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

        박균달 ( Park Gyun Dal ),이수영 ( Lee Soo Young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17 사회복지경영연구 Vol.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부모양육태도와 친구관계 사이에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친구관계를 향상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첫째 부모양육태도가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부모양육태도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부모양육태도와 친구관계의 관계에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등이다. 본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애정적 양육태도가 친구관계에 영향을 미쳤으나, 거부적 양육태도와 과보호적 양육태도는 친구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부모의 개방적 의사소통은 친구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역기능적 의사소통은 친구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부모양육태도가 부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과 부모-자녀 간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애정적 양육태도, 거부적 양육태도와 친구관계에서 부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 애정적 양육태도 친구관계에서 부모-자녀 간 역기능적 의사소통은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다섯째, Sobel test 검증결과 Z값이 부모의 양육태도는 부모와 자녀와의 의사소통과 자녀의 친구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부모와 자녀간의 개방적 의사소통과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변인은 중학생 학부모의 자녀 교육프로그램과 부모-자녀 간에 중요한 요소로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al 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friendship,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 - child communication between parental rearing attitudes and friendship. First, what is th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 on friendship? Second, what is the impact of parenting attitudes on parent-child communication? Third,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friend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fective parenting attitude affects the friendship, but rejective parenting and overprotective parenting did not affect the friendship. Second, parental open communication has an effect on friendship, but dysfunctional communication has no effect on friendship. Third, parenting attitude influenced open 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and dysfun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Fourth, parent - child dysfunctional communication has a mediating effect on affectional parenting attitude, rejective parenting attitude and friendship, parent - child open communication, and affectional parenting attitude friendship. Fifth, the Sobel test result shows that the Z value affects parent - child communication and child's friendship. Therefore, open communication and dysfun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should be included as an important factor between parents' child education program and parent - child.

      • KCI등재

        부모 자녀 의사소통과 자녀의 자아존중감: 순응, 저항, 화응, 무시 의사소통과 의사소통량이 여자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김반야 ( Banya Kim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5 No.1

        이 연구는 부모 자녀 관계에서 발생하는 서로 다른 성격의 의사소통-순응, 저항, 화응, 무시가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했다. 순응, 저항, 화응, 무시 의사소통은 부모의 행동적 통제와 지지에 대한 자녀의 수용 및 거절을 기준으로 구성되었다. 이와 함께 순응, 저항, 화응, 무시 의사소통이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가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량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12-15세 여자 청소년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총 403명의 응답값을 통계적으로 분석했다. 어머니와의 대화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면대면 대화와 휴대전화 이용을 포함하였다. 그 결과 부모의 행동적 통제와 지지, 그리고 그에 대한 자녀의 수용 및 거절에 따라 부모 자녀 의사소통이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부모 자녀 의사소통량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부모 자녀 의사소통의 성격을 설명하는 기준으로서의 순응, 저항, 화응, 무시 의사소통의 타당성을 확인했다. 이는 부모 자녀 의사소통에서 자녀의 역할 및 중요성을 보여주며 부모 자녀 의사소통 연구를 다양한 관점에서 입체적으로 접근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 This research first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four type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compliance,” “resistance,” “reciprocation,” and “ignorance”─and child`s self-esteem. These type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emerge from two parental behaviors─parental behavioral control and support─and the child`s reactions to them─ acceptance and denial. Child`s behaviors are considered as reflections of positive or negative perceptions toward parental behaviors. In addition, this research investigates mediating effect of the quantity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between the four type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child`s self-esteem. For this research, an online survey of middle-school girls aged 12 to 15 was conducted (N=403), and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is study was limited to mother and daughter communication, and it included both face to face and mediated communication. The results reveal that the effect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varies depending on not only subcategories of parental behaviors but also a child`s perception of and attitude toward them. The moder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quantity among the communication types and child`s self-esteem was not established. The results confirm the validity of the four type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as a yardstick to explain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f each parent-child relationship. This study shows the importance of child`s role and reciprocity in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also provides a critical insight into future parent-child communication research.

