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소기업 최고경영자의 변혁적리더십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대용,박권홍 한국경영교육학회 2010 경영교육연구 Vol.62 No.-

        기존의 시간과 공간개념을 넘어선 글로벌시대에 기업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짐에 따라 기업평균 수명은 점점 짧아지고 있다. 기업의 최고경영자는 급변하는 경영환경에서 기업의 생존과 성장을 이끌기 위해 새로운 리더십을 갈망하고 있으며 그 대안으로 변혁적 리더십이 다른 리더십과 비교하여 높은 조직성과를 이끌어 내는 리더십인지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관심을 반영하듯 다양한 조직형태에서 변혁적리더십에 대한 많은 연구가 발표되어 왔으나 그 중 대다수가 자아효능감과 직무만족, 조직시민행동 등을 변혁적 리더십의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조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연구논문이었다. 그나마 중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소수의 연구결과도 변혁적리더십과 혁신성과의 관계, 변혁적 리더십과 학습지향성관계 등 부분적인 연구가 발표되어 변수간 전체적인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쉽지 않은 측면이 있었다. 선행연구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대기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를 제외한 중소기업만을 대상으로 변혁적리더십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 실정이다. 우선 홍소식(2007), 김강호(2008), 성백순(2008) 등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변혁적리더십이 시장지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를 발표한 바 있다. 이상과 같은 최근 선행연구의 특징을 살펴보면 조사대상이 중소기업일지라도 응답자를 부장급이하 실무자를 대상으로 했으며, 대상 업종도 성백순(2008)의 경우를 제외하면 다양한 업종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를 임원급 이상의 최고경영자로 하고 업종에 따른 문화 특성을 고려하여 조립금속 및 기계제조업종의 중소기업으로 한정해 전국에 분포한 기계공업협동조합의 협조를 받아 진행하여 타 업종의 응답을 사전에 차단함으로써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함으로써 연구결과를 동 업종의 특성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차별화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의 최고경영자에게 현재의 경쟁 환경에 적합한 리더십으로 변혁적리더십을 선택하고, 변혁적 리더십이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학습지향성과 시장지향성, 혁신성을 매개변수로 하여 실증해 보았다. 특히 변혁적리더십과 지식사회에서 주목받고 있는 학습지향성, 시장지향성, 혁신성과의 영향관계에 대한 인과관계를 전체적으로 조망해 보고자 이번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최고 경영자의 변혁적 리더십은 학습지향성과 시장지향성의 매개과정을 통해 혁신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혁신성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학습지향성과 시장지향성이 변혁적리더십과 혁신성 관계를 부분매개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학습지향성은 혁신성에 직접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시장지향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시장지향성은 학습지향성과 혁신성 관계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혁신성은 학습지향성, 시장지향성과 기업성과 사이에 완전매개 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최고경영자의 변혁적리더십이 기업의 학습지향성, 시장지향성, 혁신성 전반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기업성과에 영향을 준다는 의미 있는 결과로 기업 최고경영자가 추구해야할 바람직한 리더십이라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으며, 중소기업이 미래 성장 동력으로서 핵심역량을 확보하기 위한 경영전략 수립에... Life span of enterprises in average has been shorter due to the competition's getting more fierce in the global era where the existing concept of time and space is surpassed. Top management of a business is anxious for new leadership to lead the survival and growth of the companies under rapidly changing managerial environments and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getting attention in a sense whether it is to draw up higher achievements of organization than other type of leadership or not. As reflect such attention to it, lots of studies o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a diversified type of organization have been executed but most of them focused on the meaningful effect on the achievements of an organization by establishing the sense of self 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ed citizen's movement as dependent variables. A few studies on the small and medium size industries dealt with only partial researc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vs. innovation, and the leadership vs. learning orientation, which eventually makes understanding th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rather difficult. Reviewing some precedent studies, only handful number of papers were found in the studies o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only the small and medium industries excluding those for the larger companies. However Hong So Shik (2007), Kim Kang Ho(2008) and Sung Baek Sun(2008) announced the outcome of their studies that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small and medium size industries has meaningful influence on the market orientation. Recent precedent studies are characterized that their target was the working level employees of below manager grade of the small and medium size industries and they included diversified trades of such industries except the case of Sung Baek Sun(2008). On the other hand, top management of higher than executive director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nd taking into account of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 of business, only the small and medium industries engaged in metal works assembly and manufacturing machineries were incorporated with the papers under the kind cooperation of Korea Federation of Machinery Industry Cooperatives across the nation and by blocking the replies of other type of industries in advance, reliability of the outcomes was secured and thus the Study was made to be understood as a characteristics of the said industrie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et the top management of small and medium industries select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s an appropriate leadership to the current environments of competition and the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he company achievements was experimented as establishing the learning orientation, market orientation and innovation to be a variable. In particular, this Study proceeded with reviewing the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ing orientation, market orientation and innovation that have been receiving attention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knowledge society and following results were analyzed. Firstly,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op management influenced not only the innovation going through the variable process of learning orientation and market orientation but also the innovation directly and as a result the orientation of learning and market work as a parameter in part betwee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innovation. Secondly, the learning orientation was found to influence the innovation directly as well as exercise indirect influence through the market orientation and accordingly the market orientation was revealed to work as a parameter in part between the learning orientation and innovation. Thirdly, the innovation was found to cause perfect parameter effect among the learning orientation, market orientation and the corporate performance. This Study brings forth significant result of influence that the transformational ...

