 해석할 수 있다는 생각의 전환을 가져 왔다. 이로써 <거짓말>은 텔레비전드라마가 불륜에 접근하는 방식의 다양성과 자율성을 마련하였다. This study started from problem-posing, what is reason <Geojeenmal>(The Lie) used old-fashioned material affairs, nevertheless <Geojeenmal>(The Lie) did not become old-fashioned drama. And it found answer of the problem-posing from distancing. This study named television-drama’s distancing of Noh Heekyung and Pyo Minsoo style that it stopped viewer from identifying with one character by looking various characters and positions objectively and equally. Then this study considered how <Geojeenmal>(The Lie) secured distancing in two aspects Noh Heekyung's playwriting method and Pyo Minsoo's direction method. First, in playwriting method it understood what <Geojeenmal>(The Lie) described mentality of deficient and good characters minutely and harmoniously and secured multi understanding about all characters through the way character viewpoint moves. Then, in direction method it paid attention to viewpoint of camera. <Geojeenmal>(The Lie) led viewer to watch all characters and situations instead of identifying with one character by moving viewpoint of camera for characters. And it embodied characters objectively and harmoniously by angle, distance, etc. of camera. Distancing that was secured in these ways formed objective and multiple understanding about all characters. And it got a diversion of thought that accepted affairs as love instead of punishing object. Hereby <Geojeenmal>(The Lie) made diversity and autonomy of way television-drama approached affairs.