      • KCI등재후보

        부모-자녀 놀이치료의 의사소통행위 변화에 관한 연구

        박석원(Park Suk Won)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2

        본 연구에서는 유아 발달에서 언어발달은 중요한 부분으로 차지하고 그 중 의사소통 행동, 즉 의사소통행위의 증가를 통해 유아는 의사소통 기능을 발달시킬 수 있다고 보아 유아의 언어기능 발달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모와의 언어 및 의사소통행동을 위한 부모-자녀 놀이치료로 시도하려 한다. 그로인해 유아 및 모의 의사소통 행위의 질적 변화에 대해 검증하고, 부모-자녀 놀이치료가 효과적인 치료방법임을 제시하기 위해 의사소통행위 변화에 관한 연구를 한다. 본 연구의 대상 유아는 발달에 어려움으로 지체를 보이는 유아 5명과 그들의 부모인 모 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참여대상 유아는 유의미한 발화보다는 발성을 통한 의사소통이 주로 나타났으며 첫 낱말 출현이 나타나기 시작했고 일상적인 구어나 낱말을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보이고 있다. 또한 언어적 발달 연령은 언어발달검사(SELSI)결과 20개월 이하이며 생활연령이 32개월에서 40개월 사이에 유아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부모들이 유아에게 적용할 수 있는 놀이적 방법을 치료실에서 치료자가 직접 교육을 하고 훈련을 하여 부모가 직접 적용 해 보도록 하고 매회기는 녹화를 통해 유아와 모의 행위를 관찰하고 모에게 피드백을 주는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회기는 주 2회씩 12회기를 실시하였고 연구기간은 약 2개월간 소요 되었다. 사전평가는 부모교육 및 훈련을 실시하기 전 장난감 교구를 이용하여 20분간 녹화하였다. 사후평가는 프로그램 12회기를 모두 마치고 치료사의 개입 없이 유아와 모의 놀이상황을 20분간 녹화를 하여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자녀 놀이치료가 유아 및 모의 의사소통행위의 질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부모나 자녀들의 치료로 인해 빈도가 낮은 행위에 대해 의사소통행위의 주요 13개 요소가 모두 증가함을 알 수 있었고,중재 전후 유아와 모는 의사소통을 위한 행위의 질적인 변화를 볼 수 있었다. 결론으로 첫째, 부모-자녀 놀이치료를 실시한 결과 5명의 유아 모두 의사소통 행위의 빈도수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고 의사소통 유형에서도 분석내용으로 선정한 의사소통 유형들이 증가하고 질적인 변화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부모-자녀 놀이치료를 실시한 결과 모든 모가 유아와의 부족했던 의사소통행위가 상호작용 상황이 증가하고 행위의 질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부모-자녀 놀이치료가 유아의 의사소통행위에 질적인 변화를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부모나 자녀들의 의사소통행위의 주요요소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유아의 의사소통행위를 증진시키고 모의 의사소통행위를 증진 시킬 수 있는 부모-자녀 놀이치료를 통해 의사소통행위의 질적 변화로 언어적 기능의 발달에 부모-자녀 놀이치료가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views linguistic development as a significant part of infantile development and also believes that infants are able to develop communication skills by increasing communication behavior, or the acts of the acts of communication, hoping to attempt parent-child play therapy to promote linguistic and communication behavior with the mother - an act that has the greatest impact on the linguistic development of infan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changes of communication behavior to verify the qualitative changes of the communication behavior of the infant and the mother and to propose play therapy of the parents-children a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five infants who are showing developmental delay and the five mothers. The infa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showed communication through voices rather than significant speech, started speaking their first words, and have difficulty in everyday colloquial language and words. Also, the age of linguistic development of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20 months or less according to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LSI) and living age between 32 months and 40 month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method of the therapist educating and training the mothers on the playful methods that may be applied by the parents to the children in the treatment room, with each session conducted through the method of observing the behavior of the infant and the mother through video recording and providing feedback to the mother. A total of 12 sessions were conducted with two weekly sessions, with the study period extending over approximately 2 months. Preliminary exhibition was conducted by recording for about 20 minutes by using toy teaching aid before carrying out education and training for the parent; post-evaluation was carried out by video-recording the playing of the infant and the mother without the intervention of the therapist after a total of 12 sessions. The study verified that play therapy of the parents and the child could bring qualitative changes to the communication behavior of the infant and the mother. The key 13 factors of communication behavior all increased for the low-frequency behavior due to the treatment of the parents or the children, and qualitative changes for communication behavior were observed after mediation. As a conclusion, firstly,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 behavior increased in all five infants as the result of parent-child play therapy, and the frequency of the types of communication selected as the content of analysis increased and showed qualitative change. Secondly, parent-child play therapy increased interaction in the lacking communication behavior of all mothers and infants and furthermore led to qualitative changes of behavior. In summary of the results, play therapy between the parents and children is able to lead to qualitative changes in the communication behavior of infants, and also led to increase of the key factors of communication behavior of parents and children.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s parent-child play therapy capable of promoting communication behavior of infants and communication behavior of mothers would lead to qualitative changes to communication behavior, with the parent-mother play therapy serving a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for the qualitative changes of communication behavior.