      • 학원의 교육서비스 품질 및 학원강사의 변혁적리더십이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윤용헌,엄덕수 한국사교육연구협의회 2021 사교육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학원의 교육서비스 품질 및 학원강사의 변혁적리더십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구전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고등학 생을 대상으로 하는 학원의 교육서비스 품질 개선을 유도하고, 학원강사의 변혁적리더십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학원교육 및 학원경영 성과를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입시·검정 및 보습학원에서 수강 중인 고등학생 6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BM SPSS StatisticsDHK 25와 AMOS 21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원의 교육서비스 품질은 신뢰성, 확신성, 공감성, 유형성, 응답성 순이고, 변혁적리더십은 지적자극, 개별적배려, 영감적동기화, 이상적영향력 순으로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은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 과제난이도 순이고, 구전의도는 주관적구전의도, 적극 적구전의도, 객관적구전의도 순으로 보통 수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원의 교육서비스 품질과 학원강사의 변혁적리더십이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육서비스 품질은 변혁적리더십, 자기 효능감, 구전의도에, 변혁적리더십은 자기효능감과 구전의도에, 자기효능감은 구전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서비스 품질과 구전의도 관계에서 학원강사의 변혁적리더십과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원장이 학원의 교육서비스 품질과 학원강사의 리더십을 제고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구전의도를 높이는 구조적 관계 속에서 경영활동을 수행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students' thought for teaching service quality of private education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vate tutoring center instructors. The study targeted specific High school students, registered to private tutoring centers of Daechi-dong, Joong-gye-dong, Gyonnggido bundang, and Suwon Yong-tong which are special private education districts in South Korea. And this study aimed to analyze how the teaching service quality and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ve influences on self-efficacy and word-of-mouth intention of high school students. The goals of this study were to help private tutoring centers for high school students find the ways to improve the private education service quality, and to help private education instructors recognize how important they boost thei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n, the study finally advised private tutoring centers and their instructors on how they show better performance for private education and their company’s management.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researched references & dissertations, and carried out a survey. Data for the study was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which was carried out by 640 high school students. The survey was analyzed by IBM SPSS Statistics DHK 25 and AMOS 21 program, and it was verified in level of p〈.05. In order to examine the structural caus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as executed, and then bootstrapping was also executed to verify mediated effects. The survey analyzed by the process explained above has four important results. First, here presented analyzing survey on students’ thought for teaching service quality of private educati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vate tutoring center instructors, and self-efficacy and word-of-mouth intention of high school students. Teaching service quality of private education consisted of reliability> certainty> sympathy> type> responsiveness in order of score rank.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vate tutoring center instructors consisted of intellectual stimulation〉individual consideration〉 inspirational motivation〉 ideal influence in order of score rank, which showed not a high level of score.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consisted of self-control efficacy〉 self-confidence〉 assignment level of difficulty in order of score rank. Then, Word-of-mouth intention of high school students consisted of subjective word-of-mouth intention〉 positive word-of-mouth intention〉, and objective word-of-mouth intention in order of score rank. Second, here is the result that examined the correlation of teaching service quality of private educati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vate tutoring center instructors, and self-efficacy & word-of-mouth intention of high school students. The study showed a mutually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exists among teaching service quality of private educati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vate tutoring center instructors, and self-efficacy & word-of-mouth intention of high school students. Third, the study showed how teaching service quality of private education &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vate tutoring center instructors had influenced on self-efficacy & word-of-mouth intention of high school students. Teaching service quality of private educ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β=.83, p<.001)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vate tutoring center instructors, a positive(+) influence(β=.16, p<.001) on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and a positive(+) influence(β=.33, p<.001) on word-of-mouth intention of high school student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vate tutoring center instructors had influenced on a positive(+) influence(β=.36, p<.001) on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and a positive(+) influence on word-of-mouth intention of high school students(β=.47, p<.001).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had a positive(+) influence(β=.10, p<.01) on word-of-mouth intention of high school students Fourth, here is the result that researched a mediated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a student's self-efficacy between teaching service quality of private educa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of high school students. Meaningful was an indirect effect of [teaching service quality -> transformational leadership -> word-of-mouth intention]. Also meaningful was an indirect effect of [teaching service quality -> self-efficacy -> word-of-mouth intention]. In addition, meaningful was a mediated effect of self-efficacy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word-of-mouth intention. And also meaningful was an indirect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 self-efficacy -> word-of-mouth intention. Therefor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vate instructors and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have a mediated effect between private educational teaching service quality and students' word-of-mouth intention. In conclusion, to improve private tutoring center education and management, private tutoring center's manager should make efforts to raise the teaching service quality of his or her institute, and an instructor should lear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how the leadership for his or her students.