      • KCI등재

        비대칭적 ou의 담화연결어 기능

        백경선 한국프랑스학회 2010 한국프랑스학논집 Vol.72 No.-

        Dans notre travail, nous nous sommes intéressés à la fonction énonciative de《ou》dans le discours ordinaire, au-delà de son sens logique, car ce connecteur a beaucoup été étudié sur ce plan. Nos questions de recherche ont été les suivantes : Les deux termes p et q que relie 《ou》sont-ils symétriques et équivalents dans les divers emplois de 《ou》 à l'exception du 《ou》 alternatif? Comment le sens essentiel de 《ou》 peut-il ê̂tre décrit au niveau du discours, au-delà de la pragmatique dérivationnelle de sens logique?Notre hypothèse est que le caractère asymétrique de《ou》rend possible les inférences pragmatiques dans ses divers emplois, car il est présupposé dans le 《ou》 d'équivalence et le 《ou》d'exclusivité au niveau du discours. Le 《ou》 asymétrique se définit comme étant non- substituable entre les deux termes p et q. Dans notre analyse, plusieurs types d'emploi de 《ou》 asymétrique sont éxaminés : la détermination de 《ou》dans des contextes de p impératif et de terme négatif de p dans ‘ou q’, l'emploi métalinguistique du 《ou》 d'équivalence, et le figement de sens de 《ou》. On en conclut que l'asymétrie entre deux termes au niveau propositionnel mais aussi d'énonciation est fondamentale et essentielle dans le mécanisme inférentiel de sens de 《ou》. On constate que l'effet de sens de connecteur 《ou》dans un enchaî̂nement des énoncés peut ê̂tre inféré comme étant une hésitation ou une correction du locuteur, selon son intention d'énonciation et sa force argumentative. On atteste également le caractère contradictoire de 《ou》, car il est disjonctif et exclusif en sens logique, en même temps qu'il relie et connecte deux énonciations. 논리적 관점에서 ou는 분리의 논리 관계를 표상하고 자연어 ‘p ou q’의 형태에서 ou는 두 항 p, q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의미를 갖는데 이 때 p와 q는 등가적인 위상을 갖고 등위접속사인 ou에 의해 연결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간주된다. 본고에서 질문해보고자 하는 것은 전통 문법에서 ‘등위접속사’라고 불리는 ou가 연결하는 두 항 p, q의 지위가 이 전통적인 명칭이 보여주는 것처럼 과연 모든 발화에서 등위적인가 하는 것이다. Ou가 사용된 다양한 발화들을 해석하다 보면 p, q가 등가적이면서도 ou가 둘 중에 하나를 선택하는 의미로만 제한되지 않음을 발견하게 된다. 두 항 p, q의 통사형태 자체가 다른 발화도 있고, 형태상으로는 p, q가 등위적으로 보이지만 의미상으로는 다른 해석을 하게 되는 발화도 많아서 이 다양하고 이질적인 예들에서 ou의 기능을 어떻게 일관성 있게 기술할 수 있을까하는 문제에 대면하게 된다. Ou가 사용되는 용법을 찾아보면 다양성의 범위가 넓고 화용론적 추론이 필요한 경우도 발견되어서 둘 중 하나를 고르는 선택의 의미만을 중심으로 ou를 기술하는 것으로 그칠 수는 없고 다양한 실제 용법을 통해서 ou의 근원적인 의미 해석 메카니즘을 찾아가면서 ou의 화용론적 기능을 연구해야 할 필요성을 갖게 된다. ‘P ou q’의 형태가 다양하게 사용되는 만큼 ou의 근원적 의미에 대한 언어학자들의 기술도 매우 다양하다. 이전의 연구에서 Cornulier(1985)는 내포적 분리의 논리적 의미를 ou의 근원적 의미로 간주하고 이로부터 다양한 의미효과가 파생하는 것으로 기술한 바 있다. 반면 Moeschler(1996), Moeschler & Reboul(1994) 등의 의미화용론 입장에서는 ou의 성격을 배타적인 분리의 논리로 간주하면서 ou의 사용에 따른 화용론적 추론을 강조한다. 이 연구들에서는 ou의 논리적 의미를 근원적 의미로 규정하고 이 틀을 유지하면서 화용론적 의미가 파생되는 것으로 설명하기 때문에 논리적 의미와 거리가 먼 것으로 보이는 ou가 갖는 화용론적 기능을 발화가 연쇄된 다양한 담화에서 상세하게 기술하지는 못한다고 생각된다. Ou의 논리적 의미가 분명한 경우 외에 ou의 용법이 다양하므로 논리적 의미의 제한을 벗어나서 화용론적 차원에서 ou의 근원적인 의미를 어떻게 기술할 것인가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본다. 본고의 연구 목적은 ou의 논리적 의미를 넘어 서서 ou의 다양한 용법을 통해서 담화상에서 ou를 특징지을 수 있는 것으로 보이는 비대칭성을 중심으로 ou의 기능을 기술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여기서의 비대칭성은 p, q가 등가적으로 치환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p, q의 치환에 의해 발화의 의미가 크게 달라지는 속성이라고 정의하겠다. 다양한 ou의 예문에서 해석되는 ou의 여러 의미가 비대칭성과는 어떤 연관이 있는지 등을 연구해보고자 하는데 이는 더 나아가 두 항 p, q의 대칭성과 비대칭성을 가능하게 하는 ou의 의미에 존재하는 추론의 메카니즘이 무엇인가를 탐색하는 작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OTT 시대 드라마 변화 양상―TV드라마와 OTT드라마를 중심으로