      • KCI등재

        부모 자녀 의사소통에 대한 새로운 접근

        김반야(Banya Kim) 한국언론학회 2015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1 No.4

        이 글은 ‘현재 우리 사회의 부모 자녀 의사소통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라는 질문에 답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커뮤니케이션학의 가족 내 의사소통연구와 양육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비고츠키 발달이론을 수용하여 부모자녀 의사소통을 설명할 수 있는 체계적인 기준을 제시하고자 했다. 그 결과 부모의 행동적 통제와 지지를 자녀가 수용 또는 거부하는지에 따라 순응, 저항, 화응, 무시라는 네 가지 성격의 의사소통을 도출했다. 순응, 저항, 화응, 무시의사소통 수준의 높고 낮음에 따라 부모 자녀 의사소통의 성격이 달라진다. 부모의 행동적 통제와 지지는 부모 자녀 관계에서 발생하는 가장 대표적인 부모행동이다. 한편 수용과 거절은 자녀가 부모의 행동 및 태도를 어떻게 인지하고 평가하는지를 반영한 행동이다. 부모 자녀의 행동을 함께 고려함으로써 그동안 간과했던 자녀 행동 및 자녀 역할의 중요성을 조명하고자 했다. 한편 네 가지 의사소통은 면대면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미디어를 통한 의사소통까지 함께 포함하여 부모 자녀 의사소통의 범위를 확장했다. 이 글이 제시하는 네 가지 의사소통은 순응지향성과 대화지향성만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부모 자녀 의사소통 연구를 좀더 다양한 관점에서 입체적으로 접근하도록 할 것이다. 더불어 부모 자녀 의사소통을 이론적으로 설명하고, 경험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분석틀로서 후속 연구에게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라 기대한다. How can we explain parent-child communication in the present?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study critically reviews family communication and parenting studies. Additionally, to make up for the weak aspects of previous studies, Vygotsky’s developmental theory is also examined. Through this discussion, four characteristic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were determined: ‘compliance’, ‘resistance’, ‘reciprocation’, and ‘ignorance’ communication. These emerged from two parental behaviors —parental behaviors control and support, while the child’s behaviors react to them—acceptance and denial. In this study a child’s behaviors are considered as reflections of positive or negative perceptions toward parental behaviors. This study could help broaden and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 while providing new perspectives.