      • KCI등재

        학교장의 리더십과 학교조직가치 결합유형 간의 인과관계 분석

        박세훈,이정로 한국교원교육학회 200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학교장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과 조직가치의 결합유형 간의 인과관계를 구조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접근방법으로는 학교장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과 학교조직가치의 결합유형 간의 가설적 인과모형을 설정하여 구조방정식 분석 방법을 통해 그 가설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모형 분석결과에 의하면,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χ2값이 88.901(df=37, p=.000), RMSEA=.059, GFI=.963, AGFI=.933, RMR=.017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수용할 만한 권장수준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학교장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과 조직가치의 결합유형 간의 가설적 인과관계 모형은 수용할 만한 좋은 모형으로 판단 내릴 수 있다. 특히, 구조모형에 나타난 잠재변인간의 검정통계량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변혁적 리더십관료적 결합(CR=-4.516), 변혁적 리더십문화적 결합(CR=18.949), 변혁적 리더십이완적 결합(CR=17.945), 거래적 리더십관료적 결합(CR=43.000) 간의 인과계수는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장의 리더십이 학교조직의 결합력 형성에 중요한 영향 요인임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학교조직의 문화적 결합력과 이완적 결합력 형성에 실증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즉, 학교장의 감화동기, 지적자극, 개별배려 등의 변혁적 행동들은 학교조직의 문화적 결합력과 이완적 결합력을 더 견고히 해 줄 것이다. 따라서 학교장은 학교조직의 효과성 증진을 위해 관료적 결합보다 문화적 결합력과 이완적 결합력을 결속시키는 결합기제의 개발에 심혈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변혁적리더십의 성과에 관한 메타연구: 최근 10년간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10

