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무예측치의 정확성과 수익비용대응 및 이익조정 수준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신용균,한만용 한국상업교육학회 2014 상업교육연구 Vol.28 No.6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3년까지 계속해서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어 있으며, 재무분석가의 이익 예측치가 FN Guide에 발표된 기업 중 최종적으로 선정된 294건의 표본을 이용하여 첫째, 재무분석가의 이익 예측 정확성과 수익비용대응의 수준 및 이익조정 수준간의 어떠한 관련성을 갖는지와 둘째, 수익비용대응의 수준이 이익조정 수준과 어떠한 관련성을 갖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발견할 수 있었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정확성과 수익비용대응의 수준 간에는 반비례관계를 갖는다는 <가설 1>을 검 증한 결과,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정확성변수(FA)와 수익비용대응의 수준변수(MAT) 간에 유의적인 음(-)의 회귀계수가 관찰되어 <가설 1>을 지지해 주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정확성과 이 익조정 수준 간에는 양(+)의 관계를 갖는다는 <가설 2>를 검증한 결과에서는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정확성 변수(FA)와 이익조정 수준변수(DA) 간에 통계적으로 비유의적인 양(+)의 회귀계수가 관찰되어 <가설 2>를 기 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익비용대응의 수준변수(MAT)와 이익조정 수준변수(DA) 간에 반비례 관계를 갖는다는 <가설 3>을 검 증한 결과, 수익비용대응의 수준변수(MAT)와 이익조정 수준변수(DA) 간에 5% 수준에서 유의적인 음(-)의 회 귀계수가 관찰되어 수익비용대응의 수준변수(MAT)와 이익조정 수준변수(DA) 간에 반비례 관계를 갖는다는 <가설 3>을 지지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정확성을 설명해 줄 수 있는 통제변수에 대한 분석에서는 기업규모변수(SIZE) 와는 1% 수준에서 유의적인 양(+)의 회귀계수, 성장성변수(MB)와는 1% 수준에서 유의적인 음(-)의 회귀계수, 이익수준변수(ELV)와는 5% 수준에서 유의적인 음(-)의 회귀계수가 관찰되어,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정확성 은 기업규모가 클수록, 성장성변수인 시장가치 대 장부가치 비율(MB)이 낮을수록, 이익수준이 낮을수록 더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financial analysts' forecast accuracy affects the level of matching revenue-expense and the level of earning management, and whether the level of matching revenue- expense affects the level of earning management. using 294 firm observations listed on the Korea Stock Exchange Market 2000-2013.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to be foun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ave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matching revenue-expense and the financial analysts' forecast accuracy that [hypothesis 1] as a result of verification, between the financial analyst' forecast accuracy variable(FA) and the level of matching revenue-expense variable(MAT) were observed with significant negative(-) regression coefficient to 1% level, according to this result supported [hypothesis 1]. But hav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earning management and financial analysts' forecast accuracy that [hypothesis 2] as a result of verification, between the financial analyst' forecast accuracy variable(FA) and the level of earning management variable(DA) were observed with statiscally non-significant positive(+) regression coefficient, according to this result rejected [hypothesis 2]. Second, have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matching revenue-expense and the level of earning management that [hypothesis 3] as a result of verification, between the level of matching revenue- expense variable(MAT) and the level of earning management(DA) were observed with significant negative (-) regression coefficient to 5% level, according to this result supported [hypothesis 3]. Third, The financial analyst' forecast accuracy variable(FA) were analysis that can explain on the control variable. The firm size variable(SIZE) were observed with significant positive(+) regression coefficient to 1% level, and the growth variable(MB) were observed with significant negative(-) regression coefficient to 1% level, and the earning level variable(ELV) were observed with significant negative(-) regression coefficient to 5% level, According to this results. The financial analyst' forecast accuracy was analyzed to the higher is the larger the firm size and the lower the growth of variables and the lower the earning level.