      • KCI등재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수치심과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이순희,허만세,이창미 한국아동복지학회 2018 한국아동복지학 Vol.- No.6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hame and social anxiety varies according to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 type and gender child’s in the effect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school adaptation through multi-group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this purpose, middle school students in Daegu area were surveyed, and 502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s analyz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when the communication type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as “open type”, for boys, the communication had a direct effect on shame and school adaptation, but did not have an effect on school adaptation by way of shame and social anxiety. On the other hand, for girls, the open-type communication had a direct effect not only on shame, social anxiety, and school adaptation, but also on school adaptation by way of shame and social anxiety. Second, when communication type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as “problem type”, for boys, the communication had a direct effect on shame, social anxiety, and school adaptation, but the effect on school adaptation by way of shame and social anxiety were not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for girls, the problem-type communication had a direct effect on shame, social anxiety, and school adaptation, and the effect on school adaptation by way of shame and social anxiety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summarize, for boys,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had a direct effect on school adaptation regardless of its typ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hame and social anxie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when the communication was open-type. On the other hand, for girls, both open-type and problem-type communication had a direct effect on school adaptation, and the shame and social anxiety were found out to have a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when developing an intervention program to promote adolescents school adaptation. For boys, an intervention is needed to educate parents to have open-type communication with their children in order to promote positive school adaptation. For girls, intervention should focus not only on improving parent-child communication but also on reducing shame and social anxiety.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다중집단 분석을 통하여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학교적응과 수치심 및 사회불안의 구조적 관계가 성별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 지역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502개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AMOS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 유형이 개방형일 경우 남학생은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이 수치심과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수치심과 사회불안을 경로하여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쳤다. 여학생은 부모 자녀간의 개방형 의사소통이 수치심, 사회불안 및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수치심과 사회불안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 유형이 문제형일 경우 남학생은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이 수치심, 사회불안 및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수치심과 사회불안을 경로하여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여학생은 부모 자녀간의 문제형 의사소통이 수치심, 사회불안 및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수치심과 사회불안을 경로하여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정리하면, 남학생은 유형과 관계없이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이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수치심과 사회불안의 매개효과는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이 개방형인 경우에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학생은 개방형과 문제형의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 모두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수치심과 사회불안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부모 자녀간의 개방형 의사소통이 학교적응을 향상시키더라도 수치심과 사회불안이 그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것을 의미하며, 부모 자녀간의 문제형 의사소통이 여학생의 학교적응을 감소시키는 영향을 미칠 때 수치심과 사회불안이 그 강도를 더 증가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학교적응 향상을 위한 개입에서는 가족요인과 개인내적 요인을 동시에 고려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청소년 자녀와 부모간 의사소통 개선을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과 실제 상황적 수행평가 개발 및 적용 - 부모자녀의 실제대화 UCC동영상을 활용한 대화분석을 토대로 -