        김지영,강원석 리더십학회 2021 리더십연구 Vol.12 No.2

        현대사회의 많은 조직에 필요한 대표적인 리더십으로 변혁적리더십에 대한 관심이 지속되고있다. 이에 변혁적리더십에 대한 실증연구와 문헌연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축적된 연구와 이들의 데이터를 종합하고 계량적으로 분석하여 변혁적리더십이 결과변인에 미치는 효과를살펴본 연구는 제한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변혁적리더십과 결과변인에 관한 실증연구들을 바탕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결과변인에 대한 변혁적리더십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 국내에서 변혁적리더십과 관련하여 수행된 1,151개의연구 중에서 메타분석에 활용 가능한 151개의 연구 데이터를 바탕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변인을 심리성과⋅직무성과⋅조직성과로 범주화하여 변혁적리더십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혁적리더십은 전체 결과변인에 큰 효과크기에 가까운 효과크기를 주는것으로 도출되었다(.471). 둘째, 변혁적리더십은 심리성과(.475), 조직성과(.460), 직무성과(.427) 순으로 효과크기를 도출하였다. 셋째, 변혁적리더십은 심리성과, 직무성과, 조직성과 범주에 속하는결과변인에 큰 효과크기와 중간 효과크기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실무적 및 학문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regarded as an important leadership in modern society. Accordingly, research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continuously increasing, but researches are insufficient in that it has not been comprehensively and quantitatively analyz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onduct a meta-analysis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utcome variables by synthesizing and quantitatively analyzing accumulated studies and their data. Out of 1,151 studies conducted in Korea in connection with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ver the last 10 years, 151 research data used for meta-analysis. In this study, outcome variables were categorized into psychological performance,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a large effect size on the overall outcome variable(.471). Seco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a large effect in the order of psychological performance(.475), organizational performance(.460), and job performance(.427). Third, it was found that all sub variable in psychological performance,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had a large effect size or a medium effect size. Based on this, practical and academic implications were derived.

      • KCI등재후보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를 중심으로

        김춘희 한국자치행정학회 2011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5 No.3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리더십이 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소재 어린이집의 보육교사 250명이다. 분석방법으로 빈도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의 직위, 학력이 높을수록, 총교사경력, 현근무지 경력, 월평균보수액이 많을수록 지각하는 변혁적리더십 수준에 유의한(p>0.05) 차이가 있었으며, 교직원수는 ‘4-5인’, ‘10-11인’일 때 변혁적리더십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직무만족 수준차이 비교에서는 기혼보다는 미혼이 직무만족 수준이 높았으며, 직위, 학력이 높을수록, 전공이 간호학, 유아교육전공일수록 직무만족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총교사경력, 현근무지경력, 월평균보수액이 많을수록 직무만족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p>0.05). 셋째, 원장의 변혁적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변혁적리더십의 하위요인중 카리스마, 개별적고려 요인만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purpose was searched that effects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when child-care Teacher was recognized of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subjects of this study, based in Jeollabuk-do child-care teacher' 250. Analysis method was performed what frequency study,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findings first, the teacher's position, higher education, teacher's total career, career of teacher's place of work, higher monthly salary, perceptive leadership levels significantly(p>0.05) were the difference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level revolution leadership at number of faculty, '4-5', '10–11'. Second, comparing the difference in level of job satisfaction than married, not married were higher levels of job satisfaction, job title, Higher Education, majoring in Nurs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more job satisfaction level was higher, total teaching career, career of teacher's place of work , monthly salary, higher level of job satisfaction was higher (p>0.05). Third,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esident looked at the impact on child-care teacher' job satisfaction, that sub factor (charismatic, considered individually) affect satisfaction (+) showed the effect.

