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생활주제‘비움과 채움’ 실천사례에 대한 탐색적 연구

        허미애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3 No.6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concept of ‘Emptying and Filling’ and its contents as well as its educational value and to explore how the concept can be developed and practiced in kindergarten as a theme of daily life based on Christian worldview. And while it tries to examine a good case study of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a teacher and children on the one hand, it also strives to discern the conflict and difficulty that teachers can face. For this, the author made a qualitative research from a group interview with teachers, meeting records, individual interviews, classroom supervision, cooperative class records, class videos with the admission of teachers, and the daily class schedul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at ‘Emptying and Filling’ is not just the theme oriented toward the life under Christian worldview but also toward educational goal and purpose of the Nuri Curriculum. Additionally, It has turned out to be a theme that not only helps executing activity planned by a teacher but aslo helps encouraging self-led play by children and not to mention, easy to be combined with previously presented other daily life themes. Particularly, in exploring daily life themes, children is to ultimately understand the essential value of life as well as rea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selves and the surrounding worl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provided as the basis to improve the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본 연구에서는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생활주제 ‘비움과 채움’의 실천사례를 탐색해봄으로써 생활주제 ‘비움과 채움’의 주요 개념 및 내용, 교육적 가치, 교사-유아 간 바람직한 상호작용, 교사가 직면한 갈등과 어려움을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교사 집단면담 및 협의록, 개별면담 기록지, 수업장학과 협력수업 기록물, 수업전사기록, 월․주․일일교육계획안을 수집하여 질적 연구를 실행하였다. 연구결과, 생활주제 ‘비움과 채움’은 기독교세계관이 지향하는 삶의 가치 뿐 아니라 누리과정의 교육목적과 목표에도 부합하는 생활주제이며, 교사가 사전에 계획한 활동 뿐 아니라 유아주도의 자연스러운 놀이가 발현되는 생활주제이고, 기존의 생활주제와도 쉽게 통합될 수 있는 주제임이 밝혀졌다. 특히 유아들은 생활주제를 탐구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과 주변세계와의 관련성을 인식할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삶의 본질적인 가치를 이해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기독교유아교육과정 운영 개선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사고성향수준과 질문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이야기나누기시간에서의 언어를 통한 문제해결과제 수행을 중심으로-

        허미애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8 유아교육학논집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thinking disposition of preschool teachers and their questioning. The research was done with thirty one preschool teachers working in metropolitan areas who are in charge of classes of five-year old children. The teachers who became the object of this research were supposed to engage in the activities of discourse in small groups which were indispensable to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ir own questioning as well as of the written test about their thinking disposition that were distributed individually to each one of them.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esearch, it is statistically evidenced that teachers who have more critical and creative disposition are more likely to effectively use questions to improve the thinking capacity of children. In sum,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at the level of thinking disposition of preschool teachers is a crucial factor in determining the contents and the level of their questioning.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이야기나누기시간은 교사와 유아가 서로의 경험과 생각을 역동적으로 공유하는 시간이다. 이 시간에 유아교사는 질문을 통하여 유아의 사고를 이끌어낼 수 있어야만 한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은 유아의 사고를 이끌어내기 위한 유아교사의 질문수준에는 많은 개인차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개인차를 유발하는 교사요인은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사고성향 수준에 따른 질문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유아교사의 사고성향이 교사 질문의 내용과 수준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일 뿐 아니라, 유아의 사고력 신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밝히고 유아교사의 질문수준이 향상되기 위해서는 먼저 유아교사의 사고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다양한 교사교육 방안이 모색되어야 함을 제안하고 있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이야기나누기 수업평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허미애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학논집 Vol.23 No.1