      • KCI등재

        군집분석을 이용한 수준설정 방법과 타당성 연구

        박연복(Yeonbok Park),이규민(Guemin Lee),강상진(Sang-Jin Ka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11 교육평가연구 Vol.24 No.3

        이 연구의 목적은 군집분석을 이용한 수준설정 방법의 절차를 제시하고 타당성에 대해서 검토하는 것이다. 군집분석을 이용한 수준설정 방법은 학생들의 데이터를 근거로 학생들을 분류하므로 학생들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둔 수준을 제안할 수 있다. 군집분석을 이용한 수준설정 방법은 크게 두 단계를 거쳐 분할점수가 산출되었다. 1단계는 군집 수 결정 단계이다. 군집 수 결정을 위해 계층적 군집화를 시행한 후 적절한 군집 수의 범위를 정하고, K-평균군집화를 시행한 후 최종 군집 수를 결정한다. 2단계는 군집분석 시행 후 수준설정을 위한 분할점수 산출 단계이다. 각 검사의 하위영역에 대한 Z-점수 평균을 군집 별로 프로파일링 하여 수행 수준을 정한 후, 경계선집단방법이나 대비 집단방법을 이용하여 최종 분할점수를 산출한다. 군집분석을 이용한 수준설정 방법의 타당성 확보를 위하여 분류일치도 결과를 내적 타당도 자료로 분석하였고, 북마크방법을 통한 산출된 분할점수와의 비교를 통해 외적타당도를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군집분석을 이용한 수준설정 방법이 내적ㆍ외적 타당성이 있는 방법임을 알 수 있었고, 이 수준설정 방법이 기존의 다른 수준설정 방법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method to set standards for students by using cluster analysis and to review the validity of the method. In most of the existing standard setting methods, cut scores are calculated by the judgment panel rather than objective data on students' performance. On the contrary, the standard setting by cluster analysis is based on student data, thus making it possible to focus on what students can do.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number of clusters proposed in this study using Rand index seem reasonable because this is utilized more information derived from student data. Second, the differences between cut scores from the bookmark and cluster analysis methods were relatively small across five subject areas. Also, the classification consistency showed relatively high values in five subjects, assuming Beta or 4-Beta distribution for true score. These results support internal and external validity for standard setting method using cluster analysis. Third, the standard setting method using cluster analysis can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when standard setting panelists cannot be easily obtained. In other respect, this method can be used as a criteria for another standard setting method.

      • KCI등재

        현금보유 수준과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오차 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정현욱 한국회계정보학회 2014 회계정보연구 Vol.32 No.4

        Prior studies on the cash holding ratio suggest that high-earnings quality is negatively related to cash holding ratio and information asymmetry is positively related to cash holding ratio. Meanwhile, cash holding ratio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market value. Thus, this study establishes null hypothesis that cash holding ratio is not related to error in analysts’ earnings forecasts. The hypothesis is tested by using sample firms listed on the Korean Stock Exchange from the year of 2006 to the year of 2011 inclusively. After controlling for variables related with analysts’ earnings forecasts as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the regression coefficient for the cash holding ratio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sign. Also we additionally perform mean difference analysis between cash holding ratio and common characteristic factors. Additional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high-cash holding ratio group has higher growth ratio(market value) than low-cash holding ratio group and has lower earnings management than low-cash holding ratio group. These results mean that cash holding ratio is negatively related with error in analysts’ earnings forecasts due to common characteristic factors of high-cash holding ratio. This study contributes to analysts’ earnings forecasts literature by providing empirical evidence on the relation between the cash holding ratio and error in analysts’ earnings forecasts. The result of this study may help investors better understand the consequences of cash holding ratio. 본 연구는 현금보유 수준과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오차 간에는 관련성이 없을 것이라는 귀무가설을 설정하고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회계정보의 질(발생액의 질)이 낮고 정보비대칭 수준이 높은 기업일수록 현금보유 수준은 높아지지만, 현금보유 수준이 높은 기업일수록 시장점유율, 성장성 및 기업가치(시장가치)가 증가한다고 보고한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설정하였다. 2006-2011 기간 동안 금융업을 제외한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한 결과, 현금보유 수준(현금보유비율 및 초과현금보유비율)의 회귀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현금보유 수준이 높은 기업의 경우 어떠한 공통적인 특성요인을 가지는 지를 추가분석하였다. 추가분석결과에 따르면, 현금보유 수준이 높은 기업일수록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이익조정은 낮고 성장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금보유 수준이 높은 기업일수록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오차가 낮아진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현금보유 수준이 높은 기업이 가지는 공통적인 특성요인으로 인해 나타난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기존의 현금보유 수준과 관련된 선행연구에서는 기업특성요인 및 정보비대칭 수준이 현금보유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지만, 현금보유 수준이 회계정보이용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회계정보이용자들의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