      • KCI등재

        태권도 관장의 변혁적 리더십, 사범신뢰 및 지도 효율성에 대한 구조모형

        김상윤,김동수 국기원 2019 국기원태권도연구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amo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reliability, and teaching effectiveness. The participants were 272 Taekwondo instructors and masters. Data were collected usi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reliability, and teaching effectiveness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EM. Through these studie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an enhance reliability between masters and instructors. Second,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an enhance teaching effectiveness of instructors. Third, the instructors’ reliability to masters can enhance teaching effectiveness of instructors. Fourth, the instructors’ reliability to masters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ing effectiveness. That is,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Taekwondo masters have a structural relationship with reliability and teaching effectiveness of instructors. In sum, The higher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master, the better teaching effectiveness of the instructors by positively influencing the reliability to masters. 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관장의 변혁적리더십과 사범-관장간의 신뢰 및 지도효율성에 대한 구조모형검증을 하는 것에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장 지도경험이 있는 사범 272명을 목적적 표집방법을 사용하여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변혁적 리더십, 사범신뢰, 지도 효율성 설문지에 응답하였다. 자료는 SPSS 21.0과 AMOS 21.0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사범과 관장 사이의 신뢰를 높일 수 있다. 둘째, 관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사범의 지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셋째, 사범이 가지고 있는 관장에 대한 신뢰는 사범의 지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넷째, 사범이 가지고 있는 관장에 대한 신뢰는 변혁적 리더십과 지도 효율성 사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변혁적 리더십과 사범신뢰 그리고 지도 효율성의 구조모형은 타당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론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태권도장 관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지도 효율성에 그리고 사범이 가지고 있는 관장에 대한 신뢰는 변혁적 리더십과 지도효율성과 영향관계를 맺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관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높으면 사범의 지도 효율성이 좋아지고, 사범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지도 효율성을 좋게 만든다.