        This paper aims to develop a standard to evaluate discourse classe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is, it has selected some factors to evaluate discourse classes with the consultation of professionals by examining the preliminary studies about the evaluation of discourse classes, and by collecting and assessing the evaluation guideline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practical guidelines for teachers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the materials to evaluate discoursed classe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Furthermore, it formulated a preparatory test of 140 questions with 38 to plan and prepare discourse classes and 102 to practice discourse. Then, based on the factor evaluation of the results of the survey analysis about the preparatory test toward 392 both public and private early childhood teachers of the nation. The standard to evaluate discourse classes developed in this research is composed of 2 areas, 8 factors, and 36 questions. In the stage of planning and preparation, there are thematic relevance (5), purpose and contents selection (4), appropriateness of activity materials (4), appropriateness of physical environment (3). In the stage of practice, the relatedness to activity goals (4), appropriateness of teachers’ questions (6), feedback toward infant reactions (4), and non-verbal language of teachers (6). The standard is verified in terms of the quality of questions and the inter-item consistency of questions, and the credibility of the developed standard is .929. As this standard was verified in light of validity and reliability, it is expected to be used not only as a tool of self-evaluation and peer-evaluation by early childhood teachers to improve discourse class and of the class consultation in the preschool education field and the evaluation of mock examination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ut also for the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the abi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o lead discourse classes and the other factor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들을 위한 이야기나누기 수업평가 척도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야기나누기 수업평가 관련 선행연구 고찰, 교육과학기술부와 서울특별시교육청의 제 1-4주기 유치원평가편람(2008, 2011, 2014, 2017)과 서울특별시교육청의 교직실무편람(2007) 및 유아교육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이야기나누기 수업평가 자료 수집·분석, 전문가 협의를 통해 이야기나누기 수업평가 구성요인을 추출하고 이야기나누기 계획영역 38문항, 이야기나누기 실행영역 102문항, 총 140문항으로 예비 시안을 구성하였다. 이후 전국의 공사립 유치원교사 392명을 대상으로 한 예비 시안 설문조사 결과에 대한 요인분석을 통해 척도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이야기나누기 수업평가 척도는 계획영역: 주제의 적절성(5), 목표 및 내용 선정(4), 활동자료의 적절성(4), 물리적 환경의 적절성(3), 실행영역: 활동목표와의 관련성(4), 교사 질문의 적절성(6), 유아 반응에 대한 피드백(4), 교사의 비언어적 태도(6) 총 2영역, 8요인, 3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척도는 문항 양호도와 문항 내적 일치도를 검증하였으며, 개발된 척도의 신뢰도는 .929이다.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본 척도는 유아교사들의 이야기나누기 수업개선을 위한 자기평가 및 동료평가,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수업컨설팅 및 예비 유아교사들의 모의수업 평가뿐 아니라 유아교사의 이야기나누기 수업능력과 다른 요인과의 관련성을 연구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영유아의 고자질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개입행동 -교사 경력과 담당 학급을 중심으로

        허미애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학논집 Vol.24 No.5

        This study is a research to examine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s and interventions about the tattling of young children. It conducted a survey of 577 childcare teachers in Seoul and the surrounding Gyeonggi province. Consequently, frequency analysis, cross analysis, and the Chi-squared test with the use of SPSS 22 were undertake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childcare teachers responded that the tattling of young children most frequently takes place in the indoor free play time of the daily schedule. Also, it is found that the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ir proper intervention in settling the situation of tattling i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career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 type of classroom. In contrast to the precedent qualitative research which examined only a small number of tattling young children, this study probes into the perception and intervention of childcare teachers who take care of the classes of 1 and 2 year old infants and of the classes of children with ages ranging from 3 to 5. Furthermore, it is meaningful that it demonstrated that the career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 type of classroom in their charge make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and intervention of childcare teachers towards tattling. 본 연구는 영유아의 고자질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개입행동을 알아보기 위한 조사연구로서, 서울과 경기지역의 보육교사 5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 22를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 카이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들은 영유아의 고자질이하루 일과 중 실내자유놀이시간에 가장 빈번하게 일어난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영유아의 고자질 이유와 고자질 상황에서의 바람직한 교사개입행동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제 고자질 상황에서의 교사개입행동은 보육교사의 교사 경력과 담당 학급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차이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학급 내 소수 고자질 유아만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던 선행 질적 연구와는 달리, 만 1⋅2세반 영아와 누리과정 만 3⋅4⋅5세반 유아를 보육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영유아의 고자질에 대한 인식과 개입행동 실태를 조사하고 보육교사의 교사 경력과 담당 학급에 따른 고자질에 대한 인식과 개입행동의 차이를 규명하였다는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기독교인 유아교육자의 신앙과 기독교유아교육에 대한 인식 및 교수현황