      • KCI등재

        중국도시화 수준에 대한 종합분석 - 주성분분석과 군집분석을 중심으로 -

        짜오즈레이,김영근 한국자치행정학회 2014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8 No.4

        본 논문은 도시화 수준의 지표 체계를 수립하고 주성분 분석- 군집 분석법을 이용하여 중국 전국 31개 성(시)의 도시화 발전 수준에 대해 통계 분석하며, 전국 구역을 3층 등급으로 구분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중국의 지역 도시화 발전 수준은 지역별 격차가 극명하고, 동부 연해지구 도시화 수준이 중서부 지구보다 높고, 그 격차가 확대되는 추세를 보였다. 베이징, 상하이, 톈진의 도시화 수준의 우세가 두드러졌고, 전국의 도시화 수준을 끌어올렸다. In this paper, urbanization development level index system was constructed, urbanization development levels of 31 provinces (cities) in Chin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factor and cluster analytic approach, the whole country was divided into three region levels. The result indicates: there are obvious regional differences in urbanization development level around China, they are much higher in eastern costal regions than in central and western regions, and they show an enlarging trend; Beijing, Shanghai and Tianjin have apparent advantages in urbanization development level and they pull the urbanization development level of China higher.

      • KCI등재

        국내 주요 도시의 스마트시티 수준 분석: STIM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조성운(Sung Woon Jo),이상호(Sang Ho Lee),조성수(Sung Su Jo),임윤택(YounTaik Leem)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주요 도시의 스마트시티 수준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는 문헌고찰, 평가지표 구축, 평가지표 가중치 분석, 지자체 스마트시티 수준 분석, 결론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스마트시티 수준 분석을 위한 평가지표는 다층형 스마트시티 모델(Multi-Layered Smart City Model)의 STIM 구조(Service, Technology, Infrastructure, Management Layered Architecture)기반으로 구축되었다. 평가지표는 스마트시티 개념, 사례, 빅데이터 분석 등을 통해 구축되었고, 전문가 AHP 설문을 통해 가중치가 부여되었다. 연구의 공간 범위는 서울 등 7대 광역시이며, 시간 범위는 2017년~2019년이다. 연구에 사용된 데이터는 KOSIS, KISDISTAT 등의 공공데이터이다. 평가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마트시티 서비스, 기술, 인프라, 관리의 수준은 수도권인 서울과 인천이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영남권인 부산, 대구, 울산이 비교적 중간 수준으로 분석되었으며 충남권과 호남권인 대전과 광주가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STIM 종합순위 또한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특히 수도권과 그 외 권역의 스마트시티 수준 격차가 매우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내 스마트시티 수준 격차를 줄이기 위해 균형발전 전략이 필요하며,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스마트시티 계획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smart city for major cities in Korea. The assessment indicators are based on the STIM structure (Service, Technology, Infrastructure, and Management Layer Architecture) of the Multi-Layered Smart City Model. Assessment indicators are established through smart city concepts, case analysis, big data analysis, as well as weighted through expert AHP survey. For the assessment, seven major metropolitan cities are selected, including Seoul, and their data such as KOSIS, KISDISTAT from 2017 to 2019 is utilized for the smart city level assessment. The smart city level results show that the service, technology, infrastructure, and management levels were relatively high in Seoul and Incheon, which are metropolitan areas. Whereas, Busan, Daegu, and Ulsan, the Gyeongsang provinces are relatively moderate, while Daejeon and Gwangju, the South Chungcheong region and the Jeolla provinces, were relatively low. The overall STIM ranking shows a similar pattern, as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mart city level outperforms the rest of the analyzed areas with a large difference. Accordingly, balanced development strategies are needed to reduce gaps in the level of smart cities in South Korea, and respective smart city plans are need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This paper will follow the literature review, assessment index establishment, weight analysis of assessment index, major cities assessment and result in analysis, and conclusion.