      • KCI등재

        중국 대학교 태권도 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이 팀응집력과 팀성과의 영향

        우한,곽한병,손한빈,이재우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대학 태권도 지도자의 변혁적리더십와 팀응집력 및 팀성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는 변혁적리더십이 팀응집력 및 팀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팀응집력이 팀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며, 나아가 변혁적리더십과 팀성과의 관계에서 팀응집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국 대학의 태권도 지도자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총 350명을 표집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설문지로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관한 항목 5개 문항, 변혁적리더십에 대한 총 19개 문항, 팀응집력에 대한 10개 문항, 팀성과 4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지의 타당도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검증되었으며, 신뢰도는 신뢰도 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변혁적 리더십의 경우 α=0.755-0.799, 팀응집력의 경우 α=0.848, 팀성과의 경우 α=0.740으로 나타났다. 자료처리 방법은 SPSS WIN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대학 태권도 지도자의 변혁적리더십은 팀응집력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중국 대학 태권도 지도자의 변혁적리더십은 팀성과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중국 대학 태권도 지도자의 팀응집력은 팀성과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중국 대학 태권도 지도자의 변혁적리더십은 팀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팀응집력을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지도자의 변력적리더십을 통해 중국 태권도 선수들이 최고 경기를 위한 팀응집력과 팀성과에 영향을 줌으로써 경기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공직 내 변혁적리더십과 공무원의 적극행정과의 관계성 연구: 행태적 매개효과 및 채용제도와 직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재형,김성엽,오수연,박성민 서울행정학회 2020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31 No.3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public sector and active administration of public officials in order to strengthen the active administration of public officials in a situation where the role of government and public officials is urgently needed nationwide, such as COVID-19. Specifically, it was intended to study the impa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he active administration of public officials through the medium of public officials' behavior (learning orientation, self-efficacy,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It was also intended to present practical implications to the government's personnel strategy by verifying the impact of the recruitment system and rank in relation to transformational leadership, learning orientation, self-efficacy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active administr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positive influence on learning orientation, self-efficacy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respectively, learning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have positive influence o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has positive influence on active administration. In additi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positive influence on public service motivation through each medium of learning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learning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have positive influence on active administration through public service motivation. However, it has been shown that the recruitment system has a significant effect as a moderator variable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that the grad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as a moderator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active administ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duce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in terms of the operation of government personnel administration.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public sector can be exercised. In addition, in order to enhance learning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permanent learning system, revitalize the learning organization of public officials, and provide customized contents for individual learner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measures to enhance public service motiv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influence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on active administration, and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actively engage in personnel management and strategically utilize public officials' behavior that varies depending on their types of recruitment and grade. 본 연구는 최근 COVID-19와 같이 국가적으로 정부 및 공무원의 역할이 절실히 요구되는 현실에서 공무원의 적극행정 강화를 위해 공직 내 변혁적리더십과 공무원의 적극행정과의 관계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 다. 구체적으로는 공직사회 상사의 변혁적리더십이 공무원의 행태(학습지향성, 자기효능감, 공공봉사동기)를 매개로 공무원의 적극행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변혁적리더십, 학습지향성, 자기효능감 과 공공봉사동기와의 관계에서, 그리고 공공봉사동기와 적극행정과의 관계에서 채용제도와 직급의 영향 여 부를 검증하여 정부 인사전략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변혁적리더십은 학습지향성, 자기효능감과 공공봉사동기에 각각 정(+)의 영향, 학습지향성과자기효능감은 공공봉사동기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고, 공공봉사동기는 적극행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변혁적리더십은 학습지향성과 자기효능감 각각을 매개로 공공봉사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변혁적리더십과 학습지향성, 자기효능감은 공공봉사동기를 매개로 적극행정에 정(+)의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채용제도는 자기효능감과 공공봉사동기와의 관계에서만 조절변수로서 유 의한 영향을, 직급은 자기효능감과 공공봉사동기와의 관계와 공공봉사동기와 적극행정과의 관계에서 조절변 수로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로 정부 인사행정 운영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먼저, 공직 내변혁적리더십이 발휘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또한, 학습지향성과 자기효능감을 제고하기 위해 상시 학습제도의 개편, 공무원 학습조직의 활성화, 개별학습자 맞춤형 컨텐츠 제공이 필요하다. 그리고 공공봉사동 기가 적극행정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하여 공공봉사동기 제고방안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채용유형과 직급에 따라 달라지는 공무원의 행태를 적극적으로 인사관리에 포섭하여 전략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조직풍토가 경찰공무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주재진(Joo, Jae Jin)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사회과학연구 Vol.23 No.3