        백경선 한국극예술학회 2023 한국극예술연구 Vol.- No.78

        미디어 환경의 변화로 인해 오랜 기간 방송국과 TV 매체 중심이었던 한국 드라마의 양상이 OTT 중심으로 달라지고 있다. 바야흐로 OTT의 시대가 열린 것이다. 이 글은 OTT 시대의 드라마를 TV드라마와 OTT드라마로 구분하여 드라마 변화를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OTT 시대의 드라마를 TV드라마와 OTT드라마로 구분하여 그 변화와 특징을 시청 방식과 제작 방식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다양한 매체와 플랫폼으로 인해 드라마 시청 방식이 개인 맞춤형으로, 그리고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시청으로 변모하였다. 다시보기와 몰아보기는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시청을 뒷받침한다. 특히 몰아보기를 할 때 건너뛰기와 배속 재생 같은 선택적 시청을 통해 시청자는 드라마 감상자에서 드라마 소비자와 편집자로 탈바꿈하였다. 다음으로 제작 방식에서는 시즌제가 유행하면서 횟수가 유연해지고(주로 짧아지고) 에피소드 형식의 구성이 증가하였으며, 또한 소재 선택과 표현의 자율성이 확보되면서 드라마와 영화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영화 같은 드라마가 양산되었다. 결론을 대신해서 TV드라마와 OTT드라마, 그리고 드라마와 영화의 비교를 통해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드라마의 정체성을 재고하였다. TV드라마와 OTT드라마는 각자의 영역을 확보하며 서로 공존ㆍ상생하고 있으며, 또한 드라마와 영화의 경계가 모호해진 OTT 시대에도 여전히 영화와 구분되는 드라마의 정체성은 바로 서사에 있다. 마지막으로 이 글이 OTT 시대 드라마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작업의 토대가 되고, 나아가 드라마 연구의 새로운 방향성을 고민하는 작업에 보탬이 되기를 고대한다. Due to the change in the media environment, the aspect of Korean dramas, which have long been centered on broadcasting stations and TV media, is changing to OTT. The era of OTT has opened. This paper aims to explore changes in dramas by dividing dramas in the OTT era into TV-dramas and OTT-dramas. The results of dividing dramas in the OTT era into TV-dramas and OTT-dramas and dividing their changes and characteristics into viewing and production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due to various media and platforms, the way of watching dramas has been transformed into personalized and independent and active viewing. Replay and binge watching support independent and active viewing. In particular, viewers have transformed from drama viewers to drama consumers and editors through selective viewing such as skipping and double-speed playback when binge-viewing. Next, in the production method, as the seasonal system became popular, the number of times became flexible (mainly shortened), and the composition of episodes increased, and the boundary between dramas and movies was blurred and dramas such as movies were mass-produced. Instead of the conclusion, the identity of the drama was reconsidered in the rapidly changing media environment through the comparison of TV-dramas and OTT-dramas, and dramas and movies. TV-dramas and OTT-dramas coexist with each other by securing their respective areas. And even in the OTT era, when the boundaries between dramas and movies are blurred, the identity of dramas that are still distinguished from movies is in the narrative. Finally, I look forward to this paper becoming the basis for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dramas in the OTT era, and furthermore, it will contribute to the work of considering the new direction of drama research.

      • KCI등재

        사람명사 HOMME의 지시연쇄에서의 응집성과 화용론적 다기능성

        백경선 한국프랑스학회 2021 한국프랑스학논집 Vol.114 No.-

        Notre étude a pour but de décrire les divers emplois du nom d’humain français HOMME au niveau du discours et de la pragmatique. Nous constatons que dans les chaî̂nes référentielles, le nom HOMME présente la fonction de cohésion référentielle du pronom à l’aide du démonstratif ou de l’article défini, mais de façon différente. Il produit les divers effets de sens suivant le mode de déroulement linéaire du discours. De plus, l’attitude de l’intimité ou de la distance du locuteur à l’égard de ses énoncés peut ê̂tre exprimée par les formes ‘le possessif + HOMME’ ou l’exclamatif. Cette fonction interpersonnelle a été caractérisée également par le nom général. Finalement, d’après notre exemple d’analyse, il est claire que HOMME montre moins de contraintes spécifiques sémantico-pragmatiques par rapport à d’autre noms d’humain français comme PERSONNE et HUMAIN. Nous en concluons que HOMME a la dépendance forte contextuelle et la souplesse sémantique à l’égard de l’interprétation textuelle et que sa fonction pragmatique est la plus saillante parmi les noms d’humains français. 본 연구는 프랑스어 사람명사를 대표하는 homme를 [+mâ̂le], [+neutre] 라는 의미자질을 넘어서서 담화 층위의 화용론적 기능의 측면에서 정의하고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유사한 사람명사 personne, humain와 비교해서 실제 사용의 측면에서 homme가 어떤 의미효과의 차이를 갖는가를 질문하고 사례분석 한다. 그 결과 다른 사람명사처럼 뚜렷하게 높은 빈도를 보인 용례는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homme는 담화에서 응집성의 기능을 수행하지만 대명사와는 차이가 있고 지시 연쇄에서 인간 상호적 기능에 의해 발화에서 화자의 심리적 거리와 태도를 다양하게 표현한다. 의미 제약이 다른 사람명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하기 때문에 해석에 있어서 강한 문맥 의존성과 상대적 유연성을 갖고 화용론적 기능성이 뚜렷한 프랑스어 사람명사가 homme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