      • KCI등재

        조직 연구에서 다층모형 적용에 관한 고찰

        손성철(Son, Sung Chul),정범구(Chung, Beom Ku),주지훈(Joo, Ji Hoon)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3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위계적 선형모형의 원리와 활용 방법 그리고 제한사항과 극복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조직 연구는 구조적 특성상 구성원이 조직 수준의 다른 변수에 영향을 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상이한 수준의 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전통적인 분석 방법(예: 분산분석, 회귀분석모형 등)을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러나 위계적 선형모형(HLM)은 전통적 분석 방법의 제한사항을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개인과 조직 수준의 변수로 구성된 다층모형의 기본원리에 대한 설명과 다층모형으로서의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한 가설 검증 방법을 예를 들어 제시하였다. 조직과 조직 구성원의 행위에 관한 연구는 분석 수준의 해석에 따라 개인주의적 오류나 혹은 생태학적 오류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하면 개인과 조직 수준의 변수가 혼합된 다층연구에서 이러한 오류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하여 개인수준과 조직수준 변수의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할 수가 있고, 다층 혼합구조에서 오는 분석수준 이슈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개인과 조직의 다층 연구에서 조직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어서 조직연구에 대한 보다 정교한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제공한다. 그러나 위계적 선형모형의 적용을 위하여 연구 자료의 구조와 연구 대상의 구조가 다층구조인가를 고려하여야 하고, 분석 과정이 엄격히 관리되어야 하며 어떤 분석 방법이 적절한 통계분석 방법인지를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위계적 선형모형의 강점과 약점을 이해하여 위계적 선형모형의 분석이 필요한 모형인지를 판단하여야 한다. 위계적 선형모형이 필요하다면 편차변환(centering)과 상호작용효과의 의미 및 통계적 검정력 확보를 위한 수준별 표본의 크기를 고려하여야 한다. This study introduces the logic of hierarchical linear model(HLM) which is used in organizational research. It discussed the considerations and suggest the method how to break the limitations. Organizational research is general that member is influenced by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 Traditional method for examples regression analyzation limited in cross level analyzing. But HLM has the advantage of analyzing the cross level research model. This research provide the example with multi level model consisting of personal lebel variable and organizational level variable. There is individualistic fallacy or ecological fallacy in the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behaviour study according to interpreting of variable level. HLM is reduce the misinterpreting of analysing outcomes. The analysing using HLM can be tested cross effect between the personal level and organizational level. Also it can be reduced the level issues. So this research sugges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ut data structure is to be multi level, the analyzing process is strictly to be managed for the applying the HLM. it must consider which method is suitable for data analysing. if HLM is required, centering or not, the meaning of cross effects between the level, sample size for secure the statistical power each levels should be checked. First of all, It is important thing for the applying the HLM that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HLM should be understood for applying HLM

      • KCI등재

        국가 대형 R&D 기술수준 측정 및 평가 방법 연구

        성웅현(Oong-hyun Sung) 한국기술혁신학회 2012 기술혁신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에서 국가 대형 R&D가 적용될 신제품의 기술수준 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평가관점과 분석 방법론을 새롭게 제안하였고, 초전도 케이블 기술의 수준평가에 적용하였다 신제품의 기술수준을 평가하기 위해서 요소기술 분류, 평가요인 분석, 평가항목의 구성 및 내용, 기술수준 평가 및 표현 방법등에 관한 논리적 절차를 제시하였다. 기술 경쟁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기술속성 변수를 설정하여 분석 하였다. 상대적인 경쟁성을 수치 및 위치로 표현하기 위해서 다변량 기법인 주성분 분석을 적용하였다. 기술성과 권리성평가 결과를 종합한 기술수준 평가에서 초전도 케이블 기술은 글로벌 선도기술 대비 최소 96.11% 최대 101.76% 범위 내에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즉, 대상 기술의 기술수준은 ‘세계 선도기술과 비교하여 대등한 수준에 있다’는 주장을 채택할 만한 충분한 근거가 분석되었다. 제안된 신제품의 기술수준평가 관점 및 논리는 국가 대형 R&D 기술수준을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new evaluation perspective and analysis methodology are suggested to assess the technological level of new product produced by national large R&D program and applied to case analysis of the superconducting cable technology. Logical Procedures for the assessment of the technological level include essential technology classification, analysis of evaluation factors, structure and content of assessment items, presentation method of the analysis result. Variable with technological properties are employed to analyze the relative competitiveness subjectively.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re applied to measure the relative competitiveness in terms of size and position. Finally the combined results of technology and right evaluation show that the technology level of DAPAS superconducting cables lies somewhere between 96.11% and 101.76% compared with a global leader in technology. The result provides sufficient evidences that it secures technological edges over other competitors. Therefore it can be called as a globally leading technology. New evaluation perspective and analysis methodology suggested can be applied usefully to assess the technology level of public large-scale R&D program.