        경찰조직의 효율적인 인적자원 관리를 위해서 경찰관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등 직무태도와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연구는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들어 비교적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그리고 조직 속의 개인의 태도와 행동은 근무환경에 대한 개인의 인식과 함께, 동료들과의 공유된 인식에서도 영향을 받는다는 인식하에 조직의 분위기 또는 풍토에 대한 연구는 시작단계에 있다. 하지만 경찰조직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주로 윤리적 풍토 등의 윤리적 행동에 관한 연구가 되어왔으며, 조직풍토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경찰공무원 개인수준의 차원에서 개인이 심리적으로 지각한 조직풍토를 통하여 실증적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직풍토에 대한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서 조직풍토의 발전과정과 개인의 심리적 조직풍토의 개념을 정리하고, 경찰공무원이 인식하는 조직풍토가 직무만족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조직풍토와 직무만족 사이의 관계를 조절할 수 있는 변수로 변혁적리더십을 선택하였다. 따라서 경찰 조직풍토(분권화, 공식화, 응집성, 혁신성, 개방성,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를 독립변수로, 직무만족을 종속변수로, 변혁적리더십을 조절변수로 사용하여 분석모형을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조직풍토의 하위변수 중 조직구조를 의미하는 분권화와 공식화, 응집성, 그리고 상호작용공정성이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조직풍토의 하위변수 중 공식화, 응집성, 혁신성, 개방성, 분배공정성, 그리고 상호작용공정성이 변혁적리더십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변혁적리더십은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직풍토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변혁적리더십의 조절효과는, 분권화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변혁적리더십은 정(+)적인 조절역할을, 그리고 공식화와 응집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변혁적리더십은 부(-)적인 조절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climate and job satisfaction, The police officers’ perception on the organizational climate has been measured, and then how their perception on the organizational climate affects the job satisfaction has been examined. For the purpose, this study, the literature on organizational climate has been reviewed and with particular emphasis on associated conceptual issues. in chapter 2, presents an overview of research that has assessed the ability to explain job satisfaction on the basis of perceived climate. in chapter 3 and 4, deals with the empirical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al climate, job satisfaction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is study aimed at measuring the effects of police officers’ perception on the organizational climate on job satisfaction, exploring the moderation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providing the basis with implications to promote the job satisfaction in the police Organization. By reviewing previous finding, police officers’ perception on the organizational climate (decentralization, formulation, cohesion, innovation, openness,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interactional justice)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job satisfaction was selected as dependent variable.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selected as moderation variable.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formulation’, ‘cohesion’, and ‘interactional justice’ influenced in job satisfaction(positive), and ‘formulation’, ‘cohesion’, ‘innovation’, ‘openness’, ‘distributive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in job satisfaction(positive). The moderation effect was tested: The Decentralization→Transformational Leadership→Job Satisfaction(positive), The Formulation, & Cohesion,→Transformational Leadership→Job Satisfaction(negative)

      • KCI등재

        부하들의 능동적 참여가 지휘관의 변혁적 · 거래적 리더십과 직무만족 간에 미치는 조절효과

        이강국(Kang-Kuk Lee),이선규(Seon-Gyu Yi)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2

        본 연구에서는 전 · 후방 각지에 분포된 육군의 전투부대 의무복무병사들을 대상으로 지휘관의 리더십이 부하들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부하들의 ‘능동적 참여’가 지휘관의 리더십 효과에 미치는 조절영향을 리더십의 유형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지휘관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은 공히 부하들의 직무만족에 대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지휘관의 변혁적 · 거래적 리더십이 부하들의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부하들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지휘관들이 바람직한 리더십 행동요인을 적극 함양해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지휘관의 리더십과 부하들의 직무만족 간 ‘능동적 참여’의 조절효과는 리더십 유형별로 차이를 보였다. 즉,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만족 간에는 긍정적인 조절효과가 나타났으며, 거래적 리더십과 직무만족 간에는 조절효과가 기각되었다. 이는 부하특성인 능동적 참여는 지휘관이 거래적 리더십 행동요인보다는 변혁적 리더십 행동요인을 발휘할 때 조절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고, 육군의 지휘관들이 지휘활동을 함에 있어서, 병사들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참여의 유도가 중요하지만 리더십 효과 발휘를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변혁적인 행동요인을 잘 활용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부하들의 직무만족을 위해 지휘관들이 변혁적 · 거래적 리더십의 행동요인을 적극 함양해야 하되, 특히 부하들의 능동적 참여 유도를 통한 변혁적 행동요인 함양에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함을 밝혔다. This study is aimed for emprical analyzing (1) the effects of leadership of army commanders on subordinates job satisfaction and (2) the moderating effects of subordinates active engagement wi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anders transformational ·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of soldiers, while over 500 combat soldiers throughout the nation are questioned for this analysis. The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findings of this study. The first finding shows that both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have positive impacts o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soldiers. In this context, it is recommended that army commanders should apply effectively these behaviors of leadership in order to achieve their goals in military organizations. The second sector of the analysis includes the moderating effect of subordinates’ active engagement wi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anders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of the soldiers. The finding of the second analysis shows that subordinates active engagement has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However, it has no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This implies that army commanders should apply the behavioral factors of both leadership styles and encourage active engagement of soldiers in order to enhance the satisfaction of soldiers, focusing more on applying the behavioral factor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