        유혜정,조병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1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i) to develop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and practical performance assessment tools for the improvement of teenager-parent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s as well as explore their effects on the communication in the everyday family life; and (ii) to find the underlying problems of teenager-parent communication through conversation analysis and to provide a improved dialogue model. We provided the experimental group with a performance task of communication training between teenagers and their parents in the real family situation while the control group practiced communication skills in a learning situation. However for both classes, before and after performance tasks were equally provided.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a longer conversation time with their parents, better communication skills, and higher degrees of relational satisfaction than the control group. Conversat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reduced the use of blocking techniques in the teenager-parent conversations more than the control group, and all so raised the frequency of functional communications more than the control group. In both areas of communic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Most notably, a problem-solving case through no-lose conflict resolution methods was effective, succeeding by 70%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43.3% in the control group. Parents use blocking techniques like admonition, lecturing, blaming, sarcastic remarking, ordering and so forth, while teenagers use dispute, avoidance, blaming, and teasing in this order. The communication problems during the conversation process, teenagers’ evasive and rebellious way of speaking instigates adverse communication responses from parents, so their conversation tends to unfold as ambiguous evasion opposed to: inquiring or evasion by short answers vs. ordering-preaching, or disputing vs. criticizing-making sarcastic, disputing vs. disputing-teaching, and criticizing vs. criticizing. 본 연구는 청소년 자녀와 부모가 함께 한 실제 상황의 의사소통 훈련이 실생활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대화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이들의 대화구조와 과정을 밝히고 의사소통 문제점과 이를 개선한 사례를 제시하여 효과적인 의사소통 전략을 탐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 ‘가족의 의사소통’ 단원에 적용할 수 있는 4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 및 UCC제작을 활용한 실제 상황적 수행평가를 개발하고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적용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실제 가정생활에서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훈련을 수행과제로 제시하고 비교집단에는 수업 중 학습활동을 통한 훈련만 제시하며, 수업 및 사전, 사후 수행과제를 동일하게 제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중학교 1학년으로 실험집단은 4학급 149명, 비교집단은 4학급 147명의 총 8학급 296명과 그의 부모이다. 실생활에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능력과 관계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과 사후의 설문지와 부모자녀간 실제대화를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적연구 결과에서 부모님과 함께 의사소통 훈련을 실천하여 실제 상황적 수행평가를 수행한 실험집단이 학습상황에서 훈련한 비교집단보다 부/모에 대한 대화시간이 늘었고, 기능적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관계 만족도가 증가한 결과를 보였다. 둘째, 대화분석한 결과, 부모자녀의 의사소통 걸림돌 사용은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줄고, 긍정적 요소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증가하여 실험집단의 의사소통 개선 효과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특히, 무패법(갈등해결법)을 통한 의사소통 문제 해결 사례는 실험집단이 70%, 비교집단이 43.3%로 갈등 해소에도 효과적이었다. 셋째, 두 집단 모두 부모가 자녀보다 약 3배 이상 많은 의사소통 걸림돌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부모는 훈계, 강의, 비난, 빈정대기, 명령 외에 다양했고, 자녀는 논쟁과 회피, 비난, 강요(떼쓰기) 순서로 나타났다. 대화과정에서의 의사소통 문제점은 자녀의 회피적, 반항적 말투가 부모의 역기능적 의사소통을 더욱 부추겨서 자녀 대 부모의 반응으로 회피 대 훈계·명령·캐묻기, 논쟁 대 비난·논쟁, 강요 대 명령, 비난 대 비난·빈정대기 등의 경향이 나타났다. 넷째, 학생들의 평가결과 실제 상황적 수행평가가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을 실생활에서 실천하도록 돕고 부모자녀의 의사소통 능력 및 관계를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라고 응답하였다. 본 수업 및 실제상황적 수행평가는 학습자가 자신의 대화 모습을 관찰하여 의사소통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함으로써 원만한 가족관계 형성을 돕는데 공헌하였다. 또한, 청소년 자녀와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부모자녀간 실제대화를 분석하여 대화구조를 심층적으로 밝히고 의사소통 문제점과 개선한 대화사례를 제공한 것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아동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공감능력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이명순,김종운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4 청소년상담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공감능력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부산광역시의 동부와 서부에 소재한 2개의 초등학교 4, 5, 6학년 402명(남 190, 여 212)에게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척도, 학교적응 척도, 공감능력 척도, 자아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최대우도추정법(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절차를 적용하여 모델의 적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였으며, 추정된 모델의 경로계수를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 Bootstrapping 절차를 사용하여 각 변인별 직․간접효과를 분해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아동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효과가 없었다. 둘째, 아동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공감능력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간접적인 효과가 있었다. 셋째, 아동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간접적인 효과가 있었다. 넷째, 아동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공감능력과 자아탄력성이 순차적으로 매개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학교적응은 유의한 관계가 있지만 그보다 개인적인 요인인 공감능력과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보다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정에서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중요성과 함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역기능적이라 하더라도 아동의 공감능력과 자아탄력성을 길러줄 수 있다면 학교 부적응을 감소시키거나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ays through which parent-child communication affects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at is, the mediating effects of children's empathy ability and self-resilience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For the purpose, the researchers surveyed 600 students attending at 2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Busan to determine their communication with parents, school adjustment, empathy ability and self-resilience. Responses from 402 of the subjects were deemed appropriate, and finally analyzed. Specifically, the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AMOS 19.0.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rent-child communication has no direct effect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Second, children's empathy ability has direct effects on their school adjustment. Children's keeping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peers. Third, children's self-resilience has direct effects on their school adjustment, Fourth, parent-child communication has indirect effects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s it is mediated by children's empathy ability. fifth, parent-child communication is mediated by children's self-resilience to have indirect effects on their school adjustment.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children's empathy ability and self-resilience are directly effective in their school adjustment and that parent-child communication is indirectly influential to children's school adjustment via their empathy ability and self-resilience. Thus, reducing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s and improving their school adjustment require developing lots of different programs that can help facilitate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raise children's empathy ability and self-resilience.