      • KCI등재

        광역지방자치단체 주민들의 생활환경 수준에 미치는 경제요인 분석

        최문경(Choi, Moonkyung) 한국산업경제학회 2015 산업경제연구 Vol.28 No.4

        주성분분석을 이용하여 생활환경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의 대표 지수를 설정하였다. 이를 통하여 다양한 경제·사회적인 변수들이 광역지방자치단체의 주민들의 생활환경 수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생활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각 지방정부의 지방세 수입액, 종업원 300인 이상의 대기업의 수와 종업원의 수, 공유재산액, 인구밀도 등을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생활수준에 따라 단체별 순위를 매길 경우 2013년과 2008년의 스피어만 순위상관계수는 0.90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어느 한 요인이 압도하여 순위가 높거나 낮은 경우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분석의 목적에 맞게 주성분분석에 의해 생활환경 수준을 추계한 결과는 강건성 및 안정성이 보장되었다. 광역지방자치단체별 생활환경 수준의 분포는 왼쪽으로 치우친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순 평균치에 미달하는 지자체의 수가 평균치를 넘는 지자체의 수보다 압도적으로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체별 생활환경 수준의 차이는 극심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순위가 중간에 해당하는 지자체가 순위가 1위인 서울특별시와 같아지기 위해서는 지방세, 공유재산액 등과 같은 지표들이 현재보다 30배 이상 증가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지방 공공재를 공급하는 원천인 중앙정부의 재원을 지자체별로 배분하는데 있어서 현재의 생활환경 수준의 차이를 적절하게 고려하는 방향으로 제도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measure quality of local life index about major cities in Korea. That major cities in Korea"s quality of local life indices are estimat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n Econometrics. Factor affecting quality of local life are found to be local tax revenue, number and size of large firms, values of local public properties and population densities. If the ranks of major cities are assigned in accordance with the quality of local life indices, the coefficient of rank correlation is calculated as 0.90 for both years of 2013 and 2008. This implies that quality of local life indices are satisfied robust and stable by Spearman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Also, the distribution of quality of local life index is found to be left skewed. This implies that the number of major cities, the quality of local life index of which are less than the average, surpass 50% of the total number of major cities. Quality of local life index differentials are found to be extremely large. In order to change the rank from 8th, which is about middle class city, to be extremely large. to the 1st, local tax revenues and values of local public properties should be increased by 30 times approximately. Since the power of local public finance is the major determinant of quality of local life index, the inter-governmental resource allocation mechanism is suggested to be modified in order to consider the quality of local life index differentials.