        허미애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학논집 Vol.2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ith and calling of Christian educato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well as their understanding about the Christian education in Christian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is that religious education in public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missionary activities of teachers have become a social issue. Results of a survey completed by 253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or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6 program.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demographic features and correlation analys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aith and other variants. Further, a t test and cross analysis were adopted to examine the understanding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difference of teachers’ environment as the background factor.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an individual faith and the affiliated organization will significantly influence the understanding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ors about Christian early childhood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and on the current situ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points out the necessit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when it is expected that religious education will be still more restricted in public education institutions, by discovering new life topics that reflect Christian worldview and to practice them in real life situations as well as continuing Christian education through worship in the past in order to maintain and develop Christian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공교육기관에서의 종교교육과 교사에 의한 선교활동이 사회적 이슈가되고 있는 교육상황 속에서 기독교인 유아교육자들의 신앙과 소명의식 및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기독교유아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수현황을 조사함으로써 향후 기독교정신을 설립정신으로표방하고 있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바람직한 기독교유아교육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기독교인 유아교육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지 253부를 최종통계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설문 자료의 통계적 분석을 위해 SPSS 16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확인을 위한 빈도분석, 연구대상의 신앙현황 관련 변인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상관분석, 연구대상의 배경요인에 따른 기독교유아교육에 대한 인식 및 교수현황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t 검증과 교차분석(χ²)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기독교교육에 대한 기독교인 유아교육자의 인식 및 교수현황은 개인의 신앙과 소속기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교육기관에서의 종교교육 금지가 더욱 강화되리라고 예측되는 상황에서 기독교정신을 설립정신으로 표방하는 사립유아교육기관에서의 기독교교육이 유지․발전되기 위해서는, 기독교인 유아교육자의 개인적 영성 강화와 기관에서의 예배를 통한 기독교교육뿐 아니라 기독교세계관을반영한 새로운 생활주제의 연구개발과 현장적용을 통해 기독교유아교육과정의 내실화를 추구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부모공동양육과 유아 사회성 간의 관계에서 부부 의사소통과 부모- 자녀 의사소통의 직렬다중매개효과

        허미애,오미경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학논집 Vol.26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rial multiple mediation of marital communication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o-parenting and young children’s sociability. To this end, data collected from 227 parents with young children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PROCESS macro 4.0.1.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parental co-parenting, marital communication,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young children’s sociability all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ach other. In addi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o-parenting and young children’s sociability, the simple mediation effect of both marital communication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was significant,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the effect of serial multiple mediation between marital communication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awaken the importance of parental co-parenting, marital communication,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to parents with young children, and also to give great attention and effort to develop programs to improve marital communication in the field of young children education that has traditionally implemented parent education programs focused on promoting parent-child communi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공동양육과 유아 사회성 간의 관계에 있어서 부부 의사소통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거주하는 유아기 자녀를 둔 학부모 227명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SPSS 26.0과 PROCESS macro 4.0.1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공동양육과 부부 의사소통, 부모-자녀 의사소통, 유아의 사회성은 모두 상호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확인하였다. 또한 부모공동양육과 유아 사회성 간의 관계에서 부부 의사소통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단순매개효과는 모두 유의하였으며, 부부 의사소통과 부모-자녀 의사소통 간에는직렬다중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성이 중요한 발달과업인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에게 부모공동양육, 부부 의사소통,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전통적으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증진에 편중된 부모교육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왔던 유아교육 현장이 부부 의사소통 증진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큰 관심과 노력을 경주하도록 할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과보호 양육행동 학부모’와 함께 살아가는 영아교사의 삶 이야기

        허미애,김미리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3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가 ‘과보호 양육행동 학부모’와의 만남에서 경험한 갈등과 어려움 그리고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에 대해 알아보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에 재직할 당시 ‘과보호 양육행동학부모’와의 관계에서 갈등과 어려움을 경험하였던 영아반 담임교사 9명을 목적 표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총 9회의 반구조적 심층면담을 한 다음, 수집된 자료를 질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영아교사는 ‘과보호 양육행동 학부모’와의 만남을 통해 ‘불길한 예감’, ‘과보호 양육행동학부모의 두 얼굴’, ‘의도적으로 가장한 과잉보호 양육행동’, ‘의심과 불신의 관계’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교사는 ‘과보호 양육행동 학부모’와의 만남에서 발생한 갈등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현실과타협하며 억지로 참기, 경청하기, 공감하기, 완벽주의를 지향하기, 혼자서 소리 없이 되뇌기를 경험한 것으로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아교사와 ‘과보호 양육행동 학부모’ 간 관계 개선 및 의사소통, 상호 존중및 상호 지원 보육문화 조성에 조력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flicts and difficulties experienced by infant teachers when interacting with parents who engage in overprotective parenting behaviors, and to explore their efforts to overcome these challenges.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paper employs a purposive sampling method focusing on nine infant class teachers who experienced conflicts and difficultie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overprotective parenting behavior parents’ during their employment at a daycare center. In this research, a total of nine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articipants,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irst, the research findings revealed that infant teachers experience a range of emotions and perceptions when interacting with overprotective parenting behavior parents. These include a foreboding premonition, two faces of overprotective parenting behavior parents, deliberately overprotective parenting behavior and relationship of doubt and mistrust. Second, infant teachers in their encounters with overprotective parenting behavior parents have been found to employ various strategies to overcome conflict situations. These strategies include reluctantly compromising with reality and forcefully enduring, active listening, showing empathy, aspiring towards perfectionism, and talking to oneself silen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nticipated to assist in impro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teachers and overprotective parenting behavior parents, enhancing communication, and fostering a childcare culture of mutual respect and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