      • KCI등재

        부모공동양육과 유아 사회성 간의 관계에서 부부 의사소통과 부모- 자녀 의사소통의 직렬다중매개효과

        허미애,오미경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학논집 Vol.26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rial multiple mediation of marital communication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o-parenting and young children’s sociability. To this end, data collected from 227 parents with young children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PROCESS macro 4.0.1.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parental co-parenting, marital communication,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young children’s sociability all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ach other. In addi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o-parenting and young children’s sociability, the simple mediation effect of both marital communication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was significant,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the effect of serial multiple mediation between marital communication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awaken the importance of parental co-parenting, marital communication,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to parents with young children, and also to give great attention and effort to develop programs to improve marital communication in the field of young children education that has traditionally implemented parent education programs focused on promoting parent-child communi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공동양육과 유아 사회성 간의 관계에 있어서 부부 의사소통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거주하는 유아기 자녀를 둔 학부모 227명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SPSS 26.0과 PROCESS macro 4.0.1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공동양육과 부부 의사소통, 부모-자녀 의사소통, 유아의 사회성은 모두 상호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확인하였다. 또한 부모공동양육과 유아 사회성 간의 관계에서 부부 의사소통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단순매개효과는 모두 유의하였으며, 부부 의사소통과 부모-자녀 의사소통 간에는직렬다중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성이 중요한 발달과업인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에게 부모공동양육, 부부 의사소통,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전통적으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증진에 편중된 부모교육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왔던 유아교육 현장이 부부 의사소통 증진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큰 관심과 노력을 경주하도록 할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유형이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황현주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2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이 외적 성격 형성 요인인 친구관계와 어떤 상관관계가 있으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가족 기능 및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에 대하여 중요한 기본 방향을 제공하고, 부모 교육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아버지나 어머니 모두 개방형 의사소통 유형의 개방성 정도가 클수록 친구관계가 좋았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아파트에 거주하는 집단이 상가지역에 거주하는 집단보다 더욱 어머니와 대 화를 많이 하였고, 아버지와 대화가 긍정적일수록 어머니와 대화, 행복감, 가정 분위 기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변수와는 달리 가난한 집단이 부유한 집단보다 친구관계에서 더욱 긍정적으 로 나타났으며, 아파트에 거주하는 집단이 상가지역에 거주하는 집단 보다 친구관계 에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인구 사회학적인 변인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에 따라 친구관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요즘 학교 현장에서 학교폭력이나 왕따의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부모-자녀 간 긍 정적인 의사소통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는 현실이다. 특히 초등학생들에게는 부 모님과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 시기이므로, 개방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 도록 적극적인 부모교육과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아버지와의 의사소통 유형 역시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아버지들의 자녀 양육 동참에 대한 홍보 및 교육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relations it has between the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tpye , and the friend relation which is the character forming factor. Also to find out what influence it has.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study, I present the important basic direction about the family function and the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type, and I hope to use it as an elementary material for education of parents. From the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greater the degree of openness of children’s parents, the more the friend relationship is good. Second, Children live in apartment complex, have more time to talk. than the children live in the commercial area. The more positive the talk with father, the more positive the talk with mother, and the feeling of happiness, the atmosphere of the children’s house. The poorer group is more positive than the richer group in friendship, and the children group in apartment complex is more positive than the children group in commercial area. I could know that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and the variant of population and society influence the friend relation. Nowadays, It is absolutely need to communicate between parents-children when the seriousness of the school violence and group bullying appears at schools. Especially to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y are greatly influenced by the parents and the environment, We should present more active parent –education and the information in order to open-heated communication is possible. Also, communication with children’s father has a great influence, advertisement and education actively should be put into practiced for the fathers’s engagement of the raging the children.

      • KCI등재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부모 지원 및 자녀의 운동참가의 관계

        서희진 한국초등체육학회 2012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18 No.1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부모지원 및 운동참가의 관계를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2010년 현재 충청북도 소재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4~6학년 학생 344명이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도구는 Barnes & Olson(1982)의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척도, Bowen & Chapman(1996)의 부모지원 척도가 사용되었으며, 독립표본 t검증, 중다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부모지원 및 운동참가는 일부 변인에서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둘째,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은 부모지원 및 운동참가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부모지원 및 운동참가의 각 요인간에는 직접 및 간접적 인과 관계가 성립되었다. 결론적으로 부모-자녀간 개방적 의사소통은 자녀의 운동참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