      • KCI우수등재

        비교정치연구에 있어서 혼합체계 분석안의 방법론적 적실성

        김지희(Jihee Kim) 한국정치학회 2002 한국정치학회보 Vol.35 No.4

        혼합체계분석안은 비교분석과정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최대유사체계 분석안과 최대상이체계 분석안과 마찬가지로 변인 간의 공변양상을 일반화의 근거로 사용하고 있으나, 인과추론방식에 있어서 혼합법을 채택함으로써 종속변인의 양태가 나타내는 상이성 혹은 유사성에 관계없이 일반화를 기할 수 있는 사례선정상의 유연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비교분석전략으로서의 혼합체계 분석안이 지니고 있는 가장 큰 문제점은 실험변인의 작동수준을 상정하는 이론적 길잡이를 제공하고 있지 못하다는 데에 있다. 즉 기존의 두 분석안은 실험변인의 작동수준에 대한 명백한 이론적ㆍ방법론적 근거를 갖고 있는 반면, 혼합체계 분석안은 실험변인의 작동수준을 다수준 혹은 교차수준적으로 자유롭게 상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으나, 이러한 실험변인의 도출과정이 단순한 인과추론의 논리에 따르게 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생산되는 통칙이 연구대상현상의 인과적 생성경로를 논리적으로 왜곡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이처럼 혼합체계 분석안은 인과추론과정에서 혼합법을 채택하고 있다는 것 이외에 기존의 분석안들과 분명히 차별되는 이론적ㆍ방법론적 특성을 갖고 있지 않다. 따라서 이 분석안이 교차사례연구에 있어서 방법론적 효용성을 얻기 위해서는 실험변인의 측정수준에 관련된 명확한 이론적 정향의 구축과 그에 입각한 방법론적 세련화가 필요하다. The 'Mixed Systems Approach' in comparative political inquiry suffers from the lack of specific theoretical guidance for selecting proper levels of analysis in measuring experimental variables. Measurement levels for both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are virtually open. Accordingly, if a number of variables are selected from the different measurement levels, serious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problems may arise in detecting multi-levels and cross-levels relationship (a) among independent variables and (b)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within a single analytic model. In other words, detection of covariation among the variables operating at the different levels should be done on the basis of unsubstantiated theoretical hypotheses, thereby violating the basic assumptions of empirical causal inference. This approach is nothing more than a simple method of covariation analysis; it merely shows how the logic of the joint method of agreement and difference may be applied in cross-cases analysis. It needs theoretical sophistications for selecting proper levels of measurement to gain methodological relevance.

      • KCI등재

        재무분석가의 추종수준이 기업의 파산위험에 미치는 영향

        안재환,권세원 한국공인회계사회 2022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64 No.4

        Using Korean listed firms for the 2000-2019 period,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analyst following and default risk, captured by firms’ credit rating and Altman Z-score. We find consistent and pronounced evidence that analyst following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 credit rating and Altman Z-score. The results are robust to adopting an instrumental variable approach, firm-fixed effects, which mitigate the concern o f the omitted variable bias, and lagged variables, which attenuate t he reverse causality bias. Further analyses using the first-difference form of equations indicate that this empirical regularity is not solely driven by any time-invariant unobservable firm characteristics that are not included in our estimation models. We also find that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analyst following and credit rating i s negatively moderated by analysts’ earnings forecast dispersion, capturing a lower quality o f the information produced by analysts, and stocks’ b id-ask spread, capturing a deeper information asymmetry. Overall, th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notion that analysts’ information and monitoring roles are effective in reducing firms’ default risk. Despite the concern about Korean analysts’ independence and professionalism, these results affirm that they effectively conduct the information-intermediary role in capital markets. This study also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exploring analysts’ role as an external governance control and their interaction with other monitoring mechanisms, such as credit rating agencies. 본 연구는 2000~2019년 기간 중 국내 유가증권 상장사를 대상으로, 재무분석가의 추종수준이 신용등급 및 알트만-Z 점수에 의해 포착되는 파산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는 재무분석가의 추종수준이 증가할수록 해당 기업의 신용등급과 알트만-Z 점수가 유의하게 상승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보다 많은 재무분석가가 추종한 기업들의 파산위험이 유의하게 낮음을 의미한다. 추가 분석에서는 이러한 실증적 관계가 재무분석가가 파산위험이 낮은 기업을 특별히 선호하여 추종하였기 때문에 발견되었을 것이라는 역인과관계의 편의, 그리고 추정 모델에 포함되지 않은 관찰 불가능한기업특성에 의해 추동되었을 것이라는 누락변수에 의한 편의 가능성을 평가하였으나, 이들 편의 가능성은 지지되지 않았다. 특히, 도구변수 및 1차 차분형태의 모델을 도입하여 추가 분석한 결과, 기업 고정효과가 충분히 통제하지 못하는 시변하지 않는 관찰 불가능한 기업특성에 의한 영향이 중대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횡단면 분석을 통해 재무분석가의 추종수준과 파산위험과의 관계가 기업을 둘러싼 정보의 불투명성을 개선하는 재무분석가의 정보중개자로서의 역할에 기인한다는 실증적 근거를 일부 제시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는, 국내 재무분석가의 전문성과 독립성에 대한 실무와 학계의 지속적인 우려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기업의 파산위험과 관련하여 여전히 충분한 정보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특히, 본 연구는 재무분석가의 정보역할에 대한 구체적인 매커니즘, 국내 재무분석가의 외부 지배구조로서의 역할 및 여타 지배구조 체계와의 상호관계에 대한 추가적인 실증적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기존 문헌에 기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